KR101975591B1 - 컬링 아이론 - Google Patents

컬링 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91B1
KR101975591B1 KR1020170127897A KR20170127897A KR101975591B1 KR 101975591 B1 KR101975591 B1 KR 101975591B1 KR 1020170127897 A KR1020170127897 A KR 1020170127897A KR 20170127897 A KR20170127897 A KR 20170127897A KR 101975591 B1 KR101975591 B1 KR 10197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erminal
rotary
terminal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992A (ko
Inventor
맹명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17012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컬링 아이론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본체, 발열체 및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하고,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열봉 및 발열봉의 회전할 때, 발열체 및 온도제어부를 각각 본체와 연속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복수의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회전식 접촉단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컬링 아이론{CURLING IRON}
이하의 설명은 회전식 접촉단자부를 구비하는 컬링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컬링 아이론(Curling Iron)은 모발에 웨이브를 연출하기 위해 모발에 열과 물리적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모발과 접촉하는 부분에 소정의 열을 발생시켜 모발을 웨이브 형태로 만들어준다.
일반적으로, 컬링 아이론은 발열봉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열봉에 모발을 감거나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면, 모발이 컬링 아이론에 감기게 된다. 이 때, 발열봉의 열에 의해 모발을 구성하는 입자들 간의 결속이 느슨하게 되면서 모발이 효과적으로 휘게 된다. 이후 가열된 모발은 공기 중에서 자연 냉각되면서 모발 입자들 간에 결속이 강화되고, 모발의 웨이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컬링 아이론은 발열봉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발열봉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장치를 발열봉의 내부에 구비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온도제어장치가 발열봉의 내부에 구비되면, 발열봉의 실제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온도제어장치를 발열봉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연결선이 늘어나고, 특히, 발열봉 회전 시에는 이러한 연결 선들이 꼬이거나 끊어져 접촉불량의 문제가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발열봉의 회전 시에도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컬링 아이론의 개발이 시급하다.
실시 예의 목적은, 발열봉의 회전 시에도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발열봉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컬링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접촉단자를 구비하여 발열봉 내부의 온도 제어장치 및 발열체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컬링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접촉단자의 절연거리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손잡이의 외경확장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컬링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컬링 아이론에 대해 설명한다.
컬링 아이론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본체,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열봉 및 상기 발열봉의 회전할 때,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온도제어부를 각각 상기 본체와 연속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복수의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회전식 접촉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접촉단자부는,상기 본체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단자홀더, 상기 고정단자홀더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단자, 상기 발열봉에 결합되어 상기 발열봉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단자홀더 및 상기 회전단자홀더에서 상기 고정단자와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단자홀더와 상기 회전단자홀더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는, 상기 회전단자홀더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는, 각각 상기 회전단자홀더의 회전축에 대해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 중 제1고정단자 및 제2고정단자는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 중 제1회전단자 및 제2회전단자와 대응되어 상기 온도제어부 및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 중 제3고정단자 및 제4고정단자는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 중 제3회전단자 및 제4회전단자와 대응되어 상기 발열체와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단자와 상기 제2고정단자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단자와 상기 제2회전단자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3고정단자 및 상기 제4고정단자는, 상기 제1고정단자 및 상기 제2고정단자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3회전단자 및 상기 제4회전단자는, 상기 제1회전단자 및 상기 제2회전단자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4고정단자는, 상기 제3고정단자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4회전단자는, 상기 제3회전단자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고정단자 및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발열봉의 회전 시에도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발열봉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촉단자를 구비하여 발열봉 내부의 온도제어부 및 발열체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접촉단자의 절연거리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컬링 아이론의 외경확장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컬링 아이론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접촉단자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단자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단자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를 설명하기 앞서서 본 명세서에서 접촉단자는 고정단자와 각각의 고정단자와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단자를 통칭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컬링 아이론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컬링 아이론(1)은 발열봉(10), 집게부(20), 본체(30) 및 회전식 접촉단자부(40)를 포함한다.
발열봉(10)은 발열봉(10)에 감기는 모발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발열봉(10)은 본체(30)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발열봉(10)이 자동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모발을 회전시켜 감기 때문에, 모발을 손으로 회전시켜 감지 않아,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봉(10)은 발열체(11) 및 온도제어부(12)를 포함한다.
발열체(11)는 발열봉(10) 내에 구비되어 전기가 통전되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체(11)는 흑연, 세라믹 히터 등일 수 있다. 발열체(11)의 재질은 이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가 통전되면, 열이 발생하는 모든 재질일 수 있다. 발열체(11)는 발열봉(10)의 내부에서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1)가 하나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비되어 발열봉(1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제어부(12)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제어부(12)는 레이저 온도센서, 적외선 온도센서 등의 비접촉 온도 센서 또는 발열체(1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접촉식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발열체(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12)는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의 변화량을 인지하고 발열체(11)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의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발열체(1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발열체(11)의 저항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갖고,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한다.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에 전압을 검출하여, 발열체(11)의 전류량 및 발열체(11)의 저항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온도제어부(12)는 출력된 전압값을 통해 온도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출력된 전압값과 온도의 관계는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수식에 의해 도출될 수도 있다. 온도제어부(12)는 소정의 연산을 통해 온도의 변화량을 인지하고, 발열체(11)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집게부(20)는 모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발열봉(10)의 외주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발의 끝부분을 집게부(20)에 고정한 후 발열봉(10)을 회전하면 모발이 발열봉(10)에 감긴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30)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되고 내부에 구동 및 제어를 위한 모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는 손잡이부(31), 전원연결부(32), 구동부(33), 구동조작부(34), 온도설정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1)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부(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발열체(11)의 회전 및 온도 설정을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1)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은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손잡이부(31)의 일단은 발열봉(1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32)는 본체(30)와 외부전원(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다. 전원연결부(32)는 손잡이부(31)의 타단에 결합되어, 본체(30)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선 및 커넥터일 수 있다. 전원연결부(32)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발열체(11), 구동부(33), 온도제어부(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33)는 손잡이부(31) 내부의 수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3)는 발열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3)는 모터(331) 및 회전축(332)을 포함한다. 회전축(332)은 일단이 모터(331)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열봉(10)이 결합되어서, 모터(331)에 의해 회전축(332)이 회전함에 따라 발열봉(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조작부(34)는 발열봉(10)의 회전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조작부(34)는 구동부(33)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구동조작부(34)를 조작함으로써 발열봉(10)의 회전시켜 모발을 발열봉(10)에 감거나, 풀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구동조작부(34)를 조작함으로 발열봉(10)에 모발이 감긴 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온도설정부(35)는 발열봉(10)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 일수 있다. 사용자는 온도설정부(35)를 조작함으로써, 발열봉(10)의 적정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35)를 통해 컬링 아이론(1)에 전원의 on/off가 가능할 수 있으며, 전원조작부(미도시)를 따로 배치하여, 컬링 아이론(1)에 전원의 on/off가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도설정부(35)를 조작하여 발열봉(10)의 온도를 설정하면,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발열체(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가 설정온도보다 떨어지는 경우,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접촉단자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단자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단자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내지 도4를 참조하면, 회전식 접촉단자부(40)는 발열봉(10)이 회전할 때, 발열봉(10)에 구비되는 발열체(11) 및 온도제어부(12)를 각각 본체(30)와 연속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접촉단자부(40)는 온도제어부 및 발열체에 각각 전원을 연결한다. 회전식 접촉단자부(40)는 발열체(11)와 본체(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접촉단자 및 온도제어부(12)와 본체(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4개의 접촉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접촉단자부(40)는 고정단자홀더(41), 고정단자(42), 회전단자홀더(43) 및 회전단자(4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자홀더(41)는 본체(3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단자홀더(41)는 본체(30)와 발열봉(10)이 결합되는 부분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단자홀더(41)는 외주면의 외경이 단차지게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단자홀더(41)는 고정소경부(411), 고정중경부(412), 고정대경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자홀더(41)는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소경부(411), 고정중경부(412) 및 고정대경부(413)가 형성하는 단차는 접촉단자가 형성하는 절연거리일 수 있다. 고정단자홀더(41)의 내부는 단차를 형성하며 비어있는 형상일 수 있다.
고정소경부(411)의 일면을 관통형성하는 삽입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단자홀더(41)의 고정소경부(411)의 외측면에 원형의 삽입홀(414)과 동심을 가지는 원형의 분할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단자(42)는 고정단자홀더(41)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단자(42)는 동심원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단자(42)는 제1고정단자(421), 제2고정단자(422), 제3고정단자(423), 제4고정단자(4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고정단자(421)는 고정소경부(41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단자(421)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단자(421)는 링 형상의 외경이 가장 작은 형상일 수 있다.
제2고정단자(422)도 고정소경부(41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고정단자(422)는 제1고정단자(421)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단자(422)는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단자(422)는 링 형상의 내경이 제1고정단자(421)보다 큰 형상일 수 있다.
제1고정단자(421) 및 제2고정단자(422)는 분할홈(415)을 기준으로 분할홈(415)이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제1고정단자(421)가 배치되고, 분할홈(415)이 형성하는 원의 외측에 제2고정단자(42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또는 기업에 공급되는 전기는 교류전압으로 공급될 수 있다. 교류전압을 연결하는 접촉단자의 경우, 단자간의 절연거리가 형성해야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분할홈(415)은 제1고정단자(421) 및 제2고정단자(422)를 이격하고, 절연거리를 형성함으로써, 컬링 아이론(1)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3고정단자(423)는 고정소경부(411)와 단차를 형성하는 고정중경부(412)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고정단자(423)는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고정단자(423)는 고정중경부(412)의 배치됨으로써 제2고정단자(422)와 절연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4고정단자(424)는 고정중경부(412)와 단차를 형성하는 고정대경부(41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고정단자(424)는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고정단자(424)는 고정대경부(413)에 배치됨으로써 제3고정단자(423)와 절연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단자(42)는 전원을 연결하는 고정접점부(425)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접점부(425)는 각각의 고정단자(42)에서 고정단자홀더(41)의 고정소경부(411)에서 고정대경부(413)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회전단자홀더(43)는 발열봉(10)에 결합되어 발열봉(10)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단자홀더(43)는 발열봉(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발열봉(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단자홀더(43)는 내주면의 내경이 단차지게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단자홀더(43)는 내주면의 내경이 단차지게 증가하는 회전소경부(431), 회전중경부(432), 회전대경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단자홀더(43)의 내주면은 고정단자홀더(4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회전단자홀더(43)는 회전소경부(431)의 내측면의 중심에서 일정간격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4)는 삽입홀(414)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홀더(41)의 내부에는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돌출부(43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434)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 형성하는 회전축 고정홀(43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고정홀(435)은 회전축(332)이 결합되어 모터(331)에 의해 회전단자홀더(43)가 발열봉(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단자홀더(43)는 회전소경부(431)에 돌출부(434)와 동심을 가지고 돌출되는 원형의 분할부(436)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부(436)는 분할홈(415)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부(436)는 회전단자홀더(43)와 고정단자홀더(41)가 이격되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거리만큼 돌출되어 분할홈(415)에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단자홀더(41)와 회전단자홀더(43)의 결합 시, 분할부(436)로 인해 복수의 고정단자(42)와 복수의 회전단자(44)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회전단자(44)는 회전단자홀더(43)에서 고정단자(42)와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단자(44)는 제1회전단자(441), 제2회전단자(442), 제3회전단자(443) 및 제4회전단자(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단자(441)는 회전소경부(431)에 분할부(436)가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단자(441)는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단자(421)와 대응될 수 있다.
제2회전단자(442)는 회전소경부(431)에 제1회전단자(441)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 제2회전단자(442)는 분할부(436)가 형성하는 원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회전단자(442)는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회전단자(441)와 대응될 수 있다.
제3회전단자(443)는 회전중경부(4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회전단자는 회전중경부에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회전단자(442)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3회전단자(443)는 제3고정단자(423)와 대응될 수 있다.
제4회전단자(444)는 회전대경부(433)에 결합될 수 있다. 제4회전단자(444)는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4회전단자(444)는 제4고정단자(424)와 대응될 수 있다. 제4회전단자(444)는 제3회전단자(443)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단자(44)는 회전접점부(445)를 형성하여 발열체(11) 및 온도제어부(12)에 각각 케이블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접점부(445)는 회전대경부(433)에서 회전소경부(431) 방향으로 회전단자홀더(4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고정단자(421) 및 제2고정단자(422)는 복수의 회전단자(44) 중 제1회전단자(441) 및 제2회전단자(442)와 대응되어 온도제어부(12) 및 본체(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고정단자(423) 및 제4고정단자(424)는 상기 복수의 회전단자(44) 중 제3회전단자(443) 및 제4회전단자(444)와 대응되어 발열체(11)와 상기 본체(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발열체(11) 및 온도제어부(12)에 공급되는 전원이 복수의 접촉단자를 통해 분리되어 공급되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12)는 발열체(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접점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발열체(11)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어서 발열봉(10) 내부의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단자(42) 및 회전단자(44)가 고정단자홀더(41)의 외주방향으로 절연거리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단자홀더(41, 43)의 외경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발열체(11)에 연결되는 접촉단자의 경우, 절연거리가 더 멀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홀더(41, 43)의 외경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서 손잡이부(31)의 외경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컬링 아이론은 각각의 고정단자(42) 및 회전단자(44)가 단차를 형성하여 절연거리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31)의 외경의 크기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접촉단자부(40)는 손잡이부(31)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31)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접촉단자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여,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컬링 아이론(1)은 각각의 고정단자(42) 및 회전단자(44)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도 전기가 통전되어 회전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전기를 통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발열봉(10)의 회전 시에도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발열봉(10)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촉단자를 구비하여 발열봉(10) 내부의 온도제어부(12) 및 발열체(11)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접촉단자의 절연거리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컬링 아이론(1)의 외경확장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발열봉 11: 발열체
12: 온도제어부 20: 집게부
30: 본체 31: 손잡이부
32: 전원연결부 33: 구동부
331: 모터 332: 회전축
34: 구동조작부 35: 온도설정부
40: 회전식 접촉단자부 41: 고정단자홀더
42: 고정단자 43: 회전단자홀더
44: 회전단자

Claims (10)

  1.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본체;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열봉; 및
    상기 발열봉의 회전할 때,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온도제어부를 각각 상기 본체와 연속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복수의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회전식 접촉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접촉단자부는,
    상기 본체에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단자홀더;
    상기 고정단자홀더의 외측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며 구비되는 원형 링 형상의 제1 내지 제4고정단자;
    상기 발열봉에 결합되어 상기 발열봉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단자홀더; 및
    상기 회전단자홀더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단자와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대잉되는 고정단자와 대응되는 원형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내지 제4회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회전단자는 상기 온도제어부 및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 및 제4고정단자와 상기 제3 및 제4 회전단자는 상기 발열체와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단자는 동일 평면상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3고정단자는 상기 제2고정단자와 이격되되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4고정단자는 상기 제3고정단자와 이격되되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고정단자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3 및 제4고정단자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단자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멀게 형성되는 컬링 아이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홀더와 상기 회전단자홀더의 결합 시,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4회전단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컬링 아이론.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27897A 2017-09-29 2017-09-29 컬링 아이론 KR10197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97A KR101975591B1 (ko) 2017-09-29 2017-09-29 컬링 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97A KR101975591B1 (ko) 2017-09-29 2017-09-29 컬링 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92A KR20190037992A (ko) 2019-04-08
KR101975591B1 true KR101975591B1 (ko) 2019-05-07

Family

ID=6616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97A KR101975591B1 (ko) 2017-09-29 2017-09-29 컬링 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1710B2 (ja) * 2017-04-11 2022-01-2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耐熱性が改善された水性乾燥積層体結合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2849A (en) * 1980-12-09 1984-04-17 Idea Giken Ltd. Curling iron
JPH071710B2 (ja) * 1991-12-25 1995-01-1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集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1710B2 (ja) * 2017-04-11 2022-01-2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耐熱性が改善された水性乾燥積層体結合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92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7636B1 (en) Battery powered welder system utilizing vehicle powered ac inverter
EP2201858B1 (en) Hair dryer
KR20150082217A (ko) 인덕션 가열 헤어스타일링 기구 및 이의 가열 유닛
US10027196B2 (en) Electric tool
EP2667402A1 (en) Concentric coil infrared emitter lamp
KR101975591B1 (ko) 컬링 아이론
KR101326212B1 (ko) 컬링 아이론 및 그것의 온도 제어 방법
US6327428B1 (en) Portable dryer with different circuit designs
US34425A (en) Jmprovement in electric baths
EP1510147B1 (en) Multiple-setting portable dryer and circuit designs thereof
JP5295012B2 (ja) 加熱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髪ケア装置
US6935046B2 (en) Swivel cord hair dryer
US2425183A (en) Controller system for electric welding apparatus
US11134765B2 (en) Variable diameter adjustable hair tool
KR102127813B1 (ko) 무선 스위치
US10758997B2 (en) Exothermic welding apparatus and exothermic welding method
US6408131B2 (en) Portable dryer with different circuit designs
JP2013146241A (ja) 電動刈払機
KR100985699B1 (ko) 무선인두기
US11420281B2 (en) Electric heating device
CN115397275A (zh) 具有可移动第三触点的带感应线圈的气溶胶生成装置
KR101857605B1 (ko) 무선 발열 헤어기기
US20070084060A1 (en) Heated line cutter and whipper
US6873792B2 (en) Multiple-setting portable dryer and circuit designs thereof
CN212977048U (zh) 一种电烙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