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17B1 - 살균 손잡이 - Google Patents

살균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17B1
KR101975517B1 KR1020190019745A KR20190019745A KR101975517B1 KR 101975517 B1 KR101975517 B1 KR 101975517B1 KR 1020190019745 A KR1020190019745 A KR 1020190019745A KR 20190019745 A KR20190019745 A KR 20190019745A KR 101975517 B1 KR101975517 B1 KR 10197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rtical wall
wall
han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목
Original Assignee
(주)더이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이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이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2305 priority patent/WO20201715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9Sanitary doorknobs or handles, e.g. comprising a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은나노를 코팅하여 살균/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는, 회전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표면에 은나노가 코팅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손잡이{STERILIZATION KNOB}
본 발명은 살균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살균/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살균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손잡이는 도어를 개방할 때 가장 중요한 구성이다.
도어용 손잡이는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도어용 손잡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심하게 오염되고, 악취를 동반하기도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2489호(2011.01.2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은나노를 코팅하여 살균/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살균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는, 회전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표면에 은나노가 코팅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하면과 양측면에 제1고정홈이 형성된 제1수직벽체, 상기 제1수직벽체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제1수직벽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1끼움돌기가 형성된 제1수평벽체, 상기 제1수직벽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양면에 상기 제1수직벽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2끼움돌기가 형성된 제1마감벽체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수직벽체와 마주하며, 상,하면과 양측면에 제2고정홈이 형성된 제2수직벽체, 상기 제2수직벽체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제2수직벽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3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수평벽체, 상기 제2수직벽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양면에는 상기 제2수직벽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4끼움돌기가 형성된 제2마감벽체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은나노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은나노액이 저장된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은나노액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둘레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부가 하우징, 상기 부가 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는 설치판,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설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코일스프링이 팽창되어 설치판이 출입구측으로 전진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키는 실린더, 상기 설치판에 고정되며, 상기 설치판이 전진 시 상기 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바닥을 향해 늘어지는 줄 형태의 부가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는, 은나노를 코팅하여 살균/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작에 의해 지면측으로 늘어지는 부가 손잡이가 마련되어 키가 작은 어린이도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면과 외면에 주기적으로 은나노를 자동으로 코팅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에 개방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에 적용된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살균/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며,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키가 작은 어린이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살균 손잡이(1)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1)는 손잡이부(10), 분사부(20), 부가 하우징(30), 코일스프링(40), 설치판(50), 지지판(60), 실린더(70), 부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0)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하 회전을 통해 도어레치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손잡이부(10)는 지면이나 문틀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도어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문틀에 구비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도어레치가 연결된다.
손잡이부(10)가 지면이나 문틀에 대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레치가 도어의 외부로 인출되어 걸림홈에 인입됨으로 문틀을 폐쇄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0)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도어레치가 걸림홈에서 인출되면서 도어의 내부로 인입됨으로 문틀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와 도어레치의 작동은 다양한 종류의 도어에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손잡이부(10)의 표면에는 항균기능, 면역기능 및 항균기능을 강화하여 오염 및 세균발생을 억제하는 은나노가 코팅된다.
은나노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및 이에 따른 각종 항균 기능에 의해 세균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손잡이부(10)의 표면은 항상 청결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은(銀)은 살균력과 면역기능이 뛰어나고 세균이 침입하는 것을 예방해주는데, 본원발명은 이러한 은나노의 효과를 세균의 감염이 매우 우려되는 도어용 손잡이부(10)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많은 사람들이 접촉하게 되는 도어 손잡이부(10)에 은나노를 코팅함으로써, 손잡이부(10)의 표면에 코팅된 살균 기능을 갖는 은나노 코팅층에 의해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나아가 인체의 면역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어떠한 세균의 전염도 예방해줄 수 있다.
한편, 은나노 코팅층은 약 2~3개월 정도 지나면 은나노의 기능이 약화 되는 바, 전술한 분사부(20)는 손잡이부(10)에 새롭게 은나노 코팅층을 형성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내면 또는 외면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분사부(20)는 손잡이부(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은나노 코팅층을 반복적으로 형성해준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0)는 제1하우징(11), 제2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11)은 제1수직벽체(111), 제1수평벽체(112), 제1마감벽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벽체(11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가지며, 직사각형 바 형상 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직벽체(111)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0)를 구성하며 도어레치와 연결되는 회전부재(124)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다각형 형상의 장착홈(1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0)를 회동시키면 회전부재(124)가 해당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어레치가 도어의 내부에 인입된다.
제1수직벽체(111)의 상,하면에는 제1수평벽체(112)와 결합을 위한 제1고정홈(1112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1마감벽체(113)와 결합을 위한 제1고정홈(1112b)가 형성된다.
제1수평벽체(11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1수직벽체(11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수평벽체(112)는 일측이 제1수직벽체(1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며,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고정홈(1112a)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제1끼움돌기(1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평벽체(112)는 상면 또는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1수직벽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평벽체(112)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제2수평벽체(122)와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삽입돌기(1121)가 형성된다.
제1마감벽체(11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일측이 제1수직벽체(111)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고정홈(1112b)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제2끼움돌기(1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마감벽체(113)는 일면 또는 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1수직벽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마감벽체(113)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제2마감벽체(123)와 결합을 위한 삽입돌기(1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하우징(11)은 제1수직벽체(111)와 제1수평벽체(112) 및 제1마감벽체(113)의 결합으로 인해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대략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은 제2수직벽체(121), 제2수평벽체(122), 제2마감벽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직벽체(12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다.
제2수직벽체(121)는 제1수직벽체(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대향된다.
그리고, 제2수직벽체(121)의 상,하면에는 제2수평벽체(122)와 결합을 위한 제2고정홈(1211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2마감벽체(123)와 결합을 위한 제1고정홈(1211b)가 형성된다.
제2수평벽체(12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2수직벽체(121)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평벽체(122)는 일측이 제2수직벽체(1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며,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2고정홈(1211a)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제3끼움돌기(1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수평벽체(122)는 상면 또는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2수직벽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평벽체(122)의 전면에는 제1수평벽체(112)의 삽입돌기(1121)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삽입홈(1221)이 형성된다.
제2마감벽체(12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일측이 제2수직벽체(121)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2고정홈(1211b)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제4끼움돌기(12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마감벽체(123)는 일면 또는 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2수직벽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감벽체(123)의 전면에는 제1마감벽체(113)의 삽입돌기(11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1231)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제2하우징(12)은 제2수직벽체(121)와 제2수평벽체(122) 및 제2마감벽체(123)의 결합으로 인해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대략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20)는 손잡이부(10)에 은나노 코팅층을 새롭게 형성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사부(20)는 저장부재(21), 분사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재(21)는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제1하우징(11)에 수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저장부재(2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은나노액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은나노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장부재(21)에는 에어컴프레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기압축기나 펌프와 같은 분사수단(100)(미도시)이 연결되어, 저장부재(21)에 저장된 은나노액이 분사관(22)의 내부통로에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분사관(22)은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양면이 막혀있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사관(22)의 양면에는 돌기(222)가 형성되고, 제1마감벽체(113)의 내면과 외면에는 돌기(222)가 삽입되는 삽입홈(1133)이 형성된다.
분사관(22)의 측면에는 저장부재(21)의 배출구가 관통설치된다. 또한, 분사관(22)에는 둘레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분사노즐(2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부재(21)에서 분사된 은나노액은 분사관(22)의 내부통로로 공급된 다음, 각각의 분사노즐(221)을 통해 분사되어 제1,2수직벽체(111,122), 제1,2수평벽체(112,122), 제1,2마감벽체(113,123)에 분사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제1하우징(11), 제2하우징(12), 분사부(20)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외면이 노출되도록 살균 손잡이(1)가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때,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내면 즉, 제1수직벽체(111)와 제2수직벽체(121)의 서로 마주하는 면, 상부에 위치된 제1수평벽체(112)와 제2수평벽체(122)의 저면, 하부에 위치된 제1수평벽체(112)와 제2수평벽체(122)의 상면 및 제1마감벽체(113)와 제2마감벽체(123)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에는 저장부재(21) 및 분사관(22)에 의해 은나노액이 분사되어 코팅되어 있다.
한편, 약 2~3개월 정도가 지나면 살균 손잡이의 잦은 사용에 의해 은나노 코팅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3(a)와 같이,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제1수평벽체(112)와 제1마감벽체(113)의 삽입돌기(1121,1131)가 제2수평벽체(122)와 제2마감벽체(123)의 삽입홈(1221,1231)에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회전부재(124) 상에서 손잡이부(10) 전체를 분리한다.
이후, 제1마감벽체(113)에서 분사관(22)을 분리한 다음, 도3(b)와 같이, 제1수평벽체(112), 제1마감벽체(113), 제2수평벽체(122), 제2마감벽체(123)를 각각 180도로 뒤집은 후, 제1끼움돌기(1122)를 제1고정홈(1112a)에 끼움고정하고, 제2끼움돌기(1132)를 제1고정홈(1112b)에 끼움고정하여 제1수직벽체(111)에 제1수평벽체(112)와 제1마감벽체(113)를 결합하고, 제3끼움돌기(1222)를 제2고정홈(1211a)에 끼움고정하고, 제4끼움돌기(1132)를 제2고정홈(1211b)에 끼움고정하여 제2수직벽체(121)에 제2수평벽체(122)와 제2마감벽체(123)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수평벽체(112), 제2수평벽체(122), 제1마감벽체(113), 제2마감벽체(123)는 각각 최초 외부로 노출되었던 면이 은닉되고, 최초 은닉되었던 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된다.
이후에, 분사관(22)의 돌기(222)를 제1마감벽체(113)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홈(1133)에 삽입시켜 분사관(22)을 제1마감벽체(113)에 고정한다.
이후,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외면에 은나노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전술한 분사수단(100)을 작동시킨다.
이때,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결합시간이 요구됨으로, 분사수단(100)에는 타이머(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타이머(110)는 분사수단(100)에 구비된 작동버튼을 누를 경우, 그로부터 10분 내지 30분 사이에 분사수단(100)을 작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에, 제1수평벽체(112), 제1마감벽체(113)의 삽입돌기(1121,1131)를 제2수평벽체(122), 제2마감벽체(123)의 삽입홈(1221,1231)에 각각 삽입함과 아울러 제1마감벽체(113)와 제2마감벽체(123)를 장착하여,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회전부재(124)에 결합함으로써, 은나노액이 새롭게 코팅된 면을 잡고 도어를 개폐하면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1)는 언제나 사용자가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토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결합한 후 10분 내지 30분 사이에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은닉된 외면에 은나노액이 자동으로 새롭게 코팅됨으로, 2~3개월이 지나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내면에 코팅된 은나노액이 제거되면 전술한 방식으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회전부재(124)에서 분리한 다음, 다시 외면을 노출시킨 후 회전부재(124)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손잡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에 개방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손잡이에 적용된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가 작은 유아가 손잡이부(1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수단을 더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수단은 부가 하우징(30), 코일스프링(40), 설치판(50), 지지판(60), 실린더(70), 부가 손잡이부(80), 작동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하우징(3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가 하우징(30)은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제1하우징(11)의 외면 끝단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를 위해 제1하우징(11)의 끝단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재(1134)가 형성되며, 부가 하우징(30)의 일측에는 체결부재(1134)가 체결되는 나선홈(301)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 하우징(30)의 중앙부분 상면에는 후술되는 실린더(70)의 피스톤과 지지판(60)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홀(302)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40)은 부가 하우징(3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일단이 부가 하우징(3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설치판(50)은 코일스프링(40)의 타단에 고정되며, 출입구를 향하는 면에 후술되는 부가 손잡이부(80)가 고정된다.
지지판(60)은 부가 하우징(30)의 홀을 통해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판(50)을 지지하여, 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실린더(70)는 부가 하우징(30)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간격유지편(90)의 상면에 고정되어 부가 하우징(30)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실린더(70)는 유압 실린더(70) 또는 공압 실린더(70)로 형성되어,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신축된다.
실린더(70)의 피스톤은 지지판(60)의 상면에 고정되며,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기 전에는 간격유지편(9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위치된다.
이때, 지지판(60)은 일부분은 간격유지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분은 부가 하우징(30)의 홀에 위치된다.
그리고, 실린더(7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면 피스톤이 지지판(60)을 하강시켜 설치판(50)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4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부가 손잡이는 설치판(50)에 고정되는 것으로, 밴드나 줄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손잡이부(80)는 실린더(70)에 유압이나 공압이 공급되기 전에는 구겨진 상태로 부가 하우징(30)의 수용공간이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작동스위치는 실린더(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도어나 문틀에 설치된다.
작동스위치는 키가 작은 어린이가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문틀의 하부측에 마련된다.
스위치를 누르면 실린더(70)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배출되며, 이로 인해 피스톤이 지지판(60)을 상승시켜 설치판(50)과 이격시킨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0)이 팽창되어 설치판(50)이 출입구로 전진되며, 부가 손잡이부(80)가 부가 하우징(30)의 외부로 인출되어 바닥을 향해 늘어지게 됨으로, 키가 작은 유아가 까치발로 서지 않고도 부가 손잡이부(80)를 아래로 당겨서 손잡이부(10)를 회동시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손잡이부(80)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송곳과 같은 도구로 설치판(50)을 후진시켜 코일스프링(40)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스위치를 눌러 실린더(7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60)이 설치판(50)을 지지하도록 한 다음, 부가 손잡이부(80)를 부가 하우징(30)의 수용공간에 인입시키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살균 손잡이 10 : 손잡이부
11 : 제1하우징 111: 제1수직벽체
1111 : 장착홈 1112a,1112b : 제1고정홈
112 : 제1수평벽체 1121, 1131 : 삽입돌기
1122 : 제1끼움돌기 113 : 제1마감벽체
1132 : 제2끼움돌기 12 : 제2하우징
121 : 제2수직벽체 1211a,1211b : 제2고정홈
122 : 제2수평벽체 1221,1231 : 삽입홈
1222 : 제3끼움돌기 123 : 제2마감벽체
1232 : 제4끼움돌기 124 : 회전부재
20 : 분사부 21 : 저장부재
22 : 분사관 221 : 분사노즐
222 : 돌기 30 : 부가 하우징
301 : 나선홈 302 : 출입홀
40 : 코일스프링 50 : 설치판
60 : 지지판 70 : 실린더
80 : 부가 손잡이부 90 : 간격유지편
100 : 분사수단 110 : 타이머

Claims (4)

  1. 회전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표면에 은나노가 코팅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하면과 양측면에 제1고정홈이 형성된 제1수직벽체, 상기 제1수직벽체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제1수직벽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1끼움돌기가 형성된 제1수평벽체, 상기 제1수직벽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양면에 상기 제1수직벽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2끼움돌기가 형성된 제1마감벽체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수직벽체와 마주하며, 상,하면과 양측면에 제2고정홈이 형성된 제2수직벽체, 상기 제2수직벽체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하면에 상기 제2수직벽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3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수평벽체, 상기 제2수직벽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양면에는 상기 제2수직벽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끼움고정되는 제4끼움돌기가 형성된 제2마감벽체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은나노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은나노액이 저장된 저장부재,
    상기 저장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은나노액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둘레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하는 살균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에 출입구가 형성된 부가 하우징,
    상기 부가 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고정되는 설치판,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설치판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코일스프링이 팽창되어 설치판이 출입구측으로 전진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키는 실린더,
    상기 설치판에 고정되며, 상기 설치판이 전진 시 상기 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바닥을 향해 늘어지는 줄 형태의 부가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 손잡이.
KR1020190019745A 2019-02-20 2019-02-20 살균 손잡이 KR10197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45A KR101975517B1 (ko) 2019-02-20 2019-02-20 살균 손잡이
PCT/KR2020/002305 WO2020171537A1 (ko) 2019-02-20 2020-02-18 살균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45A KR101975517B1 (ko) 2019-02-20 2019-02-20 살균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17B1 true KR101975517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45A KR101975517B1 (ko) 2019-02-20 2019-02-20 살균 손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5517B1 (ko)
WO (1) WO20201715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537A1 (ko) * 2019-02-20 2020-08-27 (주)더이룸코리아 살균 손잡이
KR102233897B1 (ko) 2020-11-18 2021-03-31 (주)엔젤엠엘 항균 손잡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손잡이
KR102265386B1 (ko) 2020-07-21 2021-06-14 박상균 소독제를 내포한 살균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30Y1 (ko) * 2004-09-01 2005-01-07 오은성 도어록용 항균 손잡이
KR101012489B1 (ko) 2008-06-18 2011-02-08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370608B1 (ko) * 2012-11-05 2014-03-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695B1 (ko) * 2005-02-04 2006-12-13 김민경 살균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KR20160133119A (ko) * 2015-05-12 2016-11-22 김종욱 살균 기능을 가진 문손잡이
KR101975517B1 (ko) * 2019-02-20 2019-05-08 (주)더이룸코리아 살균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30Y1 (ko) * 2004-09-01 2005-01-07 오은성 도어록용 항균 손잡이
KR101012489B1 (ko) 2008-06-18 2011-02-08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370608B1 (ko) * 2012-11-05 2014-03-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537A1 (ko) * 2019-02-20 2020-08-27 (주)더이룸코리아 살균 손잡이
KR102265386B1 (ko) 2020-07-21 2021-06-14 박상균 소독제를 내포한 살균 필름
KR102233897B1 (ko) 2020-11-18 2021-03-31 (주)엔젤엠엘 항균 손잡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537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517B1 (ko) 살균 손잡이
EP2571534B1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ers
US7465942B2 (en) Plungers and devices for storing plumbing tools
KR101653226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손잡이 장치
US9950085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JP6426322B1 (ja) ドア用取手消毒装置
WO2004012778A3 (en) Device for disinfecting door handles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60029686A1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CN1646041A (zh) 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WO2004066784A3 (en) Toothpaste holder and dispenser
US6935542B2 (en) Device for retaining and for inserting a flexible tube assembly into a fluid container
KR101653379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101370608B1 (ko) 살균손잡이
KR101531229B1 (ko) 전해수 청소기
KR101321907B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CN202596265U (zh) 一种带消毒功能的把手门锁装置
KR101648343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20190072051A (ko) 손소독제가 나오는 문고리
KR20140102886A (ko) 치약 용기 조립체
KR20190018190A (ko) 손 소독용 도어 핸들
EP0714253A1 (de) Spender für flüssiges desinfektionsmittel, tensidprodukte und dgl.
KR200479712Y1 (ko)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RU2742900C1 (ru) Самодезинфицирующаяся ручка
CN217566960U (zh) 一种便携式妇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