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27B1 -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27B1
KR101975327B1 KR1020170135591A KR20170135591A KR101975327B1 KR 101975327 B1 KR101975327 B1 KR 101975327B1 KR 1020170135591 A KR1020170135591 A KR 1020170135591A KR 20170135591 A KR20170135591 A KR 20170135591A KR 101975327 B1 KR101975327 B1 KR 10197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hole
partition wall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695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17013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배출구가 배수관의 바로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편심되어 설치될 경우에도 양변기를 배수관연결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전후, 좌우로 맞출 수 있어서 설치가 편리하도록 한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에 의하면 양변기의 배출구가 연통되는 연결플랜지부를 격볍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양변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중심이 맞지 않으면 전,후로 밀거나, 좌우로 돌리게 되면 배수관과 쉽게 연통시킬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양변기를 한번올려 놓으면 배수관의 위치과는 크게 상관없이 배수관연결구를 맞출 수 있고, 위치수정도 매우 쉽게 되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FIXING FRAME FOR INSTALLING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배출구가 배수관의 바로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편심되어 설치될 경우에도 양변기를 배수관연결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전후, 좌우로 맞출 수 있어서 설치가 편리하도록 한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는 양변기배수부와 배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으로, 상부를 양변기와 결합하고 그 하부를 배수관에 끼워서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는 양변기배수부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홀을 볼트로 고정할 수 있고 양변기가 안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단에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수관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끝단에 패킹(packing)이 설치된 하부관이 형성된다.
또한, 배수관의 설치위치가 양변기배수부가 안착되는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편심된 위치만큼 배수관연결구의 하부관이 일정각도로 비틀어진 형태로 생산되는 것도 있다.
최근에는 정심과 편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가 제공되는데,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7757호에 개시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의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는 바닥에 매설되어 정화조로 분뇨를 배수하는 배수관(3)과 양변기(1)의 배출구(2)를 연결하는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상단이 상기 양변기(1)의 배출구(2)와 연통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2)를 기준으로 편심된 통공(21)이 형성된 연결캡부(20); 상단에는 상기 연결캡부(20)의 통공(21)과 연통되는 상단개구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상단개구부(31)보다 확경된 하단개구부(32)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상단개구부(3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1외주부(33)와 이 제1외주부(33)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외주부(34)를 포함하는 상부통체부(30); 및 상기 상부통체부(30)의 하단개구부(32)와 연통되며 상기 배수관(3)에 정합되는 하부원통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외주부(33, 34)는 상기 하부원통체부(4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양변기가 도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매우 무거운데, 양변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중심이 맞지 않으면 다시 양변기를 들어낸 상태에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를 맞추고 다시 올려놓아야 하므로 설치가 매우 불편하다.
(2) 최초 양변기를 설치할 때 양변기배수부의 구멍과 배수관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매우 일치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위치수정도 매우 어렵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변기의 배출구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홀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운데에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연결플랜지부와;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플랜지의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가운데에는 초승달 형상으로 배수홀을 가리는 배수격벽이 형성되고, 배수격벽과 연하여 배수홀과 연통하는 격벽홀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ㄷ'자형상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격벽부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연부에 다수개의 링형태의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면에 상기 격벽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한 가이드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하부원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양변기의 배출구가 연통되는 연결플랜지부를 격볍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양변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중심이 맞지 않으면 전,후로 밀거나, 좌우로 돌리게 되면 배수관과 쉽게 연통시킬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2) 양변기를 한번올려 놓으면 배수관의 위치과는 크게 상관없이 배수관연결구를 맞출 수 있고, 위치수정도 매우 쉽게 되어서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편심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변형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저면사시도(편심).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저면사시도(중심).
본 발명은 양변기(1)의 배출구(2)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홀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112)이 형성된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가운데에 배출구(2)와 연통되는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연결플랜지부(100)와;
상기 연결플랜지부(1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플랜지(110)의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가운데에는 초승달 형상으로 배수홀(120)을 가리는 배수격벽(210)이 형성되고, 배수격벽(210)과 연하여 배수홀(120)과 연통되는 격벽홀(220)가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ㄷ'자형상의 가이드레일(230)이 형성된 격벽부(200)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연부에 다수개의 링형태의 패킹홈(310)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면에 상기 격벽부(200)의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이송가능한 가이드돌기(320)가 각각 형성된 하부원통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부(100)는 가운데에 배수홀(120)이 형성되는데, 이부분은 양변기배수부의 하단이 안착되어 연속적으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배수홀(120)의 내주연에는 패킹이 삽입되는데, 패킹은 양변기배수부가 도기이므로 하단주연부가 깨지지 않도록 하고, 냄새도 새어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112)은 볼트로 양변기배수부의 주연부에 형성된 홀과 연결하여 양변기를 연결플랜지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부(200)는 연결플랜지부(100)와 하부원통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플랜지부(100)의 하단에 부착된다.
상기 격벽부(200)는 가운데 격벽홀(220)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에 형성되는 배수홀(120)과 연통된다.
상기 격벽부(200)의 격벽홀(220)을 형성하는 초승달 형상의 배수격벽(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격벽(210)은 하단이 평평하고, 상부가 격벽홀(220) 방향, 즉 가운데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330)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부(200)는의 경사진 부분인 경사부(330)는 양변기의 배출구(2)에서 배출되는 오물 또는 물이 격벽홀(220)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부(200)의 양측에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레일(23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원통부(300)는 배수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가이드돌기(32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320)는 연결플랜지부(100)의 가이드레일(230)을 따라서 전후로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원통부(300)의 원주를 따라 적어도 2개의 패킹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310)에는 패킹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부(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30)의 끝단에는 멈출수 있도록 하부원통부(300)의 가이드돌기(320)의 이송이 끝단에서 멈출 수 있도록 고정된 스탑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200)의 하단에는 하부원통부(300)가 격벽부(200)의 하단을 빠져나가지 않도록 전,후방에 멈춤돌기(260)가 각각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의 하부원통부(300)를 배수관(3)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플랜지부(100)의 방향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플랜지(110)의 홀 위치가 좌우로 잘 맞춰질 수 있도록 예상하여 배치한다.
이후, 양변기(1)의 배출구(2)를 배수홀(120)에 맞춰서 넣고(패킹을 먼저 고정한다), 배출구(2) 주연부에 형성된 홀과 플랜지(110)를 관통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한다.
이때, 양변기(1)의 배출구(2)의 위치와 배수관(3)의 위치가 맞지 않고 일측으로 편심되었을 경우에는 플랜지(110)를 앞뒤로 밀어서 맞추면 된다.
만약, 편심된 위치가 좌,우로 돌아가 있을 경우에는 양변기(1)를 좌,우로 돌려서 하부원통부(300)까지 돌리면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에 의하면 양변기의 배출구가 연통되는 연결플랜지부를 격볍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양변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중심이 맞지 않으면 전,후로 밀거나, 좌우로 돌리게 되면 배수관과 쉽게 연통시킬 수 있어서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양변기를 한번올려 놓으면 배수관의 위치과는 크게 상관없이 배수관연결구를 맞출 수 있고, 위치수정도 매우 쉽게 되어서 편리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연결플랜지부 110 : 플랜지
112 : 연결홀 120 : 배수홀
200 : 격벽부 210 : 배수격벽
220 : 격벽홀부 230 : 가이드레일
300 : 하부원통부 310 : 패킹홈
320 : 가이드돌기 330 : 경사부

Claims (3)

  1. 삭제
  2. 양변기의 배출구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홀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운데에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연결플랜지부와;
    상기 연결플랜지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플랜지의 외주연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가운데에는 초승달 형상으로 배수홀을 가리는 배수격벽이 형성되고, 배수격벽과 연하여 배수홀과 연통되는 격벽홀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ㄷ'자형상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격벽부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연부에 다수개의 링형태의 패킹홈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면에 상기 격벽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한 가이드돌기가 각각 형성된 하부원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격벽부의 격벽홀을 형성하는 초승달 형상의 배수격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격벽은 하단이 평평하고, 상부가 격벽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하단에는 하부원통부가 격벽부의 하단을 빠져나가지 않도록 전,후방에 멈춤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KR1020170135591A 2017-10-19 2017-10-19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KR10197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91A KR101975327B1 (ko) 2017-10-19 2017-10-19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91A KR101975327B1 (ko) 2017-10-19 2017-10-19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695A KR20190043695A (ko) 2019-04-29
KR101975327B1 true KR101975327B1 (ko) 2019-05-07

Family

ID=6628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591A KR101975327B1 (ko) 2017-10-19 2017-10-19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224B2 (en) 2012-02-20 2019-09-17 Danco, Inc. Seals for closet collars
KR20210017417A (ko) 2019-08-08 2021-02-17 김인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US11274429B2 (en) 2013-08-23 2022-03-15 Danco, Inc. Seals for closet colla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19Y1 (ko) 2000-02-26 2000-08-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실내 바닥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18B1 (ko) * 2006-07-31 2008-06-26 김흥준 좌변기의 배수관과 하수관의 이음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19Y1 (ko) 2000-02-26 2000-08-16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실내 바닥 배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224B2 (en) 2012-02-20 2019-09-17 Danco, Inc. Seals for closet collars
US10669707B2 (en) 2012-02-20 2020-06-02 Danco, Inc. Closet collar adaptations
US10683653B2 (en) 2012-02-20 2020-06-16 Danco, Inc. Closet collar adaptations
US11021862B2 (en) 2012-02-20 2021-06-01 Danco, Inc. Toilet seals
US11220813B2 (en) 2012-02-20 2022-01-11 Danco, Inc. Closet collar apparatus and systems
US11274429B2 (en) 2013-08-23 2022-03-15 Danco, Inc. Seals for closet collars
KR20210017417A (ko) 2019-08-08 2021-02-17 김인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695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27B1 (ko) 양변기용 배수관연결구
JP6928866B2 (ja) 水洗大便器
EP0830483B1 (en) Vacuum tank construction for a vacuum toilet assembly
MXPA05011976A (es) Ensamble de banera de perfil bajo.
MXPA05011977A (es) Ensamble de drenaje con depresion.
US5135133A (en) Tank fitting
KR101668582B1 (ko)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JPH07189324A (ja) 水洗便器
KR101827385B1 (ko)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GB2298661A (en) Water trap
KR20100045272A (ko) 싱크대 배수 유닛의 호스 연결 구조
JPH0315657Y2 (ko)
EP3725961A3 (en) Toilet comprising a washing system
KR20180044511A (ko) 양변기의 트랩과 플랜지의 결합구조
EP3321437B1 (en) Flush toilet apparatus
JP3999919B2 (ja) 排水管継手
JP6351065B2 (ja) 排水ソケット
JP2007023688A (ja) 排水トラップ
JP3711192B2 (ja) 排水装置
JP2008115589A (ja) 排水接続管並びに便器及び手洗器の排水接続方法
JP6538462B2 (ja) 排水接続管及びトイレ装置
KR200395201Y1 (ko) 악취제거용 배관 연결장치
JPH04362394A (ja) ベント管
KR102418523B1 (ko) 싱크대용 배수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