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35B1 -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35B1
KR101975235B1 KR1020170166435A KR20170166435A KR101975235B1 KR 101975235 B1 KR101975235 B1 KR 101975235B1 KR 1020170166435 A KR1020170166435 A KR 1020170166435A KR 20170166435 A KR20170166435 A KR 20170166435A KR 101975235 B1 KR101975235 B1 KR 10197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collection
opening
lead wir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17016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함 몸체와 수거 커버로 이루어진 수거함을 형성하고, 상기 수거함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함 몸체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수거 커버의 중앙에는 애완견을 통제할 수 있는 리드줄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을 형성하므로, 상기 리드선 수단에 구비된 리드줄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산책하는 도중에 상기 애완견이 배설을 하더라도 수거함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바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애완견을 제어하는 리드줄과 애완견 배설물 처리 장치를 분리하여 지참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수거함에는 배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상기 수거함에 결합 구성하여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수거함을 열지 않더라도 수거함에 들어 있는 배설물을 쉽게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는 배설물을 탄력적으로 처 올려 수거함의 수거홈으로 유입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수거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있는 배설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 Pet waste disposal Device }
본 발명은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함 몸체와 수거 커버로 이루어진 수거함의 상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거함 하부를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수단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수거함의 내부에는 스파일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작동되는 리드 줄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을 설치 구성하여 리드선이 구비된 수거함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제어 및 산책하는 도중에 수거함을 이용하여 애완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 동물들은 장소와 상관없이 배설물을 배설한다.
애완 동물들이 장소와 상관없이 배설물을 지면에 배설하기 때문에 애완 동물로부터 배설된 배설물을 처리하지 않을 시 지면에 있는 배설물로 인해 각종 병원균이 증식되며, 배설물로부터 발생 된 병원균이 사람의 몸으로 유입되어 병을 유발시키거나 또는 지면에 배설된 배설물로 인해 공원 및 산책로가 지저분해지면서 사람들이 산책 및 운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원, 산책로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배설된 애완 동물 배설물을 처리하지 않을 시에는 벌금이 부과하게 되었다.
따라서, 애완 동물을 산책하거나 운동시 애완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비닐 봉투를 지참하게 되었다.
상기 비닐 봉투를 지참하고 다니다가 애완 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비닐 봉투 내부로 손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배설물을 손으로 집은 후에 비닐 봉투를 뒤집어 비닐 봉투에 배설물을 넣어 처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비닐 봉투에 넣은 후에 손으로 배설물을 잡기 때문에 배설물의 감각이 손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배설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면에 남아 있는 배설물의 흔적을 지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애완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묽은 설사 등이 배설시에는 비닐 봉투에 손을 넣은 후에 배설물을 잡을 수 없음은 물론 배설물을 처리하더라도 배설물 흔적이 그대로 지면에 남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는 수공공간이 구비된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피스톤 및 피스톤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조작로드와 외통 하단에 형성되는 밀폐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구성된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는 애완 동물이 지면에 배설물을 배설하게 되면, 밀폐부가 밀착되게 외통을 배설물이 배설된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상,하로 작동시켜 배설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그 이격된 상태에서 외통에 결합 된 수거 비닐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애견 배설물을 처리하는 배설물 처리 장치에는 1. 애완견을 통제하는 리드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애완견을 산책시키기 위해서는 애완견을 통제하는 리드선과,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애완견 배설물 처리 장치를 각각 분리하여 지참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애완견을 산책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2. 애완견 배설 처리 장치와 리드선으로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지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애완견을 산책 시 리드선만 지참하여 나가므로, 애완견이 배설한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의 문제점은 3. 밀폐부가 밀착되게 지면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울퉁 불퉁한 지면에는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는 밀폐부로 인해 지면과 외통을 결합한 상태에서 조작로드를 상,하로 작동함에 따라 외통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되면서 배설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설물이 이격과 동시에 외통 내부에 설치된 수거 비닐로 유입되는 구성인 것이다.
따라서, 지면이 울퉁불퉁하게 되면, 밀폐부는 지면에 밀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조작로드를 작동한다 하더라도 지면에 배설된 배설물이 지면으로 이격되지 못하기 때문에 배설물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는 애완 동물 몸체 착용 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지지를 받도록 연결되며, 애완 동물 항문 부위에 위치하는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애완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을 수거하는 수거대로 구성한다.
즉, 애완 동물에 착용 되는 밴드부에 설치대를 설치하고, 그 설치대에 수거대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애완 동물이 배설물을 배설과 동시에 설치대에 결합 된 수거대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의 문제점은 1. 설치대가 항문 주위에 위치하도록 밴드부를 애완 동물에 착용한 상태에서 설치대에 수거대를 결합하기 때문에 설치대와 항문이 일치시에는 배설물이 수거대의 내부로 유입되지만 이와 반대로 설치대와 항문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설물이 수거대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게 되면 애완 동물에 착용 된 밴드부가 전,후 및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서 설치대는 항문과 일치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애완 동물이 배설 시 수거대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지면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2. 지면을 배설물이 떨어지게 되면, 종래와 같이 주인이 비닐 봉투의 내부에 손을 넣은 상태에서 손으로 배설물을 잡고 직접 처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3. 애완 동물이 언제 배설물을 배설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설치대에는 수거대를 항상 결합 된 상태에서 애완견이 착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설치대에 결합 된 수거대는 애완 동물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뒷다리와 엉덩이 부분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므로, 애완견의 산책 및 운동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심할경우에는 애완견이 배설물 처리 장치를 착용하지 않거나 또는 애완견이 배설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4. 수거대에 유입된 배설물을 주인이 바로 처리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수거대로 유입된 배설물이 덜렁거리면서 애완 동물 뒷다리와 항문을 지속적으로 때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거나 애완 동물이 운동하거나 구르는 과정에서 수거대로 유입된 배설물이 외부로 다시 나와 애완 동물 몸에 묻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는 접속구가 구비된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향균패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직사각형 모양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향균패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지면에 놓게 되면, 애완 동물들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로 올라가 배설물을 배설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의 문제점은 1. 애완 동물이 올라서서 배설물을 배설하는 크기로 본체 프레임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의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2. 집과 같은 한정된 공간이 아닌 야외에서는 애완 동물들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로 올라가 배설하지 않은 시에는 손을 비닐 봉투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배설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 10-2006-005733 호
한국 등록특허 제 10-0609506 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31666 호
한국 등록특허 제 10-0843589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함 몸체와 수거 커버로 이루어진 수거함을 형성하고, 상기 수거함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함 몸체의 상단에 형성하되, 상기 함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수거함의 내측 상부에는 리드선 수단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과 격벽을 중심으로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을 상기 수거함에 형성하므로, 리드선 수단이 구비된 하나의 수거함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산책시키거나 또는 애완견이 배설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함에는 배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상기 수거함에 결합 구성하여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수거함을 열지 않더라도 수거함에 들어 있는 배설물을 쉽게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는 배설물을 탄력적으로 쳐 올려 수거함의 수거홈으로 유입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수거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있는 배설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부가 지면을 쓸면서 배설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지면에 배설물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함의 하부에는 제1 핑거 및 제2 핑거를 엇갈리게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도중에 지면에 있는 흙 내지 모레 등이 수거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함 몸체와 수거 커버로 이루어진 수거함과;
수거함의 하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수거함의 하부를 개방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수거함의 하부를 닫을 수 있게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수단과;
스파일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되면서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줄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선 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수거함을 구성하고 있는 함 몸체의 내부 중간에 돌출 형성되는 격벽과;
격벽을 중심으로 함 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리드선 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 및
격벽을 중심으로 함 몸체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애완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으로 구성하여, 애완견의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이 구비된 수거함에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선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함 몸체와 수거 커버로 이루어진 수거함을 형성하고, 상기 수거함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함 몸체의 상단에 형성하되, 상기 함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수거함의 내측 상부에는 리드선 수단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과 격벽을 중심으로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을 상기 수거함에 형성하므로, 리드선 수단이 구비된 하나의 수거함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제어하면서 애완견이 배설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애완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수거함과 상기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선 수단을 독립적으로 지참하지 않아도 되도록 상기 수거함에 리드선 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는 애완견 제어 및 배설물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거함에는 배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상기 수거함에 결합 구성하여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수거함을 열지 않더라도 수거함에 들어 있는 배설물을 쉽게 외부로 배출시켜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수거함의 하부에는 배설물을 탄력적으로 쳐 올려 수거함의 수거홈으로 유입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수거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있는 배설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부가 지면을 쓸면서 배설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지면에 배설물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거함의 하부에는 제1 핑거 및 제2 핑거를 엇갈리게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도중에 지면에 있는 흙 내지 모레 등이 수거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거함에 리드선 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배출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거함에 수거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로 이루어진 수거함(10)과;
수거함(10)의 하단이 힌지(8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수거함(10)의 하부를 개방하고, 비틀림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수거함(10)의 하부를 닫을 수 있게 상기 수거함(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수단(40)과;
스파일러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되면서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줄(231)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함(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선 수단(200)을 구성하되,
상기 수거함(10)을 구성하고 있는 함 몸체(20)의 내부 중간에 돌출 형성되는 격벽(11)과;
격벽(11)을 중심으로 함 몸체(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리드선 수단(20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14) 및
격벽(11)을 중심으로 함 몸체(2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애완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으로 구성하여, 애완견의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이 구비된 수거함(10)에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선(231)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200)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 몸체(20)의 하단에는 제1 핑거(150)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제1 핑거(150)와 엇갈리게 제2 핑거(151)를 수거 커버(30)의 하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설물을 수거하는 수거함(10)에 리드선 수단(200)을 일체로 형성하여 리드선 수단(200)이 구비된 수거함(10)을 이용하여 애완견 배설물을 항상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함(10)에 구비된 리드선 수단(200)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거함(10)은 도 1과 같이 함 몸체(20)와 상기 함 몸체(20)의 개구단을 차단하는 수거 커버(30)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수거함(10)을 구성하고 있는 함 몸체(20)의 상부면에는 수거 커버(30)가 개폐 작동하도록 상기 개폐수단(40)을 상기 수거함(40)의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개폐수단(40)은 함 몸체(40)의 상단에는 도 1과 같이 제1 개폐손잡이(5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개폐손잡이(50)와 대응되게 제2 개폐손잡이(60)를 상기 수거 커버(30)의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수거함(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개폐손잡이(50) 및 제2 개폐손잡이(60)이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 개폐손잡이(6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부(51)를 상기 함 몸체(40)의 상부 개구단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 개폐손잡이(60) 및 고정부(51)를 관통하는 힌지(80)를 도 2의 (b)와 같이 결합 구성한다.
그리고 힌지(80)의 외주면에는 비틀림 스프링(70)을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비틀림 스프링(70)의 일단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고정부(50)에 고정 결합 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70)의 타단은 제2 개폐손잡이(60)에 고정 결합한다.
따라서, 제1 개폐손잡이(50)와 제2 개폐손잡이(60)를 손으로 잡고서 수거함(10)의 중앙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힌지(80)의 외주면에 결합 된 비틀림 스프링(70)의 수축되면서 제2 개폐손잡이(60)가 구비된 수거 커버(30)는 힌지(80)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수거함(10)의 하단을 개방시키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제1 개폐손잡이(50)와 제2 개폐손잡이(6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함 몸체(20)의 하부를 개방한 수거 커버(30)는 힌지(80)의 외주면에 결합 된 비틀림 스프링(70)이 처음 상태로 복귀되면서 도 2의 (b)와 같이 개방된 함 몸체(20)의 일단을 닫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70)과 힌지(80)로 인해 개폐 작동되는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의 하단에는 도 3과 같이 각각 제1 핑커(150)와 제2 핑커(151)를 등 간격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다.
상기 제1 핑거(150)와 제2 핑거(151)를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의 하단에 각각 엇갈리게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지면에 있는 배설물을 처리 시 상기 배설물과 동시에 지면에 있는 흙 내지 돌 등이 수거함(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배설물을 처리하는 수거함(10)의 내부에는 리드선 수단(200)을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리드선 수단(200)이 설치되는 함 몸체(20)의 내부 중간에는 도 3과 같이 격벽(11)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격벽(11)을 중심으로 리드선 수단(200)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14)을 상기 함 몸체(2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격벽(11)을 중심으로 함 몸체(20)의 내측 하부에는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을 형성한다.
이때, 격벽(11)에는 도 3과 같이 차단부(12)를 등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차단부(12)가 끼워지는 차단홈(13)을 도 1의 (b)와 같이 수거 커버(30)의 내측면에 형성한다.
즉, 격벽(11)의 끝단에는 차단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부(12)가 끼워지는 차단홈(13)이 수거 커버(30)의 내측면에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차단부(12)과 차단홈(13)을 상기 수거함(10)의 내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수거홈(15)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이 설치 공간(14)으로 유입되는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설치 공간(14)에 설치된 리드선 수단(200)으로 배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치 공간(14)에 설치되는 리드선 수단(200)은 도 4와 같이 리드줄(231)이 권치 되는 권치릴(230)이 결합 되도록 함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201)와, 권치릴(230)에 권치 된 리드줄(231)이 수거함(10)으로부터 인출 시 탄성력에 의해 권치시킬 수 있도록 권치릴(230)에 결합 되는 스파이럴 스프링(220)과, 수거 커버(30)의 외면에 결합 된 스파일러 스프링(220)과 권치릴(230)를 감싸도록 함 몸체(20)에 결합 되는 리드선 하우징(210)과, 상기 함 몸체(20)에 구비된 유출홀(21)을 통해 인출된 리드줄(231)을 고정하는 누름 버튼(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 몸체(20)에 구비된 설치 공간(14)에 설치되는 리드선 수단(200)은 공지의 기술로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리드줄(231)를 애완견에 연결시 권치릴(230)에 권치 된 상기 리드줄(231)이 유출홀(21)을 통해 인출되고, 그 리드줄(231)은 애완견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애완견 가까이 리드선 수단(200)이 구비된 수거함(10)이 접근시키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220)에 권치 된 권치릴(230)이 리드줄(231)이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리드선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수거함(10)의 함 몸체(20)에 구비된 손잡이(16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리드선 수단(200)에 구비된 리드줄(231)을 리드선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하여 애완견에 연결한다.
상기 리드줄(231)을 애완견에 연결한 상태는 도 2와 같이 개폐수단(40)에 의해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로 이루어진 수거함(10)의 하부가 닫힌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애완견을 산책시키다가 상기 애완견이 배변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개폐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제1 개폐손잡이(50) 및 제2 개폐손잡이(60)를 손으로 잡고 수거함(10)의 중앙으로 압력을 가한다.
상기 수거함(10)의 중앙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함 몸체(20)의 일면에 결합 된 수거 커버(30)은 힌지(80)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함 몸체(20)의 하단을 개방한다.
상기 함 몸체(20)의 하단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제1 핑거(150) 및 제2 핑거(151)가 지면에 닿게 수거함(10)을 아래로 내린 후에 제1 개폐손잡이(50) 및 제2 개폐손잡이(6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한다.
제1 개폐손잡이(50) 및 제2 개폐손잡이(6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힌지(80)의 외주면에 결합 된 비틀림 스프링(70)은 처음 상태로 복귀하면서 수거 커버(30)는 개방된 함 몸체(20)의 일측면을 도 2의 (a)와 같이 폐쇄함과 동시에 함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된 수거홈(15)으로 애완견 배설물을 유입하는 것이다.
상기 수거홈(15)으로 유입된 애완견 배설물은 함 몸체(20)를 차단하고 있는 격벽(11)으로 인해 리드선 부재(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폐수단(40)에 의해 하부가 개방 및 닫히는 수거함(10)의 내부에 리드줄(231)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200)이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애완견 배설물 처리 장치에 구비된 리드선 수단(200)의 리드줄(231)을 이용하여 애관견을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함(10)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바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애완견 배설물을 처리하는 처리 장치와 애완견을 통제하는 리드줄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리드줄를 각각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선 수단(200)이 수거함(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애완견을 산책하는 도중에 배설물 처리 장치를 지참하지 않아 발생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격벽(11)으로 인해 수거함(10)의 내부 공간을 리드선 수단(200)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14) 및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이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수거함(10)의 외관을 미려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11)의 끝단인 개구단에는 차단부(12)를 형성하고, 차단부(12)가 내측에 끼워지는 차단홈(13)을 상기 수거 커버(30)의 내측에 형성하여 상기 수거홈(15)의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이 리드선 수단(20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수거함(10)에 배출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배출수단은 수거함(10)을 구성하고 있는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원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 몸체(20)에 형성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함 몸체(20)에 형성되는 배출수단은 도 6과 같이 함 몸체(20) 중앙에 배출홀(90)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홀(9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10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배출홀(90)을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100)가 배출홀(90)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홀(90)을 외주면에 근접하게 일단이 개구된 가이드부(101)를 도 7과 같이 형성하고, 가이드부(101)의 내부에 출몰되게 개폐부(100)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개폐수단(40)에 구비된 손잡이(160)에 압력을 가해 수거함(10)의 하부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101)를 따라 도 7의 (b)와 같이 개폐부(100)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배출홀(90)이 개방되면서 수거함(10)의 수거홈(21)으로 유입된 배설물이 상기 배출홀(9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배설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는 도 8과 같이 배출홀(90)을 개방하는 개폐부(110)를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홀(9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개폐부(110)가 내,외측 방향으로 도 9의 (b)와 같이 회동되도록 상기 배출홀(90)로부터 근접하게 회전축(120)을 브라켓(121)으로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120)의 외주면에는 개폐부(110)를 결합한다.
따라서, 개폐부(110)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배출홀(90)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수거홈(21)에 들어 있는 배설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개폐부(110)와 함 몸체(20)가 마주보는 일면에는 부착부(120)를 결합 구성하여 상기 부착부(130)에 의해 개폐부(110)가 항상 함 몸체(20)에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110)를 함 몸체(20)에 부착하는 부착부(130)는 자석 또는 벨크로 등으로 이루짐을 밝히는 바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수거함(10)에 결합 되는 수거부(14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거부(140)는 실리콘 및 고무 재질 등과 같은 탄성력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수거부(140)가 결합 되도록 수거함(10)의 하부인 수거 커버(30) 하부에 끼움홈(31)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31)에 끼워지는 끼움부(141)가 구비된 수거부(140)를 수거 커버(30)의 하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수거부(14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먼저, 배설물 위로 수거함(10)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60)에 힘을 가해 수거함(10)의 하단이 양단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수거함(10)의 하부가 개방되면, 수거부(140)의 일면이 도 11의 (a)와 같이 닿게 한 상태에서 손목에 스냅을 줘 수거부(140)의 끝단이 도 11의 (b)와 같이 배설물의 하부를 쳐 올리도록 한다
수거부(140)가 배설물의 하단을 쳐 올리는 것과 동시에 배설물이 도 11의 (c)와 같이 수거함(10)의 수거홈(21)으로 유입되면, 상기 수거함(10)의 함 몸체(20)가 지면을 향하도록 살짝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수거부(140)가 수거함(10)으로부터 인출되면 손잡이(16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여 도 11의 (d)와 같이 수거함(10)의 내부로 배설물이 유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설물을 탄력적으로 쳐 올려 수거함(10)의 수거홈(21)으로 유입하는 수거부(140)를 상기 수거 커버(30)에 결합 구성하므로서, 지면에 있는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수거부(140)가 지면을 쓸듯이 배설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지면에 배설물 흔적이 남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거함(10)의 외측면에 결합 부재(30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부재(300)에 리드선 수단(200)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한 것이다.
상기 결합 부재(300)는 도 12의 (a)와 같이 고정 돌기(311)가 구비된 안내부(310)를 등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내부(310)가 끼워져 고정하는 고정홈(320)을 상기 리드선 수단(200)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홈(320)은 도 12의 (a)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홈(320)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리드선 수단(200)을 수거함(10)의 일면인 함 몸체(20)에 결합 시 리드줄(23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기 때문에 리드선 수단(200)을 함 몸체(20)에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합 부재(300)는 고정돌기(311)가 구비된 안내부(310)와 고정홈(320) 이외에 리드선 수단(200)을 원 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포함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부재(300)를 이용하여 리드선 수단(200)을 수거함(10)의 외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하나의 수거함을 이용하여 2 마리의 애완견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대형견을 통제할 수 있는 리드줄(231)이 권치된 리드선 수단(200)을 수거함(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 수거함, 11: 격벽,
12: 차단부, 14: 설치 공간,
15: 수거홈, 20: 함 몸체,
21: 유출홀, 30: 수거 커버,
31: 끼움홈,
40: 개폐수단, 50: 제1 개폐손잡이,
60: 제2 개폐손잡이, 70: 비틀림 스프링,
80: 힌지, 90: 배출홀,
100,110: 개페부, 101: 가이드부,
120: 회전축, 121: 브라켓,
130: 부착부, 140: 수거부,
150: 제1 핑거, 151: 제2 핑거,
160: 손잡이, 200: 리드선 수단,
201: 결합부, 210: 리드선 하우징,
211: 유출홀, 220: 스파일러 스프링,
230: 권치릴, 231: 리드줄,
240: 누름 버튼, 300: 결합 부재,
310: 안내부, 311: 고정돌기,
320: 고정홈,

Claims (6)

  1. 함 몸체(20)와 수거 커버(30)로 이루어진 수거함(10)과;
    수거함(10)의 하단이 힌지(8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수거함(10)의 하부를 개방하고, 비틀림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수거함(10)의 하부를 닫을 수 있게 상기 수거함(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폐수단(40)과;
    스파일러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되면서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줄(231)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함(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선 수단(200)을 구성하되,
    상기 수거함(10)을 구성하고 있는 함 몸체(20)의 내부 중간에 돌출 형성되는 격벽(11)과;
    격벽(11)을 중심으로 함 몸체(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리드선 수단(20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14) 및
    격벽(11)을 중심으로 함 몸체(2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애완견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으로 구성하여, 애완견의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홈(15)이 구비된 수거함(10)에 애완견을 제어할 수 있는 리드선(231)이 구비된 리드선 수단(20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함 몸체(20)의 하단에는 제1 핑거(150)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제1 핑거(150)와 엇갈리게 제2 핑거(151)를 수거 커버(30)의 하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수거함(10)에 구비된 수거홈(15)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거함(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출홀(90)과;
    수거함(10)의 일면에 결합 구성되어 배출홀(90)을 개폐하는 개폐부(100);를 구성하되,
    상기 개폐부(100)는,
    일단이 개구된 가이드부(101)를 배출홀(9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고,
    가이드부(101)의 내측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배출홀(90)을 개폐하는 개폐부(100)를 수거함(10)의 일면에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수거함(10)에 구비된 수거홈(15) 내부로 유입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거함(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출홀(90)과;
    수거함(10)의 일면에 결합 구성되어 배출홀(90)을 개폐하는 개폐부(110);를 구성하되,
    상기 개폐부(110)는,
    브라켓(121)을 이용하여 회전축(120)을 배출홀(90)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하고,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회전되는 개폐부(110)를 상기 회전축(120)의 외주면에 결합하며,
    마주보는 수거함(10) 및 개폐부(110)의 일면(10a)(110a)에는 내,외측으로 회동 되는 개폐부(110)를 수거함(10)에 고정할 수 있는 부착부재(130)를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수거 커버(30)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31)과;
    끼움홈(31)에 끼워지는 끼움부(141)가 상단에 구비되며, 배설물을 탄력적으로 쳐 올려 개방된 함 몸체(20)에 구비된 수거홈(15)에 유입할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수거부(140)를 상기 수거함(10)의 하단에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6.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함 몸체(20)의 일면에는 결합 부재(300)를 더 형성하고,
    상기 결합 부재(300)에 리드선 부재(200)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KR1020170166435A 2017-12-06 2017-12-06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KR10197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35A KR101975235B1 (ko) 2017-12-06 2017-12-06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35A KR101975235B1 (ko) 2017-12-06 2017-12-06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35B1 true KR101975235B1 (ko) 2019-05-07

Family

ID=6665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35A KR101975235B1 (ko) 2017-12-06 2017-12-06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35A (ko) 2019-07-29 2021-02-08 김민호 하네스와 자동 리드 줄 사이에 위치한 보관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416A (ja) * 2002-02-20 2005-06-16 マンシーニ、ヴァスコ 動物の排泄物を収集及び処分するための手段を含む、高剛性の把手を備えた犬用リード
WO2010135821A1 (en) * 2009-05-29 2010-12-02 Rana, Sewa Pet waste collection device
KR101037365B1 (ko) * 2010-07-28 2011-05-31 김인휘 휴대용 애완동물 배변 처리기
KR200483585Y1 (ko) * 2017-03-09 2017-05-31 김병철 애완동물용 목줄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416A (ja) * 2002-02-20 2005-06-16 マンシーニ、ヴァスコ 動物の排泄物を収集及び処分するための手段を含む、高剛性の把手を備えた犬用リード
WO2010135821A1 (en) * 2009-05-29 2010-12-02 Rana, Sewa Pet waste collection device
KR101037365B1 (ko) * 2010-07-28 2011-05-31 김인휘 휴대용 애완동물 배변 처리기
KR200483585Y1 (ko) * 2017-03-09 2017-05-31 김병철 애완동물용 목줄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35A (ko) 2019-07-29 2021-02-08 김민호 하네스와 자동 리드 줄 사이에 위치한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578491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101744891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수거 장치
US6941896B1 (en) Animal feces collection device
JP2008531013A (ja) 動物の足を清浄にするための携帯可能な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4095562A (en) Animal refuse container
KR20130103214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101975235B1 (ko) 리드선 일체형 애견 배변 처리 장치
KR20200092023A (ko) 반려 동물용 화장실
US2012016783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imal waste
KR2019012881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20150313187A1 (en) Collection Device
KR102378677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위한 휴대용 가방
KR102438156B1 (ko) 반려동물의 대소변처리장치
KR20170039920A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KR102117791B1 (ko) 애완동물용 배변 팬티
KR101834339B1 (ko) 애완 동물 배설물 처리 장치
KR101037365B1 (ko) 휴대용 애완동물 배변 처리기
KR102542208B1 (ko)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CN219288410U (zh) 一种自动清洁猫砂盆
CN212937260U (zh) 宠物排泄设备用粪便通道机构及宠物排泄设备
JP2002000109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177943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 뒤처리 물품 보관장치
KR102199980B1 (ko) 애완견용 배변장치에서의 배변봉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