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01B1 -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 Google Patents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01B1
KR101975201B1 KR1020180131480A KR20180131480A KR101975201B1 KR 101975201 B1 KR101975201 B1 KR 101975201B1 KR 1020180131480 A KR1020180131480 A KR 1020180131480A KR 20180131480 A KR20180131480 A KR 20180131480A KR 101975201 B1 KR101975201 B1 KR 10197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r
upper slider
support portion
low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건설
Priority to KR102018013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buried body structure for a supporter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buried body structure for the supporter comprises: an upper slider slidably enga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er; a lower slide plac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slider to be slidably enga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which connect the upper slider to the lower slider and which are installed to be foldable. In accordance with a motion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the plurality of support units are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er or placed to have a certain angle in a direction of a radius of the suppor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firmly install the supporter in the ground even without a separate concrete base block and to remarkably reduce a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Description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및 그 설치방법{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ground-

본 발명은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및 접철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지주대의 설치 시간이 단축되며 지주대가 안정적으로 지중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landfill structur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landfill structure for a landfill, which comprises an upper slider and a lower slider,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landfill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andfill such that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installed in the ground in a stable manner.

일반적으로 도로나 산책로 등의 주변에는 사람과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유도하거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광판, 안내 표지판, 이정표 등 다양한 시설물이 설치된다.In general, various facilities such as an electric signboard, a signboard, and a milestone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road or a promenade for inducing smooth passage of people and vehicles 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이러한 시설물은 지주대를 통해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주대는 시설물이 설치될 지역의 지중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 블록을 설치하고, 기초 블록과 지주대의 하단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These facilities are fixed on the ground through the support stand. The support platform is fixed in such a manner that a base block made of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ground where the facility is to be installed, and the base block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form.

종래 지주대와 기초 블록의 결합 방식으로는 기초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 전 지주대를 원하는 자세로 배치한 상태에서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킴으로써 지주대와 기초 블록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방식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기초 블록을 형성한 후 앵커볼트를 이용해 지주대의 하단을 기초 블록에 고정하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된다.Conventionally, a combination of a support block and a foundation block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column and the foundation block are integrated by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pport columns of the concrete for forming the foundation block are arranged in a desired posture Or a method in which a foundation block is formed by pouring / curing a concrete or concrete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olumn to the foundation block by using anchor bolts.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지주대(P)는 그 하단에 다수의 리브(R)로 지지되는 넓은 고정판(B)을 구비하고,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기초 블록(C)을 매설한 후, 이러한 기초 블록(C)에 고정판(B)을 앵커 볼트(A)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support column P has a large fixed plate B supported at its lower end by a plurality of ribs R, and a base block C in which concrete is placed in the ground is embedded. And fixed to the base block (C) by fastening the fixing plate (B) with an anchor bolt (A).

그러나 종래 지주대를 설치하는 과정은 지중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내부에 앵커 볼트들을 내장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기초 블록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시공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installing the support st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anchor bolts inside the formwork, install the concrete, install the base block, and cure the poured concrete. There is a problem of rising.

또한, 종래 지주대는 기초 블록의 앵커 볼트와 고정판을 정합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및 정합 과정 등 모든 과정을 작업자가 일일이 실시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 for aligning the anchor bolts and the fixing plate of the base block is difficult, the worker has to perform all the processes such as casting, curing, and matching.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콘크리트 기초 블록 없이도 지주대를 강건하게 지중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embankment for a support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부가 접철 가능하도록 지주대에 설치되므로 지주대의 운반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 현장에서 곧바로 지주대를 지중에 매립할 수 있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landfill for a support structur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which is capable of easily carrying a support stand and is capable of immediately burying the support stand in the ground, becaus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are provided on the support stand so as to be foldable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슬라이더; 및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는 지주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이거나 또는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mprising: an upper slider slidably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lumn; A lower slid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lider and slidably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nterconnecting betwe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nd installed to be foldable;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or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다수의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an under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ground support comprises: a plurality of upper brackets radially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lider; And a plurality of lower bracket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lider; .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는 지주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 elliptic cross section,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desir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측부에는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지주대의 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so as to extend through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to the side of the landing gear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제2지지부의 타단은 회전볼트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lid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bolt so as to be mutually rotat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양 단부에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볼트는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o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Is preferably slidable along the slot.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측부에는 다수의 지지홈이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지지홈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회전볼트가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수용슬롯; 및 상기 수용슬롯과 연결슬롯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볼트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슬롯;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슬롯의 폭은 회전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이동슬롯의 폭은 회전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may include a receiving slot in which the rotating bolt is received and temporarily fixed; A movable slot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slot through a connection slot and capable of sliding and moving the rotating bolt; Wherei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slo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and the width of the moving slo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슬롯에 인접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단부에는 회전볼트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분산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so that the rotating bol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djacent to the sl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최대로 이격되었을 때,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maxim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upport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에서 상기 제1지지부의 길이는 제2지지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접촉되었을 때,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grou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in contact, The two supporting portions are preferably arrang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upper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은 지중에 터파기를 하는 단계; 터파기한 지중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가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를 포함한 지주대의 하단을 터파기한 지중에 위치시키고, 흙을 넣어 매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stalling an underground burial material for a ground structure, comprising: Sliding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state of the turf period;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s in accordance with sliding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nd positioning the lower end of the column including the support part in the ground, and filling the soil with the soil;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에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제2지지부의 타단은 회전볼트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ground embedding material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lid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bolt so as to be mutually rotatabl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에서 상기 지중에 터파기를 하는 단계 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 상에서 최대로 이격시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로 지주대를 운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ground embedding material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maximum distance, Conveying the column in a state that the column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에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가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는 단계 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에 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 상에서 고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ground embedding material for a grou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sts, Fixing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on the support table by engaging the fixing bolt with the fixing hole; .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부가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인 상태에서 지지부를 포함한 지주대의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므로 별다른 콘크리트 기초 블록 없이도 지주대가 강건하게 지면에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columns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s are embedded i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s, the support columns are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without any concrete foundation block .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 블록 없이 지주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식에 비해 시공 기간과 시공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lumn without a concrete foundation block,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sting concrete.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지지부가 접철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까지의 운반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 현장에서 터파기만 하면 바로 지주대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can be folded by simply sliding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on the supporting table, it is very easy to carry to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supporting base can be installed .

나아가,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만 지주대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으로 제조하면, 다수의 지지부가 간단한 볼트 조립만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 또는 제조 공정 면에서도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only by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can be combined only by simple bolt assembly, .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지주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였을 때,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단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단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접촉되었을 때,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가 지중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ground support when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tand.
4 is a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nd view of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nd view of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structure of an under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support structure when an upper slider and a lower slid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 underground embedment structure for a grou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ground. FIG.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n underground burial material for a 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지주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였을 때,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structure of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landfill structure for land use.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는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로 이루어지고,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사이에 다수의 지지부(30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round embed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lider 100 and a lower slider 200, and a plurality of supports 30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는 지주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200)는 상부 슬라이더(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거나 접촉 배치된다.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P and the lower slider 200 is spaced or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lider 100 .

상기 지지부(300)는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됨에 따라 지지부(300) 또한 지주대(P) 상에서 그 형태가 가변된다.The support part 300 connects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to be foldabl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is varied,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300 also varies on the support pillars P.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가 지주대(P) 상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때 지지부(300)는 지주대(P)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가 지주대(P) 상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지지부(300)는 지주대(P)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다. 즉, 상기 지지부(300)는 삼각형 형태로 놓이거나 또는 일자 형태로 놓일 수 있다.2, wh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on the support platform P, the support member 300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P 3, wh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as far as possible on the support bar P, the support part 300 is 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P . That is, the support part 300 may be placed in a triangular shape or in a straight line.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300)가 두 가지 형태로 놓이는 예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사이의 간격이 가변됨에 따라 지지부가 다양한 다른 형태로 놓일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ly the supporting portion 300 is shown in two forms.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is varied, it is known that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other forms. There will be.

상기 지지부(300)가 지주대(P)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므로 지주대(P)의 매립시 흙의 하중에 의해 지지부(300)가 강건하게 지지되며, 이에 따라 지주대가 쓰러지지 않는다.Since the support part 300 is plac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P, the support part 300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ad of the earth when the support bar P is buried, Do not fall.

상기 지주대(P)는 전광판, 안내 표지판, 이정표 등 설치되는 시설물의 종류, 시설물의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목재, 플라스틱재, 철재 또는 합금재 중 어느 하나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s P may be made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wood, plastic material, steel material, or alloy material depending on the types of facilities installed, such as an electric signboard, a signboard, a mileston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지주대(P)는 설치되는 시설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어, 육각형, 팔각형 등)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는 지주대(P)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The support pillars P may have any one of 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or polygonal shapes (for example, hexagonal, octagonal, etc.)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facility to be installed,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support column P.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직경은 지주대(P)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크게 형성되어 지주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ar P and may be freely slidabl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ar support P.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및 지지부(30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지중에 매립되는 구성으로서, 매립시 흙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지니면서 내부식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 300 may be partially or wholly buried in the ground.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and corrosion resistance so a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soil desirabl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및 지지부(300)는 탄소(C) 0.02 내지 0.05wt%, 실리콘(Si) 0.1 내지 1.0wt%, 크롬(Cr) 12 내지 24wt%, 니켈(Ni) 10 내지 14wt%,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 300 include 0.02 to 0.05 wt% of carbon (C), 0.1 to 1.0 wt% of silicon (Si), 12 to 24 wt% of chromium 10 to 14 wt% of nickel (Ni), the balance of iron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탄소(C)는 합금 소재의 가공경화를 위한 원소이나 0.05wt%를 초과하는 경우 입계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이하로 제한하고, 실리콘(Si)은 탈산제로 첨가되는 원소이나 1.0wt%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을 저해하므로 그 이하로 제한하며, 크롬(Cr)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소이나 24wt%를 초과할 경우 응고시 모재부의 델타 페라이트 함량에 영향을 주므로 그 이하로 제한하고, 니켈(Ni)은 상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원소로서 24wt%를 초과할 경우 영향이 미미하므로 그 이하로 제한한다.Since the carbon (C) is an element for work hardening of the alloy material, if it exceeds 0.05 wt%, it may cause intergranular corrosion, so it is limited to less than that, and silicon (Si) is an element added as a deoxidizer or 1.0 wt% (Cr) is an element for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if it exceeds 24 wt%, it affects the content of delta ferrite in the base material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so that it is limited to less than that, and nickel (Ni) is an element for maintaining the phase balance, and the effect is insignificant when it exceeds 24 wt%.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및 지지부(300)는 강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지주대의 매립 설치 후에도 상당한 기간 동안 손상되지 않고 지주대를 지지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 30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superior rigid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he support bar can be supported without being damag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fter the support bar is embedded.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상부 브라켓(110) 및 하부 브라켓(210)이 방사형으로 각각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지지부(300)는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부 브라켓(110) 및 하부 브라켓(210)을 통해 연결된다.A plurality of upper brackets 110 and a plurality of lower brackets 210 project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respectively. That is, the support part 30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but is connected to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through the upper bracket 110 and the lower bracket 210.

상기 상부 브라켓(110) 및 하부 브라켓(210)은 지주대(P)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브라켓(110)과 하부 브라켓(210)은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중심으로 부챗살 형태로 펼쳐진다.The upper bracket 110 and the lower bracket 210 are protruded outwar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P. The upper bracket 110 and the lower bracket 210 are deployed in the form of a yoke about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wh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viewed from above.

상기 하부 브라켓(210)은 하부 슬라이더(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주대(P)의 하단을 동서남북으로 지지하므로 지주대가 별다른 장치 없이도 지중/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slider 20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trut P so that it can stand vertically in the ground / ground without any device.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110)과 하부 브라켓(210)은 지지부(300)의 상단 및 하단이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부(300)의 접철시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300)의 상단과 하단이 회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The upper bracket 110 and the lower bracket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30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folding of the support portion 300 and to provide space fo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ortion 300 to rotate.

상기 상부 브라켓(110)과 하부 브라켓(210)은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에 용접 등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bracket 110 and the lower bracket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o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측부에는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지주대(P)의 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홀(120, 220)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120 and 220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so as to extend through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to the side of the strut P.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지주대(P)가 매립되는 지중의 암반, 토양 형질 등을 고려하여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 후, 고정볼트를 고정홀(120, 220)에 삽입하여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고정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can be varied.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rock, soil characteristics, Afte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lider 200 is determined, the fixing bolts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s 120 and 220 to fix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고정볼트가 고정홀(120, 220)을 관통하여 지주대(P)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는 고정볼트의 머리와 지주대의 외면 사이에 가압 지지되어 고정된다.The upper and lower sliders 100 and 200 are pressed and supported between the head of the fixing bol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by pushing the fixing bolt through the fixing holes 120 and 220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P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는 상단이 상부 슬라이더(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310) 및 하단이 하부 슬라이더(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320)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part 300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art 310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lider 100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320 whose low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lider 200, .

상기 제1지지부(310)의 하단과 제2지지부(320)의 상단은 회전볼트(3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볼트(330)를 기준으로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300)는 접철된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bolt 330 and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320 are rotated, the supporting portion 300 is folded.

상기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슬롯(3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를 연결하는 회전볼트(330)는 슬롯(3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Slots 340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0 and 3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0 and 320. The rotation bolt 330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slidable along the slot 340.

상기 슬롯(340)이 장홀로 형성되고 회전볼트(330)가 슬롯(3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는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접철 동작이 훨씬 더 자연스러워질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3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slots 340 are formed as long holes and the rotation bolts 330 are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ots 340,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can be much more natural.

또한, 지주대(P)가 설치되는 지역은 흙 먼지가 많은 지역일 수 있으므로 흙 먼지가 끼었을 때에도 접철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 사이의 유격은 반드시 필요하다.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may be formed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the dust is stuck, It is absolutely necessary.

상기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측부에는 다수의 지지홈(350)이 함몰 형성된다. 다수의 지지홈(350)은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홈(350)은 일측에 3개씩 총 6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350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3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ree support grooves 350 are formed on one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지지홈(350)은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가 지중에 매립되었을 때 흙을 갈퀴처럼 잡아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지중에서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 groove 350 is effective when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are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can be firmly fixed in the ground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단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nd view of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340)은 회전볼트(330)가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수용슬롯(341) 및 수용슬롯(341)과 연결슬롯(342)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볼트(33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슬롯(343)을 포함한다.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340 includes a receiving slot 341 in which the rotating bolt 330 is received and temporarily fixed, and a receiving slot 341 in which the receiving slot 34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lot 342 And includes a mobile slot 343 through which the rotating bolt 330 can slide.

상기 수용슬롯(341)의 직경은 회전볼트(33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며, 지주대(P),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또는 지지부(300)에 별다른 충격이 없는 경우, 회전볼트(330)는 수용슬롯(341)에 수용된다.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slot 341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330 and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awl 341 is set to approximately the same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330, The rotation bolt 33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lot 341. [

상기 이동슬롯(343)의 폭은 회전볼트(3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는 지주대(P),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또는 지지부(3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볼트(3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The width of the movable slot 343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bolt 330. This is for securing a space in which the rotating bolt 330 can mov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upport pawl,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or the supporter 300.

다시 말하면, 상기 수용슬롯(341)과 이동슬롯(343)은 전체적으로 '눈사람' 모양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수용슬롯(341)과 이동슬롯(343)의 사이는 연결슬롯(342)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receiving slot 341 and the moving slot 343 have a shape similar to the 'snowman' shape as a whole, and the receiving slot 341 and the moving slot 34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lot 342, .

상기 연결슬롯(342)의 폭은 회전볼트(3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평상시 회전볼트(330)가 수용슬롯(341) 내에 고정 수용되어 있다가 충격시 연결슬롯(342)이 일시적으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하면서 이동슬롯(343)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slot 342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bolt 330 because the rotation bolt 330 is normally received in the receiving slot 341, 342 are temporarily elastically or plastically deformed to move to the movable slot 343.

상기 지주대(P)의 하단은 흙 속에 매립되므로 지지부(300)에는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지주대(P)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암반 등에 부딪혀 지지부(300)에 일시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 이때 회전볼트(330)는 수용슬롯(341)에서 이동슬롯(343)으로 이동하여 지지부(300)에 일시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충격)을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다. Since the lower end of the strut P is buried in the soil, an excessive load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ing portion 300.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trut P, a temporary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ing portion 300. At this time, the rotation bolt 330 moves from the receiving slot 341 to the moving slot 343 to buffer a load (shock) temporarily applied to the supporting portion 300 to some extent.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슬롯(341)과 이동슬롯(343)은 제1지지부(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2지지부(320)의 일단부 또는 제1지지부(310)의 다른 단부에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receiving slot 341 and the moving slot 343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3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320 or the first support 3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t the other end portion.

한편, 상기 슬롯(340)에 인접한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의 단부에는 회전볼트(330)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분산부(360)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분산부(360)는 제1지지부(310)의 일단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2지지부(320)의 일단부 일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320)에 형성된 분산부는 제1지지부(310)에 형성된 분산부(360)와 충돌되지 않도록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rsion unit 360 may be formed to be convex so that the rotation bolts 33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310 and 320 adjacent to the slots 3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persion unit 360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unit 310, but may also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part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dispersion part 360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art 310.

상기 분산부(360)는 회전볼트(330)와 면접촉되어 회전볼트에 걸리는 하중을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시켜주므로 슬롯(340) 주변이 회전볼트(330)의 충격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산부(360)는 회전볼트(330)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여 그 테두리가 다각형으로 각진 모서리가 다수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Since the dispersing unit 36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lt 330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rotating bolt over a large area, the circumference of the slot 3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orn by the impact of the rotating bolt 330 hav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orms of the rotation bolt 330, the dispersing unit 36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angled corners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의 단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nd view of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시 제1지지부(310)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연장 브라켓(370)이 결합되고, 상기 연장 브라켓(370)에는 연장부(37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extension brackets 370 are coupled to the one side edge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371) is slidably inserted.

상기 연장 브라켓(370)은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연장 브라켓(370)의 상부에는 연장부(37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72)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372)는 연장 브라켓(370)을 관통하여 연장부(371)의 상부를 가압한다.The extension bracket 370 has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 fixing portion 372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37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racket 370. The fixing portion 372 penetrates the extension bracket 370 and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371.

상기 연장부(371)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1지지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지지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제1지지부(310)에 수납된다. 상기 연장부(371)가 'U'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슬롯(340) 및 회전볼트(330)와의 간섭은 없으며, 연장부(371) 사이로 어느 정도의 흙이 통과할 수도 있다.The extension portion 371 is formed in a U shape as a whole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or is hous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 As the extension portion 371 is formed in a U shape,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slot 340 and the rotation bolt 330, and a certain amount of soil may pass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s 371.

사용자는 지주대(P)의 운반시에는 연장부(371)를 제1지지부(310)의 연장 브라켓(370)에 수납하여 운반의 용이성을 높이고, 지주대(P)를 지중에 매립할 때는 연장부(371)를 연장 브라켓(370)으로부터 뽑아낸 후 고정부(372)를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제1지지부(3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71)가 연장되었을 때 제1지지부(310), 제2지지부(320) 및 연장부(371)는 'ㅅ'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user can store the extension portion 371 in the extension bracket 370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to increase the ease of transportation while transporting the support stand P and to extend the extension portion 371 when the support stand P is to be buried in the ground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can be achieved by pulling out the portion 371 from the extension bracket 370 and fixing the portion 371 through the fixing portion 372. When the extension 371 is extended, the first support 310, the second support 320, and the extension 371 may be disposed in the shape of a 'g'.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371)는 지중 매립시 제1지지부(310)로부터 연장되어 마치 나무뿌리와 같은 형태로 지지부(300)가 여러 갈래를 가진 상태에서 매립될 수 있도록 하므로 지중에서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xtension part 371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art 310 when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part 300 can be buried in the form of a tree roots,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접촉되었을 때,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support structure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의 하단과 하부 슬라이더(200)의 상단이 접촉되었을 때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lider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are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upper portion .

이는 상기 제1지지부(310)의 길이가 제2지지부(3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하부 슬라이더(200)가 상부 슬라이더(100)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점차 제2지지부(320)가 제1지지부(310) 쪽으로 편향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gradually moves toward the upper slider 100 as the lower slider 200 slides toward the upper slider 100. [ 1 toward the support 310.

지주대(P)의 매립시 지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암반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주대를 기준으로 양측에 단단한 암반이 존재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주대의 하단만 겨우 들어갈 정도의 공간만 존재할 수도 있다.Various types of rocks may be present during the landfill of the pillar (P). For example, there may be solid rock masses on both sides of the landing zone, and in some cases, there may be only a space where only the bottom of the landing zone can enter.

만약, 이때에도 전술한 것처럼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를 삼각형 형태로 놓이도록 배치한다면 지지부(300)가 암반에 걸려서 지주대(P)를 제대로 설치할 수 없다. 이때 사용자는 하부 슬라이더(200)를 상향시켜 상부 슬라이더(100)와 완전히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300)의 하부에 암반이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I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arranged to be in a triang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300 is caught by the rock, so that the support bar P can not be installed properly. At this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rocker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300 by bringing the lower slider 200 upward so as to completely contact the upper slider 100.

특히, 지중에 존재하는 암반은 원형 또는 위가 볼록하게 솟아있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암반과의 간섭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ock mass existing in the ground often has a circular shape or a protruded shape,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rock mass.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가 최대로 이격되었을 때,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는 지주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가 완전히 접촉되었을 때,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가 하부 슬라이더(200)가 그 사이 간격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었을 때, 제1지지부(310) 및 제2지지부(320)는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3, wh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When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0 and 32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310 and 320 are disposed such that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the underground embankment for a grou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가 지중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underground embedding structure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ground,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installing a landfill for a landing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지주대용 지중매립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대(P)의 하단에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및 지지부(300)를 결합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최대한 이격시켜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가 지주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한다.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ing portion 30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P, and then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s P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상태로 배치된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는 지주대(P)의 부피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운반이 매우 용이하다. 사용자는 지주대(P)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제작하여 지주대에 결합하고, 결합이 완료된 지주대(P)는 매립 현장으로 운반된다(S10).Since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ranged in this state do not substantially increase the volume of the support platform P, the transportation is very easy. The user constructs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P and joins the support bar to the support bar.

매립 현장에 도착하여서는 지중에 터파기 작업을 실시한다(S20). 터파기는 지주대(P)의 하단이 매립되기에 충분할 정도의 공간 크기로 이루어지고, 제거하기 어려운 암반 등을 회피하여 이루어진다.Upon reaching the landfill site, a digg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ground (S20). The ter- minator is made by avoiding rock masses and the like, which have a space size sufficient for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 to be buried, and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터파기가 완료되면, 터파기한 지중의 암반 배치, 토양 형질 등을 고려하여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를 지주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킨다(S30),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rock mass in the ground due to the earthquake, soil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S30)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300)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삼각형 형태로 놓이게 된다(S40). 물론 전술한 것처럼 지지부(300)는 경우에 따라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s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are slid, the plurality of supports 300 are placed in a tri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S40).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ortion 300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as the case may be.

상기 지지부(300)의 형태도 결정되면, 상부 슬라이더(100)와 하부 슬라이더(200)의 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20, 220)에 고정 볼트를 결합하여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를 지주대(P) 상에서 고정시킨다(S50).When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300 is determined, the fixing bolts are combined with the upper and lower sliders 100 and 220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slider 100 to form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200 are fixed on the pillars P (S50).

고정이 완료된 상부 슬라이더(100), 하부 슬라이더(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 지주대(P)의 하단을 터파기한 지중에 위치시키고, 흙을 덮어 매립함으로써 지주대(P)의 설치가 완성된다(S60).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P including the upper slider 100, the lower slider 200 and the support part 300 that has been fixed is placed in the ground where the tread is finished and the soil is buried in the ground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bar P (S60).

이때, 사용자는 지중의 상태를 고려하여 지주대(P)의 위치를 조금씩 조정하거나, 지주대(P)를 축회전시켜 지지부(300)가 암반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300) 중 일부 지지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form P little by litt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ground or rotate the support platform P to prevent the support member 300 from interfering with the rock, 300 may be removed.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중에 매립된 지주대(P)는 다수의 지지부(300)가 흙의 하중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콘크리트 기초 블록 없이도 강건하게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pillars P buried in the groun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s 300 are firmly fixed by the load of the soil,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firmly without a concrete foundation block.

이때, 상기 상부 슬라이더(100)는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단은 지면 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면 위로 노출되는 지주대(P)의 상단이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상부 슬라이더(10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지주대 상단의 부식 등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lider 100 is dispos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This is because the upper end of the strut bed P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ground, So that the slider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such as corrosion of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 블록 없이 지주대(P)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방식에 비해 시공 기간과 시공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pillars P can be installed without the concrete foundation block,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cost ar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sting concrete.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더(100) 및 하부 슬라이더(200)를 지주대(P)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지지부(300)가 접철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까지의 운반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 현장에서 터파기만 하면 바로 지주대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s 300 can be folded by simply sliding the upper slider 100 and the lower slider 200 on the support platform P, it is very easy to carry to the installation site, It is advantageous to install the tether stand only when the tether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 상부 슬라이더 110 : 상부 브라켓
120 : 상부 슬라이더의 고정홀 200 : 하부 슬라이더
210 : 하부 브라켓 220 :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홀
300 : 지지부 310 : 제1지지부
320 : 제2지지부 330 : 회전볼트
340 : 슬롯 341 : 수용슬롯
342 : 연결슬롯 343 : 이동슬롯
350 : 지지홈 360 : 분산부
370 : 연장 브라켓 371 : 연장부
372 : 고정부
100: upper slider 110: upper bracket
120: Fixing hole of upper slider 200: Lower slider
210: Lower bracket 220: Fixing hole of the lower slider
300: Support part 310: First support part
320: second support part 330: rotation bolt
340: slot 341: receiving slot
342: connection slot 343: mobile slot
350: support groove 360: dispersion part
370: extension bracket 371: extension part
372:

Claims (15)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슬라이더; 및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제2지지부의 타단은 회전볼트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연장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연장 브라켓에는 연장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An upper slider slid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tand; A lower slid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lider and slidably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interconnecting betwe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nd installed to be foldable; , ≪ / RTI &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lid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bolt so as to be rotatable,
Wherein a pair of extension brackets are coupled to one side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다수의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다수의 하부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upper bracket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lider; And
A plurality of lower bracket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li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는 지주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측부에는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지주대의 측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so as to extend through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to the side of the support stan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양 단부에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볼트는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o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 bolt is slidable along the slo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측부에는 다수의 지지홈이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지지홈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회전볼트가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수용슬롯; 및 상기 수용슬롯과 연결슬롯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볼트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슬롯;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슬롯의 폭은 회전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이동슬롯의 폭은 회전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7. The apparatus of claim 6,
A receiving slot in which the rotation bolt is received and temporarily fixed; A movable slot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slot through a connection slot and capable of sliding and moving the rotating bolt; / RTI >
Wherei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slo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and the width of the moving slo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l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 인접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단부에는 회전볼트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분산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persing portion is convexly formed on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djacent to the slot so that the rotating bolt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최대로 이격되었을 때,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maximally spaced apar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길이는 제2지지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접촉되었을 때,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상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art.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upper part Structure of underground landfill for land use.
지중에 터파기를 하는 단계; 터파기한 지중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가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를 포함한 지주대의 하단을 터파기한 지중에 위치시키고, 흙을 넣어 매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일단이 하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단과 제2지지부의 타단은 회전볼트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 테두리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연장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연장 브라켓에는 연장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
Tapping in the ground; Sliding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column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state of the turf period;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s in accordance with sliding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nd positioning the lower end of the column including the support part in the ground, and filling the soil with the soil; , ≪ / RTI &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lid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bolt so as to be rotatable,
Wherein a pair of extension brackets are coupled to one side edg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racket.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에 터파기를 하는 단계 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 상에서 최대로 이격시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로 지주대를 운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maximum distance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erting the landfill material into the groun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가 지주대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놓이는 단계 후,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의 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에 고정볼트를 결합하여 상부 슬라이더 및 하부 슬라이더를 지주대 상에서 고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대용 지중매립체의 설치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fter the step of position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sts,
Fixing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on the support table by coupling the fixing bolts to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on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erting the landfill material into the ground;
KR1020180131480A 2018-10-31 2018-10-31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KR101975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80A KR101975201B1 (en) 2018-10-31 2018-10-31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80A KR101975201B1 (en) 2018-10-31 2018-10-31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01B1 true KR101975201B1 (en) 2019-05-07

Family

ID=6665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80A KR101975201B1 (en) 2018-10-31 2018-10-31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41A (en) * 1992-06-05 1993-12-21 Sumitomo Metal Ind Ltd Pile expansion bottom reinforcing device
KR100567853B1 (en) * 2006-01-04 2006-04-0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KR100796528B1 (en) * 2007-05-21 2008-01-21 (주)엠케이 Multipurpose nailing anch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41A (en) * 1992-06-05 1993-12-21 Sumitomo Metal Ind Ltd Pile expansion bottom reinforcing device
KR100567853B1 (en) * 2006-01-04 2006-04-0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KR100796528B1 (en) * 2007-05-21 2008-01-21 (주)엠케이 Multipurpose nailing anch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831E1 (en) Lifting and leveling assembly for precast concrete slabs and method
US10006186B2 (en)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2002506495A (en) Reusable building foundation form device and method
US4004383A (en) Method and device for anchoring a strut
KR101975201B1 (en) Reclam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llar
JP6490637B2 (en) Trough support member, trough support member laying method and trough bridge
KR101421212B1 (en) Basement Structure for power mono rail
KR100693814B1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urpose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head of pile composed of little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enlarged foundation using the apparatus
KR200370669Y1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urpose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head of pile composed of little members
JP37548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on of insertion-type steel pipe columns
KR101259613B1 (en) Reinforcing system for landscape and method thereof
JP4625692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f base-isolated structure with laminated rubber bearing
KR101661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urb
JP6427249B1 (en) Liner plate connection method
KR101980152B1 (en) Composite foundation structure for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ost using the same
KR101631676B1 (en) Prefabricated support Equipment
KR101068162B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head of steel tube pipe
KR101162229B1 (en) A post support for road-guide plate
JP6714241B1 (en) How to place a pile
KR100802164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teel pile head of footing foundation structure
JP2007100412A (en) Structure of protrusion sidewalk
KR101803767B1 (en) Assembly for reinforcing head part of steel tube pile and steel tubepi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00056827A (en) Load dispersion apparatus of temporary Steel Tower
KR201500575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PHC file head
KR101470895B1 (en) Earth anchor bracket having an adjustable angle and installing method for earth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