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500B1 -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 Google Patents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500B1
KR101974500B1 KR1020170111803A KR20170111803A KR101974500B1 KR 101974500 B1 KR101974500 B1 KR 101974500B1 KR 1020170111803 A KR1020170111803 A KR 1020170111803A KR 20170111803 A KR20170111803 A KR 20170111803A KR 101974500 B1 KR101974500 B1 KR 10197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camera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5309A (en
Inventor
김유철
송원석
김대주
Original Assignee
네스트필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트필드(주) filed Critical 네스트필드(주)
Priority to KR102017011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500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내화 인증 문제 및 전력 소모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적용할 수 있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은 월 패드와 양방향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현관 카메라와, 상기 현관 카메라로부터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현관 카메라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락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oor lock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door of a multi-family house without causing a fireproof authentication problem and a power consumption problem of the fire door. To this end, the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camera that performs bidirectional wire communication with a wall pad, and a door camera that is activated when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through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door camera and performs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camera Door locks.

Description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내화 인증 문제 및 전력 소모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적용할 수 있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oor lock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door of a multi-family house without causing a fireproof authentication problem and a power consumption problem of the fire door.

공동주택의 출입문은 방화문으로 사용되므로 내화 인증을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Because the entrance of apartment house is used as a fire door, fireproof certification must pass. On the other hand, a door lock installed at a door of a multi-family house i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ystem through a wired connection.

이러한 도어락의 통신배선(유선) 연결을 위해서 출입문의 힌지 부분에 통신배관을 설치해야 하는데, 출입문에 설치되는 통신배관에 의해 출입문의 방화문 내화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connect these door locks to the wired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pipes must be provided at the hinges of the doors. The communication piping installed at the doors greatly deteriorates the fire resistance of the doors.

유선 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주택 출입문의 도어락을 무선 도어락으로 대체할 수 있으나, 무선 도어락은 무선 통신에 의한 배터리 소모량이 크다는 새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킨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fire resistance deterioration caused by the wired connection, door lock of a common house door can be replaced with a wireless door lock, but a wireless door lock causes a new problem of battery consumption by radio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월 패드(1)와 공동주택 출입문(미도시)의 도어락(2)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ll pad 1 of a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and a door lock 2 of a multi-family house door (not shown) are connected by a wire.

도 1에서, 월 패드(1)와 도어락(2)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통신 케이블(3) 배선을 위한 통신배관이 출입문의 힌지 부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출입문의 내화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다만, 통신배관을 통해 전력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어락(2)에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In FIG. 1, the wall pad 1 and the door lock 2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by a wire, so that they can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the communication piping for the wiring of the communication cable (3) must be installed in the hinge portion of the door, so that the fire resistance of the door is deteriorated. However, since the power cable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battery for power supply to the door lock 2.

도 2는 종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월 패드(1)와 공동주택 출입문의 도어락(2)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ll pad 1 of a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and a door lock 2 of a multi-family home door are wirelessly connected.

도 2에서, 월 패드(1)와 도어락(2)은 무선 링크(4)에 의해 연결되어 통신 케이블 배선을 위한 통신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나, 도어락(2)에 통신 배관을 통해 전력 케이블을 연결할 수 없어서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게 된다. 2, the wall pad 1 and the door lock 2 are connected by the wireless link 4 and do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pipes for wiring the communication cabl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cable to the door lock 2 via the communication pipe A separate battery for power supply is required.

즉, 도어락(2)에 배터리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월 패드(1)와 도어락(2)이 유선 방식과 동일하게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면 배터리 소모는 더 커지게 된다. That is, since the battery must be used for the door lock 2, a battery consumption problem arises. Further, when the wall pad 1 and the door lock 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the bidirectional manner in the same manner as the wired method, the battery consumption becomes larger.

따라서, 종래 무선 방식에서는 이러한 도어락의 전력 소모 문제에 따라 월패드(1)에서 도어락(2)으로의 단방향 통신만 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ystem,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from the wall pad 1 to the door lock 2 is requir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consumption problem of the door lock.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66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5664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의 방화문 내화 인증에 문제가 없으면서 무선 통신에 의한 도어락의 배터리 소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battery consumption problem of the door lock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fire door fire proof authentication of the entrance door of the apartment hous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은 월 패드와 양방향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현관 카메라와, 상기 현관 카메라로부터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현관 카메라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락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camera that performs bidirectional wire communication with a wall pad, and a door camera that is activated when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through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door camera and performs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camera Door lock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의 통신 방법은 월 패드와 현관 카메라 간에 유선 통신이 형성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현관 카메라가 사용자의 접근을 검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가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으로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락이 활성화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 간에 양방향 통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s of: a wired communication being established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door camera; detecting the access by the door camera;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to the door lock via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when the door lock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wake-up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의 통신 방법은 월 패드와 현관 카메라 간에 유선 통신이 형성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현관 카메라가 상기 월 패드로부터 도어락 활성화를 위한 웨이크 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크 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가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으로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락이 활성화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 간에 양방향 통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communicating a low-power wireless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wired communication between a wall pad and a door camera, receiving a wake-up request signal for activating a door lock from the door pad, Wherein the door camera transmits a wake-up signal to the door lock via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when the wake-up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when the door lock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wake- And a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적용되어 도어락의 무선 통신에 의한 배터리 소모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방화문의 내화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oor of a multi-family house to solve the battery consumption problem ca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oor lock, and also removes elements that degrade the fire resistance of the fire door.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은 평상시 대기 모드인 단방향 통신 모드에 있다가 방문자의 접근이 감지될 경우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현관 카메라와의 양방향 통신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항시 양방향 통신 모드로 있을 때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low-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is in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which is the normal standby mode, and is switched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with the door camera only when the access of the visitor is detected, Power consumption in the communication mode can be minimized.

또한, 도어락 활성화 이후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이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므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월 패드와 도어락이 현관 카메라를 통해 양방향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도어락 관련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perform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fter the door lock activation, the door pad and the door lock of the home network system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door camera, thereby providing various door lock related convenience functions to the home network system .

도 1은 종래 유선 방식의 공동주택 출입문의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무선 방식의 공동주택 출입문의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 카메라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서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서 신호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 system of a conventional wired-type apartment house door. FIG.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oor lock system of a conventional wireless home access door.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a doo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 configuration of a low-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은 월 패드(10), 현관 카메라(20), 도어락(3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includes a month pad 10, a door camera 20, a door lock 30, and the like.

월 패드(10)는 댁내의 벽에 설치되는 홈 네트워크 단말기로서 LCD 및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월 패드(10)는 방문객 확인, 도어락 개방 등의 기능 외에 전화, 비상경보, 커튼제어, 방범, 가스 잠금, 조명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all pad 10 is a home network terminal installed on a house wall, and can be configured as an LCD and a button or as a touch screen. The wall pad 10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telephone call, an emergency alarm, a curtain control, a crime prevention, a gas lock, and a lighting control in addition to functions such as visitor confirmation and door lock opening.

월 패드(10)는 현관 카메라(20)와 양방향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현관 카메라(20)를 통해 도어락(30)과 통신할 수 있다. The wall pad 10 is connected to the door camera 20 in bidirectional wired communication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oor lock 30 via the door camera 20.

월 패드(10)는 도어락(30)으로 도어락 개방 코드, 도어락 상태(배터리 잔량, 도어락의 현재 동작 상태 등) 확인 요청 데이터, 도어락 설정 또는 관리용 데이터 등을 전송한다. The wall pad 10 transmits door lock release code, door lock status (battery remaining amount, current operation status of the door lock) confirmation request data, door lock setting or management data to the door lock 30.

현관 카메라(20)는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된다. 현관 카메라(20)는 월 패드(10)와 양방향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월 패드(10)와 도어락(30) 간의 통신을 중개한다. The entrance camera 2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building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visitor. The door camera 20 is connected by bidirectional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wall pad 10 and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wall pad 10 and the door lock 30.

현관 카메라(20)는 도어락(30)과 단방향 통신 및 양방향 통신을 모두 수행한다. 즉, 현관 카메라(20)는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30)으로 활성화(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door camera 20 performs both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30. That is, the door camera 20 transmits a wake-up signal to the door lock 30 through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to / from each other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현관 카메라(20)는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월 패드(10)로부터 양방향 통신을 요청받으면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 동작(양방향 통신)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도어락(30)으로 전송하고,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 동작이 활성화되면 현관 카메라(20)와 도어락(30) 간에 양방향 통신이 형성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door camera 2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visitor or receive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month pad 10, the door camera 20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door lock 30 via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the door lock 30 Direction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20 and the door lock 30 whe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of the door lock 30 is activated, so that mutua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도어락(30)은 출입문을 잠그거나 여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도어락(30)은 현관 카메라(20)로부터 단방향 통신을 통해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송수신 동작이 활성화된 후, 현관 카메라(20)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The door lock 30 serves to lock or open the door. The door lock 30 can receiv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door camera 20 after receiving the activation signal through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from the door camera 20 and activa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도어락(30)은 현관 카메라(20)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월 패드(10)와 통신할 수 있다. 도어락(30)은 월 패드(10)로부터 도어 개방 코드를 수신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도어락(30)은 월 패드(10)로 도어락 상태 정보(배터리 저전압상태, 도어락 개방 등)를 전송한다. The door lock 30 can communicate with the wall pad 10 vi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door camera 20. The door lock (30) receives the door open code from the wall pad (10) and releases the lock state. Further, the door lock 30 transmits door lock status information (battery low voltage state, door lock opening, etc.) to the month pad 1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4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oo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현관 카메라(20)는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1), 방문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22), 실내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3), 실내자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버튼, 모드 설정/해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한 버튼부(24),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25),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신호 송신부(26), 도어락(30)과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27), 월 패드(10)와 양방향 유선 통신을 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28), 현관 카메라(2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29) 등을 포함한다. The entrance camera 20 includes a camera 21 for photographing a visitor, a microphone 22 for recognizing a voice of a visitor, a speaker 23 for outputting a voice of an inside party, a call button for calling an inside party, A button unit 24 having a button for inputting a password,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25 for detecting approach of a visitor, an activ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6 for activat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of the door lock 30, A wired communication unit 28 for bidirectional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wall pad 10, a processor 29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door camera 20, and the like, .

접근 감지 센서(25)는 방문자의 인체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문자가 출입문에 접근했는지를 감지한다. The proximity sensor 25 senses the human body or movement of the visitor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visitor approaches the entrance door.

접근 감지 센서(25)로는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적외선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 적외선 입자를 검출하여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 분포의 분석을 통해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IR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25 may be a radar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Doppler phenomenon, a passive infrared-red (PIR)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infrared ray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infrared ray, And an IR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uman body through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활성화신호 송신부(26)는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도어락(30)으로 활성화 신호 즉, 도어락을 대기 모드 즉, 단방향 통신 모드에서 동작 모드 즉, 양방향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 단방향 통신으로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은 도어락의 전력소모량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단방향 무선 통신으로는 적외선(IR)이나 130KHz 대역의 RF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6 transmits a wake-up signal to the door lock 30 via the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o switch the activation signal, that is, the door lock, from the standby mode, that is,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to the operation mode, that i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wake-up signal in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tak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oor lock as a top priority. As the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nfrared (IR) or 130 kHz band RFID can be used.

무선 송수신부(27)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도어락(3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양방향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은 월 패드(10)와 도어락(30) 간의 데이터 교환 성능 및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양방향 무선 통신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7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30 throug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figuration for carrying out data communication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ata exchange performance and convenience between the pad 10 and the door lock 30. BLE (Bluetooth Low Energy), Zigbee, etc. can be used for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프로세서(29)는 접근 감지 센서(25)로부터 방문자가 출입문에 접근한 것을 알리는 접근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부(32)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즉, 도어락의 대기 모드인 단방향 통신 모드를 동작 모드인 양방방향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활성화 신호 송신부(26)로 출력한다. The processor 29 receives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2 of the door lock 30 (that is, a standby mode of the door lock) Up signal for switching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that is the operation mode) and outpu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6. [

또한, 프로세서(29)는 유선 통신부(28)로부터 월 패드(10)의 양방향 통신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활성화 신호 송신부(26)로 출력한다. Whe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of the wall pad 10 is received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8, the processor 29 generates an activation signal and outputs the activation signal to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6.

이와 같이, 방문자가 출입문에 접근하거나 내실자가 도어락(30)과 양방향 통신을 원하는 경우,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부(32)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가 현관 카메라(20)에서 도어락(30)으로 전송되어, 도어락(30)의 무선 송수신부(32)의 동작이 활성화되면서 현관 카메라(20)와 도어락(30) 간에 양방향 통신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visitor approaches the door or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door lock 30 in a bidirectional manner,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2 of the door lock 30 is transmitted from the door camera 20 to the door lock 30 Directional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20 and the door lock 30 whil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2 of the door lock 30 is activa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5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락(30)은 현관 카메라(20)로부터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활성화 신호 수신부(31), 현관 카메라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월 패드(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32), 프로세서(36)로부터 개방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개폐부(3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구동부(33), 도어를 열거나 잠그는 래치 볼트 등으로 구성된 개폐부(34), 도어락(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5), 도어락(3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36) 등을 포함한다. 5, the door lock 30 includes an activation signal receiving unit 31 for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through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door camera 20, an active signal receiving unit 31 for communicating data with the wall pad 10 via a two- A drive unit 33 that receives an open command signal from the processor 36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open / close unit 34, an open / close unit 34 including a latch bolt that opens or closes the door, A battery 35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oor lock 30, a processor 36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door lock 30, and the like.

활성화 신호 수신부(31)는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현관 카메라(20)로부터 활성화 신호 즉, 도어락을 단방향 통신 모드(대기 모드)에서 양방향 통신 모드(동작 모드)로 전환시키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한다. 단방향 무선 통신으로는 현관 카메라(20)와 마찬가지로 적외선(IR)이나 130KHz 대역의 RF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ctivation signal receiving unit 31 receives a wakeup signal from the door camera 20 for switching the door lock from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standby mode)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mode) from the door camera 20. As for the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nfrared (IR) or 130 kHz band RFID can be used as in the case of the door camera 20.

무선 송수신부(32)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현관 카메라(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현관 카메라(20)와 도어락(30) 간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월 패드(10)와 도어락(3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양방향 무선 통신으로는 현관 카메라(20)와 마찬가지로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2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ntrance camera 20 throug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wall pad 10 and the door lock 30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oor camera 20 and the door lock 30. [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BLE (Bluetooth Low Energy), Zigbee, or the like as in the case of the door camera 20. [

프로세서(36)는 단방향 통신 모드(대기 모드)에 있다가 활성화 신호 수신부(31)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입력받으면 양방향 통신 모드(동작 모드)로 전환되어 무선 송수신부(32)를 동작시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processor 36 is in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standby mode) and receives the activation signal from the activation signal receiving unit 31, the processor 36 is switched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operation mode) to operat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이후, 프로세서(36)는 무선 송수신부(32)를 통해 월 패드(10)로부터 도어락 개방 코드를 입력받으면 구동부(33)로 개방 명령 신호를 출력하거나, 월 패드(10)로부터 도어락 상태 확인 요청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도어락 상태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32)를 통해 전송하거나, 월 패드(10)로부터 도어락 설정 또는 관리용 데이터등을 입력받으면 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Upon receiving the door lock release code from the wall pad 1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 the processor 36 outputs an open command signal to the drive unit 33 or outputs a door lock state confirmation request data Receives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2, or receives the door lock setting or management data from the wall pad 10, and stores it in a memory (not show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6 shows a signal flow in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월 패드(10)와 현관 카메라(20) 간에는 유선 양방향 통신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first, wired two-way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all pad 10 and the door camera 20.

이렇게 월 패드(10)와 현관 카메라(20) 간에 유선 양방향 통신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월 패드(10)가 현관 카메라(20)로 도어락(30)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In the state that the wire pa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formed between the wall pad 10 and the door camera 20, the wall pad 10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activation of the door lock 30 to the door camera 20.

월 패드(10)로부터 도어락 활성화 요청을 받으면, 현관 카메라(20)는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30)으로 활성화 신호(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 Upon reception of the door lock activation request from the month pad 10, the front door camera 20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wake up signal) to the door lock 30 via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현관 카메라(20)로부터 활성화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30)은 단방향 통신 모드에서 양방향 통신 모드로 전환되어, 현관 카메라(20)와 도어락(30) 간에 무선 양방향 통신이 형성된다. When the activ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oor camera 20, the door lock 30 is switched from the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to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so that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20 and the door lock 30.

이후, 월 패드(10)와 도어락(30)이 현관 카메라(20)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며,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wall pad 10 and the door lock 30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door camera 20, and mutua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FIG. 7 illustrates a signal flow in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과 유사하나, 현관 카메라(20)가 도어락(30)으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이 다르다. 7 is similar to Fig. 6, except that the door camera 20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door lock 30 in a different manner.

현관 카메라(20)에는 접근 감지 센서(25)가 내장되어, 현관 카메라(20)는 방문자가 출입문에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한다. The entrance camera 20 incorporates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25, and the entrance camera 20 detects whether a visitor approaches the entrance door.

방문자가 출입문에 접근한 것이 감지되면, 현관 카메라(20)는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30)으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isitor approaches the door, the door camera 20 generates an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door lock 30 through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월 패드 20: 현관 카메라
21: 카메라 22: 마이크
23: 스피커 24: 버튼부
25: 감지 센서 26: 활성화 신호 송신부
27: 무선 송수신부 28: 유선 통신부
29: 프로세서
30: 도어락 31: 활성화 신호 수신부
32: 무선 송수신부 33: 구동부
34: 개폐부 35: 배터리
36: 프로세서
10: Wall pad 20: Doorway camera
21: camera 22: microphone
23: Speaker 24: Button section
25: detection sensor 26: activation signal transmitter
27: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8: wired communication unit
29: Processor
30: Door lock 31: Activation signal receiver
32: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3:
34: opening and closing part 35: battery
36: Processor

Claims (9)

월 패드와 양방향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현관 카메라와,
평상 시 잠금 및 잠금 해제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현관 카메라로부터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양방향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양방향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가 동작하여 상기 현관 카메라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A door camera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wire communication with the wall pad,
And performs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camera by perform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and unlocking operations when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or initiat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 low power wireless door lock system including a door 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카메라는 상기 월 패드와 양방향 유선 통신을 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와,
상기 양방향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활성화 신호 송신부와,
상기 도어락과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camera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for bidirectional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wall pad,
An activatio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initiating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un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카메라는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or camera further comprises an approach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n approach of a visi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카메라는 상기 접근 감지 센서로부터 방문자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신호 송신부를 통해 활성화 신호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oor camera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door lock via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when visitor approach is detec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카메라는 상기 유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월 패드로부터 양방향 무선 통신 요청 신호를 받으면 상기 활성화 신호 송신부를 통해 활성화 신호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or camera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door lock through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when receiving the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wall pa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월 패드와 현관 카메라 간에 유선 통신이 형성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현관 카메라가 사용자의 접근을 검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가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으로 양방향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무선 송수신부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 간에 양방향 무선 통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의 통신 방법.
A step in which wir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entrance camera,
The entrance camera detecting a user's access;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the door camera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for initiat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door lock via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when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door lock operate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ignal.
월 패드와 현관 카메라 간에 유선 통신이 형성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현관 카메라가 상기 월 패드로부터 양방향 무선 통신 개시를 요청하기 위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가 단방향 통신을 통해 도어락으로 양방향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무선 송수신부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 간에 양방향 무선 통신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의 통신 방법.
A step in which wir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entrance camera,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initiation of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wall pad,
When the activ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door camera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for start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door lock through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when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door lock operate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ignal.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카메라와 도어락 간에 양방향 무선 통신이 형성되면 상기 월 패드와 도어락이 상기 현관 카메라를 통해 양방향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 도어락의 통신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when the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door camera and the door lock, the wall pad and the door lock mutual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door camera.
KR1020170111803A 2017-09-01 2017-09-01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KR101974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03A KR101974500B1 (en) 2017-09-01 2017-09-01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03A KR101974500B1 (en) 2017-09-01 2017-09-01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09A KR20190025309A (en) 2019-03-11
KR101974500B1 true KR101974500B1 (en) 2019-05-07

Family

ID=6575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03A KR101974500B1 (en) 2017-09-01 2017-09-01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5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07A (en) 2021-06-29 2023-01-06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oor Lock Communication Control Performed by Door Lock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990B1 (en) * 2020-06-24 2021-03-26 (주)씨앤에스링크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door using portable terminal
CN113554789A (en) * 2021-06-02 2021-10-26 艾斯特国际安全技术(深圳)有限公司 Traffic control method and traff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647A (en) 2012-10-30 2014-05-12 (주) 코콤 Door unlocking system using door camera
KR101600181B1 (en) * 2014-06-10 2016-03-07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Low power door-lock apparatus based on battery using face recogn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07A (en) 2021-06-29 2023-01-06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oor Lock Communication Control Performed by Door Lock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09A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500B1 (en) Wireless door lock system having low power
KR101649173B1 (en) The apparatus of home network for using aihonet module
US20160004229A1 (en) Secure Remote Actuation System
KR102328402B1 (en)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90141068A (en) Smart door bell system with face recognition function
KR20170025769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s Using Bluetooth
KR100711214B1 (en) Digital door-lock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door phone
RU2599360C1 (en) Home alarm system
CN206516018U (en) A kind of new safety-protection system
KR100891010B1 (en) Smart digital doorlock system for home automation
CN117579776A (en) Home care intercom system
KR20140077428A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wireless charging type digital doorloc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JP3716171B2 (en) Home security method using mobile devices
KR20210094291A (en) Control method for iot smart door rock and control system of iot smart door rock for realizing the control method
JP2011094292A (en) Electric lock system
KR101441507B1 (en) Frequency of two kinds of smart phones that work with crime prevention system that utilizes wireless
KR20130097258A (en) Unmanned guard system
KR20200101641A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management and control of entrance door
KR100700975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having portable telephone
KR20140122993A (en) door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therof
JP2007239224A (en) Building security system
KR101993581B1 (en) household emergency signal processing device based on actual room existence information
CN207938068U (en) A kind of community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used convenient for people
KR102227461B1 (en)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KR100495706B1 (en) Home automation system for wireless security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