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08B1 -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08B1
KR101974308B1 KR1020180055635A KR20180055635A KR101974308B1 KR 101974308 B1 KR101974308 B1 KR 101974308B1 KR 1020180055635 A KR1020180055635 A KR 1020180055635A KR 20180055635 A KR20180055635 A KR 20180055635A KR 101974308 B1 KR101974308 B1 KR 10197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generator
data acquisition
acqui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윤
정인수
조완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5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6Modular arrangements for computer based systems; using personal computers (PC's), e.g. "virtu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7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mparison of different reference values with the value of voltage or current, e.g. using step-by-step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에서의 정전유도와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에서 유도 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발전기의 축전압 및 축전류를 브러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예로, 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커플링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발전기의 축에 대한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상기 브러시에 연결되어 축전류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브러시를 통한 축전압 및 상기 홀 센서를 통한 축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축전압 및 축전류를 설정된 범위로 증폭하는 데이터 수집 유닛을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Voltage and Current Of Axis In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에서의 정전유도와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에서 유도 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발전기의 축전압 및 축전류를 브러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 발전기는 터빈 축을 회전수단으로 하여 커플링을 통해 발전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회전자에는 코일이 도선을 통하여 상호 절연되게 슬립링에 인가되고 슬립링과 연결되는 브러시에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이 인가되므로, 직류 전원이 브러시 및 슬립링을 통하여 코일에 인가되어 회전자가 전자석이된다. 전자석 상태의 회전자가 회전하면 자계가 고정자에 인가되고 고정자에 인가되는 자계에 의하여 고정자를 이루는 권선에는 유도 전압이 생성되어 출력단을 통하여 발전 전류를 출력시킨다.
이러한 회전축에는 정류기 브러시 및 슬립링을 통하여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지만 다이오드 등의 정류 소자들의 턴 온 오프 작용에 의하여 스파이크 성분이 코일에 인가된다. 그러나 코일은 전류에 대한 절연 특성으로 스파이크 성분이 하우징과 연결되는 베어링에 인가되어 축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전기 운전 중에 발생하는 축전압은 주로 발전기 회전자에서 발생되며, 발전기 베어링 및 씰링(Seal Ring)을 통하여 대지로 축전류가 흐르고 이때 다른 베어링과 폐루프가 형성되면 순환 전류가 발생하여 베어링의 마찰(Rubbing)과 진동이 유발된다.
통상의 터빈 발전기 축전압은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으로 구별되는데, 직류성분은 주로 터빈 증기의 건도에 따라 다르며 터빈의 브레이드와 다이아프램 사이의 정전 현상에 의하여 나타난다 교류성분은 고정자의 자속 분포의 불균형, 에어 갭의 상하 좌우 편차, 회전자 자속의 비대칭, 회전자 말단 코일의 누설자속, 잔류자속, 자기포화, 여자 장치의 전압 현상에 따라 축전압 형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여과장치에 의하여 나타나는 고주파 스파이크성 축전압 억제를 위하여 이중 절연 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나, 20[V] 이상의 축전압은 베어링의 유막을 통하여 방전하기 때문에 전식이 발생되고 발전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에서의 정전유도와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에서 유도 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발전기의 축전압 및 축전류를 브러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커플링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발전기의 축에 대한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상기 브러시에 연결되어 축전류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브러시를 통한 축전압 및 상기 홀 센서를 통한 축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축전압 및 축전류를 설정된 범위로 증폭하는 데이터 수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홀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축전류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되, 감쇄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증폭기의 단자에 연결된 가변 저항을 통해, 상기 증폭기의 기준 전압을 변경하여 증폭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브러시로부터 인가받은 축전압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 내의 제어 신호에 의해 코일 전류가 결정되는 릴레이를 통해 상기 축전압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상기 축전압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전압 범위 중 하나로 선택하는 범위 선택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는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후단에 각각 결합된 서로 다른 저항값의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는 상기 저항 소자의 후단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릴레이 중 선택된 하나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통해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 축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축전압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되, 감쇄 증폭을 수행하는 신호 증폭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증폭 회로부는 상기 증폭기의 단자에 연결된 가변 저항을 통해, 상기 증폭기의 기준 전압을 변경하여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시 서버 또는 현장 지시계를 더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한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은 발전기의 축으로부터 축전압 및 축전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되, 정밀도를 향상하여 운전원이 발전기의 수명 예측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류 감지를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압 감지 및 보정을 위한 회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4의 범위 선택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4의 신호 증폭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100)은 위한 발전기(110)와 터빈 유닛(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전기축(111)에 연결된 검출부(130), 검출부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 유닛(DAQ Unit, 150), 클라이언트 시스템(160), 통신 라인(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에 사용된 브러시(Brush)는 축전압/축전류의 상태를 온-라인(On-Line)으로 실시간 연속해서 모니터링(Monitoring)하기 위해 카본(Carbon) 또는 구리(Copper)를 띠 모양으로 엮어서 만든 편조(Braid)로 제작된 브러시(131)를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브러시는 축전압 접지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압 회전기기 운전 중 카본 자체가 마모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구리 브러시는 회전체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접촉 불량으로 회전체면에서 떨어져 접지불량으로 축전압의 증가로 베어링 또는 커플링(Coupling) 등에 손상을 주는 일이 거의 없고, 마모성이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브러시(131)와 데이터 수집 유닛(150)의 사이에는 우회 스위치 박스(132)가 연결된다. 상기 우회 스위치 박스(132)의 경우, 상기 브러시(131)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과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이 상기 브러시(131)를 통해 상기 발전기 축(111)의 축전압 및 축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유닛(Data Acquisition System, DAQ, 150)은 PC 기반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각각의 신호처리 장치인 데이터 수집 유닛(150)에서 취득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되어 감시 서버(161) 및 현장 지시계(162)로 통신라인(170)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특히, 상기 브러시(111)에 연결된 홀 센서(151)를 통해 상기 축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151)의 경우, 션트(shunt) 저항을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홀 센서(151)의 경우, 실제 접지로 배출되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0 내지 10A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전류 범위를 20A의 전류까지 향상할 수 있도록 차동 증폭된 회로를 갖는다. 또한, 측정범위를 20A 단일 범위로 설정했을 때 낮은 전류(1A 이하)에서 오차값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범위를 10A, 20A로 구분하고 회로내 OP-앰프(OP-Amp)의 증폭비를 변화시켜 낮은 전류에서의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홀 센서(151) 및 데이터 수집 유닛(15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축전압/축전류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A/D 컨버터(140)의 입력값을, 메모리(SRAM)(151)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파라미터와 비교 및 분석하고 판단하여 모니터링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Event Data)로 변환 제어하며, 그 결과를 통신라인(170)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160)의 감시 서버(161) 및 현장 지시계(16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SSI(System Synchroniztion Interface)버스를 통해 메모리(151)와의 동기화가 가능하며,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프트웨어를 제공,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축전압/축전류 신호를 감시 및 분석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도록 사용자 설정 파라미터(Parameter)가 전술한 바람직한 특징부와 같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축전압/축전류 검출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할 수 있도록 경보 기준값이 더 저장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60)은 서버 시스템과 연결하여 주된 작업이나 정보를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 결과를 돌려받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60)의 감시 서버(161)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이벤트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현장 사용자가 쉽게 감시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현장 지시계(162, Local Indicator)에 의한 현장 감시 또는 서버 이외의 원격지에서도 감시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라인(170)은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감시 서버(161) 및 현장 지시계(162)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통신 라인(170)의 통신 방식은 RS-422(Recommended Standard-422) 또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류 감지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류 감지를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100)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정밀한 홀 센서(151)를 통해 축전류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51)의 입력범위는 0 내지 20A이며 0 내지 5V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51)의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제 1 OP앰프(152)의 오프셋을 저항성 소자(152a)를 통해 조정하여 1.5V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OP앰프(153)에서 이를 감쇄 증폭하여 데이터 수집 유닛(150) 내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PU)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 입력범위인 0 내지 3V의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으로 보낸다. 이 때, 큰 신호를 감쇄 증폭하는 것이어서, 노이즈가 감쇄되기 때문에, 상기 축 전류에 대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보정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압 감지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축전압 감지 및 보정을 위한 회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4의 범위 선택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도 4의 신호 증폭 회로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시스템(100)에서 데이터 수집 유닛(150)은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 범위 선택 회로부(150B) 및 신호 증폭 회로부(15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는 상기 브러시(131)로부터 전압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는 제 1 릴레이(15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릴레이(154)에 인가되는 전원 및 기준(reference) 소자를 통해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 내에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릴레이(154)에 인가되는 전원은 내부의 SMPS DC 전원을 활용함으로써, 외부 전원 없이도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는 전압 보정 신호(154a)를 통해 상기 제 1 릴레이(154)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 1 릴레이(154)가 동작하여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릴레이(154)의 2번 핀에는 축전압 신호가 인가되고 4번 핀에는 보정을 위한 내부 레퍼런스 신호인 4V_REF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보정 시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의 제 1 릴레이(154)에 대해 4V_REF 신호를 선택하고, 신호 증폭 회로(150C)의 제 3 릴레이(156)에 대해 신호 입력 또는 그라운드(GND)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 3 릴레이(156)에 대해 그라운드(GND)를 선택하여 오프셋을 계산하고 신호 입력을 선택하여 4V를 계산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회로부(150B)는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에 연결되고, 이로부터서 출력된 전압 신호에 대해 전압 범위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 회로부(150B)는 예를 들어, 4개의 릴레이(155a 내지 155d)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릴레이(155a 내지 155d)는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150A)의 출력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각 릴레이(155a 내지 155d)의 코일에 연결된 제어 신호를 통해 이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155a 내지 155d)의 각각은 후단에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릴레이(155a 내지 155d)의 선택 및 이에 연결된 저항에서의 전압강하에 의해 선택 회로부(150B)의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회로부(150B)의 릴레이(155a 내지 155d)가 4개로 구분된 경우, 각각의 출력은 5V, 10V, 20V, 200V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 회로부(150C)는 상기 선택 회로부(150B)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 회로부(150C)는 상기 제 1 OP 앰프(157) 및 제 2 OP 앰프(158)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폭의 경우, 전류와 마찬가지로 감쇄 증폭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150) 내에서 위의 회로를 통해 수집된 축전류 및 축전압 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감시 서버(161)와 현장 지시계(162)에 전달하여, 운전원이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전기의 수명 예측 및 정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110; 발전기
111; 발전기축 120; 터빈 유닛
130; 검출부 131; 브러시
132; 우회 스위치 박스 140; A/D 컨버터
150; 데이터 수집 유닛 151; 홀 센서
160; 클라이언트 시스템 170; 통신 라인

Claims (10)

  1. 터빈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커플링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발전기의 축에 대한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상기 브러시에 연결되어 축전류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브러시를 통한 축전압 및 상기 홀 센서를 통한 축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축전압 및 축전류를 설정된 범위로 증폭하는 데이터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브러시로부터 인가받은 축전압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는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 내의 제어 신호에 의해 코일 전류가 결정되는 릴레이를 통해 상기 축전압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홀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축전류를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되, 감쇄 증폭을 수행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증폭기의 단자에 연결된 가변 저항을 통해, 상기 증폭기의 기준 전압을 변경하여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은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상기 축전압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전압 범위 중 하나로 선택하는 범위 선택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는 상기 기준 신호 및 보정 회로부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후단에 각각 결합된 서로 다른 저항값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는 상기 저항 소자의 후단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릴레이 중 선택된 하나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통해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 축전압이 출력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선택 회로부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축전압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되, 감쇄 증폭을 수행하는 신호 증폭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 회로부는 상기 증폭기의 단자에 연결된 가변 저항을 통해, 상기 증폭기의 기준 전압을 변경하여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감시 서버 또는 현장 지시계를 더 포함하는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KR1020180055635A 2018-05-15 2018-05-15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KR10197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35A KR101974308B1 (ko) 2018-05-15 2018-05-15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35A KR101974308B1 (ko) 2018-05-15 2018-05-15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08B1 true KR101974308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635A KR101974308B1 (ko) 2018-05-15 2018-05-15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363A (ko) 2019-11-01 2021-05-12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회전기기에 대한 실시간 동작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발전 기반의 일체형 감시 시스템
WO2022018132A1 (de) * 2020-07-22 2022-01-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rommessgerät zur messwerterfassung, stromsensor sowie strommessumform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727A (ko) * 1999-12-29 2001-07-07 김형국 발전기의 축전류 감시장치
JP2003525002A (ja) * 1999-05-06 2003-08-19 ニッペス,ポール,アイ. 軸電圧および電流のモニタシステム
KR100920895B1 (ko) * 2009-02-26 2009-10-09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KR101020370B1 (ko) * 2010-08-17 2011-03-08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설비의 전원공급장치 건전성 온-라인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002A (ja) * 1999-05-06 2003-08-19 ニッペス,ポール,アイ. 軸電圧および電流のモニタシステム
KR20010061727A (ko) * 1999-12-29 2001-07-07 김형국 발전기의 축전류 감시장치
KR100920895B1 (ko) * 2009-02-26 2009-10-09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KR101020370B1 (ko) * 2010-08-17 2011-03-08 주식회사 대덕시스템 발전설비의 전원공급장치 건전성 온-라인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363A (ko) 2019-11-01 2021-05-12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회전기기에 대한 실시간 동작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발전 기반의 일체형 감시 시스템
WO2022018132A1 (de) * 2020-07-22 2022-01-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rommessgerät zur messwerterfassung, stromsensor sowie strommessumfor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68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or analyzing rotors of 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KR101474187B1 (ko) 소자의 모니터링 방법
CN104426039B (zh) 集电环单元以及用于检测集电环单元的状态的方法
US7649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brush sparking and spark erosion on electrical machines
EP29190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synchronous machine fault condition
US8781765B2 (en)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shorted turns in a field winding of a rotor
Thorsen et al. Condition monitoring methods, failur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for high voltage motors in petrochemical industry
KR101974308B1 (ko) 발전기 축전압 및 축전류 감시 시스템
KR100920895B1 (ko) 발전기 축전압/축전류 온-라인 감시 시스템
US20100277199A1 (en) System For Diagnosing Defects in Electric Motors
US95517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urrent in a rotating system
US9599450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f brushes, in particular slipring or commutator brushes, on electrical machines
US6911838B2 (en) Online detection of shorted turns in a generator field winding
JP2005538370A (ja) 電気機械におけるシャフトアセンブリの振動を捕捉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988796B2 (ja) モータの状況検査方法
US7034706B1 (en) Early warning and problem detection in rotating machinery by monitoring shaft voltage and/or grounding current
CA249810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brush sparking and spark erosion on electrical machines
JP2017082689A (ja) 風力発電設備への落雷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並びに、風力発電設備への落雷状況の分析方法及び分析装置
KR20170116585A (ko) 다이나모일렉트릭 머신 결함 모니터링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관련 방법들
CN108151795B (zh) 用于配置状态监测装置的方法及系统
US9917664B2 (en) Monitoring the quality of a communication channel supported by a sliding contact
Staubach et al. Detection of faults in rotor-windings of turbogenerators
JP2017139860A (ja) ブラシレス励磁同期機の界磁異常監視装置および界磁異常監視方法
Klubnik Measuring displacement using accelerometers
JP2716818B2 (ja) 振動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