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7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76B1
KR101973776B1 KR1020160171981A KR20160171981A KR101973776B1 KR 101973776 B1 KR101973776 B1 KR 101973776B1 KR 1020160171981 A KR1020160171981 A KR 1020160171981A KR 20160171981 A KR20160171981 A KR 20160171981A KR 101973776 B1 KR101973776 B1 KR 10197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
receiving
reception
beams
bea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2816A (en
Inventor
박형숙
김일규
김준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381,96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181193A1/en
Publication of KR2017007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에 기초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CQI 또는 기지국이 단말의 참조 신호로부터 측정한 CQ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 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Receive an uplink signal that determines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an uplink signal based on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or a CQI received from a terminal or a CQI measured from a reference signal of a terminal by a base st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Description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본 기재는 수신 빔 그룹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reception beam group.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밀리미터 대역 등 대역폭 확장을 통해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밀리미터 대역의 전파 특성에 따른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안테나가 집합된 형태인,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 기술이 필수적이다. 빔포밍 기술에 따르면, 다중 빔을 전송하는 기지국과 기지국으로부터 빔을 수신하는 단말은, 전파의 송수신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빔포밍 기술에는 적응형 빔포밍 방식 및 고정형 빔포밍 방식이 있는데, 현재 하드웨어 복잡도 및 운영 오버헤드 때문에, 고정형 빔포밍 방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고정형 빔포밍 기술은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방지하기 위해서 빔을 중첩시키는데, 중첩된 다중 빔은 송수신 신호의 빔 간 간섭을 증가시켜서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traffic demand of the continuously increas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data rate through bandwidth expansion such as millimeter band.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pagation path loss due to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llimeter band and to increase the propagation distance of radio waves, a beamforming technique using an array antenna, i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s are aggregated, is essential. According to the beamforming technique, a base station transmitting multiple beams and a terminal receiving a beam from the base station can gain by concent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waves in a specific direction. Beamforming techniques include an adaptive beamforming scheme and a fixed beamforming scheme. Due to hardware complexity and operational overhead, a fixed beamforming scheme is primarily considered. The fixed beamforming technique overlaps beams to prevent coverage holes. The overlapping multiple beam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system performance is increased by increasing inter-beam interferenc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수신 빔 그룹을 통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through a receive beam group are provided.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 중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단말의 제1 프리앰블의 수신 전력을 바탕으로 제1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is provided.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to receive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n uplin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an uplink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based on the reception power of the first preamble of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the Tx,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 single beam or reception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the beam group.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프로세서는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제1 프리앰블이 실린 수신빔 내의 복수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코드 중, 제1 프리앰블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A 코드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신빔 내의 제1 RA 코드의 제1 수신 전력을, 다른 빔 내의 복수의 RA 코드 중 제1 RA 코드의 제2 수신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or performs the determining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a first RA code corresponding to an index of the first preamble among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A) codes in a reception beam in which the first preamble is loaded Measuring a first received power of and comparing the first received power of the first RA code in the receive beam with a second received power of the first RA code of the plurality of RA codes in the other beam; have.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프로세서는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제1 수신 전력과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면,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수신 전력과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지 않으면,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when a processor performs a step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a receiving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a ratio of a first received power and a second received power is preset. If greater than,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and if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not greater than a preset ratio,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Can be.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일 수 있다.The preset ratio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may be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수신 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M1은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e reception beam group includes a maximum of M1 beams, and M1 may be two or more natural number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maximum ratio combining gain of the array antenn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은, 복수의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 중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단말의 제1 프리앰블의 수신 전력을 바탕으로 제1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 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is provided. The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receiving the preamble for the random access from a first terminal based on a reception power of a first preamble of a first terminal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an uplink signal, and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a reception beam group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에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프리앰블이 실린 수신빔 내의 복수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코드 중, 제1 프리앰블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RA 코드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수신 전력을, 다른 빔 내의 복수의 RA 코드 중 제1 RA 코드의 제2 수신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of the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may include: first reception power of a first RA code corresponding to an index of the first preamble among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A) codes in a reception beam on which the first preamble is loaded; And measuring the first received power with a second received power of the first RA code among the plurality of RA codes in the other beam.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에서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수신 전력과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면,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수신 전력과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지 않으면,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a receiving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when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greater than a preset ratio, the single beam Receiving an uplink signal by using, and if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not greater than the preset ratio, it may include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iving beam group.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일 수 있다.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a preset ratio may be a value indicated by an upper layer.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에서 수신 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M1은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In the uplink signal reception method, the reception beam group includes a maximum of M1 beams, and M1 may be two or more natural number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maximum ratio combining gain of the array antenna.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중 서빙 빔의 제1 CQI 및 간섭 빔의 제2 CQI 간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is provided.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o execute the first CQI and the interference beam of the serving beam among the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an uplink signal from a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second CQIs,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 single beam or a reception beam group is determined. And receiving an uplink signal.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프로세서는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제1 단말로부터 CQ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e processor may further perform a step of receiving the CQI from the first terminal before performing the determining.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CQI의 개수는, 제1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빔의 개수 보다 작은 M개이고, M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일 수 있다.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e number of CQIs may be M smaller than the number of beams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and M may be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프로세서는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제1 단말로부터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SRS로부터 CQI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e processor may further perform a step of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from the first terminal and measuring the CQI from the SRS before performing the determining. have.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프로세서는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제1 CQI와 제2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면,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1 CQI와 제2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지 않으면,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when the processor performs a step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a receiving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QI and the second CQI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uplink signal is received using a single bea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QI and the second CQI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plink signal may be received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값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value in the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may be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빔 중 일부 빔을 포함하는 수신 빔 그룹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지국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By receiving an uplink signal through a reception beam group including some beams among a plurality of beams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reception performance of an uplink signal of a base st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간 하향링크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간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RA 절차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수신 빔 그룹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CQI를 사용하여 수신 빔 그룹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illimeter-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link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by a base station,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using a preamble of an RA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by a base station,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using a CQI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기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기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기계형 통신 장비(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 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 Subscriber station (SS),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ccess terminal (AT),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UE)),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 MTC devic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MT, MS, AMS, HR-MS, SS, PSS, AT, UE, and the like.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매크로 기지국(mac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ase station (BS) may be an advanced base station (ABS), a 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a node B (node B), an advanced node B (evolved node B, eNodeB), access point (AP), radio access station (RAS),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obile multihop relay (MMR) -BS, relay serving as a base station station (RS), relay node (RN) serving as base station, advanced relay station (ARS) serving as base station, 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 serving as base station -RS), small base station (femto BS, home node B (HNB), home eNodeB (HeNB), pico base station (pico BS), macro base station (macro BS), micro base station (micro BS) ), Etc., and all or one of ABS, Node 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small base station, and the like. It may also include negative functions.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illimeter-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서, 기지국(200)은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빔을 송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기지국(200)은 복수(N개)의 빔을 이용하여 고정된 빔 영역을 커버하고, 이때 서비스 영역의 커버리지 홀을 방지하기 위해서 빔 영역은 서로 중첩된다. In FIG. 1, the base station 200 provides a service to coverag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beams using an array antenna. That is, the base station 200 covers the fixed beam area by using a plurality of (N) beams, and the beam areas overlap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coverage hole of the service area.

그리고 고정형 빔포밍을 수행하는 단말(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빔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송신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구현상의 제약 사항(공간 및 가격 등)으로 인해, 기지국(200)과 달리 P(N>>P)개의 고정빔의 스위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0)에서 송신되는 빔의 형태는, 기지국(200)의 송신 빔에 비하여 넓은 방사 형태를 갖는다. 즉, 상향링크 신호는 하향링크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빔을 통해 전송되고, 단말(100)은 기지국(200)의 빔의 중첩 영역에 위치하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performing the fixed beamforming may generate an uplink transmission beam using the beam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200. In this case, due to implementation limitations (space and price), the terminal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switching of P (N >> P) fixed beams, unlike the base station 200. Therefore, the shape of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has a wider radiation form than the transmission beam of the base station 200. That is, the uplin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beam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downlink, and the terminal 100 ha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located in an overlapping region of the beam of the base station 200.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모두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제어 채널을 위해서 모든 빔이 공유되지만,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채널은 각 빔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복수의 빔을 수신하므로 수신된 다중 빔을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기지국(200)이 제어 채널에서와 같이 전체 빔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면, 자원 할당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단일 빔으로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l beams are shared for the control channel through which control information requiring high reliability is transmitted in both downlink and uplink, but the channel used for data transmission is independently configured by each beam. In addition, since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a plurality of beams through the uplink channel, it should be able to combine the received multiple beams. At this time, when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the data channel in the full beam as in the control channel,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is reduced, and when the data channel is received in the single beam, the performance of the uplink data channel may be degraded.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간 하향링크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시간 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기지국(200)은 복수의 빔(TxB1 내지 TxBN)을 송신하고, 단말(100)은 4개의 고정 빔(RxB1 내지 RxB4)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0)은, 하향링크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고, 하향링크 채널 품질의 측정 결과를 기지국(200)에게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보고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0)에서 사용하는 N개의 빔은 각각 빔 고유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단말(100)은 각 빔에 대응하는 채널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기지국(200)에게 피드백한다. CQI는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미리 결정된 레벨에 따라서 비트로 표현한 값이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SNR의 범위가 -3[dB]~29[dB]이고, CQI가 5비트로 표현되면(즉, 25개 레벨), CQI 단계 하나에 해당하는 SNR 범위는 1[dB]이다. 단말(100)은 K개의 빔 전체에 대한 CQI를 피드백할 수도 있고, 자원 할당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N개의 빔 중 일부 M개의 빔에 대한 CQI를 피드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downlink of a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plurality of beams TxB1 to TxBN, and the terminal 100 transmits four fixed beams RxB1. To RxB4). In gener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100 measures the quality of the downlink channel and report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downlink channel qualit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o the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N beams used by the base station 200 includes a beam-specific reference signal, and the terminal 100 measures a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beam to measure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Is fed back to the base station 200. CQI is a value representing a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a received signal in bi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if the received signal's SNR ranges from -3 [dB] to 29 [dB], and the CQI is represented by 5 bits (that is, 2 to 5 levels), the SNR range corresponding to one CQI step is 1 [dB]. ]to be. The terminal 100 may feed back the CQIs for the entire K beams, and may feed back the CQIs for some M beams of the N beams in order to reduce overhead of resource allo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수신빔 RxB1에 대응하는 송신빔의 CQI를 측정하고, CQI가 큰 값으로 측정된 송신빔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200)으로 보고한다. 도 2에서 단말(100)은 기지국(200)의 송신빔 중 TxB3, TxB4, TxB5, 그리고 TxB6에 대한 CQI를 측정하여 기지국(200)에게 보고한다. 단말은 미리 결정된 개수의 빔에 대한 CQI를 기지국에게 피드백 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으로 피드백되는 CQI의 개수 M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이고 규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00 measures the CQI of the transmission beam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beam RxB1 and report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beam having the large CQI to the base station 200. In FIG. 2, the terminal 100 measures and reports the CQI for TxB3, TxB4, TxB5, and TxB6 among the transmission beams of the base station 200 to the base station 200. The UE may feed back the CQIs for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eams to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number M of the CQIs fed back to the base station is information included in an uplink control channel and may be defined by a standard.

그리고 상향링크에서 단말(100)은, 수신빔 RxB1과 동일한 빔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고, 따라서, 이때 송신빔의 빔폭은 90도이다. 기지국(200)은 기지국(200)수신빔 그룹을 통해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uplink, the terminal 100 transmits an uplink data channel in the same beam as the reception beam RxB1. Accordingly, the beam width of the transmission beam is 90 degrees. The base station 20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the base beam 200 receiving beam group.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간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link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단말(100)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에서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100)에 의해 피드백되는 CQI를 바탕으로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이용하여 CQI를 측정하고 측정된 CQI에 기반하여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200 determines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in uplink in a random access (RA) procedure of the terminal 100 or provides a CQI fed back by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use of the reception beam group in the uplink, or by us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o measure the CQI in the uplink based on the measured CQI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먼저, 기지국(200)은 단말(100)의 RA 절차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100)의 RA를 위한 프리앰블을 수신하고(S110), RA 응답을 단말(100)에게 전송하는데(S130), 이때 기지국(200)은 수신된 프리앰블의 전력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고(S120),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통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0). First,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by using the preamble transmitted in the RA procedure of th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a preamble for the RA of the terminal 100 (S110), and transmits an RA response to the terminal 100 (S130).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200 is based on the received power of the preamb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ception beam group is used in the uplink (S120), and an uplink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a single beam or the reception beam group (S140).

또는 시간 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에 의해 피드백 되는 CQI를 이용하여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100)이 상향링크 자원을 요청하고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UL grant)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100)은 M개의 빔에 대한 CQI를 기지국(200)에게 피드백한다(S210).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각 빔에 대한 CQI에 기초하여 수신빔 그룹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S220),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통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30).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200 of th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using the CQI fed back by the terminal 100. When the terminal 100 requests an uplink resource, receives an uplink grant (UL grant), and transmits an uplink signal, the terminal 100 feeds back the CQIs for the M beams to the base station 200. (S210). The base station 200 determines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based on the CQI for each beam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S220), and may receive an uplink signal through a single beam or a reception beam group ( S230).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SRS를 이용하여 측정한 CQ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100)의 SRS를 수신하고(S310), 수신된 SRS를 이용하여 CQI를 측정한다(S320). 이후 기지국(200)은 측정된 CQI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하고(S330), 단일 빔 또는 수신빔 그룹을 통해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40).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200 of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in the uplink based on the CQI measured using the SR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the SRS of the terminal 100 (S310), and measures the CQI using the received SRS (S320). Thereafter,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in the uplink based on the measured CQI (S330), and receive the uplink signal through the single beam or the reception beam group (S340).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기지국(200)이 상향링크에서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base station 200 uses a reception beam group in uplin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RA 절차의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수신 빔 그룹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by a base station,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using a preamble of an RA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말(100)이 RA 프리앰블을 송신하면, 기지국(200)은 프리앰블을 탐지한다(S410). 이후, 기지국(200)은 탐지된 프리앰블이 실린 수신빔 내의 복수의 RA 코드 중, 탐지된 프리앰블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RA 코드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S420)다. 그리고, 측정된 RA 코드의 수신 전력을, 다른 빔 내의 복수의 RA 코드 중 탐지된 프리앰블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RA 코드의 수신 전력과 비교한다(S430). Referring to FIG. 4, wh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transmit the RA preamble, the base station 200 detects the preamble (S410). Thereafter, the base station 200 measures the reception power of the RA code corresponding to the index of the detected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RA codes in the reception beam in which the detected preamble is loaded (S420). Then, the received power of the measured RA code is compared with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corresponding to the index of the detected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RA codes in another beam (S430).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수신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과, 다른 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S440). 하지만, 수신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과, 다른 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의 차이가 작으면,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S450). 이때, 수신 전력의 차이의 대소를 결정하는 기준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신 전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비율이 기지국의 설정 초기에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과 다른 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지 않으면, 기지국은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과 다른 빔 내의 RA 코드의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면, 기지국은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n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reception beam and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other beam is large (S440). Howeve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receive beam and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other beam is small, the uplink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receive beam group (S450). At this tim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difference in the received powers may be set in advance, and for example, a preset ratio between the received powers may be indicated by the upper layer at the initial setting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if the ratio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receive beam to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other beam is not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ive beam group, and the RA in the receive beam. If the ratio of the received power of the code to the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the other beam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한편, 기지국(200)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200)은 복수의 수신빔 그룹 중 하나의 수신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기지국(200)에 의해 선택된 수신빔 그룹 및 수신빔 그룹에 포함된 빔 인덱스를 나타낸다.Meanwhile, when the base station 200 uses the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the uplink signal, the base station 200 may select one reception beam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reception beam groups. Table 1 below shows the reception beam group and the beam index included in the reception beam group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200.

수신빔 그룹 #0Receive Beam Group # 0 빔 #0, 빔 #1, ... (최대 M1개)Beam # 0, beam # 1, ... (up to M1) 수신빔 그룹 #L-1Receive Beam Group # L-1 빔 #0, 빔 #2, ..., (최대 M1개)Beam # 0, beam # 2, ..., (up to M1)

표 1을 참조하면, 각 수신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각 수신빔 그룹은 서로 다른 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M1은 기지국의 설정(configuration) 초기에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200)은 안테나 어레이에서 수신 안테나 그룹을 결정함으로써, 수신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안테나 그룹에 6개 이상의 안테나가 포함되면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의 증가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안테나의 최대 개수는 6개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수신빔 그룹에 포함된 빔의 최대 개수 M1과, 수신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안테나의 최대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each receive beam group may include at most M1 beams, each receive beam group may include different beams, and M1 may b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at the initial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have. Meanwhile, the base station 200 may select the reception beam group by determining the reception antenna group in the antenna array. In this case, when six or more antennas are included in the receiving antenna group, the maximum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receiving antenna group may be limited to six, by using a relatively small increase in the maximum reception coupling gain. In this case, the maximum number M1 of beams included in the reception beam group and the maximum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reception antenna group may be the same.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이 CQI를 사용하여 수신 빔 그룹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by a base station 200 using a CQI according to an embodiment.

T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고, 수신된 CQI에 기반하여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이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CQI에 대응하는 빔의 개수 M은 규격에 따라 미리 설정되고, 수신빔 그룹에 포함된 빔의 개수 M1보다 크다(즉, M≥M1). 또는 F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SRS를 이용하여 CQI를 측정하고, 측정된 CQI에 기반하여 수신빔 그룹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200 of the TDD system may receive the CQI reported periodically from the terminal 100 and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based on the received CQI. In this case, the number M of beams corresponding to the CQI fed back to the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100 is prese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is larger than the number M1 of the beams included in the reception beam group (that is, M≥M1).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200 of the FDD system may measure the CQI using the SR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nd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reception beam group based on the measured CQI.

도 5를 참조하면, T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CQI를 수신하고, FDD 시스템의 기지국(200)은 단말(100)에 의해 송신된 SRS로부터 CQI를 측정한다(S510).Referring to FIG. 5, the base station 200 of the TDD system receives the CQI from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of the FDD system measures the CQI from the SR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S510).

이후, 기지국(200)은 서빙 빔에 대응하는 CQI와, 간섭 빔에 대응하는 CQI를 비교한다(S520). 서빙 빔의 CQI와 간섭 빔의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면, 기지국(200)은 하나의 수신 빔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단일 빔 사용)(S530). 하지만, 서빙 빔에 대응하는 CQI와 간섭 빔에 대응하는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지 않으면, 기지국(200)은 수신빔 그룹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수신 빔 그룹 사용)(S540). 서빙 빔의 CQI 및 간섭 빔의 CQI는 단말(100)이 기지국(200)의 빔 경계 지역에 위치할 때 비슷한 크기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빔에 대응하는 CQI와 간섭 빔에 대응하는 CQI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Q 이하이면(즉, CQI의 레벨 차이가 Q 단계보다 작으면), 기지국(200)은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Q 값은 기지국의 설정 초기에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200 compares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beam with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beam (S52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QI of the serving beam and the CQI of the interference beam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an uplink signal through one reception beam (using a single beam) (S530). Howeve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beam and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beam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an uplink signal through the reception beam group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S540). . The CQI of the serving beam and the CQI of the interference beam may be measured to have similar sizes when the terminal 100 is located at the beam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200.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serving beam and the CQI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ing beam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Q (ie, if the level difference of the CQI is smaller than Q steps), the base station 200 uses the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the uplink signal. In this case, the preset Q value may be indicated by the upper layer at the initial setting of the base station.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610)과 단말(6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station 610 and a terminal 620.

기지국(610)은, 프로세서(processor)(611), 메모리(memory)(612), 그리고 무선 통신부(radio frequency unit, RF unit)(613)를 포함한다. 메모리(612)는 프로세서(6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61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613)는 프로세서(6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61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과정,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6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610)의 동작은 프로세서(6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610 includes a processor 611, a memory 612, and a radio frequency unit (RF unit) 613. The memory 612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611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611 or at least on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6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3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611 to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The processor 611 may implement a function, process, or method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cas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terface protocol layer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611. An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611.

단말(620)은, 프로세서(621), 메모리(622), 그리고 무선 통신부(623)를 포함한다. 메모리(622)는 프로세서(6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62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623)는 프로세서(6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62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단계,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6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620)의 동작은 프로세서(6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620 includes a processor 621, a memory 62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3. The memory 622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621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621 or at least on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62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3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621 to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The processor 621 may implement the functions, steps, or methods prop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cas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ir interface protocol layer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621.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621.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The memory is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and for example, the memory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or random access memory (RA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6)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제1 단말로부터의 제1 프리앰블이 복수의 빔을 통해 수신될 때, 상기 복수의 빔 내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코드의 수신 전력 간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Processor, Memory,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ncluding,
The processor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Receiving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a first preamble from the first terminal to transmit the uplin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beams, a comparison result between reception powers of random access (RA) codes in the plurality of beam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the uplink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based on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single beam or the reception beam grou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vice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프리앰블이 실린 상기 복수의 빔 중 제1 빔 내의 상기 RA 코드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전력을, 상기 복수의 빔 중 다른 빔 내의 상기 RA 코드의 제2 수신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
When the processor performs the determining step,
Measuring a first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a first beam of the plurality of beams loaded with the first preamble, and
Comparing the first received power with a second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eams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면, 상기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2,
When the processor receives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the received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If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greater than a preset ratio, the uplink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single beam, and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the preset ratio.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if not greater than a set ratio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제3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3,
And the preset ratio is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제1항에서,
상기 수신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M1은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 2 이상의 자연수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
The receiving beam group includes a maximum of M1 beams, wherein M1 is at least two natural number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maximum ratio combining gain of the array antenna.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제1 단말로부터의 제1 프리앰블이 복수의 빔을 통해 수신될 때, 상기 복수의 빔 내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코드의 수신 전력 간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A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Receiving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When a first preamble from the first terminal to transmit the uplink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beams, a comparison result between reception powers of random access (RA) codes in the plurality of beam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the uplink signal from the first terminal based on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the received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리앰블이 실린 상기 복수의 빔 중 제1 빔 내의 상기 RA 코드의 제1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수신 전력을, 상기 복수의 빔 중 다른 빔 내의 상기 RA 코드의 제2 수신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In claim 6,
The determining step,
Measuring a first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a first beam of the plurality of beams loaded with the first preamble, and
Comparing the first received power with a second received power of the RA code in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eams
The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제7항에서,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면, 상기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수신 전력과 상기 제2 수신 전력의 비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In claim 7,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the reception beam group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f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greater than a preset ratio, the uplink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single beam, and the ratio of the first received power and the second received power is the preset ratio.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if not greater than a set ratio
The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In claim 8,
And the preset ratio is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제6항에서,
상기 수신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M1은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 2 이상의 자연수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In claim 6,
The receiving beam group includes a maximum of M1 beams, wherein M1 is at least two natural number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maximum ratio combining gain of the array antenna.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과 복수의 단말 사이의 채널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중 서빙 빔의 제1 CQI 및 간섭 빔의 제2 CQI 간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빔 그룹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빔 그룹은 최대 M1개의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M1은 어레이 안테나의 수신 최대비 결합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 2 이상의 자연수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Processor, Memory,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ncluding,
The processor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 firs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first CQI of a serving beam and a second CQI of an interference beam among a plurality of channel quality indicators (CQIs) measured from channel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reception beam group to receive an uplink signal from a terminal, and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the received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And then
The receiving beam group includes a maximum of M1 beams, wherein M1 is at least two natural number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maximum ratio combining gain of the array antenna.
제1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CQI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1,
Before the processor performs the determining step,
Receiving the plurality of CQIs from the first terminal
Further performing,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제12항에서,
상기 복수의 CQI의 개수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빔의 개수 보다 작은 M개이고, 상기 M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2,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QI is M smaller than the number of beams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wherein M is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제1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RS로부터 상기 복수의 CQI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1,
Before the processor performs the determining step,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from the first terminal, and
Measuring the plurality of CQIs from the SRS
Further performing,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제1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빔 또는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CQI와 상기 제2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단일 빔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CQI와 상기 제2 CQI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수신빔 그룹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In claim 11,
When the processor receives the uplink signal using a single beam or the received beam group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QI and the second CQI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plink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single beam,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QI and the second CQI is no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Receiving the uplink signal using the reception beam group
Uplink signal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제15항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값인, 상향링크 신호 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predetermined value is a value indicated by a higher layer.
KR1020160171981A 2015-12-16 2016-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KR101973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81,960 US20170181193A1 (en) 2015-12-16 2016-12-1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480 2015-12-16
KR20150180480 2015-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16A KR20170072816A (en) 2017-06-27
KR101973776B1 true KR101973776B1 (en) 2019-09-03

Family

ID=5951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81A KR101973776B1 (en) 2015-12-16 2016-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539B1 (en) 2020-09-02 2021-03-31 이돈신 High performanc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1645B2 (en) * 2012-02-17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ontrol channels for beamforming-based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21644B1 (en) * 2014-12-29 2022-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539B1 (en) 2020-09-02 2021-03-31 이돈신 High performanc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16A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8030A1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EP35935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s
AU2016297383B2 (en) Beam detection and tracking in wireless networks
US108049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mobility through beam tracking in new radio access system
EP3531787B1 (en) Wave beam-based multi-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0570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340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 attachm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beam-formed signals
RU2474961C2 (en) Method and device in radio access network
US20170181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EP3622774A1 (en) Methods and system for lbt threshold setting for directional reception and transmission
US20190363778A1 (en) Beam mangement systems and methods
EP3644638A1 (en) Access method, network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824976A1 (en)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556752A (en) Adaptive beamforming scanning
KR1024216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42441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KR1019737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plink signal
KR10198108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973558B2 (en) Narrow beam-based channel access
KR102192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WO2023050454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s for ed threshold configuration for cot sharing
US20220369125A1 (en) Beam coverage assessment for channel access
US10448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random access in a beamformed communications system
KR201800096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ing dual polarization antennas, and method for allocating wireless frame
EP4338306A1 (en) Beam coverage assessment for channel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