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36B1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3736B1 KR101973736B1 KR1020180130130A KR20180130130A KR101973736B1 KR 101973736 B1 KR101973736 B1 KR 101973736B1 KR 1020180130130 A KR1020180130130 A KR 1020180130130A KR 20180130130 A KR20180130130 A KR 20180130130A KR 101973736 B1 KR101973736 B1 KR 101973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membrane
- membrane filtration
- water
- filtra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967 suction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085 pressure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6 dissolved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UJOXMJBOLGQSY-UHFFFAOYSA-N manganese dioxide Chemical compound O=[Mn]=O NUJOXMJBOLGQ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01 scrub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5 aci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막(201)을 포함하는 침지막여과부(100)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농축 및 탈수하여 슬러지 탈수케익(cake)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에 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된 원수가 상기 세라믹막(201)에 의하여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처리수와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위치한 흡입용 여과펌프(41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처리수가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되는 단계; (d)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다른 후단에 위치한 슬러지 유입펌프(19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다른 세라믹막(940)을 포함하는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되어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가압막 처리수와 탈수용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탈수용 슬러지가 탈수기(800)에 유입되어 탈수처리됨으로써 슬러지 탈수케익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ducing a sludge dewatering cake by concentrating and dewatering sludge produced in an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ncluding a ceramic membrane 201,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The raw wa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reactor; (b) subjecting the introduced raw water to membrane filtration treatment by the ceramic membrane (201), thereby producing treated water and sludge; (c) the suction filtration pump 41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operates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generated in the step (b) in the treatment water tank 600; (d) a sludge inflow pump 190 located at another rear end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operates, and the sludge generated in the step (b) is introduced into the sludge pressure filtration unit (900) and subjected to membrane filtration, thereby producing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and dewatering sludge; And (e) the dewatering sludge is introduced into a dehydrator (800) and dehydrated to produce a sludge dewatering cake, wherein the sludge dewatering cake is produced in a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막을 이용하여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 슬러지 탈수케익(cake)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water treat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ludge dewatering cake in a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a pressurized membrane.
세라믹막과 유기막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도 1은 세라믹막의 일종인 SiC 막의 특성과 유기막의 일종인 PVDF의 특성을 비교하는 표이다. 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라믹막은 유기막에 비하여 허용 pH 및 온도의 범위가 넓다.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ceramic film and the organic film. 1 is a table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iC film, which is one type of ceramic fil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VDF, which is a kind of organic film. As shown in the table, the ceramic film has a wide range of permissible pH and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organic film.
세라믹막은 친수성이고 역세가 가능하므로 고플럭스로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이 가능하고 막표면이 높은 음전하를 띄어 수중에서 음전하를 띄는 박테리아, 조류, MLSS, 미생물생성고분자물질(TEP), 오일 등의 오염 물질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농도의 응집제만 주입하더라도 저분자 조류부산물질(Algal-derived Organic Matters, AOM)등 용존유기물(DOC)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역세시 저농도의 차염소산나트륨을 추가함으로써 바이오파울링의 성장 전 제어 가능하여 막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세라믹막을 이용한 침지식 막여과 공정이 각광받고 있다. Since the ceramic membrane is hydrophilic and can be backwashed, it can be operated stably with high flux and it can remove stains such as bacteria, algae, MLSS, microbial polymer (TEP) and oil which have a negative negative charge on the membrane surface. Is advantageous. In addition, even if only a low concentration of coagulant is injected, the removal rat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C) such as Algal-derived Organic Matters (AOM) can be improved, and by adding low concentration of sodium hypochlorite during backwash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As a result,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a ceramic membrane is attracting attention.
도 2는 세라믹막을 타워 형태로 구성한 세라믹막 타워(200)를 도시한다. 세라믹막(201)이 다수 개 모여 세라믹막 모듈(202)이 되고, 세라믹막 모듈(202)이 다수 개 모여 세라믹막 타워(200)가 된다.FIG. 2 shows a
침지막여과부(100) 내에 구축되는 세라믹막 타워(200)의 상부에는 처리수 배출구(210) 및 스프링클러 배관(220)이 구비되고, 산기용 배관(230)이 하부로 연결됨으로써 세라믹막 타워(200) 하부에 산기용 분기관(235)이 위치한다. 이러한 세라믹막 타워(200)가 위치한 침지막여과부(100)에는 원수유입펌프(110)와 원수유입밸브(115)가 구비되어 원수가 유입된다(도 3 참조). 또한, 침지막여과부(100) 하부에는 바닥 경사면(180)이 구비되어 슬러지를 하강시키고, 슬러지 배출 밸브(195)가 개방되면 하강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된다. The treated
도 3은 세라믹막(201)을 침지식으로 배치하여 침지막여과부(100)를 구성한 막여과 공정의 일반적인 수처리 개념도를 도시한다. 3 shows a general water treatment conceptual diagram of a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which the
침지막여과부(100)를 이용한 막여과 공정은, 여과 공정과 세정 공정이 교번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55분 여과 공정 이후, 5분의 세정 공정이 이루어지고, 다시 55분 여과 공정, 5분 세정 공정 등의 순서로 연속 진행된다. 여과 공정과 세정 공정을 구분하여 막여과 공정을 설명한다. In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the immersion
여과 공정을 먼저 설명한다. The filtration process is described first.
처리하여야 하는 하폐수 등의 원수가 원수유입펌프(110)에 의해 원수유입밸브(115)를 통과하여 침지막여과부(100)에 유입되며, 여기서 막여과 처리되고 처리수와 슬러지가 생성된다. The raw water such as wastewater to be treated passes through the raw
흡입용 여과펌프(410)에 의해 세라믹막(201)에 압력이 인가됨으로써 세라믹막 타워(200)에서 처리수 배출구(210)를 통해 처리수가 추출되고, 추출된 처리수는 여과 밸브(415)를 통과하여 처리수조(600)에 집수된다. Pressure is applied to the
처리수조(600)에 집수된 처리수에는 염소 주입부(650)로부터 염소 등의 소독 물질이 더 투입되고, 이후 방류되거나 재이용된다. 염소 외에 소독이 가능한 다른 물질(오존, 이산화망간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염소 주입부"는 이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disinfectant such as chlorine is further introduced from the
침지막여과부(100)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바닥 경사면(180)을 따라 침지막여과부(100)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이후 슬러지 유입펌프(190)에 의해 슬러지 배출 밸브(195)를 통과하여 농축조(700)에 농축된다. 농축조(700)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어느 정도 고액분리가 되면, 침강한 대체로 고체인 물질만이 탈수용 슬러지밸브(880)를 통해 탈수기(800)에 유입되어 탈수되고 슬러지 탈수케익의 형태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탈리액은 당연히 수질이 좋지 않아 다시 이용될 수 없고 농축조(700)에 재유입되어 재농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축조(700)에는 고액분리를 위한 오염물질의 침강을 위해 응집제 주입부(750)로부터의 응집제가 주입된다.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세정 공정을 설명한다. The clea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세정 공정에 사용될 세척수(즉, 역세수)는 처리수조(600)로 유입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역세수 저장탱크(500)에 집수한 것이다. The washing water to be used in the washing process (i.e., reverse washing water) is obtained by collecting a part of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treating
세정 공정은, 브로워(300)에 의한 스크러빙, 역세수에 의한 역세척 및 스프링클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cleaning process can be divided into scrubbing by the
브로워(300)로부터의 공기는 산기용 배관(230)으로 유입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산기용 배관(230)은 세라믹막 타워(200) 하부의 산기용 분기관(234)에 연결되어, 브로워(3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세라믹막 타워(200) 하단에서부터 세라믹막(201)을 외부에서 털어주어 스크러빙을 수행한다.The air from the
역세수에 의한 역세척은 처리수 배출 라인에서 그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역세수 저장탱크(500)에 집수된 역세수가 역세척 펌프(520)에 의하여 역세척 밸브(525)를 통과하여 처리수가 배출되던 처리수 배출구(210)에 역방향으로 유입된다. 이 때에 약품주입펌프(590)와 약품주입밸브(595)를 이용하여 약품이 더 주입될 수도 있다. 역방향으로 유입된 역세수는 세라믹막(201)의 내부로 유입되고, 세라믹막(201)의 내부를 세척한 후 외부(즉, 침지막여과부(100) 내부)로 배출된다. 원수가 침지막여과부(100) 내부에서 세라믹막(201) 내부로 유입된 후 처리수가 되어 세라믹막(201)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반대 방향이다. 이를 통해, 세라믹막(201)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공극(pore) 등에 끼인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세라믹막(201)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Backwashing by reverse water wash occur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at in the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The backwash water collected in the reverse osmotic
스프링클링 위한 세척수 역시 역세수 저장탱크(500)에서 공급된다. 세척수는 스프링클러 펌프(510)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밸브(515)를 통과하여 스프링클러 배관(220)으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약품주입펌프(590)와 약품주입밸브(596)를 이용하여 약품이 더 주입될 수도 있다. 도 2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배관(220)은 세라믹막 타워(200) 상부에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기에, 세척수가 세라믹막(201)의 외부를 세척하게 된다. The washing water for sprinkling is also supplied from the reverse osmosis
전술한 바와 같이, 하폐수와 같은 원수의 침전물인 슬러지(즉, 침지막여과부(100)에서 생성되는 슬러지)는 악취의 폐기 물질이기에, 탈수기(800)에서 탈수 후 케익 형태로 배출하여 별도 매립지에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슬러지를 바로 탈수기(800)를 유입시키면, 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유체로 인하여 탈수기(800)의 탈수 효율이 좋지 못하며 부하가 많이 걸려 장비 고장에 이르고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기(800) 전단에 농축조(700)를 장비시켜, 슬러지에서 고액분리로서 액체를 먼저 분리한 후 탈수기(800)에 고체 부분만을 유입시킨다(물론, 여기서 유입되는 고체 부분에도 여전히 다량의 액체가 포함되어 있다). 농축조(700)의 고액분리는 오염물의 침강으로 인한 것이므로, 효율적 분리를 위해 침강을 돕는 응집제가 응집제 주입부(750)로부터 투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i.e., the sludge generated in the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which is a sediment of raw water such as wastewater, is a waste material of odor, so it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a cake after being dehydrated in the
여기에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There are two problems here.
첫째, 응집제 주입부(750)에서 투입되는 응집제는 침강 효율이 높은 고분자 응집제인데, 이는 매우 고가이다. 특히, 우수한 성능의 세라믹막(201)을 이용함으로써 침지막여과부(100)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슬러지도 많아지고, 이에 따라 투입하여야 하는 응집제의 양도 많아져서 경제성을 악화시킨다. First, the coagulant injected into the coagulant injecting
둘째, 다량의 슬러지를 일정 기간 저류시켜 고액분리하는 농축조(700)는 그 부피가 상당히 커야 하는 설비라는 점이다. 농축조(700)의 일반적인 크기는 막여과 공정의 핵심 설비인 침지막여과부(100)의 크기에 상응한다. 이로 인해, 농축조(700)를 설치하여야 하는 부지 확보의 문제, 부지가 침지막여과부(100)에서 떨어져서 확보된 경우 배관을 연결하고 펌프(190) 동력을 키워야 하는 문제, 큰 부피의 설비 구축 비용의 문제 등이 발생한다. 또한, 농축조(700)는 대부분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악취 성분인 슬러지를 저류하고 있기에 악취가 주변으로 발산한다는 문제도 발생한다.Second, the concentrating
따라서, 우수한 효율의 세라믹막(201)을 이용한 침지막여과부(100)를 구성하여 동일한 양의 원수 대비 많은 양의 처리수를 획득할 수 있음에도, 응집제가 다량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 및 큰 크기의 농축조(700) 구성으로 인한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Therefore, although the immersion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17647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117647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235003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235003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45873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345873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342689호(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No. 10-1342689
(특허문헌 5) 한국등록특허 제10-1473891호(Patent Document 5) Korean Patent No. 10-147389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응집제를 투입하지 않으면서도 탈수기(8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공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농축조(700)를 대신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비교적 컴팩트한 공정으로 대체하여 큰 크기의 농축조(700)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a process capable of reducing the load of th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라믹막(201)을 포함하는 침지막여과부(100)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농축 및 탈수하여 슬러지 탈수케익(cake)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에 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된 원수가 상기 세라믹막(201)에 의하여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처리수와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위치한 흡입용 여과펌프(41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처리수가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되는 단계; (d)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다른 후단에 위치한 슬러지 유입펌프(19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다른 세라믹막(940)을 포함하는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되어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가압막 처리수와 탈수용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탈수용 슬러지가 탈수기(800)에 유입되어 탈수처리됨으로써 슬러지 탈수케익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ludge dewatering cake by concentrating and dewatering sludge produced in an immersion
또한,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공정은, 여과 공정과 세정 공정으로 구분되고, 상기 (a) 내지 (c) 단계는 여과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d) 내지 (e) 단계는 세정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s (a) to (c) are performed in a filtration step, and the steps (d) to (e) Process.
또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탈수용 슬러지의 농축율의 기준 농축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2) 만족하는 경우, 탈수용 슬러지밸브(880)가 개방되어, 상기 탈수용 슬러지가 상기 탈수기(800)에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e1) confirming whether the reference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ewatering sludge produced in the step (d) is satisfied; And (e2), the dewatering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 (f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목표처리수질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f2) 만족하는 경우, 가압막 처리수 밸브(915)가 개방되어 상기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d), (f1) checking whether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step (d) satisfies the target treatment water quality; And (f2) are satisf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izing-membrane-treatment-
또한, 상기 (f2)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동작한 상기 슬러지 유입펌프(19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압막여과부(900)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조(600)에 집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f2),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pressurized membrane filtration unit (900) by the power of the sludge inflow pump (190) operated in the step (d) And a step of collecting the water.
또한, 상기 (f1) 단계 이후, (f3) 만족하지 않는 경우, 가압막 처리수 재순환밸브(925)가 개방되어 상기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tep (f1) is not followed by the step (f3),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또한, 상기 (f3)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동작한 상기 슬러지 유입펌프(19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압막여과부(900)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f3), the power of the sludge inlet pump (190) operated in the step (d) causes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pressurized membrane filtration unit (900) 100). ≪ / RTI >
또한,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농축조 및 응집제 주입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entration tank and the coagulant injection unit are not provided at the downstream of the immers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어, 응집제와 농축조를 생략하면서도 탈수기에 부하를 높이지 않고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이 가능하다. 즉, 고가의 응집제 투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문제가 해결되고, 큰 크기의 농축조를 생략하여 부지 확보 및 설비로 인한 초기 투자 비용이 과다한 문제도 해결되며, 악취를 발산하는 혐오 시설도 생략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roduce a sludge dewatering cake without increasing the load on the dehydrator while omitting the flocculant and the thickener. That is, the problem of economic loss due to the input of expensive coagulant is solved, and the large-sized concentration tank is omitted, so tha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due to site securing and facilities is solved, and the disgusting facility for emitting odor can be omitted .
이를 위한 추가의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 펌프를 추가하는 것 역시 제어 방법을 복잡하게 하며, 초기 투자 및 운영시 경제적 손실이 발생시키는데, 본 발명은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어차피 필요한 펌프, 즉 종래 기술에서도 반드시 구비되었던 펌프 중 하나를 사용하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운영이 간단하다.No additional pump is needed for this. The addition of the pump also complicates the control method and causes economic losses in the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ump which is necessary in order to discharge the sludge anyway, that is, It is economical and easy to operate because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슬러지 탈수케익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압막 처리수는 처리수조에 함께 저류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동일한 양의 원수를 처리하여도 처리수의 양이 증대되기에, 처리 효율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종래에 단위용량 100의 원수를 처리하여 처리수조에 90이 집수되고 10의 슬러지가 배출되었다면, 본 발명은 10의 슬러지 중에서도 2 내지 3의 처리수를 다시 생성시킬 수 있는바, 그만큼 처리 효율이 증대된다.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sludge dewatering cake can be stored together in the treatment water tank.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amount of treated water is increased even if the same amount of raw water is treated, and therefore, the treatment efficiency is excellent. For example, if the raw water of the
도 1은 세라믹막과 유기막을 비교하기 위한 표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라믹막 타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막여과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table for comparing a ceramic film and an organic film.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ramic membrane tow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농축조(700) 및 응집제 주입부(750)를 생략하여 일종의 직탈수 시스템으로 공정을 구성하는 대신,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를 채택한다. 농축조(700) 및 응집제 주입부(750)를 생략하면서도 탈수기(800)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농도가 종래 기술과 유사함은 물론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sludge pressure
여기서,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피처리수(여기서는, 침지막여과부(100)의 슬러지)를 유입시킬 때에 피처리수를 가압하여 유입시켜야 하는데, 기존 공정(도 3 참조)에서 슬러지를 농축조(700)에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던 슬러지 유입펌프(190)를 그대로 활용하여 가압 유입이 가능하다. Here, when the for-treatment water (in this case, the sludge of the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flows into the sludge pressurized
침지막여과부(100)에서의 막여과 공정은,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여과 공정과 세정 공정으로 구분된다. 세정 공정은 종래 기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에, 여기서는 여과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in the immersion
여과 공정을 위해, 원수유입펌프(110) 및 원수유입밸브(115)에 의해 침지막여과부(100)에 원수가 유입된다.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mmersion
침지막여과부(100)는 세라믹막(201)이 침지식으로 구성된 막여과조이다. 침지막여과부(100)에 유입된 원수는 세라믹막(201)에 의하여 막여과 처리되어, 처리수와 슬러지가 생성된다.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위치한 흡입용 여과펌프(410)가 동작하면, 침지막여과부(100)에서 생성된 처리수가 처리수조(600)로 유동하여 집수된다.The immersion
이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침지막여과부(100)의 다른 후단에 위치한 슬러지 유입펌프(190)가 동작하여, 침지막여과부(100)에서 생성되어 침강한 슬러지가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된다. 이 때에, 슬러지 유입펌프(190)의 동작으로 인해, 슬러지가 가압되어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된다. 가압식 막여과를 위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유체를 유입시켜야 하는데, 별도의 추가 펌프 없이,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해 어차피 사용되었던 슬러지 유입펌프(190)를 활용하여 가능한 것이다.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a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된 슬러지는, 여기에 구비된 세라믹막(940)에 의해 막여과 처리된다. 이에 따라, 다시 처리수(이하, '가압막 처리수'로 지칭함)와 슬러지(이하, '탈수용 슬러지'로 지칭함)가 생성된다.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sludge pressure
탈수용 슬러지는, 침지막여과부(100)에서 배출된 슬러지에서 가압막 처리수만큼의 액체가 제거된 것이기에, 응집제를 이용하여 침지막여과부(100)로부터의 슬러지를 응집한 것보다 높은 응집 효율을 갖는다. 특히, 고플럭스로 안정적 운전이 가능한 세라믹막을 이용하여 가압막을 구성하였는바, 침지막여과부(100)에서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어도 충분한 여과 성능을 발휘한다. 즉, 농축조(700)에서 일정 시간 고액분리를 시키지 않았고, 응집제를 투입하지 않았음에도,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서는 탈수기(800)에 유입되기에 충분한 농도의 탈수용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다. 실제로, 농축조(700)의 고액분리는 응집제에 의한 이물질 침강을 이용한 것이기에 효율이 높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막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분리 효율이 한층 높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Since the dewatering sludge is obtained by removing the liquid of the number of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from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submerged
이와 같은 탈수용 슬러지는 종래 기술과 같이 탈수용 슬러지밸브(880)를 통해 탈수기(800)에 유입되어 탈수 처리됨으로써 슬러지 탈수케익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리액은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로 재순환될 수 있다.Such a dewatering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또한, 농축조(700)에서 고체를 분리하고 남은 액체 부분은 당연히 재사용이 어려울 정도로 수질이 좋지 않지만,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서 세라믹막에 의해 분리된 액체 부분인 가압막 처리수는 세라믹막의 특성으로 인해 수질이 양호하다.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which is the liquid portion separated by the ceramic membrane in the sludge pressurized
수질이 양호한 가압막 처리수는 가압막 처리수 밸브(915)를 통해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될 수 있으며, 또는 가압막 처리수 재순환밸브(925)를 통해 원수와 합류되어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도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 슬러지 유입펌프(190)가 슬러지를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밀어주는 힘을 그대로 이용하면, 단지 밸브(915, 925)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바에 따라 처리수조(600)에 집수시키거나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처리수조(600)에 집수시킬 경우, 처리수 생성량이 증가하여 처리 효율이 증가한다.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시킬 경우, 수질이 좋지 못한 원수가 유입된 경우에 이를 희석하여 침지막여과부(100)의 세라믹막(201)의 과도한 막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세라믹막(201)의 처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with good water quality can be collected in the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단계별로 다시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 5,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ain step by step.
침지막여과부(100)가 여과 공정인 경우(S100), 원수유입펌프(100)는 동작하고, 슬러지 유입펌프(190)는 동작하지 않아, 원수가 침지막여과부(100) 내에서 여과된다(S310). 즉, 침지막여과부(100)는 여과 동작을 수행하고,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는 여과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S320). When the immersion
침지막여과부(100)가 세정 공정인 경우(S100), 원수유입펌프(100)는 동작하지 않아 침지막여과부(100)에 원수를 공급하지 않고, 슬러지 유입펌프(190)는 동작하여 슬러지를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로 이송시키고 여과시킨다(S210). 즉, 침지막여과부(100)는 여과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세정 동작을 수행),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는 여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S220). When the immersion
이 과정에서 가압막 처리수와 탈수용 슬러지가 생성된다. In this process,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and the dewatering sludge are produced.
탈수용 슬러지가 농축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40). 예를 들어,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 내의 유체의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를 측정하여, 2%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탈수용 슬러지가 탈수기(800)에 유입될 만큼 충분히 유체를 제거하지 못한 것이므로, S230 단계로 회귀하여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의 여과 동작이 계속된다. 탈수용 슬러지가 농축율을 만족하는 경우, 이는 탈수용 슬러지가 탈수기(800)에 유입된 만큼 충분히 농축된 것을 의미하므로, 탈수용 슬러지밸브(880)를 개방하고(S241), 탈수기(80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S242). It is checked whether the dewatering sludge satisfies the concentration ratio (S24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measuring the suspended solids (SS) of the fluid in the sludge pressure
이와 동시에, 별도로, 가압막 처리수가 목표처리수질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50). 만족하는 경우 처리수조(600)에 함께 집수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바, 가압막 처리수 밸브(915)를 개방하여 가압막 처리수를 처리수조(600)에 이송시킨다. 가압막 처리수가 목표처리수질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처리수조(600)에 이송시켜서는 안되지만 상당량의 슬러지가 제거된 어느 정도는 여과된 처리수가 되었음을 의미하는바, 이를 원수와 합지시켜 침지막여과부(100)에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막 처리수 재순환밸브(925)가 개방되어 가압막 처리수가 원수와 함께 침지막여과부(100)에 다시 유입된다. At the same time, separately,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satisfies the target treatment water quality (S250). The pressurized-water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침지막여과부
110: 원수유입펌프
115: 원수유입밸브
180: 바닥 경사면
190: 슬러지 유입펌프
195: 슬러지 배출 밸브
200: 세라믹막 타워
201: 세라믹막
202: 세라믹막 모듈
210: 처리수 배출구
220: 스프링클러 배관
230: 산기용 배관
235: 산기용 분기관
300: 브로워
410: 흡입용 여과펌프
415: 여과 밸브
500: 역세수 저장탱크
510: 스프링클러 펌프
515: 스프링클러 밸브
520: 역세척 펌프
525: 역세척 밸브
590: 약품주입펌프
595, 596: 약품주입밸브
600: 처리수조
650: 염소 주입부
700: 농축조
750: 응집제 주입부
800: 탈수기
880: 탈수용 슬러지밸브
900: 슬러지 가압막여과부
915: 가압막 처리수 밸브
925: 가압막 처리수 재순환밸브
940: 세라믹막100: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section
110: raw water inflow pump
115: raw water inlet valve
180: bottom slope
190: Sludge inflow pump
195: Sludge discharge valve
200: Ceramic membrane tower
201: Ceramic film
202: Ceramic membrane module
210: treated water outlet
220: Sprinkler piping
230: Heat pipe
235: Distributor for acid
300: Blower
410: Filtration pump for suction
415: Filtration valve
500: Stationary water storage tank
510: Sprinkler pump
515: Sprinkler valve
520: backwash pump
525: Backwash valve
590: Drug infusion pump
595, 596: Pharmaceutical injection valve
600: Treatment tank
650: chlorine injection part
700: Enrichment tank
750: coagulant injection unit
800: Dehydrator
880: Dewatering sludge valve
900: sludge pressure membrane filtration section
915: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valve
925: Pressurized membrane treated water recirculation valve
940: Ceramic membrane
Claims (8)
(a)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에 원수가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된 원수가 상기 세라믹막(201)에 의하여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처리수와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c)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위치한 흡입용 여과펌프(41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처리수가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되는 단계;
(d)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다른 후단에 위치한 슬러지 유입펌프(190)가 동작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다른 세라믹막(940)을 포함하는 슬러지 가압막여과부(900)에 유입되어 막여과 처리됨으로써, 가압막 처리수와 탈수용 슬러지가 생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탈수용 슬러지가 탈수기(800)에 유입되어 탈수처리됨으로써 슬러지 탈수케익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공정은, 여과 공정과 세정 공정으로 구분되고,
상기 (a) 내지 (c) 단계는 여과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d) 내지 (e) 단계는 세정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탈수용 슬러지의 농축율의 기준 농축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2) 만족하는 경우, 탈수용 슬러지밸브(880)가 개방되어, 상기 탈수용 슬러지가 상기 탈수기(800)에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sludge dewatering cake by concentrating and dewatering sludge produced in an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comprising a ceramic membrane (201)
(a) introducing raw water into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b) subjecting the introduced raw water to membrane filtration treatment by the ceramic membrane (201), thereby producing treated water and sludge;
(c) the suction filtration pump 41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operates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generated in the step (b) in the treatment water tank 600;
(d) a sludge inflow pump 190 located at another rear end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operates, and the sludge generated in the step (b) is introduced into the sludge pressure filtration unit (900) and subjected to membrane filtration, thereby producing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and dewatering sludge; And
(e) the dewatering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dehydrator 800 and dehydrated to produce a sludge dewatering cake,
The process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s divided into a filtration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Wherein the steps (a) to (c) are performed in a filtration step,
The steps (d) to (e) are performed in a cleaning process,
The step (e)
(e1) confirming whether the reference concentration ratio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ewatering sludge generated in the step (d) is satisfied; And
(e2), the dewatering sludge valve (880) is opened and the dewatering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dehydrator (800)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상기 (d) 단계 이후,
(f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목표처리수질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2) 만족하는 경우, 가압막 처리수 밸브(915)가 개방되어 상기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조(600)에서 집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d)
(f1)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pressurized membrane process water generated in the step (d) satisfies the target process water quality;
(f2) is satisfied, the pressurizing-membrane-treatment-water valve (915) is opened to collect the pressurized-membrane treatment water in the treatment bath (600).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상기 (f2)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동작한 상기 슬러지 유입펌프(19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압막여과부(900)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조(600)에 집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f2)
And a step of collecting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pressurizing membrane filtration unit (900) by the power of the sludge inflow pump (190) operated in the step (d) in the treatment water tank (600)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상기 (f1) 단계 이후,
(f3) 만족하지 않는 경우, 가압막 처리수 재순환밸브(925)가 개방되어 상기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the step (f1)
(f3) is not satisfied,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recirculation valve (925) is opened to recycle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to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part (100)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상기 (f3)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동작한 상기 슬러지 유입펌프(190)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가압막여과부(900)에서 생성된 가압막 처리수가 상기 침지막여과부(100)로 재순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f3)
The step of recirculating the pressurized membrane treatment water generated in the pressurized membrane filtration unit 900 to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by the power of the sludge inflow pump 190 operated in the step (d) ,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상기 침지막여과부(100)의 후단에 농축조 및 응집제 주입부가 구비되지 않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denser and a coagulant injection unit are not provid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immersion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A Method for Producing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130A KR101973736B1 (en) | 2018-10-29 | 2018-10-29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130A KR101973736B1 (en) | 2018-10-29 | 2018-10-29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3736B1 true KR101973736B1 (en) | 2019-04-30 |
Family
ID=6628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01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3736B1 (en) | 2018-10-29 | 2018-10-29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37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616B1 (en) | 2020-11-13 | 2021-02-26 | 김영삼 | The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sludge dehydr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025B1 (en) * | 2014-02-14 | 2014-10-27 | 주식회사 한화건설 | a water treatment system effective for treating both high turbity and high algal raw water |
KR101473891B1 (en) * | 2014-02-03 | 2014-12-17 | 아태수기엔지니어링(주) | An immersion type membrane with silicon carbide material, an apparatus using the membrane for waste liquid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apparatus |
-
2018
- 2018-10-29 KR KR1020180130130A patent/KR1019737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3891B1 (en) * | 2014-02-03 | 2014-12-17 | 아태수기엔지니어링(주) | An immersion type membrane with silicon carbide material, an apparatus using the membrane for waste liquid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apparatus |
KR101455025B1 (en) * | 2014-02-14 | 2014-10-27 | 주식회사 한화건설 | a water treatment system effective for treating both high turbity and high algal raw wa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616B1 (en) | 2020-11-13 | 2021-02-26 | 김영삼 | The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sludge dehyd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53711B2 (en) | Cleaning method for external pressur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CN103172216A (en) | Method for advanced treatment and reuse of wastewater | |
JP5230071B2 (en) |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membrane filtration | |
KR100843656B1 (en)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wo-Stage Immersion Membrane | |
CN108380053A (en) | A kind of environment-protecting cultivation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method | |
CN105347539A (en) | Integrated and automatic device for recycling water in industrial wastewater | |
KR20190138975A (en) | Liquefied fertiliz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orous ceramic membrane | |
CN118684295B (en) | Low-cost micro-pollution water suppl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KR101973736B1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
KR101973740B1 (en) | Method for injection of ozon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
CN102026924A (en) |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particularly wastewater originating from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otovoltaic cells | |
KR101973737B1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sludge dewatering cak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 |
KR101769609B1 (en) | Two-way back washing device and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KR102379631B1 (en) | Small-siz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hog farming and animal husbandry | |
KR101973738B1 (en) | Method for cleaning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
KR20130128866A (en)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using pressurized module | |
KR100245775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parallel biological filter beds | |
KR20200101663A (en) | Equipment capable of filtering of livestock wastewater and cleaning of membrane | |
KR101973739B1 (en) | Method for injection of chlorine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using submerged membrane and pressurized membrane | |
KR101469634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use of tubular filter module | |
CN209010331U (en) | A kind of sludge drying Wastewater zero-discharge treatment system | |
KR200304931Y1 (en) | Small Drinking Water Treatment Equipment | |
CN104959036A (en) | Immersion ultrafiltration system for preparing reclaimed water, and application thereof | |
CN214654008U (en) | Underground mine water treatment device for coal mine | |
CN110862168A (en) | Electrode foil phosphorus-containing clean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proces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