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77B1 -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77B1
KR101973177B1 KR1020170133413A KR20170133413A KR101973177B1 KR 101973177 B1 KR101973177 B1 KR 101973177B1 KR 1020170133413 A KR1020170133413 A KR 1020170133413A KR 20170133413 A KR20170133413 A KR 20170133413A KR 101973177 B1 KR101973177 B1 KR 10197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int
click
termina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604A (ko
Inventor
류종호
최동규
Original Assignee
(주)에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피 filed Critical (주)에피
Publication of KR2018004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과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ASK MANAGEMENT}
모바일 앱 개발 과정을 검수하는 기술에 연관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1차 개발된 모바일 앱에 대한 검수 과정에서 기능 오류 또는 디자인 구현 오류의 피드백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요시간을 단축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업무 관리 툴(Project Management System 또는 Task Management System)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연관된다.
2010년 앱스토어의 등장과 함께 모바일 시장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앱스토어에 등록되는 모바일 앱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가질 수 있도록 제품 출시 전 각종 테스트 및 검수 작업을 수행하는 QA(Quality Assurance)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QA는 앱 기획서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개발이 완료된 모바일 앱에 대한 수정과 수정 결과에 대한 검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수정 및 검수 과정에서 기획자(또는 앱 테스트 수행자)와 개발자 간의 의견 교환을 위해 업무 관리 툴이 이용되기도 한다.
다만, 현재 모바일 앱 개발 과정의 QA 작업에 특화된 업무 관리 툴(PMS 또는 TMS)의 부재로 인해, 데스크탑 기반의 소프트웨어나 웹 페이지에 대한 QA 작업을 위해 개발된 이슈 트래커(issue tracker)가 모바일 앱 개발 과정의 QA 작업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이슈 트래커의 경우,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 특화된 업무 관리 툴이 아니기 때문에,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수밖에 없다. 이를 테면, 모바일 기기 상에서 앱 화면을 캡처한 후 캡처 이미지를 데스크탑으로 옮겨와 기존 업무 관리 툴에서 인용하여 설명하기까지, 많은 반복적인 노동이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다. 구체적으로 PPT나 포토샵, 그림판 등의 별도 도구를 이용하여 이해의 직관성을 위해 추가적인 그림 작업(대상 지점 및 박스 표시 등)의 수행에 많은 행위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모바일 앱의 QA 작업에 최적화된 업무 관리 툴의 개발이 요구된다.
삭제
한국 공개특허 10-2012-0067524호 (공개일자 2012년06월26일)는 애플리케이션 검증 시스템을 제시한다.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쳐와 검증 툴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측에 따르면,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과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집부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자동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생성되는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 작업 섹션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은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미리 지정되는 위치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이슈 지점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도 가능하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참고 지점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놓는 경우 상기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업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컴퓨터로 구현되는 앱 품질 검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와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슈를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통합 자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되는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 작업 섹션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슈를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은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자동 수집한다.
이 때,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미리 지정되는 위치로 수집하는 업무 관리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섹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이슈 지점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업무 관리 방법도 가능하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고 지점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마우스 올려놓는 경우 상기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일측에 따르면 업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 최적화된 QA 작업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앱 품질 검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데스크탑의 업무 관리 툴과 실시간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라 기능 오류에 관한 QA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구현 오류에 관한 QA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미리 지정되는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업무 관리 툴을 도시한다,
도 7b는 미리 지정되는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작업 섹션에 참고 지점을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 최적화된 QA 작업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나 웹 페이지의 QA 작업에 이용되는 이슈 트래커를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서 활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앱 화면 캡처하여 데스크탑의 업무 관리 툴에 옮겨와 QA 작업을 수행하기까지 다수의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이로 인해 QA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를 테면, 모바일 단말 상에서 앱 화면을 캡처한 후 파일 전송 앱을 실행하여 QA 작업을 위한 데스크탑으로 전송하고, 데스크탑에서는 PPT를 실행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캡처 이미지를 로딩한 후 관련 이슈를 문서로 작성하며, 작성된 문서는 업무 관리 툴을 통해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등의 불편한 절차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모바일 단말(110)의 앱 화면 캡처와 동시에 QA 작업을 위한 데스크탑(100)으로 동기화하는 기술과 비교적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모바일 앱의 QA 작업에 특화된 UI를 제공하는 기술 등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 최적화된 업무 관리 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10)에서 기능 오류나 디자인 구현 오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앱 화면을 캡처하면, 캡처된 이미지는 데스크탑(100)의 QA 툴에 자동으로 실시간 동기화된다. 이 경우, 파일 전송 앱을 이용하여 캡처 이미지를 데스크탑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이미지를 PPT에서 붙여넣어 해당 이슈에 관한 문서를 작성한 후 업무 관리 툴에 첨부하여 담당자에게 전달하는 등 기존의 QA 과정에서 필요로 하던 번거로운 중간 절차들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데스크탑(100)의 QA에 적합한 업무 관리 툴에서는 모바일 단말(110)로부터 캡처 이미지를 동기화하면서 상기 캡처 이미지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함께 자동 수집한다. 상기 관련 정보는 모바일 어플의 수정 작업에 중요하게 이용되는 정보로서, 모바일 단말(110)의 기종, OS 버전, 캡처 일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스크탑(100)의 QA 툴에서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캡처 이미지와 함께 자동 수집하여 동기화함으로써, 해당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기록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정보의 수집이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 데스크탑(100)의 QA 툴에서는 캡처 이미지에 대한 이슈 사항을 작성 및 처리함에 있어, 여러 도형이나 지시 선, 텍스트 박스 등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한 번의 클릭 만으로도 기능 오류나 디자인 구현 오류에 관한 피드백을 위한 UI를 자동 생성 및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앱의 QA 작업을 위한 절차가 간소화 되면서, 작업에 소요되는 물리적 시간도 절감되며 업무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업무 관리 시스템(200)은 모바일 앱에 대한 검수 과정에서 기능 오류 또는 디자인 오류의 피드백을 위해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툴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는 수집부(220), 생성부(230) 및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집부(220)는 상기 시스템(200)과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테스트하는 기기로서, 상기 모바일 앱 실행 중 발견된 오류 사항의 피드백 작업을 위해 해당 오류 사항이 포함된 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실시간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수집부(220)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함께 자동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생성부(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섹션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오류 사항에 대한 피드백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제1 이미지 상에서 한 번의 클릭 만으로도 자동 생성된다.
상기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경우에 단순 클릭을 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240)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한다. 상기 처리부(24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인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한다. 상기 배치되는 텍스트 박스 및 코멘트 툴은 그 모양이나 크기에 제한 없이 편집 가능하며, 여러 도형을 결합시켜 코멘트 공간을 직접 생성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입력되는 한 번의 클릭만으로도 간단히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240)는 상기 생성되는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섹션 각각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작업 섹션 별로 작업 히스토리와, 검수자 및 개발자 간의 의견 교환 내용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처리부(240)는 이미지를 임의의 위치에 첨부가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댓글의 우측에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수집부(220)에 의해 새롭게 수집되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미지의 일부분인 이미지일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앱 품질 검수 시스템(200)은 단말에서 모바일 앱 화면을 캡처함과 동시에 캡처된 이미지를 데스크탑의 업무 관리 툴로 실시간 동기화 함으로써, QA 작업 수행 시 기존 방식에서 요구되던 다수의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QA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캡처 이미지와 이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함께 자동 동기화하고, 작업 코멘트 작성을 위한 그리기 툴 기능을 제공하는 등 모바일 앱 개발 과정에 최적화된 QA 작업 방식이 가능해진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데스크탑의 업무 관리 툴과 실시간 동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테스트하는 기기이다. 상기 모바일 앱 실행 중 발견된 오류 사항에 대한 피드백 작업을 위해, 상기 단말에서는 해당 오류 사항이 포함된 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실시간 자동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의 캡처 이미지를 테스크탑의 업무 관리 툴에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단말에서 동기화 앱이 실행되어야 한다. 상기 동기화 앱에서는 각 단말 또는 각 사용자별로 부여된 ID로 로그인 한 상태에서 상기 데스크탑의 QA 툴과 동기화가 가능하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앱을 실행하면 상기 단말에 동기화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데,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동기화 시작/종료 설정을 비롯하여 동기화 폴더 지정과, 동기화 시간, 통신 환경 등과 같은 그 외 동기화 조건에 관한 설정 또한 가능하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과의 동기화가 진행 중이지 않을 때에는, 상기 동기화 앱에 도 3 좌측과 같이 동기화 시작 설정 화면(310)이 표시된다. 동기화 시작 설정 화면(310)에서는, 동기화 작업 중 파일이 저장될 동기화 폴더를 지정할 수 있는데, 상기 단말의 캡처 이미지가 저장된 로컬 폴더와 상기 캡처 이미지를 상기 업무 관리 툴에 동기화하여 저장할 팀 폴더를 지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를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통신 환경에서만 수행할 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동기화 시작 설정 화면(310)에서 동기화 시작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 이후 실행되는 모바일 앱의 캡처 이미지는 상기 지정된 팀 폴더로 전송되어 상기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에 자동 로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앱의 화면을 캡처하는 방식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테면, 동기화 시작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서 화면 캡처에 대응하는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해당 화면을 캡처하여 캡처된 이미지를 상기 업무 관리 툴에 자동 로딩하거나, 또는 동기화 시작이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모바일 앱 실행 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업무 관리 툴에 자동적으로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에서 상기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과의 동기화가 진행 중일 때에는, 상기 동기화 앱에 도 3 우측과 같이 동기화 종료 설정 화면(320)이 표시된다. 동기화 종료 설정 화면(320)에서는, 자동 동기화 설정 여부나 동기화의 자동꺼짐까지 남은 시간 등의 내용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과 상기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 간의 동기화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자동 동기화는 동기화 시작 설정 후 동기화를 지속하도록 설정된 시간동안 캡처 이미지를 자동으로 실시간 동기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수동 동기화는 동기화 시작 및 종료 설정 모두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의 동기화 종료 설정 화면(320) 하단에서 동기화 자동꺼짐이 미설정된 경우가 상기 수동 동기화와 같이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동기화 종료 버튼이 입력되기 전까지 계속 동기화 작업이 수행된다. 이에 반해, 상기 동기화 종료 설정 화면(320) 하단에서 동기화 자동꺼짐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이를 테면, 1분 후, 10분 후, 30분 후 및 1시간 후 중 어느 하나) 자동 동기화가 수행된 후 상기 동기화 설정이 자동 해제되며, 상기 동기화 설정의 자동꺼짐까지 남은 시간이 화면 제일 하단에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라 기능 오류에 관한 QA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모바일 앱 화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캡처 이미지가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로 동기화되면, 상기 업무 관리 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처 이미지를 자동 로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처 이미지 중 QA 작업을 수행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오류 사항에 대한 피드백 작업을 위해 작업 섹션이 생성된다. 상기 오류 사항 내용이 기능 오류에 관한 것인지, 또는 디자인 오류에 관한 것인지에 따라 상기 작업 섹션에 생성 및 배치되는 작업 툴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도 4a와 같이 작업을 위한 UI(410)가 생성되며, 상기 작업 UI는 캡처 이미지 목록 표시 영역(411), 작업 영역(412) 및 저장 영역(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캡처 이미지 목록 표시 영역(411)으로부터 작업할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작업 영역(412)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가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된다. 상기 배치되는 지시자 및 텍스트 박스는 상기 기능 오류 작업 UI(410) 상단에서 선택 가능한데, 그 종류는 도 4b과 같다.
도 4b를 보면, 상기 지시자 및 텍스트 박스는 421 내지 425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된 이미지에서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는 번호, 화살표, 점 및 도형 등으로 지정 가능하고, 상기 지시자와 결합되어 생성된 텍스트 박스에는 상기 이슈 지점의 기능 오류 내용이 기록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이나 크기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는 여러 도형과 선을 결합시켜 코멘트 공간을 직접 생성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도, 상기 기능 오류 작업 UI(410) 상단에 나열된 지시자 및 텍스트 박스의 조합들 중 원하는 형태를 선택하는 간단한 방식만으로 상기 기능 오류에 대한 피드백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오류 작업 UI(410)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이슈 사항 별로 상기 지시자 및 텍스트 박스가 생성 및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지시자 및 텍스트 박스는 이슈 사항에 따라 구분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오류에 관한 QA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캡처 이미지를 데스크탑 업무 관리 툴로 동기화하여 상기 업무 관리 툴에 자동 로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처 이미지 중 QA 작업을 수행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오류 사항에 대한 피드백 작업을 위해 작업 섹션이 생성된다.
도 5a와 같이 오류 관련 작업을 위한 UI(510)가 생성되며, 상기 오류 작업 UI는 캡처 이미지 목록 표시 영역(511), 작업 영역(512), 원본파일 불러오기 영역(513) 및 저장 영역(5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캡처 이미지 목록 표시 영역(511)으로부터 작업할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작업 영역(512)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인 대상 이미지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자인 오류 작업 UI(510)에서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을 로드하기 위한 '원본파일 불러오기 영역'(513)이 화면 상단에 추가 배치된다. 캡쳐한 화면과 불러온 화면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래 출력하려는 이미지와 실제 출력되는 이미지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앱 개발 당시 기획했던 이미지와 실제 구현되는 이미지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등의 응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이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된다. 상기 코멘트 툴은 상기 디자인 오류 작업 UI(510) 상단에서 선택 가능하며, 그 종류는 도 5b과 같다.
도 5b에서, 상기 코멘트 툴은 521 내지 52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이나 크기에 제한 없이 편집 가능하다. 선택된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에 대한 비교 내용 기록을 위한 코멘트 박스를 중심으로, 성가 코멘트 박스의 양쪽 끝에는 두 이미지의 이슈 지점을 가리키는 지시선이 각각 결합된다. 두 개의 지시선 중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선의 끝은 번호, 화살표, 점, 도형 등으로 지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 이미지에서 상기 이슈 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지시선의 끝은 화살표로 지정하여 구분되도록 한다.
기존의 경우, 개발 중인 앱 화면과 원본 디자인을 동일한 해상도에서 비교하기 위해 미러링 프로그램과 PSD 원본 뷰어를 동일한 크기로 맞추어 비교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였으나, 상기 디자인 오류 작업 UI(510)에서는 상단의 원본 불러오기 버튼 클릭 만으로 간단히 원본 디자인 파일을 로드하여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도형과 선을 결합시켜 코멘트 공간을 직접 생성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상기 오류 작업 UI(510) 상단에 나열된 코멘트 툴 보기 중 원하는 형태를 선택하는 방식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오류에 대한 피드백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앱 품질 검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업무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앱에 대한 검수 과정에서 기능 오류 또는 디자인 오류의 피드백을 위해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툴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610에서는, 업무 관리 시스템의 수집부가 상기 컴퓨터와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테스트하는 기기로서, 상기 모바일 앱 실행 중 발견된 오류 사항의 피드백 작업을 위해 해당 오류 사항이 포함된 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실시간 자동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수집부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함께 자동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620에서는, 앱 품질 검수 시스템의 생성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섹션은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오류 사항에 대한 피드백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상기 제1 이미지 상에서 한 번의 클릭 만으로도 자동 생성된다.
단계 630에서는, 앱 품질 검수 시스템의 처리부가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사항을 등록 및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단계 620에서 생성된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섹션 각각을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단계 630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한다. 또는, 상기 작업 섹션이 다른 종류의 오류에 관한 것인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인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치되는 텍스트 박스 및 코멘트 툴은 그 모양이나 크기에 제한 없이 편집 가능하며, 여러 도형을 결합시켜 코멘트 공간을 직접 생성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입력되는 한 번의 클릭만으로도 간단히 생성될 수 있다.
도 7a는 미리 지정되는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업무 관리 툴을 도시한다,
업무 관리 툴을 사용하는 경우에 "여기로 이미지 삽입" 버튼을 클릭하여 한번의 클릭으로 해당 위치에 원하는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할당되는 업무의 댓글이 작성되어 있고, 상기 댓글의 우측에 상기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상기 버튼이 존재하는 위치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이용하여 한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위치에 사진을 첨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에 사진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휴대폰에서 사진을 선택하여 업로드하고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복사 및 붙여넣기 등을 통해 번거로운 절차들이 있으나, 본원은 원클릭으로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어 용이하다.
도 7b는 미리 지정되는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경우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서 선택되는 이미지가 미리 지정되는 위치로 업로드 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미리 지정되는 위치는, 도 7a에서 선택한 상기 버튼의 위치일 수 있다.
도 8은 작업 섹션에 참고 지점을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작업 섹션에 QA 관련한 텍스트를 작성하는 경우에 저장된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언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부분을 "참고 지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참고 지점(영역)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원하는 참고 지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클릭한 후, 참고 지점을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참고 지점을 생성하는 경우에 텍스트 박스에는 참고 지점과 동일한 표시자가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고 지점 ⓒ를 이미지상에 생성하는 경우에 동일한 표시자 ⓒ가 텍스트 박스에도 생성되어 별도의 입력 없이 참고 지점을 인용할 수 있다. 별도의 입력 절차를 줄일 수 있으며, 동일한 표시자가 생성되기 때문에 인용시에 인용되는 참고 지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도 존재한다.
도 9는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제1 이미지의 크기가 큰 경우에, QA 텍스트를 보고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부분을 찾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텍스트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상기 특정 부분이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 뿐 하이라이트 외에 상기 특정 부분이 반복적으로 점멸하거나 색이 변경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과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캡쳐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제1 클릭에 의해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이슈 지점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 섹션은,
    제2 클릭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섹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이미지를 수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자동 수집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생성되는 상기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 작업 섹션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인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미리 지정되는 위치로 수집하는 업무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참고 지점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마우스 올려놓는 경우 상기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업무 관리 시스템.
  11. 컴퓨터로 구현되는 업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캡쳐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제1 클릭에 의해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섹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이슈 지점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 섹션은,
    제2 클릭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섹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이미지를 수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생성되는 상기 작업 섹션마다 식별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각 작업 섹션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업무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지정된 상기 이슈 지점을 표시하는 지시자와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코멘트 입력이 가능한 텍스트 박스를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하는 업무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원본 디자인 파일인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피드백 공간과,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대상 이미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코멘트 툴을 상기 작업 섹션에 배치하는 업무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동기화 설정된 시간 동안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싱크 정보를 자동 수집하는 업무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정보는,
    상기 단말의 기기정보, OS 정보 및 캡처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미리 지정되는 위치로 수집하는 업무 관리 방법.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지점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마우스 올려놓는 경우 상기 참고 지점이 하이라이트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업무 관리 방법.
  21. 업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동기화 설정된 단말로부터 캡쳐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된 제1 이미지 상에서 제1 클릭에 의해 이슈 지점으로 지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생성된 작업 섹션에 이슈 및 참고 지점을 등록 및 처리하는 명령어 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의 이슈 지점을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에는 클릭하는 점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클릭하여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클릭다운 지점과 클릭업 지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기준으로 작업 섹션을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이고,
    상기 작업 섹션은,
    제2 클릭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섹션 내부로 삽입되는 추가 이미지를 수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33413A 2016-10-14 2017-10-13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7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03 2016-10-14
KR20160133303 201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604A KR20180041604A (ko) 2018-04-24
KR101973177B1 true KR101973177B1 (ko) 2019-04-26

Family

ID=6208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413A KR101973177B1 (ko) 2016-10-14 2017-10-13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41A (ko) * 2003-12-09 2005-06-14 주식회사 아데나코리아 이기종 장치간 자원 공유를 위한 객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009603B2 (en) * 2007-10-24 2015-04-14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Web browser interface for spati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KR101773908B1 (ko) 2010-12-16 2017-09-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검증 시스템,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604A (ko)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241B2 (ja) 点検支援装置、点検支援方法、点検支援プログラム
JP6052459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739855B (zh) 实现数据表拼接及自动训练机器学习模型的方法和系统
JP2014510482A (ja)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デバイスのコンテンツをテス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268083B (zh) 软件自动化测试方法和装置
US10474481B2 (en) User interface layout comparison
JP5740634B2 (ja) 自動操作システム及び操作自動化方法
JP2017117309A (ja) 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テスト自動化システム
JP20180068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DE112015002544T5 (de) Systeme und Verfahren zur menügeführten Inspektion
CN109360065A (zh) 一种脚本执行方法及装置
US9959292B2 (en) Application program, smar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688601B2 (ja) 検査支援装置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6601018B2 (ja) 作業管理プログラム、作業管理方法および作業管理システム
JP6160761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46528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75971B1 (ko) 시공 현장의 실시간 관리 장치
KR101973177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779460B (zh) 离线指导装置、测量控制装置和存储介质
CN108334443A (zh) 生成测试用例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98775B1 (ko) 이동단말, 이를 포함하는 견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853747B2 (ja) 点検報告書作成システム
US10169216B2 (en) Simulating sensors
JP201800589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88284A (ja) 端末、サーバ、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