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600B1 -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600B1
KR101972600B1 KR1020180017283A KR20180017283A KR101972600B1 KR 101972600 B1 KR101972600 B1 KR 101972600B1 KR 1020180017283 A KR1020180017283 A KR 1020180017283A KR 20180017283 A KR20180017283 A KR 20180017283A KR 101972600 B1 KR101972600 B1 KR 10197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ignal
laser
driving pow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8001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600B1/ko
Priority to EP18840628.4A priority patent/EP3662595A4/en
Priority to US16/634,157 priority patent/US10931378B2/en
Priority to CN201880048566.8A priority patent/CN110945802B/zh
Priority to PCT/KR2018/008548 priority patent/WO201902718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600B1/ko
Priority to US17/118,625 priority patent/US114446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64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3Laser transmi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일면에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히터; 상기 히터를 동작시키는 제1히터전력, 제2히터전력, 제3히터전력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3 히터전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히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제공부; 상기 제2히터전력은 제1히터전력보다 크고, 제1히터전력은 제3히터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and Control Method of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본 발명은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광송신기가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파장변화에 따른 채널간의 누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광송신기 및 누화를 억제하는 광송신기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 NG-PON2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통신 방식은 TWDM(tim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TWDM 방식은 하나의 광섬유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가 4개또는 8개의 허용되는 파장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정 할 수 있으며, 동일한 파장 채널을 사용하는 복수의 가입자는 서로 정하여진 시간에만 시간을 주고 받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법으로 광섬유를 공유하는 방법을 말한다.
TWDM 방식에서는 4개 또는 8개의 서로 다른 파장이 동시에 사용되는데, 이들 채널 사이의 주파수 간격은 100GHz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같은 파장 채널을 사용하는 가입자들은, 어느 한 가입자가 통신을 하고 있을 때 같은 채널의 다른 가입자들은 통신을 하지 않게 되며, 이는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가입자의 송신용 레이저는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법을 적용 할 경우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상태의 가입자의 반도체 레이저는 빛을 방출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가, 전화국사에서 통신에 참여하라는 신호를 받으면 그때부터 가입자 쪽의 반도체 레이저가 빛을 방출 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런 특성은 각 가입자 입장에서 볼 때 통신이 지정된 짧은 시간에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형태가 되며 이러한 동작 특성을 “버스트모드(burst mode) 동작”이라한다.
그러나 반도체 레이저에서 레이저가 빛을 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전류를 흘려주어 빛을 발산하는 상태로 바뀌게 되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joule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의 온도가 바뀌게 된다.
즉 반도체 레이저가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에 전류가 흘러 동작을 하는 상태가 되면, 흐르는 전류에 따라 joule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joule열이 점차 누적되게 되어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의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활성층의 온도 상승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열도 증가하여, 결국 발생하는 열과 외부로 방출되는 열이 균형을 이루는 시점에서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의 온도는 안정화 된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통상적으로 수 msec 이내의 시간에 이루어진다.
한편,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은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구동 전류의 변화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의 온도 변화는 레이저의 발진 파장의 변화를 가져온다.
반도체 레이저의 온도는 반도체 레이저에서 발생하는 열과 반도체 레이저가 배치되어 있는 기판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기판의 온도는 최종적으로 대기 온도와 반도체 레이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사이에 열 균형을 이루는 온도에서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의 온도가 안정화 되게 된다. 즉 반도체 레이저가 일정한 열을 발생시키고 있다 하더라도, 외부 환경 온도가 바뀌면, 이런 외부 환경 온도의 변화는 반도체 레이저가 배치되어 있는 기판의 온도를 바꾸어서, 다시 열적 균형을 깨트리게 되고,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의 온도는 바뀌게 된다.
현재 NG-PON2의 방식에 가능한 반도체 레이저는 DFB-LD(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가 가능하다. 그러나 반도체 레이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층의 온도에 따라 발진 파장이 달라지게 되며,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의 온도는 외부 환경 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어, 통상적으로 1의 외부 환경 온도 는 대략 90pm의 반도체 레이저 발진 파장의 변화를 가져온다. 현재 100GHz의 주파수 간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NG-PON2 규격에서 이런 주파수 간격은 대략 800pm의 파장 간격에 해당하고, 인접 채널로의 혼선을 없애기 위해서는 현재 NG-PON2 규격에서는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안정화를 설정 파장 +/-160pm로 정의하고 있다. 즉 반도체 레이저에서 실제 레이저와 형성되고 방출되는 반도체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2에서 안정화되어야 한다. 외부 환경 온도 변화는 대략 -40 ~ 85까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 온도의 변화가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의 온도 변화를 야기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이런 방법으로써 열전소자(thermo-electric cooler)를 사용해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온도를 외부 환경 온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열전 소자를 최대 전력으로 구동하여도 최대 0.08/msec정도의 매우 느린 온도 변화 속도를 가진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NG-PON2의 TWDM-PON에서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시간 동안에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발열량이 burst 동작 하지 않을 때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층 온도가 변화하는 것은 nano sec에서 μsec의 짧은 시간에 대부분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통상적인 heat sink 위에 장착된 반도체 레이저를 펄스(pulse)로 구동 할 때, 펄스시간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활성층 영역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영역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2에서 반도체 레이저가 펄스 동작을 시작하면, 펄스의 길이에 따라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며, 펄스의 길이가 길어지면 활성층의 온도는 계속 증가하나, 증가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반도체 레이저 활성층으로부터의 거리와 열이 확산되는 물질의 열전달률 등에 따라 펄스에 의해 생성된 열 에너지가 반도체 레이저의 온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도 2의 그림으로부터 반도체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는 주로 반도체 활성층과 거리가 가까운 부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수십 μsec의 매우 짧은 시간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반응속도가 느린 열전소자는 반도체 레이저가 버스트로 동작 할 경우 반도체 레이저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Joule 열에 의한 반도체 활성층 영역의 온도 변화를 제어하지 못한다.
도 3은 주로 μsec ~ sec의 시간에서의 반도체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Arris Enterprises의 Ayham Al-Banna 등이 2014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활성 영역에서의 온도 변화는 반도체 레이저가 동작하기 시작한 후 nsec 크기의 시간에서도 변화가 측정 될 수 있는 반응속도가 매우 빠른 효과이다.
반도체 레이저를 burst로 동작시킬 때, 반도체 레이저가 burst 동작하지 않을 때와 burst 동작 할 경우에 발생하는 열량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 영역에서는 매우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Burst mode 반도체 레이저 구동에서 이러한 nsec~msec 영역의 짧은 시간에 반도체 레이저 활성 영역에서 일어나는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 칩에 히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기되어 왔다.
미국특허 5,140,605에서 Paoli등은 고출력 레이저 프린터에서 레이저의 “on" 시간이 10~100nanosec의 pulse 특성을 가지며, 프린트하는 패턴에 따라, 레이저가 "on" "off" 시간에 많은 변화가 있으며, 이에따라 반도체 레이저가 일정한 온도에 있지 못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이 안정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따라 print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Paoli등은 이에따라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상부에 금속의 저항을 형성하고, 반도체 레이저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는 히터를 구동시켜 반도체 레이저의 구동과 관계없이 반도체 레이저가 일정한 온도에 있게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를 "on", "off"의 패턴과 관계 없이 일정한 "on"상태의 레이저 출력을 안정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다.
도 4는 통신용에 사용되는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미국특허 5,345,459에서는 광통신에 있어서 두 개의 활성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를 구조로 만들고, 어느 하나의 활성 영역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빛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되, 다른 활성 영역은 통신에 참여하는 활성 영역의 레이저와 교대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하나의 반도체 활성 영역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발진시키게 되면 레이저의 "on" "off" 주기에 따라 통신에 참여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가 매우 심하게 교란되지만 두 개의 반도체 레이저 활성 영역을 교대로 "on" "off"시키게 되면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 시킬수 있다.
미국특허 5,345,459에서는 도 5와 같이 두 개의 레이저 활성 영역은 동일한 전력으로 구동되는데, 이에따라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의 동작과 무관하게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칩에서의 전체적인 소모 전력은 동일하고, 이에따라 반도체 칩 전체적으로 발열량은 시간에 무관하게 일정한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같은 히터를 이용한 레이저 활성 영역 온도조절 방법을 이하 '제1 히터제어방법'이라 하겠다.
그러나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같은 열량이 발생하더라도 열원과의 거리에 따라 각 지점에서의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레이저의 활성 영역(20)에서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A)으로 주입되는 전력이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에 미치는 열적 영향과,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레이저 활성 영역(B)에 주입되는 전력이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게 된다. 즉 미국특허 5,345,459에서와 같이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A)에 주입되는 전력은 매우 좁은 영역에 전력이 집중되는 반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레이저 활성 영역(B)에 주입되는 전력이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넓은 면적에 평균화된 전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두 개의 활성 영역에 동일한 전력을 교대로 주입한다고 해서 통신에 참여하는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완전히 보상하기 힘들다.
따라서, 종래 방법으로는 파장 간격이 800pm인 NG-PON2에 있어서 상기한 방법으로는 수 nanosec 이내에서 활성층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억제하기 어렵다.
도 6은 레이저의 활성 영역(20)이 반도체 칩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형(Buried Hetero structure- BH) 반도체 레이저의 레이저 활성 영역(20)의 상부 표면에 히터(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레이저 활성 영역에 전류가 주입되어 열을 발생시킬 경우와 히터(10)에 전력이 주입되어 열을 발생 시킬 경우의 동일 온도 분포선(30)을 보여주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에서 발진하는 레이저의 파장의 안정성은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히터(10)에서 열이 발생하는 열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히터(10)에서 발생한 열이 레이저 활성 영역(20)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 열이 좁은 지역에서 발생 할 경우 좁은 지역의 온도는 매우 높아지며, 열원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도2에서 펄스로 반도체 레이저에 전력을 주입 할 경우 레이저 활성영역(20)의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은 레이저의 전력 주입 지역인 레이저 활성 영역에 가까울수록 반응이 빠르게 된다.
반도체 레이저 활성 영역에 전력을 주입 할 경우 레이저 활성 영역에서 가까운 부분의 영향에 의한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은 시간에 따라 매우 급격하게 일어나며, 레이저 다이오드 칩 전체적으로 열이 확산되어 이에따라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 속도는 완만하여진다. 이러한 과정을 도 7에 설명하였다. NG-PON2와 같이 burst mode 동작하는 네트웍에서 burst mode 레이저의 동작은 전화국사의 통신장비인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burst enable(BEN)" 시그널을 받아 동작을 시작한다. Burst mode laser가 BEN 시그널을 받으면 burst mode 레이저의 활성영역에 전류가 주입되며, 이에따라 발생하는 joule 열이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레이저 활성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전파되어 나가면서 인접한 지역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 상승한 인접 지역의 온도는 다시 활성 영역의 온도를 상승시켜 레이저 활성 영역과 인접한 지역사이의 온도차가 있도록 하여 열이 전파되어 나가도록 한다. Burst mode 레이저가 동작을 시작하면, 인접 지역의 영향에 의해 초기에 급격한 온도 상승을 일으키게 되며, 열이 외부로 전파 되면서 레이저 활성 영역 온도의 상승효과는 완만하게 된다.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은 반도체 레이저로 주입되는 전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통상적으로 길이 300micrometer의 활성 영역 길이를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의 경우에 100mW의 전력 주입에 통상적으로 20 정도의 활성 영역 온도 상승을 가져온다. 여기서 주의하여야 할 점은 반도체 레이저의 경우 주입된 전력의 일부는 빛으로 변환되어 반도체 칩을 탈출하기 때문에 반도체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전력은 통상적으로 주입 전력의 2/3 정도가 된다. 즉 반도체 레이저의 활성 영역에서 약 66mW의 열이 발생 할 경우 반도체 레이저의 온도 상승은 대략 20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과 열 및 온도를 이야기 할 때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이라는 것은 빛으로 전환되는 전력을 제하고 열 및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력만을 지칭하여 이야기 한다.
도 7에서 열전소자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활성 영역으로 흐르는 전력을 100mW 정도 흘리면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는 20도 이상 변하게 되며, 이러한 온도 변화는 1.8nm 이상의 파장 변화를 가져온다. 도 7에서 파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저 전력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저 활성 영역에 주입되는 전력 중 빛으로 변환되는 전력을 제외하고 열로 전환되는 전력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ON되는 시점(BEN)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 영역의 근접영역에서는 급격한 온도변화(31, near active area effect)를 야기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 영역에서 먼 지점은 온도의 변화가 천천히 일어난다(32, far from active area effect).
도 7과 같은 경우에 1.8nm이상의 파장 변화는 채널간의 간격이 100GHz(대략 0.8nm)인 NG-PON2에 있어서 2채널 이상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의 레이저로는 각 채널에서 안정적인 통신이 일어나지 못하게 한다.
도 8은 히터가 동작할 때 히터에 주입되는 전력에 따라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가 바뀌는 모습(Variation of temp. of laser active area with heater operation)을 보여준다. 히터(10)와 레이저 활성영역은 거리상에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히터에 가해지는 전력이 레이저 활성영역에 가해지는 전력(열 변환 되는 전력)과 동일하다 하더라도, 히터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은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에 비해 낮아지게 된다.
도 9는 히터와 레이저 활성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이 교대로 주입될 경우,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를 보여준다.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전력이 주입되기 시작 할 때 이미 레이저 활성 영역은 히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상태이므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에 의한 온도 상승 효과와 히터가 꺼짐으로 발생하는 온도 하강 효과를 동시에 겪게 된다. 그러나 같은 전력이 레이저 활성영역(열로 변환되는 전력만 고려)과 히터로 공급된다 하여도, 각 전력이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레이저 활성 영역에 주입되는 전력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반응속도가 히터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반응속도보다 빠르므로, 레이저 활성 영역에 전력이 주입된 시점부터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히터의 꺼짐에 의한 효과에 의해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이 줄어들게 된다. 즉 도 9에서 제1 히터제어방법인 히터와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을 교대로 주입함으로써 도 7의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폭보다 줄어든 온도 변화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레이저 파장 변화가 줄어들게 된다.
도 10은 4채널의 NG-PON2 가 동작 하고 있을 때, 종래의 히터와 레이저 활성 영역의 구동을 단순히 교대로 구동 하는 제1 히터제어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채널2의 레이저가 동작 할 경우 채널1의 반응을 측정한 그림이다. 채널 2에서 burst mode로 동작하는 레이저의 경우 채널 1에서는 반응이 없어야 하지만, 종래의 방법에서는 채널 1으로의 누화가 발생한다. 이는 종래의 방법에서 히터가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를 충분히 상쇄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레이저 활성 영역이 구동을 시작할 때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히터에 의해 안정된 온도 상태에 있고,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전력이 주입됨에 따라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가 상승하며, 이에 따라 파장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전력이 주입되기 시작할 때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가장 낮은 상태에 있고, 이 때 파장이 가장 짧은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레이저 동작 초기에는 낮은 채널로의 누화가 가능한 시점이다.
도 11은 레이저 동작 초기의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가 낮음에 의해 발생하는 파장이 짧은 채널로의 누화를 막기 위해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에 비해 히터로 주입되는 전력을 크게 한 경우의 그림(본 방법을 제2 히터제어방법이라 함)이다. 도 11에서 히터만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채널2에 적절하게 맞춰놓은 경우에 레이저 활성영역으로 전력이 주입되면,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이 히터에 의한 온도에서 출발하여 급격한 온도 상승을 이루게 되게,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채널2에 비해 파장이 긴 채널에 해당하는 온도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채널2에서 파장이 더 긴 채널3로의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를 버스트모드로 구동할 때 burst 시작의 수 nanosec에서 수백 nanosec 이내에서 발생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 drift를 줄여서 100GHz의 파장 간격을 가지는 NG-PON2에 채널간의 누화를 방지하는 반도체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송신기 내 광원으로 바이어스 구동 전원 외에 추가 구동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 경과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광 송신기 및 광 송신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 mode Enable)를 수신한 후, 광원을 포함하는 광 송신기로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기울기로 증가하는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제1 인가과정과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인가과정 및 상기 제2 인가과정 이후에 전송할 정보를 포함하는 변조신호의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신호 공급방법은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제3 인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초기치에서 제2 기울기로 증가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제2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광원으로 인가된 후, 상기 구동전원이 상기 기준치까지 도달하기 전에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인가과정은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 mode Enable)를 수신한 후 30nsec 내지 70nsec 가 경과한 시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제3 인가과정은 40nsec 내지 80nsec 가 경과한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제2 인가과정이 시작된 이후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인가된 추가 구동전원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수준 낮아짐으로써,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신호 공급방법으로 상기 전원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광 송신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mode Enable)를 수신한 후, 광원을 이용하여 광 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광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기울기로 증가하는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고,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고 기 설정된 시간 지난 이후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구동전원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 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구동전원과 함께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초기치에서 제2 기울기로 증가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광원으로 인가된 후, 상기 구동전원이 상기 기준치까지 도달하기 전에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는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mode Enable)를 수신한 후 30nsec 내지 70nsec 가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고, 40nsec 내지 80nsec 가 경과한 때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는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는 시점 이후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는 인가된 추가 구동전원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수준만큼 낮아지는 경우,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레이저의 파장 변화를 최소화하든지 또는 파장 변화로 인한 다른 채널로의 간섭을 줄여 100GHz등의 좁은 채널간 간격을 가지는 NG-PON2와 같은 TWDM-PON에서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광 송신기는 광 송신기 내 광원으로 바이어스 구동 전원 외에 추가 구동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 경과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열전소자에 의한 온도 하향 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펄스 폭에 의한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는 펄스 폭에 의한 파장 드리프트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가 시간에 따라 레이저와 히터의 교차 동작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 내 히터와 레이저 활성화 시, 각각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로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 인가 시, 레이저 활성화 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 내 히터에 의한 레이저 활성화 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로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로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에 따른 채널 누화현상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광 송신기로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광 송신기 내 광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전력 제어방법에 따른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 인가되는 각각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 인가되는 각각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구동하는 방법으로 사용된 히터제어방법은 제3 히터제어방법이라 한다.
도 12에서는 히터가 “heater on" 상태(제1 히터전력)(도8의 heater on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있을 때. 시스템으로부터 ”burst enable(BEN)" 신호가 도착하면 히터는 “heater on" 상태보다 높은 전력 상태인 "heater high"모드(제2 히터전력)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면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heater on" 모드에 비해 상승하게 되고, "heater high"모드에서 heater가 꺼지거나 소정의 파워 아래로 되는 경우(" heater idle" 모드로 진입, 제3 히터전력)와 동시에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레이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이저 전류가 주입되게 된다. 이와같이 레이저를 발진 시키기 위해 레이저 활성영역으로 전류가 주입되는 시점을 "laser diodee on (LD on)" 모드(제1 LD전력)라 한다. "LD on" 모드의 시작시점에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는 "heater on"모드에 의한 온도가 아니라 “heater on" 모드보다 높은 "heater high" 모드에 있게 되고 이에따라 "LD on"에 의해 레이저가 동작할 때의 레이저 파장은 채널2 허용 영역에 근접해 있게 된다. "heater high"모드는 소정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십 nanosec에서 수백 nanosec 정도가 적절하며, 이러한 짧은 "heater high"모드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 전체를 온도를 올리지 못하고, heater 주변 영역의 온도만 집중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레이저의 활성 영역과 히터는 가능하면 짧은 거리를 유지하며 통상적으로 5um 이내의 거리에 존재하므로 수백 micrometer의 길이를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크기에 비하면 히터와 레이저 활성 영역의 거리는 매우 짧은 편이다. 그러므로 "heater high" 모드는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레이저 칩 전체적으로는 "heater on" 모드에 의한 낮은 온도 상태에 있으므로 "heater high" 모드가 끝남과 동시에 "heater high" 모드는 도 8의 "heater on" 모드가 끝나고 나서의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하강 속도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heater high" 모드가 끝나고 히터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하강과 "LD on" 모드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 효과는 서로 부분적으로 상쇄되나,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의 효과가 더 커서 ”LD on" 시점부터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궁극적으로 "heater high" 모드가 꺼짐에 따른 온도차이를 겪으므로 “LD on" 모드에서의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변화는 도9에 비해 줄어들게 되며, 이러한 "LD on" 모드에서의 줄어든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차이는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이저의 파장 변화가 최소화된 레이저 파장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채널 2에서 동작하는 burst mode 레이저가 채널1의 짧은 파장 채널로의 누화 또는 채널3의 긴 파장 채널로의 누화가 최대한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히터제어방법은 '제3 히터제어방법'이라 함)
표 1은 종래와 같이 히터 동작을 "heater on"과 "heater idle"의 두 모드로 동작시킬 경우 채널 2의 burst 동작이 채널1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표이다.
채널1 총전송신호수 채널 1 에러신호수
채널 1만 혼자 동작 중일 경우 92020 1135
채널1 동작 중에 채널2가 burst 동작 할 경우 92020 1797
채널 1 에러 증가 비율 58.3%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채널 2에서 채널 1으로의 누화에 의해 채널1의 에러가 58.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원 발명에 의해 히터를 "heater on", "heater high", "heater idle"의 세가지 모드로 구성하고 "heater high“ 모드를 "heater on" 모드 보다 높은 전력으로 설정하고, "heater idle"모드를 "heater on" 모드보다 낮은 전력으로 설정한 경우 채널 2의 레이저가 burst 동작할 때 채널 1의 신호 수신이 받는 에러를 측정 한 결과 약 9.2% 의 에러 증가만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의해 히터 모드를 "heater on", "heater high", "heater idle"의 세가지 전력 모드로 구성하고 ”heater high"모드를 "heater on" 모드 보다 높게 설정하고, "heater idle" 모드의 전력을 "heater on" 모드 보다 낮은 전력으로 설정한 경우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당히 큰 폭으로 채널간의 누화를 막을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전력 제어방법에 따른 히터와 소정의 폭을 갖는 신호를 교차 인가 시, 레이저 활성영역의 온도 변화 실시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heater on" 모드 이후에 BEN 시그널을 받아 ”heater high" 모드가 동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heater low"의 모드(제4 히터전력) 상태가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heater idle" 전력 상태로 진행하는 순서를 보여준다. 이때 "heater low" 전력은 ”heater idle"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히터제어방법을 제4 히터제어방법'이라 함)
도 14의 경우에 "heater high" 모드가 끝난 후 히터는 "heater idle" 전력보다 낮은 전력 상태인 “heater low" 전력 상태로 진입하므로 히터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는 도 13의 경우보다 더 빨리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레이저 구동전력에 의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 속도가 더 빠른 상태에서, 도 13의 경우보다 더 빨리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히터의 동작 모드를 전력이 높은 순서로 ”heater high", "heater on", heater idle", "heater low"의 네단계 이상의 전력 모드를 구비하고, BEN 시그널 도착후에 "heater high", "heater low", "heater idle", "heater on"의 순서로 히터의 전력 모드를 구동한다. 물론 이러한 네단계의 전력 모드외에 여러 가지 전력 모드를 더 구비하여도 가능하다.
앞선 실시예는 히터의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광송신기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채널간의 누화를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의 실시예는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력의 모드, 즉 LD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단독으로도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한 제1 내지 제4 히터제어방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NGPON2와 같이 여러 채널이 동시에 사용되는 TWDM-PON에서 burst로 동작하는 레이저가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누화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에서 채널 누화로 나타나게 된다. 수신단은 레이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시키는 photo diode(또는 avalanch photo diode)와 TIA(trans impedance amplifier)를 거쳐 광신호가 수신되게 된다. 그런데 TIA 소자는 DC(direct current) 성분의 신호는 걸러내고 AC(alternating current) 성분만을 가지고 “1” 신호와 “0” 신호를 구분한다.
통상적으로 TIA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TIA에 수신 가능한 주파수의 신호만을 수신하며, TIA에서 수신이 불가능한 주파수의 신호는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10Gbps신호를 수신하는 TIA는 100MHz등의 저주파 신호 또는 20GHz 이상의 고주파신호는 TIA에서 노이즈로 인식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Burst로 구동되는 반도체 레이저는 BEN 신호가 오기전에는 최소한의 구동 전류 또는 무전류 상태에 있다. 여기서 최소한의 구동 전류라 함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문턱전류(threshold current) 보다 낮은 전류 상태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PON에서 레이저 동작은 Extinction ratio(ER) 과 평균 광출력 (output light power) 가 정의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레이저의 “0” 신호 레벨의 전류는 통상적으로 문턱 전류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들어 문턱전류가 6mA 인 반도체 레이저의 경우 레이저 off 상태의 전류는 6mA 이하로 설정되며, "1" 신호는 80mA , “0” 신호는 30mA로 설정된다. 지금 설명한 수치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예시일뿐으로 다른 수치들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AC coupling 방식의 레이저 구동 방식에서 반도체 레이저의 구동은 Ibias 와 Imod의 두가지 전류로 구동되는데 “1” 신호는 Ibias + Imod에 의해서 구성되고, "0" 신호는 Ibias 로 구성이 된다.
DC coupling 방식의 레이저 구동 방식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 전류가 “1” 신호는 Ibias + Imod/2으로 표현되고, "0" 신호는 Ibias - Imod/2 로 표현된다. 여기서 Ibias는 DC 성분의 전류이고, Imod은 통신 시스템에서 설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AC 성분의 전류를 말한다.
"1" 신호와 “0”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에서는 DC 성분의 광 출력과 수신단의 TIA에서 허용하지 않는 주파수의 성분은 걸러내고, TIA에서 허용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AC 성분의 광출력만을 이용아여 “1” 신호와 “0”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15의 (a)는 burst enable(BEN) 시그널을 보여준다. 이상적인 반도체 레이저 드라이버는 도 15(b)와 같이 BEN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1”과 “0” 신호를 구동하는 전류를 레이저 구동전류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질적인 반도체 레이저 구동소자는 도 15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이저 off에 해당하는 전류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간 지연을 가지고 정상적인 “1” 신호와 “0”신호에 해당하는 전류로 modulation(변조) 되는 전류를 인가하되, 시스템에서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modulation 되는 전류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15(c)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레이저가 off 상태에서 정상적인 신호 레벨을 가질 때 까지의 경과시간 (도에서는 1~500nanosec로 표현하였지만, 통상적으로는 1~100nanosec)에도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이 같은 경과시간은 도7에서 설명한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현상이다.
도 15(d)는 본원발명에 의한 laser turn on의 시간지연동안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주파수로 변조되지 않는 전류신호를 보냄으로써 수신단에서의 누화를 제거하는 본원 발명에서의 레이저 구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5의(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구동소자가 turn-on 되는 도 15의 Idle Time 동안 전류의 변조(modulation)가 되지 않은 단순히 증가하는 전류 신호만을 보내고, 미리 설정된 Idle Time 이후에 modulation 된 전류 신호로 레이저를 구동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전류 신호는 광송신기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증가하는 전류의 크기는 문턱 전류(Ith)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단에서 TIA가 직류성분 외에 소정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시간지연동안의 단순히 증가하는 전류 신호는 상기 소정의 주파수로 변조될 수도 있다.
레이저의 활성영역의 온도는 레이저의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류에만 의존할 뿐 그 전류가 modulation 되는지 여부와는 무관하다. 그러므로 도 15의 Idle Time 동안 레이저는 레이저 활성 영역으로 주입되는, 변조되지 않은 전류에 의해 가열된다. 그러나 Idle Time 동안 레이저 다이오드는 미리 설정된 채널 이외의 파장으로 빛을 발생 시킬수는 있으나, 이러한 빛 신호는 modulation 되지 않으므로 수신단의 TIA에서 자동으로 차단되어 다른 채널에 누화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15의 시간지연 기간동안 반도체 레이저로 주입되는 전류는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나, 이 기간동안 발생한 광신호는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변조 주파수와는 달리 DC와 유사한 modulation 주파수 특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수신단의 TIA에서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수신단에 누화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도 10의 상황에서 본 실시예를 다시 설명하면, 도 10의 누화되어 나타난 채널 1을 보면, 변조된 누화신호이다. 반면,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채널 1에 누화된 신호는 변조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TIA를 거친 후에는 누화된 신호가 수신이 안되어서, 도 10의 계측기에는 나타나지 않고 채널 2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Idle Time 동안에 레이저 활성 영역은 정상적인 온도로 가열되게 되므로, 도 15의 시간 지연 이후에 레이저가 정상적인 modulation 주파수로 modulation 될 때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는 정상 온도에 도달하여 modulation 된 광신호는 미리 설정된 채널에 적합한 파장을 가지게 되어 누화로 작용하지 않는다.
도 15의 (d) 또한 이상적인 경우의 레이저 드라이버의 동작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레이저의 변조 신호가 idle time이 끝난 이후에 즉각적으로 “1” 신호와 “0”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를 흘릴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의 경우 변조 신호를 인가하기 시작할 때 즉각적으로 “1”신호와 “0”신호에 해당하는 전류를 흘릴수 없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신호를 인가하기 시작해서부터 “1”신호와 “0”신호에 해장하는 적정한 전류 신호를 구동 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도 15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변조 신호를 인가하기 시작한때부터 실제 적절하게 변조된 전류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 지연을 묘사하는 그래프이다. 이러한 시간 지연의 발생 이유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드라이버 IC가 capacitor에 충방전되는 과정을 이용하여 Ibias, Imod을 구현하고, 정상적인 Imod을 얻기 위해서는 capacitor에 충방전 되는 시간 지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변조 전류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최소 50nsec 보다 긴 시간의 안정화 시간이 요구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정상적인 전류의 변조를 얻기 위해서는, 도 15(d)와 같이, Idle time 이내에서 변조되지 않는 전류로 레이저의 활성 영역을 가열하여 레이저의 활성 영역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채널에 적절한 온도를 가열함과 동시에 레이저 드라이버의 변조를 시작하여 Idle time이 끝남과 동시에 적절한 크기로 변조된 전류 신호를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로 주입시킬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NG-PON2에 있어서 Idle time은 100nsec 이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조 전류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최소 시간을 50nsec로 설정 할 경우, 변조되지 않는 전류로 레이저 활성 영역의 온도를 가열하는데 사용 할 수 있는 시간은 최대 50nsec 이내이며, 전류를 정상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변조되지 않는 전류로 레이저 활성 영역을 가열하는데 사용 될 수 있는 시간은 40nsec에 불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짧은 시간내에 반도체 레이저의 온도를 충분히 가열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15(d)와 도 16에서 Idle time 동안 상승하는 전류의 세기를 Ibias로 설정할 경우 Idle time이 끝난 후 레이저에 Imod만 인가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정상적인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1700)는 광원(1710) 및 드라이버(1720)를 포함한다. 나아가, 광 송신기(1700)는 추가전원부(17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710)은 구동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버(172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에 따라 광을 전송한다. 구동전원이란 문턱(Threshold)치 이상의 크기를 가져, 광원(1710)이 데이터 신호의 '0'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를 의미한다. 광원(1710)은 구동전원을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광원(1710)은 광원(1710)의 온도에 따라 전송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진다. 광의 파장은 광원(1710)이 외부와 접하는 광원(1710) 외부 또는 하우징의 온도뿐만 아니라, 광원(1710)이 구동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광(데이터)을 조사하는 광원(1710) 내부의 온도에도 영향을 받는다. 광원(1710)의 온도는 광원(1710)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원(1710)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은 광원(1710)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전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광원(1710)으로 문턱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고 적절한 시간이경과한 후에는, 정해진 채널의 광원 파장에 적절한 수준으로 광원(17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원하는 파장 대역(예를 들어,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채널 2)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에 즉각적으로 광원의 온도가 올라갈 수 없음은 자명하며, 또한 전류 공급 이후에 적절한 시간이 경과하여야 광원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채널에 적절한 수준으로 상승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에 따라, 광원이 미리 정해진 채널에 적절한 수준의 온도로 안정화 되기 이전에 광원에 변조된 신호가 공급될 경우, 원하는 파장 채널 대역 이외의 파장 대역에 데이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원하는 파장 대역 이외의 파장 대역에서 생성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원하는 채널 이외의 채널로 누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온도가 안정화되기 전까지는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로 변조되지 않은 전류를 흘려주는 방법이 사용 될 수 있다.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라함은, 예를 들어, 10Gbps의 통신속도에서는 5Gbps 또는 수백Mbps급의 변조 속도 등 수신단에서 제거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단순증가하는 형태의 전류도 신호의 누화없이 광원의 온도를 안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NG-PON2와 같은 통신 규격에서는 BEN 신호의 수신에서부터 변조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100nsec로 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간내에 광원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채널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이 되어야 한다. 광원의 활성 영역의 가열은 변조된 신호가 발생되기 시작하기 전에 가해지는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광원의 변조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광원의 온도를 빨리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큰 전류를 사용하거나 BEN 신호 수신에서부터 변조된 신호를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길게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NG-PON2에서는 BEN 신호수신서부터 변조된 신호 발생까지의 시간이 100nsec로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시간 내에 광원의 온도를 빨리 안정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BEN(Burst ENabl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드라이버(1720)는 구동전원을 광원(1710)으로 제공한다. 드라이버(1720)는 내부에 자체적으로 구동전원을 광원(1710)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거나, 외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전원을 광원(1710)으로 공급한다. 구동전원은 초기치에서 문턱치까지 제1 기울기를 가지며 증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문턱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현저히 늦어져, 원하는 채널 이외의 채널로의 누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원하는 채널 이외의 채널로의 누화를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버(1720)는 내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구성 이외에 추가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여 구동전원과 함께 추가 전원을 광원(17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1720)는 광원(1710)으로 제1 기울기보다 기울기가 큰 제2 기울기를 갖는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드라이버(1720)는 제1 기울기를 갖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되, 구동전원이 광원(1710)으로 인가되기 전에 추가전원부(1725)로부터 추가 구동전원이 광원(1710)으로 인가될 수 있다. 즉, 광원(1710)으로는 드라이버(1720)에서 생성된 구동전원과 함께 추가전원부(1725)에서 생성된 추가 구동전원이 함께 인가된다. 광원(1710)은 구동전원과 추가 구동전원을 함께 인가받음으로써, 문턱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드라이버(172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광원(1710)으로 제공한다. 다만, 드라이버(1720)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함에 있어, 구동전원과 동일한 타이밍에 같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전원이 광원(1710)으로 인가되고 나서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광원(1710)으로 제1 기울기를 갖는 구동전원 만이 인가될 때와 구동전원과 함께 추가전원 또는 추가 구동전원이 인가될 때와 상이하게 설정된다. 양자는 광원(1710)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초기치에서 문턱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구동전원 만이 인가될 때에 설정되는 시간은 구동전원과 함께 추가전원 또는 추가 구동전원이 인가될 때보다 길게 설정된다. 이처럼, 드라이버(1720)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전원을 인가한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인가함으로써, 채널 이외의 채널로의 누화 발생을 방지한다.
추가 구동전원부(1725)는 광원(1710)으로 추가 구동전원을 인가한다. 도 17에는 추가 구동전원부(1725)가 드라이버(1720)의 출력단(또는, 광원(17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 구동전원부(1725)는 드라이버(172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드라이버(1720)가 구동전원과 추가 구동전원을 함께 광원(1710)으로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각각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송신기 내 드라이버가 광원으로 인가하는 전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1720)는 데이터 신호를 BEN 신호가 인가된 즉시 광원(1710)으로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BEN 신호가 인가(t1)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광원(1710)으로 인가한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드라이버(1720)는 BEN 신호가 인가(t1)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경과시간(t2)이 지날때까지 증가하는 전류인 제1의 기울기를 가지는 전류를 제공하며, 기 설정된 경과시간(t2)이 지난후부터는 변조된 Idle 신호를 광원(1710)에 제공하며, 기 설정된 시간(t3)이 지난후에는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변조 신호에 해당하는 전류를 인가한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710)은 드라이버(1720) 내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구성 이외에 추가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부터 추가전원 또는 추가 구동전원부(1725)로부터 추가 구동전원을 인가받는다. 여기서, 추가전원 또는 추가 구동전원은 구동전원의 제1 기울기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기울기와 유사하거나 작은 값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레이저 다이오드등의 광원(1710)은 레이저 드라이버(1720)과 추가전원(172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이러한 경우에,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710)이 (t1)~ (t2)의 시간 동안 공급받는 전력은 드라이버(1720) 자체만의 전력을 공급 받을때보다 많아지며, 이에 따라 광원(1710)의 활성영역은 짧은 시간에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전원(1725)은 단순증가하는 형태의 전류이거나, 계단형으로 일정하게 증가하는 전류이거나, 또는 수신단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주파수로 변조된 형태의 전력이거나 관계없이 사용 할 수 있다.
광원(1710)은 최종적으로 도 19(a)에 도시된 구동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는다. 광원(1710)은 구동전원 외에 드라이버(1720)로부터 추가전원 또는 추가 구동전원부(1725)로부터 추가 구동전원을 인가받음으로써, 광원의 활성 영역의 온도 상승이 빨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t3)에 시작되는 데이터 전송시에는 드라이버(1720)의 변조가 정상화되면서도 광원(1710)의 온도가 충분히 가열되어 채널의 누화없이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라이버(1720)의 변조가 시작되는 (t2)시간은 BEN 신호 수신서부터 30nsec 내지 70nsec 내에 있을 수 있고, 추가 전원이 종료되는 시간은 (t2)와 (t3)사이가 적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화가 일어나지 않는 주파수로 변조되거나 또는 변조되지 않는 전류신호인 추가전류에 의한 광원(1710)의 온도 상승을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전원의 종료가 전송되어야 할 신호에 잡음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 전원의 종료는 BEN 신호 수신서부터 40nsec 내지 80nsec 정도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추가 전원이 종료되어 완전히 없어질때까지는 대략 10 내지 20nsec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전원의 종료라 함은 반드시 추가 전원의 완전한 종료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추가 전원의 종료는 추가 전원의 최대값에 비해 상당한 비율로 감소되어, 광원(1710)이 정상 동작할 때 광원(171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채널의 파장 영역에 존재 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되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추가 전원의 종료는 추가 전원 최대값의 1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레이저 드라이버의 경우 추가전원의 기능을 이미 포함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추가전원(1725)이 꼭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1720)과 분리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레이저 다이오드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전류부와 추가적인 전류를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1720)와 추가전원(1725)은 하나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 인가되는 각각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도 19와 동일하게, BEN 신호가 인가(t1)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광원(1710)으로 인가한다.
다만, 드라이버(1720)는, 도 19와 같이, 추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을 갖거나 추가 구동전원부(1725)로부터 추가 구동전원이 함께 광원(1710)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기울기를 갖는 구동전원 자체의 세기를 키워 기울기를 증가시킨다. 즉, 드라이버(1720)는 구동전원 자체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문턱치까지의 도달시간을 종래의 시점(t2)에서 앞당길(t3)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9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히터
20: 활성 영역
30: 동일온도분포선
1700: 광 송신기
1710: 광원
1720: 드라이버
1725: 추가전원

Claims (15)

  1.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 mode Enable)를 수신한 후, 광원을 포함하는 광 송신기로 전원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기울기로 증가하는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제1 인가과정;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인가과정; 및
    상기 제2 인가과정 이후에 전송할 정보를 포함하는 변조신호의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제3 인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초기치에서 제2 기울기로 증가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제2 인가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광원으로 인가된 후, 상기 구동전원이 기준치까지 도달하기 전에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가과정은,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 mode Enable)를 수신한 후 30nsec 내지 70nsec 가 경과한 시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제3 인가과정은 40nsec 내지 80nsec 가 경과한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상기 제2 인가과정이 시작된 이후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가과정은,
    인가된 추가 구동전원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수준 낮아짐으로써,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공급방법.
  8. 제1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신호 공급방법으로 상기 전원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광 송신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9.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mode Enable)를 수신한 후, 광원을 이용하여 광 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광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기울기로 증가하는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고,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고 기 설정된 시간 지난 이후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구동전원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 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광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구동전원과 함께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버스트 모드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기울기로 증가하는 추가 구동전원을 상기 광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광원으로 인가된 후, 상기 구동전원이 기준치까지 도달하기 전에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버스트 모드 신호(BEN: Burstmode Enable)를 수신한 후 30nsec 내지 70nsec 가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고, 40nsec 내지 80nsec 가 경과한 때 상기 광원이 동작하도록 하는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는 상기 광원으로 변조된 신호를 공급하는 시점 이후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인가된 추가 구동전원의 최대값이 기 설정된 수준만큼 낮아지는 경우, 상기 추가 구동전원의 인가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송신기.


KR1020180017283A 2017-07-29 2018-02-12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KR10197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83A KR101972600B1 (ko) 2018-02-12 2018-02-12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EP18840628.4A EP3662595A4 (en) 2017-07-29 2018-07-27 OPTICAL TRANSMITTER IN BURST MODE AND CONTROL PROCEDURES FOR OPTICAL TRANSMITTER IN BURST MODE
US16/634,157 US10931378B2 (en) 2017-07-29 2018-07-27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and control method of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CN201880048566.8A CN110945802B (zh) 2017-07-29 2018-07-27 以突发模式工作的光发射机及以突发模式工作的光发射机的控制方法
PCT/KR2018/008548 WO2019027186A1 (en) 2017-07-29 2018-07-27 RAFALE MODE OPERATION BY OPTICAL TRANSCEIVER AND OPTICAL TRANSCEIVER OPERATING METHOD OPERATING IN RAFALE MODE
US17/118,625 US11444698B2 (en) 2017-07-29 2020-12-11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and control method of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83A KR101972600B1 (ko) 2018-02-12 2018-02-12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600B1 true KR101972600B1 (ko) 2019-08-16

Family

ID=6780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83A KR101972600B1 (ko) 2017-07-29 2018-02-12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6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27B1 (ko) * 2006-06-19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 회로 및 방법
US9246307B1 (en) * 2014-10-08 2016-0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Thermal compensation for burst-mode laser wavelength drif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27B1 (ko) * 2006-06-19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 회로 및 방법
US9246307B1 (en) * 2014-10-08 2016-0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Thermal compensation for burst-mode laser wavelength dri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7581B2 (ja) バーストモードレーザ波長ドリフトに対する熱補償
US10283932B2 (en) Thermal compensation for burst-mode laser wavelength drift
JP4557481B2 (ja) 半導体レーザ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US20150188627A1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optical network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emitting element
US9653879B2 (en) Optical module
KR20190115296A (ko) 버스트 모드로 광송신을 하기 위한 광망 종단 장치
US6826212B2 (en) Module for optical communications
CN106684703B (zh) Twdm onu波长控制方法及其系统与关断深度控制电路
US20180138649A1 (en) Optical module
US11444698B2 (en)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and control method of optical transmitter operating burst mode
KR101972600B1 (ko)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KR102130587B1 (ko) 버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광송신기 및 광송신기 제어방법
CN111755944A (zh) 一种激光器电路、激光器控制方法和光网络单元
US9948400B2 (en) Drive circuit and optical network unit
US11258517B2 (en) Burst mode spectral excursion mitigation
Bauwelinck et al. DC-coupled burst-mode transmitter for 1.25 Gbit/s upstream PON
Park et al. ONU power equalization of ethernet PON systems
Krehlik et al. Laser driver with subthreshold laser bias and turn-on-delay compensation by prejittering of the modulating current
JP6160854B2 (ja) 光送信モジュール、半導体光増幅器の電流制御方法及び光通信システム
Wang et al. Current-bleeding-fast power-on for VCSEL-based giga-bit optical transceivers
JP2004064239A (ja) 発光出力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