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95B1 -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95B1
KR101972395B1 KR1020170113294A KR20170113294A KR101972395B1 KR 101972395 B1 KR101972395 B1 KR 101972395B1 KR 1020170113294 A KR1020170113294 A KR 1020170113294A KR 20170113294 A KR20170113294 A KR 20170113294A KR 101972395 B1 KR101972395 B1 KR 10197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concrete structure
crack
expansion joint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408A (ko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김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선 filed Critical 김병선
Priority to KR102017011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축이음부(20)와 콘크리트구조체(1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30)을 커팅하여 보수홈(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4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수지주입로(11)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다른 균열지점을 확인하고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련하여서, 균열지점만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누수 및 균열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콘크리트구조체 내부의 균열보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및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70)를 마련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재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보수작업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을 통해 작업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METHOD FOR REPAIRING CRACK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CONNECTING PART OF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을 커팅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다른 균열지점을 확인하고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구조체는 축방향의 변형력(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의 수축/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마주보는 두 부재(콘크리트구조체)사이에 적절한 재질(스티로폼, 우레탄, 생고무, 지수판 등)의 신축이음부를 삽입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조물이 노후화되고 진동 등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구조체, 특히 신축이음부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고 이 균열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누수는 콘크리트 타설 후 발생되는 각종 허니콤 구조나 조인트의 균열 방치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되며, 초기에 발생한 누수현상을 간과할 경우 백태의 유출 및 철근의 부식, 팽창으로 발전하여 콘크리트의 탈리 및 철근의 노출이 진행되어 구조물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종래 이러한 균열부위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부위에 단순히 방수코팅제(예컨대, 방수시멘트를 도포하거나 수지를 도포하는)를 도포하는 방법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임시적인 지수는 달성할 수 있었으나, 해당 구조물에 대응하여 장기적으로 요구되는 정도의 방수 효과는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141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을 커팅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다른 균열지점을 확인하고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련하여서, 균열지점만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누수 및 균열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및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써 수팽창고무를 적용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재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와 이들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이음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수홈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되는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에서 잔존신축이음부까지 연통되는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잔존신축이음부 사이의 다른 균열지점을 찾아내는 단계; 상기 새로운 누수가 발생되는 다른 균열지점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수홈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된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는 상기 보수홈으로 상기 충진재가 채워지되 외부를 향해 일정공간을 남긴 상태로 채워져서 잔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잔여공간에 탄성충진재가 충진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충진재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양측의 콘크리트구조체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각각 단차를 두어 내, 외측모서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충진재는 상기 내측모서리부를 감싼 상태로 충진되어 상기 양측 콘크리트구조체의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수축 및 평행하게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비틀림 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탄성충진재의 표면에서 양측의 외측모서리까지의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의 표면에 표면탄성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주입로를 통해 고압의 수지가 상기 신축이음부의 외주면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수지주입로에 주입관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주입로는 각각의 보수부에 대응해서 설치하여 기존 수지주입로와 상기 균열지점으로 연결되는 균열경로에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부와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 및 누수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방수재는 수팽창고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은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을 커팅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다른 균열지점을 확인하고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련하여서, 균열지점만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누수 및 균열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콘크리트구조체 내부의 균열보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및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써 수팽창고무를 적용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재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보수작업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을 통해 작업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따른 시공완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따른 시공완성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따른 핵심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적용된 탄성방수재의 시험성과대비표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에 적용된 탄성방수재의 품질시험성적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10)와 이들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이음부(2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30)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21)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20a)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20a)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되는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40)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4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구조체(10)에서 잔존신축이음부(22)까지 연통되는 수지주입로(11)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11)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10)와 잔존신축이음부(22) 사이의 다른 균열지점(미도시)을 찾아내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누수가 발생되는 다른 균열지점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미도시)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된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추가 보수부(미도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11)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10)와 신축이음부(20)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누수가 발생된다는 것은 이미 콘크리트구조체(10)와 신축이음부(20) 사이에 서로 간의 신축계수가 다른 것에 기인해서 어느 정도 틈새가 발생되었음은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신축이음부(20)의 노후화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었을 때 균열이 상기 틈새로 이어지면서 누수가 발생되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누수 및 균열은 곧바로 보수가 가능하지만 육안으로 확인이 되지 않는 신축이음부(20) 내의 균열은 상기 틈새와 연결된 상태에서 누수가 발생됨이 자명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신축이음부(20) 내의 균열까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급결시멘트가 포함된 충진재에는 수지류, 구체적으로는 침투성 접착강화제를 포함하는데 이는 신축이음부(20)의 외측으로(즉, 마주보는 또 다른 콘크리트구조체로) 작용하는 외력(압축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신축이음부(20)의 외주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침투성 접착강화제 성분은 빠른 시간내에 지수(止水)가 필요한 경우에 다공질 콘크리트나, 표면이 열화된 콘크리트에 침투해서 표면을 강하게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수부(40)는 상기 보수홈(20a)으로 상기 충진재가 채워지되 외부를 향해 일정공간을 남긴 상태로 채워져서 잔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잔여공간에 탄성충진재(50)가 충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수부(40)는 측면부측으로 형성된 수지주입로(11)로 수지를 충진시킬 때 상당히 고압으로 주입되므로 이러한 고압을 견디기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수지주입로(11)를 통해 합성수지류를 고압 분사하는 이유는 주입된 수지가 균열부위를 타고 신축이음부(20)의 균열지점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콘크리트구조체(10)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차단토록 하고 측방의 보수부(40) 및/또는 인접 콘크리트구조체로까지 연결될 수 있는 균열을 중간에 단절시켜 이 균열부위로 수지를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경화성수지로써, 일반적으로 충진재로 사용되는 수지, 예컨대, 에폭시수지류, 폴리에스테르수지류, 폴리우레탄수지류 등 공지의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신축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수지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충진재(50)는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록킹된 폴리우레탄 20중량부와 비정형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30중량부와 칼슘카보네이트 20중량부와 트리메틸렌헥사메티렌디아민 10중량부와 페놀의 알킬술포닉산 에스테르 20중량부를 포함하여, 습기를 함유하게 되는 신축이음부(20)의 실링제로써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강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물성을 통해, 상기 탄성충진재(50)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양측의 콘크리트구조체(10)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각각 단차를 두어 내, 외측모서리부(12,13)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충진재(50)는 상기 내측모서리부(12)를 감싼 상태로 충진되어 상기 양측 콘크리트구조체(10)의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수축 및 평행하게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비틀림 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의 탄성충진재(50)의 표면에서 양측의 외측모서리(13)까지의 상기 콘크리트구조체(10)의 표면에 표면탄성방수재(60)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탄성방수재(60)는 보다 추가적인 방수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여기에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방수를 위한 코팅에 사용되는 수지, 예컨대 에폭시수지류, 폴리에스테르수지류, 폴리우레탄수지류 등 공지의 것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록킹된 폴리우레탄 20중량부와 비정형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30중량부와 칼슘카보네이트 20중량부와 트리메틸렌헥사메티렌디아민 10중량부와 페놀의 알킬술포닉산 에스테르 2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A) 또는 포졸란 37중량부, 아크릴에멀전 47중량부 및 물 잔부를 포함하는 혼합물(B)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주입로(11)를 통해 고압의 수지가 상기 신축이음부(20)의 외주면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수지주입로(11)에 주입관(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주입로(11)는 각각의 보수부(40)에 대응해서 설치하여 선행 수지주입로(11)는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고 후행 수지주입로로 수지 주입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구조체(10)와 신축이음부(20) 및 보수부(40) 사이에는 상기 신축이음부(20)와 콘크리트구조체(10) 간의 신축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방수재(70)는 수분이 흡수되면 부피가 팽창되는 이른바 수팽창고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탄성방수재에 관한 시험성과대비표 및 품질시험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다양한 시험항목을 적용하고 성능면에서 기준치와 결과치를 비교하여 해당 시험의 적합성 여부에서 적용항목이 모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수작업시 노후신축이음부(21)를 제거하고 나서 전동그라인더 등으로 보수홈(20a) 주변을 깨끗이 처리하고 고압세척기를 통해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바탕면을 처리하는 작업이 선행되며, 또한, 보수작업 후에는 지수가 완료되어 누수가 되지 않을 때 송풍기 등을 통해 시공장소를 충분히 건조시켜 상기 표면탄성방수재(60) 도포시 최적의 물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도포 후에는 충분한 송풍을 통해 경화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은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을 커팅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홈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다른 균열지점을 확인하고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련하여서, 균열지점만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누수 및 균열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콘크리트구조체 내부의 균열보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및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써 수팽창고무를 적용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여 잔존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재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 보수작업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을 통해 작업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발명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구조체 11 : 수지주입로
12 : 내측모서리부 13 : 외측모서리부
20 : 신축이음부 20a : 보수홈
21 : 노후신축이음부 22 : 잔존신축이음부
30 : 균열지점 40 : 보수부
50 : 탄성충진재 60 : 표면탄성방수재
70 : 탄성방수재

Claims (4)

  1.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와 이들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신축이음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균열지점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수홈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되는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보수부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에서 잔존신축이음부까지 연통되는 수지주입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주입로로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잔존신축이음부 사이의 다른 균열지점을 찾아내는 단계;
    상기 새로운 누수가 발생되는 다른 균열지점의 해당 노후신축이음부를 커팅 제거하여 보수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수홈에 침투성 접착강화방수재와 급결시멘트가 포함된 충진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추가 보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주입로로 재차 수지를 고압 분사하여 또 다른 누수여부를 찾아내는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와 신축이음부 사이의 균열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이음부와 보수부 사이에는 상기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구조체 간의 신축 및 누수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방수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의 탄성충진재의 표면에서 양측의 외측모서리까지의 상기 콘크리트구조체의 표면에 표면탄성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주입로를 통해 고압의 수지가 상기 신축이음부의 외주면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수지주입로에 주입관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4. 삭제
KR1020170113294A 2017-09-05 2017-09-05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KR10197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94A KR101972395B1 (ko) 2017-09-05 2017-09-05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94A KR101972395B1 (ko) 2017-09-05 2017-09-05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08A KR20190026408A (ko) 2019-03-13
KR101972395B1 true KR101972395B1 (ko) 2019-08-16

Family

ID=6576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94A KR101972395B1 (ko) 2017-09-05 2017-09-05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912B1 (ko) * 2022-11-21 2023-05-26 (주)신기원종합건설 신축 이음 수팽창 고무압착 지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650B1 (en) * 2002-01-29 2002-07-25 Woo Shin Co Ltd Method for repairing water-leaking expansion joint in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41B1 (ko) 2011-03-25 2011-07-26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신축이음부 물받이 시공방법
KR20140115150A (ko) * 2013-03-20 2014-09-30 (주)대한방수공사 지하주차장 누수에 대한 방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650B1 (en) * 2002-01-29 2002-07-25 Woo Shin Co Ltd Method for repairing water-leaking expansion joint in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08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KR1009719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방수제 조성물
KR101186104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KR101972395B1 (ko) 콘크리트구조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KR102049538B1 (ko) 수중에서 화이버 글래스 재킷 및 보수,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각, 콘크리트 파일, 스틸 파일의 수중 보수 및 수중 보강 공법
KR100462821B1 (ko) 지수기능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처리공법 및그 장치
KR102219654B1 (ko) 에프알피 시트 및 종방향으로 분절된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0677899B1 (ko) 균열보수공법
KR20200052727A (ko) 내진보강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에프알피 시트 및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101126483B1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수중 보강방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20120046716A (ko) 접착 조립체 및 접착 조립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조립 및 보강 방법
KR101743401B1 (ko) 잔갈라짐 또는 거동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합성고무계 방수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KR20150000722A (ko) 합성수지와 매트릭스 구조로 융합한 강화판넬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20160005575A (ko) 컴프레션씰을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시공방법
KR20090125873A (ko) 교량의 교면 방수 시공방법
KR1013789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KR100734553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투명패널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에폭시 수지와유리섬유를 이용한 투명패널과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투명패널을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20140046806A (ko) 방수층 크랙방지 시공법 및 크랙방지 방수층
KR20170022430A (ko) 모노셀 조인트 보수방법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1259097B1 (ko)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KR101846009B1 (ko) Frp 바와 목자재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용 보수 공법
KR20090097984A (ko)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2171312B1 (ko) 벽체의 신축이음부 균열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