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149B1 -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149B1
KR101972149B1 KR1020180135968A KR20180135968A KR101972149B1 KR 101972149 B1 KR101972149 B1 KR 101972149B1 KR 1020180135968 A KR1020180135968 A KR 1020180135968A KR 20180135968 A KR20180135968 A KR 20180135968A KR 101972149 B1 KR101972149 B1 KR 10197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ture
screw
solar modul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희
Original Assignee
박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희 filed Critical 박대희
Priority to KR102018013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태양광모듈을 고정 조립하여 양측의 태양광모듈을 상하 고정구로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면서 내구성과 견고성이 확립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 고정장치{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태양광모듈을 고정 조립하여 양측 또는 한쪽의 태양광모듈을 상하 고정구로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편리하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면서 내구성과 견고성이 확립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각국은 온실가스배출규제를 하는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청정에너지의 사용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친환경 청정에너지 중에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쉬운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기술개발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태양에너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과 충전콘트롤러와 축전지(battery) 및 전력변환장치(inverter) 등으로 구성되어 태양광을 이용한 청정 에너지원을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위해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과 모듈 클램프 등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규격이 큰 250W 급 태양광모듈 다수개가 그대로 사용되어 조립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태양전지용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는 고정볼트를 고정구 본체 상면에서 틀체 방향으로 투입하고 고정너트를 틀체의 결합공 내측에서 조립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틀체쪽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해야하므로 신체를 구부려야 하는 등 작업이 까다로워 태양광모듈을 설치하는 작업이 비능률적으로 되는 결점이 있고 해체시에도 고정볼트를 푸는 작업이 난처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고정구가 합성수지제로 제작되어 태양광선에 직접 노출되므로 쉽게 노화되어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개선한 것으로서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태양광모듈을 고정 조립하여 양측의 태양광모듈을 하나의 고정구로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면서 내구성과 견고성이 확립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류(100, 100')의 상부에 지주(110, 11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지지바(120)가 결합되며,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된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하단에 삽입돌기(11, 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구(20)의 탄성걸림돌기(22, 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2)의 공간부 양쪽에 걸림홈(14, 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트(1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관통홀(29)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4) 양쪽에 탄성걸림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걸림돌기(22, 22')의 양측에 걸림홈(23, 2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고정구(2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구(20)의 양측에 태양광모듈(200, 200')이 고정된 상태로 태양광모듈(200, 200')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걸림턱(34, 34')과 하부돌기(32, 32')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고정구(30); 및 상부고정구(30)의 나사관통홀(39)을 관통하고 하부고정구(20)의 나사관통홀(29)을 관통하여 태양광모듈(200, 200')의 양측이 고정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볼트로 태양광모듈을 고정 조립하여 양측의 태양광모듈을 상하 고정구로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면서 내구성과 견고성이 확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류(100, 100')의 상부에 지주(110, 11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지지바(120)가 결합되며,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된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하단에 삽입돌기(11, 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구(20)의 탄성걸림돌기(22, 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2)의 공간부 양쪽에 걸림홈(14, 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트(1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관통홀(29)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4) 양쪽에 탄성걸림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걸림돌기(22, 22')의 양측에 걸림홈(23, 2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고정구(2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구(20)의 양측에 태양광모듈(200, 200')이 고정된 상태로 태양광모듈(200, 200')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걸림턱(34, 34')과 하부돌기(32, 32')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고정구(30); 및 상부고정구(30)의 나사관통홀(39)을 관통하고 하부고정구(20)의 나사관통홀(29)을 관통하여 태양광모듈(200, 200')의 양측이 고정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고정브라켓트(10)는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류(100, 100')의 상부에 지주(110, 110')가 결합되고, 고정브라켓트의 하단에 삽입돌기(11, 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구(20)의 탄성걸림돌기(22, 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2)의 공간부 양쪽에 걸림홈(14, 14')이 형성되어 있어 양측 또는 한쪽의 태양광모듈을 고정구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하부고정구(20)는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관통홀(29)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4) 양쪽에 탄성걸림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걸림돌기(22, 22')의 양측에 걸림홈(23, 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고정구(30)는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구(20)의 양측에 태양광모듈(200, 200')이 고정된 상태로 태양광모듈(200, 200')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걸림턱(34, 34')과 하부돌기(32, 32')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볼트(40)는 상부고정구(30)의 나사관통홀(39)을 관통하고 하부고정구(20)의 나사관통홀(29)을 관통하여 태양광모듈(200, 200')의 양측 또는 한쪽이 고정되어 양측 또는 한쪽의 태양광모듈을 고정구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태양광모듈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구(20)는 상부고정구를 지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5,25')를 형성하여 결합시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도 7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고정브라켓트(1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하부에 고정홈(125)을 형성하고,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과 하부고정홈(13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의 삽입홈에 결합시에 별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보강대(129)를 더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강대(129)는 지지바(120)의 삽입홈(122)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고정돌기(126)와 양측면의 돌출된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고정홈(125)에 삽입하여 빠지지 않도록 락기능을 형성하여 결합시 견고하게 고정 및 조립이 편리한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대(129)는 고정브라켓트(10)을 고정하도록 결합시 조립이 편리하고, 외부의 강한 비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10: 고정브라켓트 20: 하부고정구
30: 상부고정구 40: 고정볼트
120: 지지바 131: 하부고정홈

Claims (3)

  1.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류(100, 100')의 상부에 지주(110, 11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지지바(120)가 결합되며,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된 태양광모듈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는 지지바(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하단에 삽입돌기(11, 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구(20)의 탄성걸림돌기(22, 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2)의 공간부 양쪽에 걸림홈(14, 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트(1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관통홀(29)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4) 양쪽에 탄성걸림돌기(22, 22')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걸림돌기(22, 22')의 양측에 걸림홈(23, 2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고정구(20); 고정볼트(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나사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구(20)의 양측에 태양광모듈(200, 200')이 고정된 상태로 태양광모듈(200, 200')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걸림턱(34, 34')과 하부돌기(32, 32')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고정구(30); 상부고정구(30)의 나사관통홀(39)을 관통하고 하부고정구(20)의 나사관통홀(29)을 관통하여 태양광모듈(200, 200')의 양측이 고정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구는 상부고정구를 지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5,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 고정장치는 보강대(129)가 지지바(120)의 삽입홈(122)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고정돌기(126)와 양측면의 돌출된 구조로 형성하여 고정브라켓트(10)의 고정홈(125)에 삽입하여 빠지지 않도록 락기능을 형성하여 결합시 견고하게 고정 및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KR1020180135968A 2018-11-07 2018-11-07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KR10197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68A KR101972149B1 (ko) 2018-11-07 2018-11-07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968A KR101972149B1 (ko) 2018-11-07 2018-11-07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149B1 true KR101972149B1 (ko) 2019-04-25

Family

ID=6628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968A KR101972149B1 (ko) 2018-11-07 2018-11-07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1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46B1 (ko) 2019-09-17 2020-08-31 강봉석 노지용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149749B1 (ko) 2019-08-23 2020-08-31 황인환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자립형 농가주택
KR102198570B1 (ko) * 2020-03-20 2021-01-06 이상곤 양면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KR102265862B1 (ko) * 2021-03-25 2021-06-16 (주)제이루트 기상정보와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발전량을 예측하는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85918A (ko) 2019-12-31 2021-07-08 강봉석 건축물용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210101407A (ko) 2020-02-10 2021-08-19 강봉석 노지용 양면모듈 태양광 발전소의 빛반사 보안매트 장치
KR102323019B1 (ko) * 2021-04-20 2021-11-09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붕의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876A (ko) * 1998-10-15 2000-05-06 윤종용 태양 전지 프레임 고정 구조
KR101168143B1 (ko) * 2012-02-27 2012-07-24 이수익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에 태양광 패널 설치를 위한 체결구
KR200474764Y1 (ko) * 2013-12-17 2014-10-24 (주)현대에스더블유디산업 태양광 발전 설비용 태양광 모듈 장착 구조
KR20140138495A (ko) * 2013-05-24 2014-12-04 (주)한남전기통신공사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635562B1 (ko) * 2015-04-01 2016-07-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0487015Y1 (ko) * 2017-02-18 2018-07-25 이수익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876A (ko) * 1998-10-15 2000-05-06 윤종용 태양 전지 프레임 고정 구조
KR101168143B1 (ko) * 2012-02-27 2012-07-24 이수익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에 태양광 패널 설치를 위한 체결구
KR20140138495A (ko) * 2013-05-24 2014-12-04 (주)한남전기통신공사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0474764Y1 (ko) * 2013-12-17 2014-10-24 (주)현대에스더블유디산업 태양광 발전 설비용 태양광 모듈 장착 구조
KR101635562B1 (ko) * 2015-04-01 2016-07-04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0487015Y1 (ko) * 2017-02-18 2018-07-25 이수익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49B1 (ko) 2019-08-23 2020-08-31 황인환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자립형 농가주택
KR102149746B1 (ko) 2019-09-17 2020-08-31 강봉석 노지용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210085918A (ko) 2019-12-31 2021-07-08 강봉석 건축물용 태양광 양면모듈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210101407A (ko) 2020-02-10 2021-08-19 강봉석 노지용 양면모듈 태양광 발전소의 빛반사 보안매트 장치
KR102198570B1 (ko) * 2020-03-20 2021-01-06 이상곤 양면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KR102265862B1 (ko) * 2021-03-25 2021-06-16 (주)제이루트 기상정보와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발전량을 예측하는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23019B1 (ko) * 2021-04-20 2021-11-09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붕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149B1 (ko)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US8578666B2 (en) Solar device
KR101498554B1 (ko) 조립식 지붕에 적용되는 태양광 패널 설치용 체결구
KR102343174B1 (ko) Bipv용 태양광 모듈
KR20140127444A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장치
JPWO2012043656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取付金具、及び施工方法
JP3198764U (ja) ソーラーパネル用フレームモジュール
KR200495901Y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브라켓
KR101414825B1 (ko)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KR101090318B1 (ko) 태양광발전모듈 설치용 조립체
KR1014218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한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설치 구조
KR101302420B1 (ko) 조경용 목재데크의 태양광 조명장치
KR101187944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체결장치
KR200440629Y1 (ko) 태양광 발전용 집광판 설치구조
KR20160023464A (ko) 태양광 패널의 고정 방법
KR102413135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브라켓
JP2013119729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敷設構造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中間保持部材
KR101158552B1 (ko) 태양전지모듈 고정 클램프
JP3184705U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KR101544202B1 (ko) 가로등용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체
CN205610539U (zh) 光伏板安装组件
CN220273638U (zh) 一种快速接线盒
CN211422109U (zh) 一种用于智能门锁的装卸式控制板装置
JP6044929B2 (ja) 固定部材及び機能パネルの固定構造
KR101427763B1 (ko) 루프탑용 일체형 앵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