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006B1 -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006B1
KR101972006B1 KR1020170099109A KR20170099109A KR101972006B1 KR 101972006 B1 KR101972006 B1 KR 101972006B1 KR 1020170099109 A KR1020170099109 A KR 1020170099109A KR 20170099109 A KR20170099109 A KR 20170099109A KR 101972006 B1 KR101972006 B1 KR 10197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floor
hand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43A (ko
Inventor
이규배
Original Assignee
이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배 filed Critical 이규배
Priority to KR102017009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용 뚜껑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은,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결합부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상면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의 상면에 중량부가 구비됨으로써,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하더라도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면이 바닥에 닿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기용 뚜껑{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포함한 다양한 용기의 뚜껑 상면 쪽에 중량부를 구비시켜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할 때 결합부가 상향을 향하고 상면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의 오염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뚜껑은 용기의 입구(주둥이)에 결합되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뚜껑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87725호(공개일자 : 2013.08.07)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구부에 병 뚜껑(10)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뚜껑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내용물이 임의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음용할 경우에는 개구부에서 분리하여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뚜껑은,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접촉되어 바닥의 이물질이 뚜껑의 결합부에 묻게 됨으로써 뚜껑의 결합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바닥에 떨어져 오염된 뚜껑은 깨끗한 물로 세척함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 있었으나, 뚜껑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은 감수할 수밖에 없었고,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나 암나사산 사이에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에는 세척이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세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2호(공고일 : 2010.08.19)에는 치약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치약뚜껑은, 치약용기(9)의 토출부(9a)가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치약뚜껑(1)에 있어서, 상기 치약뚜껑(1)은 흡착수단(2)의 몸체(2a)에 형성된 축공(3)을 통하여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레버(4)와 축공(5)을 통하여 힌지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이 치약 뚜껑(1)이 힌지레버(4)에 의해 벽체에 고정됨으로써, 치약용기(9)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바닥으로 낙하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는 있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뚜껑은 치약 뚜껑(1)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치약 뚜겅(1)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2호(공고일 : 2010.08.19)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하더라도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뚜껑의 상면이 바닥에 닿은 상태로 세워지거나, 구르더라도 상면이 바닥에 안착되는 상태로 세워지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이물질들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결합부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상면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뚜껑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상기 입구와 상면 사이의 둘레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입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상면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상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경사부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광고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의 외측 및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상기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중량부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중량부 쪽으로 유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원호형의 만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상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입구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의 상면에 중량부가 구비됨으로써, 뚜껑이 바닥으로 떨어지더라도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면이 먼저 바닥에 닿도록 하거나, 상면이 바닥에 안착되어 세워지도록 하여 뚜껑의 결합부가 바닥의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이 바닥에 떨어져 구르더라도 외주연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제1,2 경사부 및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부에 의해 결합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지게 됨으로써, 결합부가 바닥에 닿는 확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 경사부에 광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구나 캐릭터 등을 형성함으로써,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이 낙하하여 바닥에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에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뚜껑의 손잡이부와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뚜껑(200)의 결합부(210)는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는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면(220)은 결합부(210)의 반대쪽 영역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200)은,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100)의 입구(110)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뚜껑(200)의 결합부(210)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220)에는,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면(220)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 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30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0)은, 음료수 용기, 치약용기, 화장품 용기를포함하는 다양한 용기의 뚜껑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 용기용 뚜껑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뚜껑(200)의 결합부(210)는 용기(100)의 입구(110)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뚜껑(200)의 상면(220)에는, 중량부(300)가 마련된다. 중량부(300)는, 뚜껑(20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면(220)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뚜껑(200)의 상면(220)에 일체화되어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가 상면(210)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중량부(300)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운모래, 철가루, 작은돌, 자석 등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중량부(300)로서 상면(220)과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며, 금속판이나, 중량물의 판재 등이 상면(210)에 부착되어 중량부(300)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300)는 뚜껑(200)의 상면(22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것을 기준으로 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물이 부착되어 뚜껑(200)과 일체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뚜껑(200)의 외주연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결합부(210)와 상면(220) 사이의 외주연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230)와, 결합부(210)와 손잡이부(230) 사이에 손잡이부(230) 쪽에서 결합부(2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240)와, 손잡이부(230)와 상면(220) 사이에 손잡이부(230) 쪽에서 상면(22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가 결합부(210) 쪽으로 더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고, 제1 경사부(230) 및 제2 경사부(250)은 대략 원뿔 형상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도 4의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면(220) 까지의 거리(L1)가 결합부(210)까지의 거리(L2)보다 더 멀다. 따라서,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은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크며, 기준선(C)을 기준으로 무게중심(중량부)도 상면(220) 쪽에 있다.
이와 같이,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을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하고, 거리(L1)를 멀리 한 것은, 뚜껑(200)이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바닥으로 낙하한 후, 즉 뚜껑(200)의 외주연(손잡이부, 제1,2 경사부)이 바닥으로 낙하한 후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손잡이부(230)를 기준으로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중량부(300)가 바닥에 안착되면서 결합부(210)가 위를 향한 상태로 뚜껑(200)이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또는 제2 경사부(250)에는 광고(광고문구, 캐릭터, 안내문구 등)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경사부(250)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100)에 결합된 뚜껑(200)을 위에서 바라볼 경우에 사용자의 시선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제2 경사부(250)에 고정될 수 있어서 광고 효과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에서 사선으로 뚜껑(200)을 쳐다볼 경우에 사용자는 경사진 제2 경사부(250)에 형성된 광고를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시선으로 보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뚜껑(200)을 움직이지 않아도 제2 경사부(250)에 구비된 광고를 접할 수 있어서 광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중량부(300)의 외측면에도 광고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광고는, 제품을 선전하기 위한 것 이외에, 화장품, 화학약품, 의약품 등을 적용할 경우에, 취급시 주의사항,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용법과 같이 내용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경사면(240)이나 제2 경사면(250)에는 일반적인 광고나 용법 등과 같은 정보 등을 인쇄 및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정보(이름이나 기호 등 자신만이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정보 기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기재부를 활용하는 예로서,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해당 용기의 뚜껑(200)에 형성된 제1 경사면(240) 또는 제2 경사면(250)에 환자의이름이나 용법의 정보를 직접 메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뚜껑(200)은 다양한 재질(합성수지재, 고무재, 실린콘재, 금속재 등)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 형광 도료가 배합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300)의 외측 및 손잡이부(230)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400)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구비된다. 이때, 손잡이부(230)에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400)는, 손잡이부(230)에 형성되는 설치홈(231)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400)는 뚜껑(200)이 낙하하여 바닥에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바닥에 충돌한 뚜껑(200)의 튐이 방지되도록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격흡수부재(400)는 형광도료나 야광도료를 첨가하여 형성함으로써,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전술한 손잡이부(2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100)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둥글게 형성하여 뚜껑(200)이 엎어질 때 상면(220)이 이 바닥을 향할 확률을 높이도록 할 수 있고, 전술한 충격흡수부재(400)가 결합되는 경우에 충격흡수부재(400)의 외주면 모양을 둥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면(220)에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고, 이 끼움홈에 뚜껑(200)의 재질보다 밀도나 비중이 높은 재질의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재(400)가 상면(220)에 결합됨으로써, 중량물의 역할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까지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및 제2 경사부(250)에는 뚜껑(200)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260)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뚜껑(200)의 손잡이부(230), 제1 경사부(240) 및 제2 경사부(250)에 돌기(260)들이 형성됨으로써, 뚜껑(200)의 구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뚜껑(200)을 취부할 때 각 돌기(260)들이 손가락에 걸리게 되므로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뚜껑(200)이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낙하할 때, 뚜껑(200)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부(230)를 중심으로 상면(220) 쪽에 있으므로, 뚜껑(200)은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면(220)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현상으로 상면(220)의 가장자리(또는 상면의 외측에 중량물이 구비된 경우에 중량물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닿은 후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이 눕혀진 상태(손잡이부가 바닥을 향하는 상태)로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면, 뚜껑(200)의 무게중심은 손잡이부(230)을 기준으로 상면(220) 쪽에 있고, 제2 경사부(250)의 면적이 제1 경사부(240)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230)를 중심으로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국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외주연에 손잡이부(230)와 제1,2 경사부(240,25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좁은 팽이 구조를 갖고, 상면(220)에는 중량부(300)가 구비됨으로써, 뚜껑(200)이 바닥에 떨어져 굴곡부에 간섭되더라도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도록 엎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0)이 바닥에 낙하했을 때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도록 안착되는 확률보다,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닿도록 안착되는 확률이 훨씬 높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에는,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진 유도 경사면(2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30)에 유도 경사면(232)이 형성됨으로써, 손잡이부(23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은 간섭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중량부(300) 또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국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 낙하된 뚜껑(200)은 결합부(21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상방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10)가 이물질로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용기용 뚜껑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둘레(외주연)에는, 원호형의 만곡부(270)가 형성되되, 만곡부(270)는, 만곡부(270)가 바닥에 닿았을 때 뚜껑(200)이 상면(220) 또는 중량부(300)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만곡부(270)의 지름(r)이 가장 큰 외주연(272)이 결합부(210)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만곡부(270)의 지름(r)이 가장 큰 외주연(272)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274)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뚜껑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용 뚜껑(200)은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두께는 얇고 지름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고, 지름은 작고 두께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뚜껑(200)의 무게중심이 상면(220) 쪽에 있고, 뚜껑(200)의 둘레에 만곡부(270)가 형성되며, 만곡부(270)의 지름이 가장 큰 외주연(272)이 결합부(210) 쪽으로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뚜껑(200)이 낙하하여 만곡부(270)가 바닥에 먼저 닿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뚜껑(200)은 무게중심이 있는 상면(220)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결합부(210)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면(220)의 외측면 또는 중량부(300)의 외측면이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세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200)이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바닥의 오염물질에 의해 뚜껑(200)의 결합부(210)가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110 : 입구
200 : 뚜껑 210 : 결합부
220 : 상면 230 : 손잡이부
232 : 유도 경사면 240 : 제1 경사부
250 : 제2 경사부 260 : 돌기
270 : 만곡부 272 : 외주연
274 : 널링 300 : 중량부
400 : 충격흡수부재 r : 지름

Claims (10)

  1.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결합부 반대쪽에 형성된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때 무게중심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상면이 바닥에 먼저 닿아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부가 마련되고,
    상기 뚜껑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취부하도록 상기 입구와 상면 사이의 둘레 일부에 환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입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상면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 쪽에서 상기 상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원호형의 만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상면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이 상기 입구 쪽으로 치우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둘레에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바닥에 닿았을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중량부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중량부 쪽으로 유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뚜껑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종물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경사부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상기 제2 경사부에는, 광고가 인쇄되거나, 광고물이 부착되거나, 광고가 음각 또는 양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의 외측 및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된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되거나, 피복되거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에는,
    상기 뚜껑이 바닥으로 낙하했을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지름이 가장 큰 영역에는 사용자가 취할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 홈 또는 널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뚜껑.

KR1020170099109A 2017-08-04 2017-08-04 용기용 뚜껑 KR10197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ko) 2017-08-04 2017-08-04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ko) 2017-08-04 2017-08-04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3A KR20190014943A (ko) 2019-02-13
KR101972006B1 true KR101972006B1 (ko) 2019-04-24

Family

ID=6536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09A KR101972006B1 (ko) 2017-08-04 2017-08-04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85A (ja)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突起物付き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82B1 (ko) 2004-02-10 2010-08-19 김주형 치약뚜껑
KR101105002B1 (ko) * 2010-01-23 2012-01-16 배신영 병마개
KR20120093674A (ko) * 2011-02-15 2012-08-23 노병주 자동위치제어식 용기
KR20170066784A (ko) * 2015-12-07 2017-06-15 하상훈 오뚜기의 원리를 이용한 세안제품 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385A (ja)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突起物付き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3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5878898A (en) Protective overcap assembly for fluid containers
JPH06500519A (ja) 誤用のおそれ及び幼児に危険のないキャップ及び注出口組体
WO2002058518A1 (en) Hygienic beverage can attachment
US20110068113A1 (en) Sanitary Cup Lids
MA20315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et de distribution pour recipients a bec verseur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US5117980A (en) Drinking device and holder
CA2123446C (en) Container cover and dispensing device
KR101972006B1 (ko) 용기용 뚜껑
KR100947477B1 (ko)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
WO1992012901A1 (en) Beverage bottle with grip
US20040065664A1 (en) Opening assembly
US5405033A (en) Safety device for corks
JP6291383B2 (ja)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GB231901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tained tear tab and straw
US2628736A (en) Drinking mouthpiece for bottles
CN205837521U (zh) 内置吸嘴和吸管的饮品瓶瓶盖
US11358757B2 (en) Lid for a cup
JP2001097389A (ja) キャップ付き飲料容器
JP4279578B2 (ja) 飲料缶用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飲料缶
CN209757955U (zh) 一种瓶盖及应用该瓶盖的瓶子
JP2007069979A (ja) キャップホルダー付容器
US20130032595A1 (en) Drink containers with unremovable closures
JP3776623B2 (ja) 開口仮封止栓付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