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947B1 -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947B1
KR101971947B1 KR1020130020281A KR20130020281A KR101971947B1 KR 101971947 B1 KR101971947 B1 KR 101971947B1 KR 1020130020281 A KR1020130020281 A KR 1020130020281A KR 20130020281 A KR20130020281 A KR 20130020281A KR 101971947 B1 KR101971947 B1 KR 10197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e system
valve
condenser
rankine cycle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131A (ko
Inventor
안용귀
이정한
협 김
권용성
김진형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40/00Fluid heaters having electrical generators
    • F24H2240/12Fluid heaters having electrical generators with thermodynamic cycle for converting thermal energy to mechanical power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 F24H2240/127Rankine cycles, e.g. steam heat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은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포함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에서는 작동유체가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열 교환기에서 차량의 폐열을 흡열하고, 터빈에서 팽창되어 일을 하고,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다시 제1 압축기로 돌아간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서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동일한 작동유체가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증발기에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열하고, 다시 제2 압축기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은 응축기를 공유하고 동일한 작동유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소된 부품수와 축소된 부피로 차량에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함께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heat recovery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폐열을 회수하는 랭킨 사이클 및 차량의 내부를 냉방하는 냉방 사이클을 가동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전체 에너지의 약 60% 정도는 냉각열과 배기열 등의 폐열로 손실된다. 이렇게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폐열회수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폐열 회수 시스템에는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 시스템, 터보차저(turbocharger) 시스템,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 시스템 등이 있다.
열전소자 시스템은 제벡 효과를 이용하여 폐열로부터 전기를 발전한다. 제백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또는 반도체의 양 끝을 접합하여 거기에 온도 차를 주면 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이다.
터보차저 시스템은 배기 에너지를 배기 통로에 마련된 터빈의 회전력으로 변화시켜서 회수하여 압축기의 흡기계에 마련된 압축기에 의해 혼합가스의 충전 효율을 높이고 출력 및 연료비를 향상시킨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은 랭킨 사이클을 이용해서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를 발전하거나 동력 보조에 활용한다. 랭킨 사이클은 2개의 단열 변화와 2개의 등압 변화로 구성되는 사이클 중에 작동유체가 증기와 액체의 상변화(相變化)를 수반하는 열역학 사이클이다.
종래에 랭킨 사이클 시스템은 증기 사이클을 이용함에 따라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냉방 사이클 시스템과는 다른 작동유체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량에 냉방 사이클 시스템과 함께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랭킨 사이클 시스템이 냉방 사이클 시스템과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에 부품수의 증가 및 부피 확장 등으로 인하여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장착할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소된 부품수와 축소된 부피로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함께 구축할 수 있는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은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포함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에서는 작동유체가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열 교환기에서 차량의 폐열을 흡열하고, 터빈에서 팽창되어 일을 발생시키고,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다시 상기 제1 압축기로 돌아간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서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동일한 작동유체가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상기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증발기에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열하고, 다시 상기 제2 압축기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은 응축기를 공유하고 동일한 작동유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응축부를 공유하고 그에 따라 응축부의 배관 등도 공유하게 됨으로써 감소된 부품수와 축소된 부피로 차량에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함께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랭킨 사이클과 냉방 사이클을 모두 구현하는 시스템의 복잡성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의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의 엔트로피 선도(T-s 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10)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10)은 랭킨 사이클 시스템 및 냉방 사이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압축기(110), 열 교환기(120) 및 터빈(130)은 랭킨 사이클 시스템에 포함된다. 제2 압축기(310), 팽창밸브(320) 및 증발기(330)는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 포함된다. 공유 응축부(200)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 의해 공유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에서 작동유체는 제1 압축기(110), 열 교환기(120), 터빈(130), 공유 응축부(200)를 차례로 통과하고 다시 제1 압축기(110)로 돌아가는 폐경로를 순환하면서 일반적인 랭킨 사이클을 실현한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서 작동유체는 제2 압축기(310), 공유 응축부(200), 팽창밸브(320), 증발기(330)를 차례로 통과하고 다시 제2 압축기(310)로 돌아가는 폐경로를 순환하면서 일반적인 냉방 사이클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냉방 사이클 시스템은 에어컨 시스템이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동일하다. 즉,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로서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를 사용하여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를 통일한다.
랭킨 사이클의 특성상, 작동유체로서 유기물질(organic fluid)을 사용해야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기존 차량의 냉방 사이클 시스템에 작동유체로서 냉매 유기물질을 이미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간의 작동유체 공유화 및 단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제1 압축기(110)는 랭킨 사이클에서의 단열압축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를 압축한다. 제1 압축기(11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열 교환기(120)는 랭킨 사이클에서의 등압흡열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가 차량의 폐열을 흡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120)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가 엔진 냉각수(500)의 폐열을 흡열하게 한다. 엔진 냉각수(500)는 차량의 다른 폐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지만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엔진 냉각수(500)는 엔진 운전 조건에 따른 온도의 편차가 70 내지 100 ℃로서 크지 않기 때문에 넓은 운전 영역에 걸쳐 폐열회수의 적용이 가능하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터빈(130)은 랭킨 사이클에서의 단열팽창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를 팽창시킨다. 팽창된 작동유체는 터빈 날개를 회전시키는 일을 발생시켜서 기계적 에너지를 생산한다. 생산된 기계적 에너지는 전기의 발전에 활용된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부(310)는 냉방 사이클에서의 압축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를 압축한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기(310)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제1 압축기(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의 압축기이고, 바꾸어 말하면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제1 압축기(110)는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기(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의 압축기이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기(31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터빈(130)에서 발생시킨 일은 전기의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이렇게 발전된 전기가 제2 압축기(310)에 전기 에너지로서 공급될 수 있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팽창 밸브(320)는 냉방 사이클에서의 팽창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를 팽창시킨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증발기(330)는 냉방 사이클에서의 흡열 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가 주변 공기의 열을 흡열하게 한다. 흡열한 작동유체는 증발하게 된다. 증발기(330)에서 수행되는 흡열 과정으로 인해 증발기(330)의 주변 공기는 차가와지고, 이 차가와진 공기로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랭킨 사이클의 작동유체는 냉방 사이클의 작동유체와 동일하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공유하는 공유 응축부(200)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등압방열 과정이 수행됨과 동시에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방열과정이 수행되도록 작동유체를 방열시킨다. 방열된 작동유체는 응축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터빈(130)과 공유 응축부(200)의 사이에는 제1 밸브(410)가 위치한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기(310)와 공유 응축부(200)의 사이에는 제2 밸브(420)가 위치한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410, 420)의 각각은 작동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동 기구를 갖는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410, 420)의 각각은 열린 상태에서 작동유체를 통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 작동유체를 차단한다.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가 모두 열린다. 이러한 경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가 모두 공유 응축부(200)로 유입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랭킨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410)가 열리고 제2 밸브(420)가 닫힌다. 이에 따라,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공유 응축부(200)로 유입되지만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제2 밸브에 의해 공유 응축부(200)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냉방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410)가 닫히고 제2 밸브(420)가 열린다. 이에 따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공유 응축부(200)로 유입되지만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제1 밸브에 의해 공유 응축부(200)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공유 응축부(200)는 제1 응축기(210), 제2 응축기(220), 제3 밸브(430), 제4 밸브(440) 및 제5 밸브(450)를 포함한다.
제1 응축기(210)는 제1 밸브(410)가 열리면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터빈(130)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고 제2 밸브(420)가 열리면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제2 압축기(310)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는다.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가 모두 열리면 터빈(130)과 제2 압축기(310) 모두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는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410)와 제2 밸브(420)가 모두 열려서 제1 응축기(210)로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가 모두 유입된다. 이러한 경우에는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의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비해 제1 응축기(210)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많아진다. 이는 제1 응축기(210)의 용량 부족을 초래한다.
그래서, 공유 응축부(200)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 제1 응축기(210)를 통과한 작동유체가 이어서 제2 응축기(220)도 통과하게 한다.
제2 응축기(220)는 제1 응축기(210)와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제1 압축기(110)의 사이에 해당함과 동시에 제1 응축기(210)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팽창밸브(320)의 사이에 해당하도록 위치한다.
제3 밸브(430)는 제1 응축기(210)와 제2 응축기(2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4 밸브(440)는 제2 응축기(220)와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제1 압축기(110)의 사이에 해당함과 동시에 제2 응축기(220)와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팽창밸브(320)의 사이에 해당하도록 위치한다. 제5 밸브(450)는 제3 밸브(430), 제2 응축기(220) 및 제4 밸브(440)를 바이패스하는 경로상에 위치한다.
제3 밸브 내지 제5 밸브(430, 440, 450)의 각각도 제1 밸브(410)나 제2 밸브(420)와 마찬가지로 작동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동 기구를 갖는다. 제3 밸브 내지 제5 밸브(410, 420)의 각각도 열린 상태에서 작동유체를 통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 작동유체를 차단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3 밸브(430)와 제4 밸브(440)가 모두 열리고 제5 밸브(450)가 닫힌다. 이에 따라, 제1 응축기(210)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이어서 제2 응축기(220)를 통과하게 된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3 밸브(430)와 제4 밸브(440)가 모두 닫히고 제5 밸브(450)가 열린다. 이에 따라, 제1 응축기(210)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제2 응축기(220)를 바이패스하게 된다.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10)은 제1 밸브 내지 제5 밸브(410, 420, 430, 440, 450)의 개폐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고 냉방 사이클 시스템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밸브(420), 제3 밸브(430) 및 제4 밸브(440)가 닫히고 제1 밸브(410)와 제5 밸브(450)가 열린다. 냉방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고 랭킨 사이클 시스템은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밸브(410), 제3 밸브(430) 및 제4 밸브(440)가 닫히고 제2 밸브(420)와 제5 밸브(450)가 열린다.
그리고,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모두 가동되는 경우에는 제5 밸브(450)가 닫히고 제1 밸브 내지 제4 밸브(410, 420, 430, 440)가 열린다.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모두 가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밸브 내지 제5 밸브(410, 420, 430, 440, 450)가 모두 닫힌다.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응축부를 공유하고 이에 따라 응축부에 연결되는 배관도 공유하게 됨에 따라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10)의 엔트로피 선도(T-s 선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주변 대기온도 Tambient가 30℃, 냉방 사이클 시스템의 저온부 온도 Tcold가 18℃,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열 교환기에 의해 폐열이 회수되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 Tcoolant가 85℃인 조건에서 R134a를 공통의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경우의 랭킨 사이클(610)과 냉방 사이클(62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1-2 과정에서는 랭킨 사이클(610)에서 제1 압축기(110)에 의해 등엔트로피 압축(단열압축)이 수행되고 냉방 사이클(620)에서도 제2 압축기(310)에 의해 등엔트로피 압축이 수행된다.
이어지는 2-3 과정에서는 랭킨 사이클(610)에서 열 교환기(120)에 의해 엔진 냉각수(500)의 폐열을 회수하여 등압흡열이 수행되고 냉방 사이클(620)에서는 공유 응축부(200)에 의해 등압방열이 수행된다.
이어지는 3-4 과정에서는 랭킨 사이클(610)에서 터빈(130)에 의해 등엔트로피 팽창(단열팽창)이 수행되고 냉방 사이클(620)에서도 팽창밸브(320)에 의해 등엔트로피 팽창이 수행된다.
이어지는 4-1 과정에서는 랭킨 사이클(610)에서 공유 응축부(200)에 의해 등압방열이 수행되고 냉방 사이클(620)에서는 증발기(330)에 의해 등압흡열이 수행된다.
도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 두 시스템들은 공유 응축부(200)를 지나는 선(주변 대기온도 Tambient)을 공유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탑재 가능한 여유공간이 있을 경우, 도1과 같이 엔진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것과 더불어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는 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경우, 듀얼 루프(dual loop) 랭킨 사이클을 구현하여 추가적인 전기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110: 제1 압축기
120: 열 교환기 130: 터빈
200: 공유 응축부 210: 제1 응축기
220: 제2 응축기 310: 제2 압축기
320: 팽창밸브 330: 증발기
410: 제1 밸브 420: 제2 밸브
430: 제3 밸브 440: 제4 밸브
450: 제5 밸브 500: 엔진 냉각수
610: 랭킨 사이클 620: 냉방 사이클

Claims (5)

  1.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으로서,
    작동유체가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열 교환기에서 차량의 폐열을 흡열하고, 터빈에서 팽창되어 일을 발생시키고,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다시 상기 제1 압축기로 돌아가는 랭킨 사이클 시스템;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와 동일한 작동유체가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상기 공유 응축부에서 방열되고, 팽창밸브에서 팽창되고, 증발기에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열하고, 다시 상기 제2 압축기로 돌아가는 냉방 사이클 시스템;
    상기 터빈과 상기 공유 응축부의 사이에 위치한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압축기와 상기 공유 응축부의 사이에 위치한 제2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가 모두 열리고,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2 밸브가 닫히며,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가 닫히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는 것이고,
    상기 공유 응축부는,
    상기 제1 밸브가 열리면 상기 터빈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 밸브가 열리면 상기 제2 압축기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제1 응축기;
    상기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압축기의 사이에 해당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응축기와 상기 팽창밸브의 사이에 해당하도록 위치한 제2 응축기;
    상기 제1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의 사이에 위치한 제3 밸브;
    상기 제2 응축기와 상기 제1 압축기의 사이에 해당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응축기와 상기 팽창밸브의 사이에 해당하도록 위치한 제4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2 응축기 및 상기 제4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제5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이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가 모두 열리고 상기 제5 밸브가 닫히며,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과 상기 냉방 사이클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가 모두 닫히고 상기 제5 밸브가 열리는 것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의 작동유체가 엔진 냉각수의 폐열을 흡열하게 하는 것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에서 발생시킨 일에 의해 전기가 발전되고, 상기 발전된 전기는 상기 제2 압축기로 공급되는 것인,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KR1020130020281A 2013-02-26 2013-02-26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KR10197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81A KR101971947B1 (ko) 2013-02-26 2013-02-26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81A KR101971947B1 (ko) 2013-02-26 2013-02-26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31A KR20140106131A (ko) 2014-09-03
KR101971947B1 true KR101971947B1 (ko) 2019-04-24

Family

ID=5175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281A KR101971947B1 (ko) 2013-02-26 2013-02-26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870B1 (fr) * 2017-01-19 2019-06-28 Valeo Systemes Thermiques Circuit thermodynam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9203917A (zh) * 2018-09-12 2019-01-1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乘用车用热循环系统及乘用车
CN114856741B (zh) * 2021-01-20 2024-06-04 浙江雪波蓝科技有限公司 朗肯循环系统及具有其的废热回收利用系统、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28B1 (ko) 1996-03-14 1999-06-15 니시무로 타이죠 공기조화장치
US20040255593A1 (en) * 2002-11-13 2004-12-23 Carrier Corporation Combined rankine and vapor compression cycles
JP2006125770A (ja) 2004-10-29 2006-05-18 Denso Corp 廃熱利用装置を備える冷凍装置
JP2008209085A (ja) * 2007-02-28 2008-09-11 Denso Corp 複合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28B1 (ko) 1996-03-14 1999-06-15 니시무로 타이죠 공기조화장치
US20040255593A1 (en) * 2002-11-13 2004-12-23 Carrier Corporation Combined rankine and vapor compression cycles
JP2006125770A (ja) 2004-10-29 2006-05-18 Denso Corp 廃熱利用装置を備える冷凍装置
JP2008209085A (ja) * 2007-02-28 2008-09-11 Denso Corp 複合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31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392B1 (ko) 냉동 사이클 및 랭킨 사이클을 갖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 시스템
AU2004320390B2 (en) Highly efficient heat cycle device
US8783034B2 (en) Hot day cycle
EP3728801B1 (en) Bottoming cycle power system
JP2008008224A (ja) 廃熱利用装置
JP2005201067A (ja) 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971947B1 (ko) 차량용 폐열회수 및 냉방 시스템
Yari et al. Thermo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 novel dual-evaporator system powered by electrical and solar energy sources
JP5375283B2 (ja) 冷凍装置
JPWO2006051617A1 (ja) Co2を冷媒としたヒートポンプ及びその運転方法
Yazawa et al. Optimum design for thermoelectric in a sub-cooled trans-critical CO 2 heat pump for data center cooling
KR20120126988A (ko) 차량용 열전발전 장치
Minh et al. Improved vapou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s: literature review and their application to heat pumps
WO2014096892A1 (en) Engine arrangement comprising a separate heat storage device
JP4140543B2 (ja) 廃熱利用装置
Abu-Ei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olar powered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Kulkarni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organic Rankine cycle (ORC) for recovering waste heat from a heavy duty diesel engine
Chen et al. A new absorption–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using a mid-temperature heat source for freezing application
JP2003121025A (ja) 複合冷暖房装置
JP4631426B2 (ja) 蒸気圧縮式冷凍機
JP2014156979A (ja) 蒸気圧縮式冷凍システム
Kaushik et al. Steam Rankine cycle cooling system: analysis and possible refinements
Dudar et al. Exergy analysis of operation of two-phase ejector in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JP4196817B2 (ja) 蒸気圧縮式冷凍機
Mody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in LiCl–H2O and LiBr–H2O absorption cooling systems through an advanced exergy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