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25B1 -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 Google Patents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25B1
KR101970225B1 KR1020180129035A KR20180129035A KR101970225B1 KR 101970225 B1 KR101970225 B1 KR 101970225B1 KR 1020180129035 A KR1020180129035 A KR 1020180129035A KR 20180129035 A KR20180129035 A KR 20180129035A KR 101970225 B1 KR101970225 B1 KR 10197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tt
voice
data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연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미리 선점된 PTT 신호를 수신 중에도 긴급 음성 및 긴급 전문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 동작 시에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음성 데이터 또는 비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고, 수신 동작 시에 상술한 PTT 헤더 정보가 추가된 음성 데이터 또는 비음성 데이터로부터 PTT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상술한 음성 데이터 또는 비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오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PUSH-TO-TALK RADIO AND RADIO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TT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시 PTT 신호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최적의 신호를 선택하는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군에서 운용중인 무전기는 PTT(Push To Talk)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데이터 단말기의 시리얼 데이터를 무선으로 원거리에 있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반 이중(Half-Duplex) 방식이다.
PTT(Push-to-talk)는 한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말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인스턴트 음성을 전달하는 단일 채널 통신 서비스로서, 단지 기기의 버튼을 누르는 것을 통해 음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자간 그룹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무전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무전기에 연결된 유선송수화기 또는 인터컴 등으로 유선 음성 통화를 하거나 무선송수화기로 블루투스 페어링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무전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BMS(Battle Management System) 같은 데이터 단말기를 연결하여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B2CS(Battalion Battle Command System) 같은 단말기를 연결하여 이더넷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이더넷은 맨체스터(Manchester) 코드를 사용하던 10Mbps를 거쳐 4B/5B와 8B/10B 코드를 사용하는 100Mbps와 1Gbps의 전송 속도로 발전하였고, 더욱 더 속도를 높여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PTT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또는 시리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유선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유선 송수화기 PTT 신호, 무선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화기 PTT 신호, 데이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말 PTT 신호 및 인터컴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인터컴 PTT 신호 등을 이용하여 PTT 신호로 송수신할 수 있으나, 상술한 복수 개의 PTT 신호 들 중 먼저 신호를 잡은 PTT 신호만이 송신을 독점하여 사용하므로 복수 개의 PTT 신호들은 동시에 운용이 어렵다.
따라서, 긴급 무선송수화기 음성 송신이 필요한 상황일 때 이미 유선 음성 통신 중이거나 또는 데이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 중이라면 무선송수화기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행되는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특히 시리얼 데이터는 최저 전송속도가 75 bps(Bit per second)로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이미 시리얼 데이터를 통신하는 중이라면 무선송수화기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수 분 이상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전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먼저 음성 통화로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 의사를 밝히고 나서 음성 통화를 종료한 후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를 송신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전기를 이용하여 통신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와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와 이더넷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없으므로, 음성 데이터 또는 시리얼 데이터(또는 이더넷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음성 데이터 또는 시리얼 데이터(또는 이더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는 긴급 음성 및 긴급 전문을 송수신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무전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PTT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 및 시리얼 데이터(또는 이더넷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시간 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첫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데이터 패킷인지를 구분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PTT 신호들에 따라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들 및 디지털 비음성 신호들을 동시에 처리하고, PTT 신호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긴급한 음성 신호 또는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서 수신되는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타 무전기 PTT로 송신하고, PTT 헤더 정보가 포함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PTT 헤더 정보에 포함된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서 수신되는 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송신 데이터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push-to-talk) 무전기는 송신 동작 시에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Enable)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수신 동작 시에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음성 신호 송수신부;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수신 신호를 상기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복조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push-to-talk)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Enable)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송수화기, 무선 송수화기 및 인터컴으로 동시에 음성 통화가 가능하며, PTT 신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특정 방법을 이용하는 음성 통화의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로 통신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단말기들을 동시에 운용할 수 있으며, PTT 신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특정 방법을 이용하는 시리얼 데이터 또는 이더넷 데이터의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 및 시리얼 데이터(또는 이더넷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무전기 운용 시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첫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데이터 패킷인지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으므로 PTT 오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음성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비음성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PTT 신호들에 따라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이더넷(Ethernet), 인터컴(intercom),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데이터 처리부(200), RF 처리부(300) 및 클럭 신호 발생부(400)를 포함한다. PTT 무전기(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동작 시,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는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Enable)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는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의 PTT 버튼에 따라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송신되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동기를 위해 비트 클럭 신호(BCLK) 및 워드 클럭 신호 신호(WCLK)를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음성 데이터를 워드(word)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워드 클럭 신호(WCLK) 및 음성 데이터를 비트(bit)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비트 클럭 신호(BCLK)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트 클럭 신호(BCLK)는 음성 데이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비트를 전송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트 클럭 신호(BCLK)는 256 kHz일 수 있고, 워드 클럭 신호(WCLK)는 8 kHz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는 음성 입력부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및 음성 출력부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는 신호 레벨 조절부(110), 음성 신호 증폭부(120), 코덱(130), 음성 인터페이스부(140) 및 블루투스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는 유선으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 및 무선으로 음성 신호를 입출력 하는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는 유선 송수화기 및 인터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는 무선 송수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 동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레벨 조절부(110)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신호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이크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할 때 마이크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마이크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신호 레벨이 매우 작아지고, 사용자가 너무 가까이서 마이크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마이크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신호 레벨이 매우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레벨 조절부(110)는 코덱(130)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신호 레벨 범위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이득(Gain)을 조절하여 마이크로부터 입력 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레벨 조절부(110)는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채널 별로 코덱(130)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 범위에 적합한 신호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수신 동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증폭부(120)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에 포함된 스피커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송신 동작 시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 동작 시에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0)에 포함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에 해당하는 마이크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에 해당하는 스피커와 상호 교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샘플링한 후, 양자화를 거친 디지털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음성 신호는 24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송신 동작 시에 신호 레벨 조절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이 조절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conversion)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샘플링 비율(Sampling Rate)로 샘플링을 할 수 있고, 샘플링 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대치하도록 양자화(Quantization)하여 양자화 된 음성 신호를 이진 부호화(Binary Encoding)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신호 레벨 조절부(110)로부터 신호 레벨이 조절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8~96kHz의 샘플링 비율로 표본화 시키도록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에 해당하는 샘플링을 할 수 있고, 샘플링 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크기(Amplitude)를 대응되는 16개 레벨의 값으로 양자화 할 수 있으며, 양자화 된 값을 이진 부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2 진수의 16비트 나열로 표시한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PCM(Pulse Code Modulation)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동작 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130)은 8 kHz의 샘플링 비율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16개 레벨의 디지털 값(2 진수의 16비트 나열)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이때, 8 kHz의 샘플링 비율은 클럭 신호 발생부(400)에서 발생된 워드 클럭 신호(WCLK)를 나타내고, 코덱(130)은 16 비트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비트 클럭 신호(BCLK)의 동기에 맞추어서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150)은 송신 동작 시에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150)은 수신 동작 시에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150)은 클럭 신호 발생부로부터 생성된 비트 클럭 신호(BCLK) 및 워드 클럭 신호(WCLK)를 공급받는 슬레이브(Slave) 모드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150)은 I2S(Inter-IC Sound)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 동안 워드 클럭 신호(WCLK)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롱 프레임 동기(Long Frame Synchronization)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워드 클럭 신호(WCLK)가 상승 에지(Rising Edge)가 되면 I2S Data가 시작되며, 비트 클럭 신호(BCLK)가 하강 에지(Falling Edge)가 되면 I2S IN Data를 채갈 수 있고, 비트 클럭 신호(BCLK)가 상승 에지가 되면 I2S OUT Data를 내보낼 수 있다.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송신 동작 시에 코덱(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serial)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수신 동작 시에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송신 동작 시에 음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버스 규격에 따라 코덱(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직렬 버스는 I2S(Inter IC-Sound)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2S(Inter-IC Sound)는 프로세서 간에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표준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2S는 음성 데이터를 클럭 신호와 분리하여 처리하며, 이러한 음성 데이터와 클럭 신호의 분리 처리를 통하여 지터를 유발하는 시간 관련 에러들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지터 방지를 위한 구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채널 별 코덱(130) 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채널 별 코덱(130)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와 함께 I2S(Inter-IC Sound) 규격으로 통합하여 다채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블루투스 모듈(150)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serial)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수신 동작 시에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음성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 시 동기화시키도록 클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트 클럭 신호(BCLK)는 디지털 음성 신호의 전송 동기를 위해 기준 신호인 시리얼 클럭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드 클럭 신호(WCLK)는 프레임 동기(Frame Sync)를 위해 16개의 비트 클럭 신호(BCLK)에 연동되어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 및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시작을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워드 클럭 신호(WCLK)가 논리 ‘1’(High)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가 비트 클럭 신호(BCLK) 동기에 맞추어서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 및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각각 16 비트를 추출할 수 있고, 워크 클럭 신호(WCLK)가 논리 ‘0’ (Low)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가 비트 클럭 신호(BCLK) 동기에 맞추어서 인터컴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16 비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클럭 신호 발생부(400)에서 발생된 워드 클럭 신호(WCLK)의 논리 상태에 따라 워드 클럭 신호(WCLK)가 논리 하이(high) 일 때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에 해당하는 유선 송수화기로부터 입력된 제1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제1 디지털 음성 신호 및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2)에 해당하는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입력된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제2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바이트(Byte) 단위로 추출할 수 있고, 워드 클럭 신호(WCLK)가 논리 로우(low) 일 때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21)에 해당하는 인터컴으로부터 입력된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된 제3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바이트(Byte) 단위로 추출할 수 있고, 각각 미리 설정된 바이트(Byte) 단위로 추출된 제1 내지 제3 디지털 음성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미리 설정된 바이트(Byte)는 2 Byte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140)는 수신 동작 시 데이터 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되는 I2S 규격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추출하여 채널 별로 코덱(130)에 분배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송신 동작 시에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는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는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와 PTT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르게 수신된 수신 신호의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PTT 헤더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210)는 1 Byte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210)는 수신 신호 구별 정보, PTT 신호 상태 정보, PTT 신호 판별 정보 및 채널 구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210) 중에서 7:6 비트(211)는 수신 신호 구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상술한 수신 신호 구별 정보는 상술한 제1 PTT 신호 또는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정상적으로 수신된 정상 신호인지 송신 데이터 전송 전에 버퍼에 포함된 쓰레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패딩(Padding) 신호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신호 구별 정보는 송신 데이터 전송 전에 GPP(general-purpose processors) 버퍼에 쌓여있는 쓰레기 데이터를 없애는 패딩 신호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신호인 경우 7:6 비트(211)를 ‘00’으로 나타낼 수 있고, 패딩 신호인 경우 7:6 비트(211)를 ‘11’로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 중에서 5:4 비트(212)는 PTT 신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PTT 신호의 상태를 4단계로 구분하는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신호 상태 정보는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을 고려하여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 전 상태인 대기 상태,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동시에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시작 상태,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이후부터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Disable) 되기 전 상태인 중간 상태 및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순간과 동시에 상술한 논리 값이 다시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종료 상태인 4 단계의 PTT 신호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거나 디스에이블 되는 경우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변하게 되며, PTT 신호의 상태는 상술한 논리 값이 변하는 순간에 따라 대기 상태, 시작 상태, 중간 상태 및 종료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시작 상태는 논리 값이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전환되는 순간으로 설명하고,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종료 상태는 논리 값이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전환되는 순간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 상술한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 되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한 논리 값 전환에 대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상태인 대기 상태의 경우 5:4 비트(212)를 ‘00’으로 나타낼 수 있고, PTT 신호가 시작 상태인 경우 5:4 비트(212)를 ‘01’로 나타낼 수 있고, PTT 신호가 중간 상태인 경우 5:4 비트(212)를 ‘10’으로 나타낼 수 있고, PTT 신호가 종료 상태인 경우 5:4 비트(212)를 ‘11’로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가 ‘01’에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은 PTT 신호의 시작과 동시에 들어온 첫 번째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상술한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가 ‘10’에 해당하는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은 상술한 PTT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가 ‘01’에 해당하는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인 첫 번째 데이터 패킷 이후의 클럭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또는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또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데이터 처리부(200)가 PTT 헤더 정보를 생성 시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대기 상태의 비트로 유지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또는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또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지 않다가 수신하기 시작하면, 데이터 처리부(200)는 PTT 헤더 정보를 생성 시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시작 상태의 비트로 변경하여 PTT 헤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가 시작 상태의 비트로 변경 된 PTT 신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타 PTT 무전기로 전송한 후 PTT 신호가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PTT 신호 상태 정보가 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로 변경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PTT 신호의 논리 값이 전환되는지 판단하여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 정보를 유지할 지 변경할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PTT 신호의 논리 값이 변경되지 않은 채 논리 로우 상태를 유지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PTT 헤더 정보 중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10’으로 유지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비해, 판단 결과 PTT 신호의 논리 값이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전환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논리 하이로 전환되면서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는 PTT 정보 헤더 중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PTT 신호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비트인‘11’로 변경한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상술한 PTT 신호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가 ‘11’에 해당하는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타 PTT 무전기로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타 PTT 무전기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기 전 송신 된 마지막 데이터 패킷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시작 데이터 패킷과 마지막 데이터 패킷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데이터 수신 시 시간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술한 PTT 신호 상태 정보를 GPP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210) 중에서 3:1 비트(213)는 PTT 신호 판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최대 8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신호 판별 정보는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면서 수신된 수신 신호가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지,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지 또는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신호 판별 정보를 3:1 비트(213)로 나타내면,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 중 음성 송수화기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000’으로 나타낼 수 있고,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 중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001’으로 나타낼 수 있고,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 중 인터컴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는 ‘010’으로 나타낼 수 있고, 제1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는 ‘011’로 나타낼 수 있고, 제2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는 ‘1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나머지 ‘101, 110 및 111’는 예비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신호 판별 정보는 PTT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210) 중에서 0 비트(214)는 채널 구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채널 구별 정보는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수신 신호를 수신 시 복수 개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수신하면 수신 신호를 수신 시 이용한 채널을 구별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 채널이 사용된 경우 제1 채널인 경우 0 비트(214)를 ‘0’으로 나타낼 수 있고, 제2 채널인 경우 0 비트(214)를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0 비트(214)는 채널 정보를 GPP에 알려주어 채널 별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의 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2 Byte씩 추출된 음성 데이터에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3 Byte의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처리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생성된 총 3 Byte의 음성 데이터를 선입선출형(FIFO) 메모리(도면에 미도시)에 전달하여 선입선출형(FIFO) 메모리는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입선출형(FIFO) 메모리는 어드레스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저장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RF 처리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입력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로부터 1 Byte씩 추출된 비음성 데이터에 상술한 1 Byte의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처리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300)는 송신 동작 시 데이터 처리부(200)에서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수신 동작 시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수신 신호를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복조할 수 있다.
RF 처리부(300)가 무선이동통신을 이용하여 RF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300)는 모뎀부(310) 주파수 변환부(320), 필터부(330) 및 RF 신호 증폭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뎀부(310)는 송신 동작 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수신 동작 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뎀부(310)는 데이터 처리부(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파형(waveform)을 탑재하고 변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뎀부(310)와 데이터 처리부(200)가 통신하는 통신 방법은 이더넷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더넷 통신은 일반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유닉스 시스템, 인터넷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TCP/IP 프로토콜의 통신채널은 한쌍의 포트 주소와 IP 주소를 이용하여 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이더넷 통신에서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위해, 통신채널 설립 후, 이 설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및 정보 교환을 하거나 또는 통신 채널 설립 없이 상대국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설립된 통신채널은 통신국끼리만 서비스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설립되므로 신뢰성이 요구되는 특정의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부(320) 송신 동작 시 변조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의 주파수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RF 송신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수신 동작 시 수신된 RF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부(330)는 수신 저잡음증폭 및 송신 동작 시 고조파 및 불요파 억압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신호 증폭부(340) 종단에 하모닉스와 송신잡음을 억압하여 고출력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신호 증폭부(340)는 음성용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달하는 파워 앰프 및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음성용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모뎀부(3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저잡음증폭기(LN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신 동작 시, 데이터 처리부(200)는 RF 처리부(300)에서 복조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수신 동작 시,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는 데이터 처리부(200)에서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0)는 운용자에게 PTT 무전기 제어 및 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창 및 키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창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는 하나의 키를 눌러 입력받는 버튼, 복수의 키를 눌러 입력받는 키보드,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터치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패드는 문자, 방향, 숫자 등에 매칭될 수 있고, 두 개의 키가 조합되어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는 누름 방식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1)는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데이터 처리부(200), RF 처리부(300), 클럭 신호 발생부(400) 및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PTT 무전기(11) 구성 중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데이터 처리부(200), RF 처리부(300) 및 클럭 신호 발생부(4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송신 동작 시에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의 PTT 버튼에 따라 디지털 비음성 신호가 송신되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수신 동작 시에 비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비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의 전송 시 동기화를 위해 클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비음성 디지털 신호를 시리얼 통신 방식에 의해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디지털 신호는 시리얼 데이터(serial data)일 수 있고,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는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비음성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음성 디지털 신호를 데이터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
RS-232(Recommend Standard number-232) 인터페이스 규격은 컴퓨터와 그 주변장치들 간의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규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은 RS-232 시리얼 통신 방식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통로로, RS-232 시리얼 통신 방식의 특성상 연결되는 장치의 개수에 상관없이 신호의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RS-232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RS-232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TTL/CMOS(Transistor Transistor Logic/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신호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232 데이터는 논리 하이(high) 레벨이 +3V ~ +15V 정도의 전압 레벨로 수신되고, 논리 로우(low) 레벨이 -15V ~ -3V 정도의 전압 레벨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상술한 RS-232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TTL/CMOS 전압 레벨인 +2V ~ +5V 및 +0.8V ~ 0V 정도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가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시리얼 데이터인 RS-232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5.0V 이상의 디지털 비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RS-232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3.3V의 CMOS 로직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가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시리얼 데이터를 데이터 단말기(30)로 송신하는 경우, CMOS 레벨을 RS-232 레벨로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가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로직 레벨이 서로 다른 데이터 단말기(3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로직 레벨을 상호 변환하여 데이터 단말기(30)와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로직 레벨이 변환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외부의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75 ~ 115,200 BPS의 속도로 입력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8비트 단위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비음성 디지털 신호를 시리얼 통신 방식 중 하나인 비동기화 송수신 방식인 URA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 할 수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의 전송 데이터는 전송 클럭이 별도로 주어지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시작 비트(Start bit)와 정지 비트(Stop bit)가 요구된다.
시작 비트가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전환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75 ~ 115,200 BPS(Bit per Second)의 속도로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시리얼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9600 BPS이면 시작 비트를 샘플링하기 위해 3072 kHz 속도의 내부 클럭을 사용할 수 있고, 수신 데이터의 정확한 검출을 위하여 1 비트 당 4 배 주파수로 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9600 X 4)Hz로 샘플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4 배 주파수 중 3번 샘플링하여 2번 이상 나타나는 값을 신뢰성 있는 값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전송 데이터 포맷은 시작 비트 1개, 데이터 비트 8개, 정지 비트 1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는 시작 비트가 논리 하이(high)에서 논리 로우(low)로 전환되면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8 비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비음성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고, 정지 비트가 논리 하이(high)로 전환되면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디지털 비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시리얼 데이터의 전송은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송신 동작 시에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에서 생성된 비음성 데이터에 도 3에서 설명한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비음성 데이터의 경우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에서 전송 받은 비음성 데이터의 1 Byte 앞쪽에 PTT 정보가 포함된 헤더 1 Byte를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앞쪽에 1 Byte의 PTT 정보가 포함된 헤더가 붙은 비음성 데이터의 뒤쪽에 추가로 더미 데이터 1 Byte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비음성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에 해당하는 3 Byte의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송신 동작 시에 생성된 총 3 Byte의 비음성 데이터를 RF 처리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생성된 총 3 Byte의 비음성 데이터를 FIFO 메모리(도면에 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IFO의 입력 클럭 신호(Input Clock)는 3072kHz FIFO의 출력 클럭 신호(Output Clock)는 24MHz로 음성의 경우 93배 이상 빠르고, 시리얼 데이터의 경우 7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여러 음성 데이터와 비음성 데이터가 동시에 들어와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I2S 규격의 다채널 음성 데이터와 채널 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다채널 비음성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수신 동작 시에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비음성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신호 발생부(400)는 상술한 비트 클럭 신호(BCLK) 및 워드 클럭 신호(WCLK)를 음성 신호 송수신부(100),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500) 및 데이터 처리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술한 PTT 헤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PTT 헤더 정보를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비음성 데이터 매 패킷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처리부(300)가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종래에 발생하였던 PTT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11)는 송신 모드의 경우 상술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유선 음성 입출력 장치(21),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22) 및 데이터 단말기(30)로부터 각각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동시에 전송 받아 전송 받은 신호들을 처리하여 타 무전기 PTT로 송신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수신 모드에서는 타 무전기 PTT로부터 상술한 신호들을 처리하여 PTT 헤더 정보가 추가된 송신 데이터가 변환된 RF 수신 신호를 수신 받아 수신 받은 RF 수신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술한 PTT 헤더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각각 처리된 수신 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유선 음성 입출력 장치(21),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22) 및 데이터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 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디지털 비음성 신호 중에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타 PTT 무전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음성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유선 송수화기의 PTT 신호와 인터컴의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상태인 중간 상태에서 유선 송수화기 및 인터컴으로부터 동시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무선 송수화기의 PTT가 인에이블 되면서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긴급하게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은 워드 클럭 신호(WCLK)가 논리 하이일 때 유선 송수화기로부터 입력 받은 제1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변환한 1011 0101 0010 1101에 해당하는 제1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덱은 워드 클럭 신호(WCLK)가 논리 로우일 때 인터컴으로부터 입력 받은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변환한 0001 0010 0011 0100에 해당하는 제2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터페이스부는 전송 받은 제1 디지털 음성 신호를 2 Byte 간격으로 추출한 제1 음성 데이터(201b) 및 제2 디지털 음성 신호를 2 Byte 간격으로 추출한 제2 음성 데이터(202b)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전송 받은 제1 음성 데이터(201b) 및 제2 음성 데이터(202b) 각각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201a, 202b)를 1 Byte씩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원 신호에 해당하는 0xB52D의 제1 음성 데이터(201b)에 유선 송수화기의 PTT가 인에이블이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중간 상태에서 입력된 제1 아날로그 음성 신호 정보가 포함된 0x20의 제1 음성 PTT 헤더 정보(201a) 1 Byte가 추가된 데이터인 0x20B52D의 제1 음성용 송신 데이터(201) 및 원 신호에 해당하는 0x1234의 제2 음성 데이터(202b)에 인터컴의 PTT가 인에이블이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중간 상태에서 입력된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 정보가 포함된 0x24의 제2 음성 PTT 헤더 정보(202a) 1 Byte가 추가된 데이터인 0x241234의 제2 음성용 송신 데이터(20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1 음성용 송신 데이터(201) 및 제2 음성용 송신 데이터(202)를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가 상술한 0x20B52D의 제1 음성용 송신 데이터(201) 및 0x241234의 제2 음성용 송신 데이터(202)를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함과 동시에 무선 송수화기 PTT가 논리 로우가 되면서 블루투스 모듈이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입력 받은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변환한 1010 1001 0100 1011에 해당하는 제3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할 수 있고, 음성 인터페이스부는 전송 받은 제3 디지털 음성 신호를 2 Byte 간격으로 추출한 0xA94B의 제3 음성 데이터(203b)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는 전송 받은 제3 음성 데이터(203b)에 무선 송수화기의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된 시작 상태에서 입력된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 정보가 포함된 0x12의 제3 음성 PTT 헤더 정보(203a) 1 Byte가 추가된 0x12A94B의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를 생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를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PTT 무전기는 수신한 0x12A94B의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에 포함된 제3 음성 PTT 헤더 정보(203a)로부터 수신한 0x12A94B의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가 첫 패킷에 해당하는 무선 송수화기로 입력된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에 해당하는 PTT 무전기가 유선 송수화기와 인터컴으로부터 각각 입력 받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제1 및 제2 음성 PTT 헤더 정보(201a, 202a)를 추가하여 제1 및 제2 음성용 송신 데이터(201, 202)를 수신측에 해당하는 PTT 무전기에 송신하고 있다가 송신측에 해당하는 PTT 무전기가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제3 음성 PTT 헤더 정보(203a)를 추가하여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를 수신측에 해당하는 PTT 무전기로 송신하기 시작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에 해당하는 PTT 무전기는 제1 내지 제3 음성용 송신 데이터(203) 각각에 추가된 제1 내지 제3 음성 PTT 헤더 정보(203a)를 파악한 후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유선 송수화기 및 인터컴으로부터 입력된 제1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제2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버리고, 무선 송수화기로부터 입력된 제3 아날로그 음성 신호만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비음성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제1 데이터 단말기와 제2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동시에 제1 및 제2 디지털 비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 중 제1 데이터 단말기의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이 되기 전 제1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마지막으로 패킷이 입력되었고, PTT가 논리 하이(High)인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음성 신호는 시리얼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더넷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디지털 비음성 신호 및 제2 디지털 비음성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시리얼 데이터 및 이더넷 데이터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가 00011001에 해당하는 제1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1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1Byte 간격으로 추출한 제1 비음성 데이터(204b)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전송 받은 제1 비음성 데이터(204b)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204a) 1 Byte를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제1 비음성 데이터(204b)에 더미 데이터(204c) 1 Byte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원 신호에 해당하는 0x98의 제1 비음성 데이터(204b)의 앞쪽에 제1 데이터 단말기의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이 되기 전 바로 전 상태인 종료 상태에서 입력된 제1 디지털 비음성 신호 정보가 포함된 0x36의 제1 비음성 PTT 헤더 정보(204a) 1 Byte가 추가되고, 0x98의 제1 비음성 데이터(204b)의 뒤쪽에 0x00의 더미 데이터(204c) 1 Byte가 추가된 데이터인 0x369800의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를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를 수신한 다른 PTT 무전기는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에 포함된 제1 비음성 PTT 헤더 정보(204a)로부터 수신한 0x369800의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가 제1 데이터 단말기의 마지맛 패킷의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가 상술한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를 생성하는 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비트 데이터가 10100110에 해당하는 제2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2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1 Byte 간격으로 추출한 제2 비음성 데이터(205b)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전송 받은 제2 비음성 데이터(205b)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205a) 1 Byte를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제2 비음성 데이터(205b)에 더미 데이터(204c) 1 Byte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원 신호에 해당하는 0x65의 제2 비음성 데이터(205b)의 앞쪽에 제2 데이터 단말기의 PTT 신호가 인에이블이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중간 상태에서 입력된 제2 디지털 비음성 신호 정보가 포함된 0x28의 제2 비음성 PTT 헤더 정보(205a) 1 Byte가 추가되고, 0x65의 제2 비음성 데이터(205b)의 뒤쪽에 0x00의 더미 데이터(204c) 1 Byte가 추가된 데이터인 0x286500의 제2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5)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제2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5)도 다른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 205)를 수신한 다른 PTT 무전기는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에 포함된 제1 비음성 PTT 헤더 정보(204a)로부터 제1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4)가 제1 데이터 단말기의 마지막 패킷의 데이터임을 확임함과 동시에 수신한 제2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205)에 포함된 제2 비음성 PTT 헤더 정보(205a)로부터 제2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계속해서 디지털 비음성 신호가 입력될 예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PTT 무전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이하 명세서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PTT 무전기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8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는 유선으로 송수신하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S8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값에 해당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음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버스 규격에 따라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미리 설정된 비트를 가지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직렬 버스는 I2S(Inter IC-Sound) 등일 수 있다.
상술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S8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헤더 정보는 수신 신호 구별 정보, PTT 신호 상태 정보, PTT 신호 판별 정보 및 채널 구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PTT 헤더 정보 및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RF 처리부는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한다(S84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는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의 주파수를 상향하여 RF 송신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RF 송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RF 처리부가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수신 모드의 경우 PTT 무전기가 타 PTT 무전기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용 송신 데이터가 변조된 RF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는 수신된 RF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고 복조하여 RF 수신 신호를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부는 복조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9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동작 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PTT 무전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이하 명세서에서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PTT 무전기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음성 신호 송수신부가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S910), 데이터 처리부가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S920), PTT 헤더 정보를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S930). 상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고(S940),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S9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비음성 디지털 신호를 시리얼 통신 방식에 의해 송수신 할 수 있다. 상술한 비음성 디지털 신호는 시리얼 데이터 및 시리얼 통신은 RS-232 시리얼 통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RS-232 시리얼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RS-232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RS-232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TTL/CMOS의 신호레벨로 변환할 수 있으며, 로직 레벨이 변환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에서 생성된 비음성 데이터에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S960). 상술한 PTT 헤더 정보 및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RF 처리부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한다(S97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는 음성용 송신 데이터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의 주파수를 상향하여 RF 송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 송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RF 처리부가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수신 모드의 경우 PTT 무전기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타 PTT 무전기에서 생성된 PTT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가 변조된 RF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 처리부는 수신된 RF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고 복조하여 RF 수신 신호를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부는 복조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복조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는 복조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에 포함된 수신 신호 구별 정보로부터 타 PTT 무전기로부터 수신 받은 RF 수신 신호가 복조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가 타 PTT 무전기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한 정상신호로부터 생성된 송신 데이터인지 또는 타 PTT 무전기에서 송신 데이터 전송 전에 버퍼에 포함된 쓰레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패딩신호로부터 생성된 송신 데이터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복조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가 타 PTT 무전기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한 정상신호로부터 생성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이면, 데이터 처리부는 복조된 음성용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데이터로 결정하고, 복조된 송신 데이터 포함된 PTT 헤더 정보에 포함된 PTT 신호 판별 정보를 분석하여 송신 데이터가 음성용 송신 데이터인지 또는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는 판단 결과에 따라 복조된 송신 데이터가 음성용 송신 데이터라고 판단하면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PTT 헤더 정보를 제외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신호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고, 복조된 송신 데이터가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라고 판단하면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PTT 헤더 정보 및 더미 데이터를 제외한 비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전송 받은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전송 받은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변환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음성 신호 송수신부 및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PTT 신호들에 따라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PTT 무전기는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의 제1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면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10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인 시작 상태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제1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한다(S10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인 시작 상태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처리하면서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을 판단한다(S1030).
판단 결과, 제2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이고 제1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된 상태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의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한다(S10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지 판단하고(S1040),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될 때까지 제1 PTT 신호 대기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 처리를 반복하고,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인 종료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마지막으로 처리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면서 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판단 결과 제1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된 상태에서 제2 PTT 신호 또한 인에이블 된 상태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처리함과 동시에 제2 PTT 신호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함께 처리하여 처리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에 제2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함께 생성하고, 생성된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한다(S106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지 뿐만 아니라, 제2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지를 판단하고(S1070),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될 때까지 제1 PTT 신호 대기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 처리를 반복함과 동시에 제2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될 때까지 제2 PTT 신호 대기 상태에서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 처리를 반복한다.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되고, 제2 PTT 신호도 디스에이블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인 종료 상태에서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마지막으로 처리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고, 또한 제2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인 종료 상태에서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마지막으로 처리하여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면서 무전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제1 PTT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제2 PTT 신호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는 복수 개의 PTT 신호들에 따라 복수 개의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PTT 신호들에 따라 복수 개의 데이터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음성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은 음성 및 데이터 전송 시에 PTT 신호 정보를 함께 실어 보냄으로써 종래 무전기의 경우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면서 외부 장치로부터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수신 신호를 처리 중일 때는 또 다른 외부 장치의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어도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수신 신호만 처리하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PTT 무전기 300: RF 처리부
100: 음성 신호 송수신부 400: 클럭 신호 발생부
200: 데이터 처리부 500: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

Claims (12)

  1. 송신 동작 시에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Enable)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수신 동작 시에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음성 신호 송수신부;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수신 신호를 상기 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복조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PTT 헤더 정보는, (i) 상기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을 고려하여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 전 상태인 대기 상태, (ii)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동시에 상기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시작 상태, (iii)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이후부터 상기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Disable) 되기 전 상태인 중간 상태 및 (iv) 상기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순간과 동시에 상기 논리 값이 다시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PTT 신호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4개로 구분된 (i) 상기 대기 상태, (ii) 상기 시작 상태, (iii) 상기 중간 상태, 및 (iv) 상기 종료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PTT 신호의 시작과 동시에 들어온 첫 번째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기 전 송신된 마지막 데이터 패킷에 해당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push-to-talk) 무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 및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는 유선으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는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 및 무선으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는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PTT 헤더 정보는,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면서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유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지, 상기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지 또는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인 PTT 신호 판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상기 음성 인터페이스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수신 동작 시에 비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비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는 비음성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생성된 비음성 데이터에 상기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PTT 헤더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RF 처리부는 상기 송신 동작 시에 상기 생성된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수신 동작 시에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수신 신호를 상기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로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T 헤더 정보는,
    상기 제1 PTT 신호 또는 상기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정상적으로 수신한 정상 신호인지 상기 송신 데이터 전송 전에 버퍼에 포함된 쓰레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패딩(Padding) 신호인지를 구별하는 정보인 수신 신호 구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헤더 정보는,
    상기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수신 신호를 수신 시 복수 개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수신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 시 이용한 채널을 구별하는 채널 구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
  9. PTT(push-to-talk)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에 있어서,
    제1 PTT 신호의 인에이블(Enable)에 따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리얼 통신 방법에 의해 송신되도록 처리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PTT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PTT 헤더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에 추가하여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TT 헤더 정보는, (i) 상기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을 고려하여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기 전 상태인 대기 상태, (ii)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동시에 상기 논리 값이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시작 상태, (iii)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순간 이후부터 상기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Disable) 되기 전 상태인 중간 상태 및 (iv) 상기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는 순간과 동시에 상기 논리 값이 다시 전환되는 순간의 상태인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PTT 신호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TT 무전기는 4개로 구분된 (i) 상기 대기 상태, (ii) 상기 시작 상태, (iii) 상기 중간 상태, 및 (iv) 상기 종료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PTT 신호의 시작과 동시에 들어온 첫 번째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1 PTT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기 전 송신된 마지막 데이터 패킷에 해당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push-to-talk)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비트 단위로 추출하여 비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음성 데이터에 상기 생성된 PTT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비음성용 송신 데이터를 상기 RF 송신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타 PTT 무전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PTT 무전기로부터 상기 PTT 헤더 정보가 포함된 송신 데이터가 변조된 RF 수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RF 수신 신호를 상기 송신 데이터로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송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PTT 헤더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복조된 송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여부가 결정된 복조된 송신 데이터가 음성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복조된 송신 데이터를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디지털 비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TT 헤더 정보는,
    상기 제1 PTT 신호 또는 상기 제2 PTT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정상적으로 수신한 정상 신호인지 상기 송신 데이터 전송 전에 버퍼에 포함된 쓰레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패딩(Padding) 신호인지를 구별하는 정보인 수신 신호 구별 정보; 및
    상기 PTT 신호가 인에이블되면서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음성 신호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인지 또는 상기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음성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인 PTT 신호 판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무전기를 이용한 무전 방법.
KR1020180129035A 2018-10-26 2018-10-26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KR10197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35A KR101970225B1 (ko) 2018-10-26 2018-10-26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35A KR101970225B1 (ko) 2018-10-26 2018-10-26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25B1 true KR101970225B1 (ko) 2019-08-27

Family

ID=6780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035A KR101970225B1 (ko) 2018-10-26 2018-10-26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60B1 (ko) * 2004-10-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845098B1 (ko) * 2007-04-11 2008-07-09 성 운 한 다자간 디지털 무선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60B1 (ko) * 2004-10-0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845098B1 (ko) * 2007-04-11 2008-07-09 성 운 한 다자간 디지털 무선통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052B1 (en) Methods for using a caption device with a mobile device
US20080033719A1 (en) Voice modulation recognition in a radio-to-sip adapter
US20160191093A1 (en) Wireless headset system with two different radio protocols
CN111294777A (zh) 一种蓝牙音频传输器的控制方法及通信方法
CN105493425A (zh) 在拥挤的通信信道中维持音频通信
KR20110051385A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JP2020529163A (ja) デジタル無電機機能を有するスマートフォン及びブルートゥースイヤセット
KR20190046453A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
KR101970225B1 (ko) Ptt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 방법
JP2005513542A (ja) 無線ユニット間におけるハイファイ音響信号の送信
US9502037B2 (en) Wireless cap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JP2000253187A (ja) 音声通信装置
US9961634B2 (en) Radio receiver and mut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838514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packet gen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packet
CN108833708B (zh) 一种来电信息获取方法
CN110034858B (zh) 数据包重传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010047406A (ko) 적외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통신 장치
KR102543726B1 (ko) 무선형 핸드 마이크 시스템
KR100787024B1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안내방법
JP4459035B2 (ja) 送信機、及び通信フレームの生成方法
US10778356B2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9600507A (zh) 一种基于移动终端锁屏状态下的通讯方法及移动终端
WO2022067854A1 (en) Secure connection for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620490B1 (ko) 음성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서비스장치 및 방법
JP3204519U (ja) 補聴器の通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