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58B1 -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 Google Patents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58B1
KR101969458B1 KR1020170112673A KR20170112673A KR101969458B1 KR 101969458 B1 KR101969458 B1 KR 101969458B1 KR 1020170112673 A KR1020170112673 A KR 1020170112673A KR 20170112673 A KR20170112673 A KR 20170112673A KR 101969458 B1 KR101969458 B1 KR 10196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yarn
wearer
mass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215A (ko
Inventor
최광수
이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알상사
최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알상사, 최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알상사
Priority to KR102017011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체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 팔, 무릎과 같은 신체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어 이동이나 움직임에 관계없이 신체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주파마사지기가 착용체에 부착됨에 따라 전선의 꼬임이나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휴대는 물론 보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저주파마사지기를 착용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신체 착용부위에 따라 달라지는 착용체에 관계없이 착용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통전사로 이루어지는 저주파 마사지체와 착용체를 평면식 조직으로 편직하는 평면직조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착용성 향상은 물론 평면직조에 의해 보풀이 발생되지 않아 착용 시 신체와의 접촉성이 향상되는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cylindrical confiner for massage device}
본 발명은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나 팔꿈치나 발목 또는 무릎에 착용하는 착용성이 향상되도록 원통형으로 구비하되 몸체와 저주파마사지체가 평면식 조직으로 편직하는 평면직조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육통이나 관절염이 생겼을 때 주로 파스형태의 접착식 진통제를 부착함으로서 통증을 해결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할 경우에는 병원에서 저주파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게 되는데 병원에서 사용하는 저주파치료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어서 일반가정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저주파치료를 할 수 있도록 소형의 저주파치료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저주파치료기는, 특정의 저주파를 발생하는 본체와,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는 부착패드와, 본체와 부착패드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착패드는 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저주파를 신체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저주파치료기는, 부착패드를 치료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부착한 후 본체를 작동시켜 본체로부터 저주파가 전선을 통해 부착패드로 인가되어 근육통이나 관절염과 같은 통증을 치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저주파치료기는, 신체부위에 부착되는 부착패드와 본체가 긴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 전선이 늘어지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은 물론 늘어진 전선에 의해 활동에 따른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할 때 긴 전선을 말아 보관하기 때문에 보관성은 물론 휴대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사용과 보관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전선을 말았다 펼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선이 쉽게 훼손되거나 끊어지거나 하여 저주파치료기의 고장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착패드와 신체부위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음에 따라 치료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복사용에 의해 부착패드의 점착성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546465호인 깁스용 피부보호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케이스로 구성된 컨트롤박스, 전원부, 제어부, 저주파출력부, 조작스위치 및 전극부로 구성된 저주파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섬유사 루프(코)를 연속으로 편직(編織)하여 신축성이 있는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어 골절부위에 착용되며 몸체는 섬유사로 편직(編織)된 겉사와 커버링사로 편직된 속사 및 속사의 내면에 편직된 파일사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사는 도전섬유(導電纖維)로 형성되어 피부에 밀착된 상태로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며, 파일사는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전극단자들이 컨트롤박스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음극(-)과 양극(+)의 저주파전류를 양측 파일사에 각각 흘려보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른 기술로, 등록특허 10-1605367호인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케이스로 구성된 컨트롤박스, 전원부, 제어부, 저주파출력부,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저주파치료기를 접속하여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물리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동시에 착용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섬유사 루프를 연속으로 편직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섬유사로 편직된 겉사와 커버링사로 편직된 속사 및 속사의 내면에 편직되어 피부에 밀착된 상태로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는 도전섬유의 파일사로 이루어지고, 표면상에 돌출 구비된 전극단자에 상기 저주파 치료기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음극과 양극의 저주파 전류가 파일사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내부에 편직된 파일사가 도전섬유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착용밴드를 신체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저주파 치료기에 접속하여 신체의 여러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물리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겉사와 속사를 이용하여 원통형몸체로 형성되는 전극부가 편직될 때, 속사 2개를 동시에 사용해서 편직하기 때문에 편직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주파치료기와 원통형 몸체의 연결이 저주파치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단부가 원통형 몸체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연결된 상태로 저주파치료기는 원통형 몸체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또는 매트리스에 누워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에 큰 무리가 없는 반면,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보행하거나 할 경우에는 저주파치료기를 손으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저주파치료기를 손으로 들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는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저주파치료기를 놓칠 경우에는 그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46465호(2015.08.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05367호(2016.03.16. 등록)
본 발명은 통전사로 이루어지는 저주파 마사지체와 착용체를 평면식 조직으로 편직하는 평면직조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착용성 향상은 물론 평면직조에 의해 보풀이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허리나 팔꿈치나 발목 또는 무릎과 같은 신체부위에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는, 저주파마사지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저주파에 의한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에 있어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고 스판사로 이루어진 착용체와; 상기 착용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저주파마사지체 및 제2저주파마사지체와;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상측마감부와;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하측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는, 상기 착용체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착용상측스판사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1통전사와; 상기 상측마감부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마감하측스판사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2통전사와; 상기 제1통전사 및 제2통전사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통전사 및 제2통전사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3통전사 및 상부스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는, 상기 착용체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착용하측스판사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4통전사와; 상기 하측마감부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마감상측스판사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5통전사와; 상기 제4통전사 및 제5통전사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4통전사 및 제5통전사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6통전사 및 하부스판사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접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착용체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가 탈부착되는 탈부착체가 구비되어 상기 저주파마사지기는 상기 탈부착체에 의해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탈부착체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암단추와; 상기 제1암단추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저주파마사지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암단추와; 상기 착용체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암단추와 상기 제2암단추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수단추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탈부착체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과; 상기 착용체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벨크로테잎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벨크로테잎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착용체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 팔, 무릎과 같은 신체부위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어 이동이나 움직임에 관계없이 신체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주파마사지기가 착용체에 부착됨에 따라 전선의 꼬임이나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휴대는 물론 보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저주파마사지기를 착용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신체 착용부위에 따라 달라지는 착용체에 관계없이 착용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통전사로 이루어지는 저주파 마사지체와 착용체를 평면식 조직으로 편직하는 평면직조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착용성 향상은 물론 평면직조에 의해 보풀이 발생되지 않아 착용 시 신체와의 접촉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를 뒤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의 착용체에 저주파마사지기가 착용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의 착용체에 저주파마사지기가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의 제1저주파마사지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의 제2저주파마사지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를 신체 부위에 각각 착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는, 저주파마사지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저주파에 의한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고 스판사로 이루어진 착용체(10)와, 상기 착용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및 제2저주파마사지체(30)와,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상측마감부(40)와,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하측마감부(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체(10)는 자체 탄성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을 갖는 스판사(span yam)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꿈치나 팔목, 허리, 무릎과 같은 신체부위에 착용함이 용이하고 착용 후 신체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 착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는 상기 착용체(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착용체(10)의 상부에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고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는 상기 착용체(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착용체(10)의 하부에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저주파마사지체(20)와 제2저주파마사지체(30)가 착용체(10)와 일체로 연결되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는, 상기 착용체(10)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착용상측스판사(1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1통전사(21)와, 상기 상측마감부(40)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마감하측스판사(4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2통전사(22)와, 상기 제1통전사(21) 및 제2통전사(22)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통전사(21) 및 제2통전사(22)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3통전사(23) 및 상부스판사(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는, 상기 착용체(10)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착용하측스판사(12)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4통전사(31)와, 상기 하측마감부(50)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마감상측스판사(5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5통전사(32)와, 상기 제4통전사(31) 및 제5통전사(32)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4통전사(31) 및 제5통전사(32)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6통전사(33) 및 하부스판사(3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전사는 전기가 통하는 실을 말하는 것으로, 은사(銀絲) 또는 동사(銅絲)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저주파마사지체(20)의 제1통전사(21) 및 제2통전사(22), 제3통전사(23)를 구비하고, 제2저주파마사지체(30)의 제4통전사(31) 및 제5통전사(32), 제6통전사(33)를 구비한 이유는, 저주파마사지기(60)로부터 발생된 저주파가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의 제1통전사(21)와 제2통전사(22), 제3통전사(23) 및 제2저주파마사지체(30)의 제4통전사(31), 제5통전사(32), 제6통전사(33)를 통해 통전되어 착용체(10)가 착용된 사용자의 피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의 제3통전사(23) 또는 상부스판사(24) 중 어느 하나는 겉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속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의 제6통전사(33) 또는 하부스판사(34) 중 어느 하나는 겉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속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편직기의 실린더 내에 구비되는 바늘에 스판사를 공급하여 하측마감부(50)를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하고 연속적으로 편직기의 실린더 내에 구비되는 바늘에 통전사와 스판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제5통전사(31)가 마감상측스판사(51)와 평면직조되고 연속적으로 제6통전사 및 하부스판사(34)가 평면직조된 후 제4통전사(31)가 착용하측스판사(12)와 평면직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20)가 착용체(10)의 하측마감부(50)와 일체로 평면직조되도록 한다.
또한, 제2저주파마사지체(20)가 평면직조된 후 편직기의 실린더 내에 스판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제2저주파마사지체(20)의 상부측에 착용체(10)를 직조한 후 편직기의 실린더 내에 구비되는 바늘에 통전사와 스판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제1통전사(21)가 착용상측스판사(11)와 평면직조되고 연속적으로 제3통전사(23) 및 상부스판사(24)가 평면직조된 후 제2통전사(22)가 마감하측스판사(41)와 평면직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가 착용체(10)의 상측마감부(40)와 일체로 평면직조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30)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접지부(6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부(61)는,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및 제2저주파마사지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접지단자와 접지되는 것으로,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에 의해 발생된 저주파가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접지단자와 접지된 상기 접지부(61)를 통해 착용체(1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저주파에 의한 자극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저주파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착용체(10)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가 탈부착되는 탈부착체(70)가 구비되어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는 상기 탈부착체(70)에 의해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30)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탈부착체(70)에 의해 저주파마사지기(60)가 착용체(10)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저주파마사지기(60)를 구비하기 위한 예컨대, 포켓과 같은 수단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마지기(60)가 착용체(10)에 부착 고정됨에 따라 저주파마사지기(6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늘어짐이나 걸리적거림이나 연결 단락과 같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체(70)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암단추(71)와, 상기 제1암단추(7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암단추(72)와, 상기 착용체(1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암단추(71)와 상기 제2암단추(72)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수단추(7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된 제1암단추(71)와 제2암단추(72)를 상기 착용체(10)에 구비되는 수단추(73)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한 후 단추의 암수결합에 의해 상기 착용체(10)에 저주파마사지기(60)를 부착고정한다.
또한, 저주파마사지기(60)가 고장이 발생되어 교체하거나 또는 저주파마사지기(60)와 착용체(10)를 분리하여 휴대 또는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암단추(71)와 제2암단추(72)를 수단추(73)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저주파마사지기(60)를 착용체(10)로부터 때어내어 분리하면 된다.
또한, 상기 탈부착체(70)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74)과, 상기 착용체(1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벨크로테잎(74)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벨크로테잎(7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벨크로테잎(74)과 제2벨크로테잎(75)은 서로에 대해 대응되게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암수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벨크로테잎(74)과 제2벨크로테잎(75)을 이용하여 저주파마사지기(60)를 착용체(10)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착용체(10)로부터 저주파마사지기(60)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나 보관성 및 휴대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착용체 11 : 착용상측스판사
12 : 착용하측스판사 20 : 제1저주파마사지체
21 : 제1통전사 22 : 제2통전사
23 : 제3통전사 24 : 상부스판사
30 : 제2저주파마사지체 31 : 제4통전사
32 : 제5통전사 33 : 제6통전사
34 : 하부스판사 40 : 상측마감부
50 : 하측마감부 60 : 저주파마사지기
61 : 접지부 70 : 탈부착체
71 : 제1암단추 72 : 제2암단추
73 : 수단추 74 : 제1벨크로테잎
75 : 제2벨크로테잎

Claims (4)

  1. 저주파마사지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부여하여 저주파에 의한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에 있어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고 스판사로 이루어진 착용체(10)와;
    상기 착용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및 제2저주파마사지체(30)와;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상측마감부(40)와;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스판사로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되는 하측마감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는,
    상기 착용체(10)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착용상측스판사(1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1통전사(21)와;
    상기 상측마감부(40)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마감하측스판사(4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2통전사(22)와;
    상기 제1통전사(21) 및 제2통전사(22)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통전사(21) 및 제2통전사(22)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3통전사(23) 및 상부스판사(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저주파마사지체(30)는,
    상기 착용체(10)를 이루고 있는 스판사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착용하측스판사(12)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4통전사(31)와;
    상기 하측마감부(50)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마감상측스판사(51)와 직조에 의해 평면직조된 제5통전사(32)와;
    상기 제4통전사(31) 및 제5통전사(32)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4통전사(31) 및 제5통전사(32)와 평면직조에 의해 편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6통전사(33) 및 하부스판사(3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30)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와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접지부(61)가 구비되고,
    상기 착용체(10)에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가 탈부착되는 탈부착체(70)가 구비되어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는 상기 탈부착체(70)에 의해 상기 제1저주파마사지체(20) 또는 제2저주파마사지체(30) 중 어느 하나의 저주파마사지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체(70)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암단추(71)와;
    상기 제1암단추(7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암단추(72)와;
    상기 착용체(1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암단추(71)와 상기 제2암단추(72)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는 수단추(7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체(70)는, 상기 저주파마사지기(6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74)과;
    상기 착용체(1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벨크로테잎(74)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벨크로테잎(7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1020170112673A 2017-09-04 2017-09-04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10196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73A KR101969458B1 (ko) 2017-09-04 2017-09-04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73A KR101969458B1 (ko) 2017-09-04 2017-09-04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15A KR20190026215A (ko) 2019-03-13
KR101969458B1 true KR101969458B1 (ko) 2019-04-16

Family

ID=6576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73A KR101969458B1 (ko) 2017-09-04 2017-09-04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138Y1 (ko) 2001-06-26 2001-10-17 권영식 저주파 근육 운동기
KR200425410Y1 (ko) 2006-06-21 2006-09-11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저주파 의료장치
KR101546468B1 (ko) 2014-12-12 2015-08-21 우대기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3497B1 (fr) * 2001-12-17 2004-11-19 Innothera Topic Int Article tricote therapeutique de type bas, chaussette ou collant pour le traitement par electromyostimulation des troubles fonctionnels de l'insuffisance veineuse des membres inferieurs
KR20140008141A (ko) * 2012-07-11 2014-01-21 이대범 허리에 착용하고 뱃살 빼게 하는 장치
KR101605367B1 (ko) 2015-07-13 2016-03-22 우대기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
KR101546465B1 (ko) 2014-12-16 2015-08-21 우대기 깁스용 피부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138Y1 (ko) 2001-06-26 2001-10-17 권영식 저주파 근육 운동기
KR200425410Y1 (ko) 2006-06-21 2006-09-11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저주파 의료장치
KR101546468B1 (ko) 2014-12-12 2015-08-21 우대기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15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278Y1 (ko) 복대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101605367B1 (ko)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
EP3231477B1 (en) Wearable band for low-frequency therapy
IL185850A0 (en) Textile-based electrode
US11103699B1 (en) Nerve stimulation garment
CN106481521A (zh) 发电装置
KR20180137787A (ko)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CN201657785U (zh) 电脉冲保健衣服
CN213407473U (zh) 一种微电流理疗智能背心
KR102321933B1 (ko) 저주파 마사지 장갑
KR20170011923A (ko)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KR101969458B1 (ko)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CN201609118U (zh) 电脉冲保健裤
KR20180137791A (ko) 조끼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190026270A (ko)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190026280A (ko) 어깨 착용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190026283A (ko) 어깨 착용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CN113730807A (zh) 一种可穿戴式经皮穴位电刺激装置
CN211357444U (zh) 中频按摩智能肩颈带
JP2002282370A (ja) 電位治療器、電位治療方法、電位治療器用導電性繊維構成体び電位治療用電極使用方法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KR20200033027A (ko) 은원단 복대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KR20200033035A (ko) 은원단 조끼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CN206397664U (zh) 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