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252B1 -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52B1
KR101969252B1 KR1020177020141A KR20177020141A KR101969252B1 KR 101969252 B1 KR101969252 B1 KR 101969252B1 KR 1020177020141 A KR1020177020141 A KR 1020177020141A KR 20177020141 A KR20177020141 A KR 20177020141A KR 101969252 B1 KR101969252 B1 KR 10196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earphone
control instruction
target motion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832A (ko
Inventor
루밍 조우
헤싱 리우
사이웬 루
핑 수
홍우 리
이콩 린
Original Assignee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4For headphones

Abstract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이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고,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VICE BASED ON EARPHONE}
본 출원은 2016년 2월 3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하고, 출원번호가 201610078042.6이며, 발명의 명칭이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하여 본 출원에 결부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Headphone)은 헤드폰 또는 수화기라고 불리기도 하고, 한 쌍의 변환 유닛이며, 이는 비디오 플레이어 또는 수신기가 송신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귀에 접근하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이를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시킨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에 더불어,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하나의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현재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세트를 형성하는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재생 기능만 구비되어 있어, 기능이 비교적 단일하다.
선행기술은, 이어폰 중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황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어폰이 발송한 운동 상황 데이터에 의해 이어폰에서 재생하는 음성을 전환하며,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에 의해 상이한 재생 음성을 전환할 수 있고, 사용자를 서포트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운동하는 수요를 만족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지 이어폰 센서가 검출하는 심박수 정보 또는 전반적인 운동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처리하나, 여러 가지 상이한 머리 운동 특징을 인식할 수 없고, 머리 운동 특징에 대해 효과적인 처리를 하지도 않으며, 단지 간단한 심박수 속도 또는 운동 강약 정보만 제공할 수 있고, 비교적 많은 작동 인스트럭션을 형성할 수 없으며, 인스트럭션의 응용 형태도 한계가 있고 단지 음성과 같은 간단한 기능만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의 목표 운동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목표 운동 특징에 의해 스마트 기기 중 형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의 운동 특징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응하여, 본 발명이 더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는,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판정 모듈; 상기 판정 모듈의 판정 결과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더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은,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의 운동 특징이며;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이어폰이 발송한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의해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의 인체 머리의 목표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스마트 기기 상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 중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에서 서술되는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다. 아래 서술 중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응용 환경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이어폰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이어폰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구조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실현 흐름 모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실현 흐름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 목적, 특징, 우점이 더욱 명확하고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중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명확하고, 완정하게 설명하고, 알 수 있다시피,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지 전부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하여 보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는 전제하에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응용 환경 모식도이고, 이어폰(10)과 이어폰(10)과 함께 삽입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폰(10)은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 통신 모듈(12), 전원 관리 모듈(13), 오디오 모듈(14)을 포함한다.
이어폰(10)은 진일보로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은, 이어폰(10)의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의 검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에 전원을 연결한 후, 이어폰(10)이 스마트 기기(20)가 보내는 검출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거나, 또는 묵시 자동적으로(default) 시작하여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이 인체 머리 운동을 검출할 경우, 복잡한 머리 운동 특징과 간단한 머리 운동 특징을 포함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되, 복잡한 머리 운동 특징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등 인체 머리 동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은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머리 운동 특징은 머리를 들거나, 숙이거나, 수평좌우로 회동 등 인체 머리 동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과 결부하면 스마트 기기의 제어 기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에 대해 제어하는 인스트럭션의 종류를 확대할 수도 있다. 동시에, 심박수, 혈압, 호흡 주파수 등을 포함하는 인체 특징 데이터도 수집한다.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의 내부에는 머리 운동 센서, 심박수 센서, 혈압 센서, 호흡 센서, 신호 처리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은 스마트 기기(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행(Uplink)은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이 수집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는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이 전송한 상기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을 수신하고, 스마트 기기(20)에 전송하며, 스마트 기기(20)는 상기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는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에서 형성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스마트 기기(20)가 실행하도록 전송한다. 하행(downlink)은 스마트 기기(20)가 보내는 인스트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에 전송한다. 통신 모듈(12)의 실현 형태는 무선과 유선으로 나뉘어지고, 유선 실현 형태는 이어폰을 매체로하며 통신 프로토콜을 자체 정의하여, 복조 및 변조 등을 포함한 기능 서브 모듈을 실현할 수 있으며, 무선 실현 형태는 블루투스, WIFI, ZigBee 등 무선 통신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폰(10)에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이 포함되어 있으면,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은 수집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처리하고, 스마트 기기(20) 중 실행하는 현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형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통신 모듈(12)에 발송한다.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은 또한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이 수집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한 후, 통신 모듈(12)에 발송하며, 통신 모듈(12)이 스마트 기기(20)에 발송하고, 스마트 기기(20)가 진일보로 상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처리한다.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은 또한 스마트 기기(20)가 발송하는 시작과 종료 인스트럭션과 같은 이어폰 제어 인스트럭션에 응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마트 기기(20)의 인스트럭션에 의해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을 차단하여 이어폰(10)이 저전력 모드에 집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관리 모듈(13)은 이어폰(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공급 관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요하게 하기와 같은 두가지 기능이 있다. 1.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전력을 얻도록 보장하고, 시시템이 전력을 얻어 동작 과정에서 전압 변화로 인해 반복적으로 리부팅되는 것을 방지한다. 2. 전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어폰(10)이 작업 기간에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전력 공급 전원은 하기와 같은 두가지 실현형태가 있다. 1. 유선 방식으로 실현, 이어폰(10)의 MIC 케이블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스마트 기기(20)의 지정된 포트로부터 획득한 전력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MIC 케이블은 마이크로폰 케이블이다. 2. 무선 방식으로 실현, 버튼 전지, 리튬 전지 등 방식으로 이어폰(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두가지 방식은 이어폰(10)의 구체적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은 스마트 기기(20)가 발송한 오디오 및 음성 통화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고, 좌측 스피커(141), 우측 스피커(142)와 마이크(143)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20)는 스마트 폰, 스마트 손목 시계, 오디오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폰(10)에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 기기(20)는 상기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의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이어폰(10)에 대한 제어 모드 명령을 보내기 위한 것이고, 이는 시작과 종료 명령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스마트 기기(20)는 또 실시간으로 이어폰(10)이 발송한 작동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에서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20)는 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어폰(10)이 발송한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로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응한 APP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2는 유선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의 시스템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3은 다른 한가지 유선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의 시스템 구조 모식도를 도시하며, 도4는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의 시스템 구조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2, 도3과 도4 중의 각 모듈의 기능은 도1 중의 상응한 각 모듈의 기능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2에서, 이어폰(10)은 유선 이어폰이고,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 통신 모듈(12), 전원 관리 모듈(13), 오디오 모듈(14)과 운동 특징 인식 모듈(15)을 포함한다.
이어폰 플러그(30)는 전체 시스템과 스마트 기기(20)의 인터페이스이고, 일반 와이어 제어 이어폰과 같이 각각 좌측 채널 인터페이스(31), 우측 채널 인터페이스(32), 마이크 인터페이스(33), 접지선 인터페이스(34) 등 총 4개 포트가 있다. 그 중, 좌측 채널 인터페이스(31), 우측 인터페이스(32)은 이어폰(10)에서 하행 오디오 신호의 작용을 하는 동시에 좌측 인터페이스(31) 또는 우측 채널 인터페이스(32)는 이어폰 제어 시스템의 하행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복합 사용되고, 이어폰(10)이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어폰(10)과 스마트 기기(20)가 발송한 인스트럭션을 전송할 수도 있다. 좌측 채널 인터페이스(31)와 우측 채널 인터페이스(32)은 동시에 하행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복합 사용될 수도 있고, 통신 모듈(12)과 서로 연결된다.
마이크 인터페이스(33)는 이어폰(10)에서 상행 오디오 신호의 작용을 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전원 인터페이스 및 상행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복합 사용될 수도 있고, 통신 모듈(12)과 서로 연결된다. 마이크 인터페이스(33)는 전원 인터페이스로 복합 사용될 경우, 전원 관리 모듈(13)에 액세스하고, 물리적 키와 매칭하여 전원 스위치 온과 오프를 실현한다.
접지선 인터페이스(34)는 전체 시스템에 기준 접지를 제공한다.
도3에서, 이어폰(10)은 유선 이어폰이고,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 통신 모듈(12), 전원 관리 모듈(13), 오디오 모듈(14)과 전원 관리 모듈 제어 스위치(16)을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20)에 통신 모듈(12)가 스마트 기기(20)에 전송한 머리 운동 특징 검출 모듈(11)이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모듈(21)을 증가 설치한다. 즉, 스마트 기기(20)가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머리 운동 특징의 인식을 진행하고,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APP이 응답 동작하도록 지시하나 이어폰(10)은 단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스마트 기기(20)에 기능이 이어폰 단부의 통신 모듈(13)과 같은, 스마트 기기(20)과 이어폰(1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21)을 더 증가 설치한다. 스마트 기기(20)에 안테나(30)를 더 증가 설치하되, 안테나(30)와 이어폰 단의 안테나(31)는 공통으로 무선 통신하는 물리적 링크를 구성한다.
전원(17)은 리튬 전지, 버튼 전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도5를 참조하여 보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실현 흐름 모식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1: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어폰은 정상적으로 오디오를 재생하고, MIC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 태스크는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스크이다.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은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한 후, 이어폰이 스마트 기기가 발송한 데이터 수집 인스트럭션을 수집하는 것일 수 있고,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한 후, 자동적으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이어폰을 트리거링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어폰에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모듈을 내장한다.
단계502: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의 운동 특징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동일하다.
단계503: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한다.
이어폰이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을 알 수 있기에,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 작동을 통해 스마트 기기가 진행하는 상응한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표시한다.
진일보로,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오디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웹 페이지 브라우저와 전자 책을 보기 위한 열독 브라우저 등을 포함하는 브라우저일 수도 있으며, 통화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화면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화면잠금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진일보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한다. 동시에, 이어폰은 수집된 데이터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한다.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어폰이 수집된 데이터는 무효 데이터임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 운동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제어한다고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없기에, 이어폰은 계속하여 실시간으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의 인체 머리의 목표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스마트 기기 상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 중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보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실현 흐름 모식도이고, 주요하게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601: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한 후, 단계 602를 수행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계속하여 처리한다.
이어폰이 무선 이어폰일 경우, 이어폰은 수집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다음 단계인 단계602~단계605를 완성한다. 즉,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다음 단계인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 처리 과정을 완성한다.
단계602: 수집된 데이터에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는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호흡 주파수 데이터 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한다.
이어폰이 수집한 데이터 중에 상기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호흡 주파수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명해야 되는 것은,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유선 이어폰은 상기 판정 단계를 완성한다. 이어폰이 무선 이어폰일 경우, 이어폰은 수집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판정 단계를 완성한다.
단계603: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표준 데이터에 의해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생체 특징과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표준 데이터는, 이어폰 또는 스마트기기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이고, 인체가 생체 특징의 데이터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오류 데이터를 인체 머리 운동 특징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식 효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진일보로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어폰이 수집한 데이터는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가 아닌 것을 표시하고, 이어폰이 수집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것과 부합되는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계속하여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어폰은 지속적으로,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한다.
단계604: 상기 생체 특징과 부합되면,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하는 상기 인체 특징이 생체 특징과 부합되면, 진일보로 이어폰이 수집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의 운동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을 포함한다.
선행기술의 비교적 간단한 머리 작동과 비교해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의 복잡한 머리 동작을 검출할 수도 있고, 진일보로 상기 빠른 고개 흔듬, 상기 빠른 고개 끄덕임, 상기 빠른 왼쪽 스윙, 상기 빠른 오른쪽 스윙의 횟수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3번의 빠른 고개 흔듬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일 단부를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하는 것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러한 작동 사이의 상이한 조합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하거나, 또는 진일보로 이러한 작동을 이보다 더 간단한 머리 운동과 결합하는 것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작동보다 더 간단한 머리 운동은, 머리를 들거나, 숙이거나, 수평좌측으로 회전, 수평 우측으로 회전, 좌측 어깨로 기울이기, 우측 어깨로 기울이기 등을 포함한다.
단계605: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네가지 정황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비디오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상기 제어 작동은 재생, 일시 정지, 앞으로 이동, 뒤로 이동, 음량 키우기, 음량 줄이기 중의 임의의 하나이다. 즉, 이어폰이 저장한 데이터에서, 또는 스마트 기기가 저장한 데이터에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한 제어 작동이 어느 항인지를 찾아 보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현재 머리 동작이 빠른 고개 끄덕인 것으로 인식되고,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한 작동 제어에서 빠른 고개 끄덕임은 일시 정지를 표시하면, 빠른 고개 끄덕임과 대응되는 일시 정지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스마트 기기는 비디오 플레이어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오디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일시 정지하도록 지시한다.
둘째: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브라우저일 경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확인, 종료, 페이지 넘기기,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중의 임의의 하나이다.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 브라우저일 수 있고, 열독 브라우저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현재의 머리 동작이 빠른 머리 흔듬인 것으로 인식되고, 열독 브라우저에 대한 작동 제어에서, 빠른 머리 흔듬이 페이지 넘기기를 표시하면, 빠른 머리 흔듬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스마트 기기는 열독 브라우저를 현재 페이지를 페이지 넘기기하여 다음 페이지에 진입하도록 지시한다.
셋째: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수신, 거절, 중지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현재의 머리 동작이 빠른 왼쪽 스윙인 것으로 인식되고,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작동 제어에서, 빠른 왼쪽 스윙이 수신을 표시하면, 빠른 왼쪽 스윙과 대응되는 수진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스마트 기기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현재 호출을 받도록 지시한다.
넷째: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잠금해제 라이트 업 또는 화면잠금 라이트 다운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현재의 머리 동작이 빠른 오른쪽 스윙인 것으로 인식되고,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작동 제어에서, 빠른 오른쪽 스윙이 잠금해제 라이트 업을 표시하면, 빠른 오른쪽 스윙과 대응되는 잠금해제 라이트 업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스마트 기기는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잠금해제하도록 지시하며, 스크린 휘도를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되는 것은,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이어폰은 판정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기기 자신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발송함으로써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한다. 동시에, 이어폰은 수집된 데이트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한다.
진일보로,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의 데이터 통신 형태는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 또는 무선 이어폰이가에 의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이어폰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자체 정의할 수 있고, 변조와 복저 기능을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자체 정의의 프로토클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수신한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 및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파형으로 변조하고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파형은 정현파, 구형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상기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동기화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WIFI, ZigBee 등 통신 형태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진행할 수 있다.
진일보로, 이어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도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 또는 무선 이어폰인지에 의해 상이할 수도 있다.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유선 이어폰의 MIC 케이블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지정된 포트에서 전력을 획득하거나, 또는 충전전지, 버튼 전지 등을 포함하는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어폰이 무선 이어폰일 경우, 리튬 전지 및 버튼 전지와 같은 충전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생체 특징 인식을 하여 오판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고, 따라서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운동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판정하고, 오작동을 배제하여, 진일보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도7을 참조하여 보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고,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한 일부를 도시한다. 도7의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5와 도6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실행 주체일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이어폰일 수 있으며, 이어폰 중의 하나의 기능 모듈일 수도 있다.
도7의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는 수집 모듈(701), 판정 모듈(702), 획득 모듈(703) 및 생성 모듈(704)을 포함한다.
상기 각 기능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수집 모듈(701)은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판정 모듈(702)은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이며;
획득 모듈(703)은 상기 판정 모듈(702)의 판정 결과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고;
생성 모듈(704)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기 위하되,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자세한 사항은, 상기 도5 내지 도6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7의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에서, 각 기능 모듈의 구획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응용에서 수요에 의해, 예를 들면, 상응한 하드웨어의 구성 요구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현의 편리를 고려하면, 상기 기능을 상이한 기능 모듈에 분배하여 완성할 수 있고, 즉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이한 기능 모듈로 구획하여 상기 설명된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응용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응한 기능 모듈은 상응한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 있고, 상응한 하드웨어로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제공하는 각 실시예는 모두 상기 설명 원칙을 응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의 목표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장치는 주요하게 수집 모듈(801), 판정 모듈(802), 획득 모듈(803), 처리 모듈(804), 검색 모듈(8041),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8042), 신호 변조 전송 모듈(805) 및 전력 획득 모듈(806)을 포함한다.
상기 각 기능 모듈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수집 모듈(801)는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판정 모듈(802)은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이며,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며;
획득 모듈(803)은 상기 판정 모듈(802)의 판정 결과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한다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고;
처리 모듈(804)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기 위하되,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처리 모듈(804)은 진일보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비디오 플레이어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찾되,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재생, 일시 정지, 앞으로 이동, 뒤로 이동, 음량 키우기, 음량 줄이기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모듈(8041);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8042)을 포함하되,
검색 모듈(8041)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브라우저일 경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찾되,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확인, 종료, 페이지 넘기기,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8042)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검색 모듈(8041)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찾되,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수신, 거절, 중지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8042)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검색 모듈(8041)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잠금해제 라이트 업 또는 화면잠금 라이트 다운을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8042)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진일보로, 판정 모듈(802)은 또한 수집된 데이터에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는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호흡 주파수 데이터 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표준 데이터에 의해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생체 특징과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생체 특징과 부합되면,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처리모듈(804)은 또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판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판정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상기 장치는 신호 변조 전송 모듈(805)을 더 포함한다.
신호 변조 전송 모듈(805)은 내장된 자체 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 및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파형으로 변조하고, 이어폰 게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동기화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획득 모듈(806)은 상기 유선 이어폰의 MIC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지정된 포트로부터 전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자세한 사항은, 상기 도5 내지 도7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생체 특징 인식을 하여 오판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기에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시스템은,
이어폰(901)과 스마트 기기(902)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901)은, 수집 태스크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의 운동 특징이며;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스마트 기기(902)는, 상기 이어폰이 발송한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의해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자세한 사항은, 상기 도5 내지 도8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폰을 통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중의 목표 운동 특징을 인식하며,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식된 인체 머리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의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대응되는 응답 동작을 하며,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더욱 복잡한 인체 머리 운동의 인식을 실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이한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도록 구분하고,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의 구획은 단지 한가지 논리적 기능 구획이며, 실제로 실현할 경우, 복수의 모듈 또는 어셈블리가 결합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는 기타 구획 형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거나 설명된 상호 사이의 연결 또는 직접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포트를 통할 수 있고, 장치 또는 모듈의 간접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일 수 있으며, 기계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모듈은 물리적 분리일 수 있고 또는 믈리적 분리가 아닐 수도 있으며, 모듈을 나타내는 부재로는 물리적 모듈일 수 있고, 또는 물리적 모듈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모듈에 분배될 수도 있다. 실제의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모들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에서, 각 기능 모듈은 하나의 처리 모듈에 집적될 수 있고, 각 모듈은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모듈은 하드웨어 형식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모듈이 소프트웨어 모듈 형식으로 실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한대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식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매체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각 방법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모두 일련의 동작 조합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단계는 기타 순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동시에 진행할 수 있기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설명한 동작 순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모두 구체적 실시예에 속하고, 관련된 동작과 모듈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모두 중점이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기타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에 의해 구체적 실시 형태 및 응용 범위에서 모두 변겅할 수 있고,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명세서 내용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면 안된다.

Claims (18)

  1.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응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비디오 플레이어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상기 제어 작동은 재생, 일시 정지, 앞으로 이동, 뒤로 이동, 음량 키우기, 음량 줄이기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브라우저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확인, 종료, 페이지 넘기기,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수신, 거절, 중지(hang up)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잠금해제 라이트 업 또는 화면잠금 라이트 다운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에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는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호흡 주파수 데이터 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표준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이 생체 특징과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생체 특징과 부합되면,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과 부합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판정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내장된 자체 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 및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파형으로 변조하고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상기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동기화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상기 유선 이어폰의 MIC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지정된 포트로부터 전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11.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는 판정 모듈;
    상기 판정 모듈의 판정 결과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응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비디오 플레이어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상기 제어 작동은 재생, 일시 정지, 앞으로 이동, 뒤로 이동, 음량 키우기, 음량 줄이기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모듈;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모듈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브라우저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확인, 종료, 페이지 넘기기,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검색 모듈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수신, 거절, 중지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검색 모듈은 또한,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을 검색하되,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제어 작동은 잠금해제 라이트 업(light up) 또는 화면잠금 라이트 다운(light down)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생성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상기 화면 잠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기 위한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모듈은 또한,
    수집된 데이터에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되,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는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호흡 주파수 데이터 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특징 데이터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표준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이 생체 특징과 부합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생체 특징과 부합되면,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에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판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한다면, 판정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도록 하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발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내장된 자체 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 및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파형으로 변조하고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과 상기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 케이블을 통해 동기화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변조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일 경우, 상기 유선 이어폰의 MIC 케이블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지정된 포트로부터 전력을 획득하기 위한 전력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장치.
  18. 이어폰과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은,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트리거 조건에 도달할 경우, 인체 머리 운동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인체 머리 운동 특징 중 미리 설정된 운동 특징에 도달하는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이고, 운동 방향이 미리 설정된 방향인 운동 특징을 포함하며;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이 존재하면, 스마트 기기가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를 얻고,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운동 특징과 대응되는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발송하며,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은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응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목표 운동 특징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는 빠른 고개 흔듬 또는 빠른 고개 끄덕임 또는 빠른 왼쪽 스윙 또는 빠른 오른쪽 스윙 중의 임의의 하나의 특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이어폰이 발송한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의해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작동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응하는 응답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177020141A 2016-02-03 2016-07-20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69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78042.6A CN106993243A (zh) 2016-02-03 2016-02-03 一种基于耳机的智能设备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201610078042.6 2016-02-03
PCT/CN2016/090621 WO2017133190A1 (zh) 2016-02-03 2016-07-20 一种基于耳机的智能设备控制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832A KR20170103832A (ko) 2017-09-13
KR101969252B1 true KR101969252B1 (ko) 2019-04-15

Family

ID=5941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141A KR101969252B1 (ko) 2016-02-03 2016-07-20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9522B2 (ko)
EP (1) EP3240299A4 (ko)
KR (1) KR101969252B1 (ko)
CN (1) CN106993243A (ko)
WO (1) WO2017133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8009B (zh) * 2017-09-27 2020-01-3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无线耳机的操作方法、装置、无线耳机及存储介质
CN107817896B (zh) * 2017-10-09 2019-08-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耳机的交互方法、无线耳机及移动终端
WO2019084857A1 (zh) * 2017-11-01 2019-05-09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的控制装置和有线耳机
CN108710431A (zh) * 2018-03-30 2018-10-26 歌尔科技有限公司 头戴式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头戴式设备
CN109121173A (zh) * 2018-08-01 2019-0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切换方法及相关产品
CN109998507A (zh) * 2019-03-25 2019-07-12 周凡 一种基于智能耳机的心血管疾病监测方法
WO2020211467A1 (zh) * 2019-04-19 2020-10-22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设备系统
CN110110616A (zh) * 2019-04-19 2019-08-09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662129A (zh) * 2019-09-26 2020-01-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989832B (zh) * 2019-11-21 2022-06-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11538156B (zh) * 2020-04-24 2022-07-19 北京易智时代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vr设备的头部姿态追踪方法
CN114446261B (zh) * 2020-10-30 2023-12-01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采用线控耳机控制显示器的方法及相关装置
CN116094861A (zh) * 2022-08-30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遥控电子设备的方法、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983A (en) * 1985-07-31 1988-12-06 Brink Loren S Pulse rate controlled entertainment device
US8817061B2 (en) * 2007-07-02 2014-08-26 Cisco Technology, Inc. Recognition of human gestures by a mobile phone
US8655004B2 (en) * 2007-10-16 2014-02-18 Apple Inc. Sports monitoring system for headphones, earbuds and/or headsets
US20100259471A1 (en) * 2007-11-16 2010-10-14 Nikon Corporation Control device, head-mount display devi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US20090296951A1 (en) * 2008-05-30 2009-12-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ap volume control for buttonless headset
DE102008055180A1 (de) * 2008-12-30 2010-07-01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Steuersystem, Hörer und Steuerungsverfahren
KR20100118484A (ko) * 2009-04-28 2010-11-05 이현주 머리의 움직임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2812417B (zh) * 2010-02-02 2016-03-02 寇平公司 具有可由运动、身体姿势和/或口头命令控制的可拆卸附件的无线免提计算头戴式送受话器
CA2702216C (en) * 2010-05-20 2012-02-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Gesture based smart headphone
US20120064951A1 (en) * 2010-09-13 2012-03-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s-Free Contro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Head Movement
CN103576843B (zh) * 2012-07-31 2016-07-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智能终端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3677232B (zh) * 2012-09-1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动作识别装置及电子设备
CN102981626A (zh) * 2012-12-12 2013-03-20 紫光股份有限公司 一种头戴式计算机
US10425717B2 (en) * 2014-02-06 2019-09-24 Sr Homedics, Llc Awareness intelligence headphone
CN104536563A (zh) * 2014-12-12 2015-04-22 林云帆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3243A (zh) 2017-07-28
EP3240299A4 (en) 2018-11-21
US10649522B2 (en) 2020-05-12
EP3240299A1 (en) 2017-11-01
WO2017133190A1 (zh) 2017-08-10
US20170300112A1 (en) 2017-10-19
KR20170103832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52B1 (ko) 이어폰에 기반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575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wireless earpieces
US20180277123A1 (en) Gesture controlled multi-peripheral management
CN108243481B (zh) 文件传输方法及装置
US20180324515A1 (en) Over-the-ear headphones configured to receive earpieces
CN107105359B (zh) 一种切换耳机工作模式方法和一种耳机
CN108886653B (zh) 一种耳机声道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5744420A (zh) 智能运动耳机及智能运动系统
CN106685459B (zh) 一种可穿戴设备操作的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CN109901698B (zh) 一种智能交互方法、可穿戴设备和终端以及系统
CN105005379A (zh) 一体式音频播放设备及其音频播放方法
CN110187859A (zh) 一种去噪方法及电子设备
CN109618263A (zh) 头/颈部倾角检测方法、装置、系统及无线耳机控制器
KR20180028701A (ko) 휴대용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EP3389294B1 (en) Methods for equipment networking and outputting by equipment, and equipment
CN106506803B (zh) 一种移动设备的控制方法及移动设备
CN111741391B (zh) 真无线耳机及其敲击实现操作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788540A (zh) 一种可穿戴设备的播放模式切换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CN110297537A (zh) 多媒体文件生成方法及移动终端
CN113676590B (zh) 录音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368611B2 (en) Control method for camera device,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132108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788538B (zh) 一种穿戴设备的控制方法及穿戴设备
CN106210972A (zh) 一种智能耳机
CN204833155U (zh) 一体式音频播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