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61B1 -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61B1
KR101968561B1 KR1020180147235A KR20180147235A KR101968561B1 KR 101968561 B1 KR101968561 B1 KR 101968561B1 KR 1020180147235 A KR1020180147235 A KR 1020180147235A KR 20180147235 A KR20180147235 A KR 20180147235A KR 101968561 B1 KR101968561 B1 KR 10196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martphone
bluetooth
signal streng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일곤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인디지털 filed Critical (주)스마트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18014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 개시된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동 연결 또는 자동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과 자동 연결 해제되면 PC(personal computer)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 폰과 자동 연결되면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PC 절전 기기를 구성한다. 상술한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의하면, PC에 부착된 PC 절전 기기와 스마트 폰과의 블루투스 연결 상태나 신호 강도에 따라 PC 전력 모드와 PC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자동 전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재 여부에 따라 PC 전력 모드 및 PC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PC 부재 시에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PC 근처로 오게 되면 PC를 사용 가능 상태로 빠르게 자동 전환하여 업무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ENERGY SAVING SYSTEM USING SLEEP FUNCTION OF COMPUTER AND SMART PHONE}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개 PC는 전원을 켠 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당 시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한 전력 낭비가 상당하다.
이에, 하루 종일 켜 놓는 PC에 대한 전력 절감이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아울러, 업무용 PC의 경우 잠금 보안 화면을 걸어 사용자의 부재시 업무 상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수시로 회의에 참석하거나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아서, 사용자가 일일이 PC를 대기 전력 상태로 전환하거나 잠금 보안 화면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
대기 전력 상태로 전환하지 못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도 많이 있고, 잠금 보안 화면 상태로 바꾸지 못한 채로 유지되는 경우도 많을 수밖에 없다.
이에, 사용자의 부재에 따라 PC의 전력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PC 보안 잠금 화면을 적시에 설정하여 보안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그러나, PC 전력 모드나 PC 보안 잠금 화면을 사용자의 부재 여부에 따라 제어할 수단이 아직은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는 단순히 키 입력이 없는 채로 상당 시간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부재를 가늠하고, 이에 따라 전력 모드를 전환하거나 보안 잠금 화면을 설정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10-2017-0090641 10-1769707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동 연결 또는 자동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과 자동 연결 해제되면 PC(personal computer)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 폰과 자동 연결되면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PC 절전 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C 절전 기기는, 상기 스마트 폰과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수신 전계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 폰과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시, 상기 스마트 폰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PC 절전 기기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PC 절전 기기는 상기 스마트폰 으로부터 상기 PC 암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PC 암호를 상기 PC에 자동으로 키 입력을 수행하여 PC 보안 화면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전 모드로 변경 시, 상기 PC 절전 기기는 상기 PC를 제어하여 PC 보안 화면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PC 절전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PC 절전 기기로 PC 암호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 절전 기기는, 상기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PC의 절전 상태 및 보안 화면 상태를 제어하는 PC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 제어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에서 출력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와 대비하는 ID 대비부; 상기 ID 대비부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지 또는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 상기 ID 대비부의 대비 결과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와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ID가 동일한 경우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PC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PC 절전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PC 절전 기기로 실시간 송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PC 절전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 시 상기 PC 절전 기기의 블루투스 ID를 미리 저장된 블루투스 ID와 대비하는 ID 대비부; 상기 ID 대비부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PC 암호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PC 암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받은 PC 암호를 상기 PC에 키 입력하여 보안 화면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부가, 상기 PC 암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PC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의하면, PC에 부착된 PC 절전 기기와 스마트 폰과의 블루투스 연결 상태나 신호 강도에 따라 PC 전력 모드와 PC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자동 전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재 여부에 따라 PC 전력 모드 및 PC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PC 부재 시에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PC 근처로 오게 되면 PC를 사용 가능 상태로 빠르게 자동 전환하여 업무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100)은 스마트 폰(110) 및 PC 절전 기기(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시스템(100)은 스마트 폰(110)과 PC 절전 기기(120) 간의 블루트스 연결 상태 또는 그 신호 강도에 따라 사용자의 PC 부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PC 전력 모드와 PC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자동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편리하게 PC 전력 모드를 최적화하고 PC 보안 유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110)은 사용자가 늘 소지하고 다니는 것으로 가정하며, PC 절전 기기(120)는 PC(10)에 별도 부착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폰(110)은 PC 절전 기기(120)와 지속적으로 블루투스 자동 연결을 시도하고, 자동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110)은 블루투스 통신부(111), ID 대비부(112), RSSI 신호 강도부(113), 제어부(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부(111)는 PC 절전 기기(12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 절전 기기(120)의 블루투스 ID는 미리 등록되어 있도록 구성되며, 블루투스 통신부(111)는 통신 가능 거리에서 PC 절전 기기(120)와 자동으로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D 대비부(112)는 블루투스 통신부(111)와 PC 절전 기기(120)의 블루투스 연결 시 PC 절전 기기(120)의 블루투스 ID가 스마트 폰(110)에 미리 저장된 블루투스 ID와 동일한지 여부를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D 대비부(112)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PC 절전 기기(120)에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ID 대비부(112)의 대비 결과 동일하다면,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13)는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RSSI(수신 전계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SSI 신호 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 폰(110)과 PC 절전 기기(120) 간의 거리가 가깝다고 볼 수 있다.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13)의 판단 결과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제어부(114)는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블루투스 통신부(111)를 통해 PC 절전 기기(120)의 블루투스 모듈(121)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C 암호는 사용자의 PC(10)의 보안 잠금 화면의 암호가 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111)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PC 절전 기기(12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 절전 기기(120)가 PC 암호를 이용하여 PC(10)의 보안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PC(10)로부터 소정 거리밖에 있다가 소정 범위 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보안 잠금 화면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PC(10)로 오자마자 바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PC 절전 기기(120)는 PC(10)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PC(10)의 절전 모드 및 보안 잠금 화면을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 절전 기기(1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및 PC 제어 모듈(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스마트 폰(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자동 연결 및 자동 해제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를 확인하고,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PC 제어 모듈(122)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절전 모드가 해제될 때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PC 암호를 수신하여 PC 제어 모듈(122)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 제어 모듈(12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이 스마트 폰(110)과 자동 연결 및 자동 해제를 하거나 또는 그 통신 강도인 RSSI 신호 강도가 커지거나 작아짐에 따라 PC(10)의 절전 모드 및 보안 잠금 화면을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일 실시예로서, PC 제어 모듈(12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이 스마트 폰(110)과 자동 연결 해제되면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이 스마트 폰(110)과 자동 연결되면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PC 제어 모듈(122)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과 스마트 폰(110) 간의 RSSI 신호 강도가 소정 임계치 이하가 되면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과 스마트 폰(110) 간의 RSSI 신호 강도가 소정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PC(10)가 절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PC 절전 기기(120)는 PC(10)를 제어하여 PC 보안 잠금 화면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 제어 모듈(122)은 입력부(122a), ID 대비부(122b),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 제어부(122d), 출력부(122e)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2a)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에서 출력되는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ID 대비부(122b)는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와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는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지 또는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치는 제2 임계치보다 동일하거나 낮게 설정될 수 있다. 가급적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RSSI 신호 강도는 최초 설정시 제어부(122d)에서 자동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10) 주변의 구조물 등의 환경에 따른 전파 특성을 고려하여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실험적으로 현재 PC(10)가 있는 책상에 앉았을 때 측정되는 RSSI 강도를 기준으로 제2 임계치가 설정되고, 사용자가 PC(10)를 떠나 멀어질 때 연결이 해제되거나 연결이 해제되기 전의 RSSI 신호 강도에서 제1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22d)는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또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에 따라 PC(10)의 절전 상태나 보안 잠금 화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100)의 블루투스 ID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ID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22d)는 PC(10)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100)의 블루투스 ID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ID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22d)는 PC(10)의 절전 상태 내지는 절전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된 블루투스 ID가 동일한 상태에서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상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122d)는 PC(10)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로 변경하고, 연결된 블루투스 ID가 동일한 상태에서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 높아지는 경우, 제어부(122d)는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2d)가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에 따라 PC(10)를 제어할지 또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에 따라 PC(10)를 제어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출력부(122e)는 제어부(122d)의 제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PC(1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은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PC 암호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2a)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로부터 PC 암호를 실시간 입력받고, 제어부(122d)는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PC 암호를 PC(10)에 키 입력하여 보안 잠금 화면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22e)는 제어부(122d)의 제어에 따라 PC 암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PC(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PC(10)로 접근하여 자리에 앉으면 바로 절전 모드가 자동 해제됨과 동시에 PC(10)의 잠금 보안 화면도 자동 해제되어 곧바로 업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PC(10)를 타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 폰(110)과 PC 절전 기기(120)가 서로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PC의 잠금 보완 화면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타인이 사용하거나 타인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에, PC 제어 모듈(122)에 별도의 PC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PC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통해 PC(10)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면, 타인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다. PC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은 PC(10)의 제어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PC(10)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 보안 잠금 화면 상태 여부, 키보드 입력 여부, 마우스 움직임 상태 여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PC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이 PC(10)의 실시간 사용 여부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22d)가 절전 모드로 변경하거나 보안 잠금 화면을 실행한 이후, 다시 사용자의 스마트 폰(110)과 블루투스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와 같은 PC(10)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이는 타인의 PC(10) 사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2d)는 이러한 타인의 사용 여부와 그 사용 시간 그리고 사용한 프로그램 등을 실시간 기록할 수 있다. 차후에 사용자가 돌아와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22d)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을 통해 스마트 폰(110)으로 타인의 사용 여부, 사용 시간, 사용한 프로그램을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인의 사용 시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2d)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상에서 가장 신호가 강하게 탐지되는 타인의 스마트 폰(미도시)의 블루투스 ID를 실시간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여러 개의 블루투스 ID를 기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 시작 시간과 사용 종료 시간과 RSSI 신호 강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RSSI 신호 강도의 변화치를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122d)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을 통해 사용 시간동안 가장 강하게 탐지되는 블루투스 ID도 스마트 폰(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스마트 폰 111: 블루투스 통신부
112: ID 대비부 113: RSSI 신호 강도부
114: 제어부 120: PC 절전 기기
121: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2: PC 제어 모듈
122a: 입력부 122b: ID 대비부
122c: RSSI 신호 강도 판단부 122d: 제어부
122e: 출력부

Claims (9)

  1.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110);
    상기 스마트 폰(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동 연결 또는 자동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110)과 자동 연결 해제되면 PC(personal computer)(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 폰(110)과 자동 연결되면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PC 절전 기기(120)를 포함하며,
    상기 PC 절전 기기(120)는,
    상기 스마트 폰(110)과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수신 전계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스마트 폰(110)과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시,
    상기 스마트 폰(110)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PC 절전 기기(120)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PC 절전 기기(120)는 상기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상기 PC 암호를 실시간 수신하고, 실시간 수신된 PC 암호를 상기 PC(10)에 자동으로 키 입력을 수행하여 PC 보안 화면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전 모드로 변경 시,
    상기 PC 절전 기기(120)는 상기 PC(10)를 제어하여 PC 보안 화면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폰(110)은,
    상기 PC 절전 기기(120)와의 블루투스 연결 중 RSSI 신호 강도가 소정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PC 절전 기기(120)로 PC 암호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C 절전 기기(120)는,
    상기 스마트 폰(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에서 출력되는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PC(10)의 절전 상태 및 보안 화면 상태를 제어하는 PC 제어 모듈(122)을 포함하고,
    상기 PC 제어 모듈(122)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에서 출력되는 상기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 및 RSSI 신호 강도를 입력받는 입력부(122a);
    상기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와 대비하는 ID 대비부(122b);
    상기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지 또는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
    상기 ID 대비부(122b)의 대비 결과 상기 입력부(122a)에서 입력받은 스마트 폰(110)의 블루투스 ID와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ID가 동일한 경우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1 임계치 이상 낮아지는 경우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22c)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 높아지는 경우 상기 PC(1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122d);
    상기 제어부(122d)의 제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22e)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폰(110)은,
    상기 PC 절전 기기(12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PC 절전 기기(120)로 실시간 송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111);
    상기 PC 절전 기기(120)와의 블루투스 연결 시 상기 PC 절전 기기(120)의 블루투스 ID를 미리 저장된 블루투스 ID와 대비하는 ID 대비부(112);
    상기 ID 대비부(112)의 대비 결과 동일한 경우,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지 판단하는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13);
    상기 RSSI 신호 강도 판단부(113)의 판단 결과, 상기 RSSI 신호 강도가 제2 임계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미리 저장된 PC 암호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11)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하고,
    PC 제어 모듈(122)에 PC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PC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PC(10)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면, 타인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있고, 상기 PC 인터페이스 모듈은 PC(10)의 제어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PC(10)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 보안 잠금 화면 상태 여부, 키보드 입력 여부, 마우스 움직임 상태 여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22d)가 절전 모드로 변경하거나 보안 잠금 화면을 실행한 이후, 다시 사용자의 스마트 폰(110)과 블루투스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PC(10)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타인의 PC(10) 사용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22d)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을 통해 스마트 폰(110)으로 타인의 사용 여부, 사용 시간, 사용한 프로그램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122d)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 상에서 가장 신호가 강하게 탐지되는 타인의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ID를 실시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이,
    상기 스마트 폰(110)으로부터 PC 암호를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122a)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21)에서 실시간 수신된 PC 암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22d)가,
    상기 입력받은 PC 암호를 상기 PC(10)에 키 입력하여 보안 화면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부(122e)가,
    상기 PC 암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PC(1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KR1020180147235A 2018-11-26 2018-11-26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KR10196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35A KR101968561B1 (ko) 2018-11-26 2018-11-26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35A KR101968561B1 (ko) 2018-11-26 2018-11-26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61B1 true KR101968561B1 (ko) 2019-04-12

Family

ID=6616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35A KR101968561B1 (ko) 2018-11-26 2018-11-26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2652A (zh) * 2019-05-31 2019-09-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锁屏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952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60125221A (ko) * 2015-04-21 2016-10-31 황태호 휴대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641A (ko) 2016-01-29 2017-08-08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Pc 절전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69707B1 (ko) 2016-03-17 2017-08-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c 대기전력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952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60125221A (ko) * 2015-04-21 2016-10-31 황태호 휴대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641A (ko) 2016-01-29 2017-08-08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Pc 절전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69707B1 (ko) 2016-03-17 2017-08-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c 대기전력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2652A (zh) * 2019-05-31 2019-09-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锁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06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corresponding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US8665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detection of user inaction
EP1709828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uitive energy management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transceiver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JP2008168588A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362979A1 (en) Touch Screen Terminal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1610300A (zh) 移动终端背光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40027875A (ko)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CN106658403A (zh) 用于确定无线设备在关机后的位置的装置和方法
US201400432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KR20190049801A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CN103053120B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根据挤压进行操作的设备和方法
KR101968561B1 (ko) 스마트폰과 컴퓨터 절전기능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KR20140085952A (ko)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CN110502882A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729692B1 (ko) 휴대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017991A (zh) 检测一个或多个用户识别设备存在的系统和方法
CN109344586B (zh) 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1669681A (zh) 智能音响的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210004445A1 (en) Fingerprint module,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smart lock
KR1006907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구분 동작 온/오프 장치 및 방법
CN105579958A (zh) 用于控制智能平台的操作模式的系统和方法
WO2021221623A1 (en) Change of operating mode
KR100848350B1 (ko) 모드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장치
KR100732716B1 (ko)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106640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whether to shift between in multiple st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