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335B1 -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335B1
KR101968335B1 KR1020170154341A KR20170154341A KR101968335B1 KR 101968335 B1 KR101968335 B1 KR 101968335B1 KR 1020170154341 A KR1020170154341 A KR 1020170154341A KR 20170154341 A KR20170154341 A KR 20170154341A KR 101968335 B1 KR101968335 B1 KR 10196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input
inverter
bus ba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수
박귀근
백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X-커패시터로 형성된 입력측 부스바, Y-커패시터로 형성된 인버터측 부스바 및 상기 입력측 부스바 및 상기 인버터측 부스바에 연결되며, DM 노이즈 및 CM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코일 회로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A filter module of an air conditioner}
실시 예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를 이용하여 CM 노이즈 및 DM 노이즈를 제거하기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고속화, 저전력화 등의 기술 발전의 경향은 장치를 더욱 정밀하게 만들었으며, 그만큼 장치는 외부의 장해로부터 취약하다. 이에 따라 개발자는 장치를 설계할 때 외부의 전자파 장해에 대한 내성 및 노이즈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한다.
일 예로서,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버터 장치는, 다이오드 브릿지나 스위칭 소자 등에 의해 상용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인버터 장치는 변환된 직류전압을, 스위칭 소자로 인해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버터 장치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하여, 전원선을 거쳐서 다른 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전도성 노이즈(conduction noise)를 발생한다.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의 일종인 전도성 노이즈는 전원선 사이에서 왕복하는 디퍼렌셜 모드 노이즈(DM, differential mode noise)와, 전원선과 접지(어스)와의 사이를 전도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CM, common mode noise)로 구성된다.
최근 들어, 인버터 장치에 부스바가 적용되는 경우, 부스바를 이용하여 CM 노이즈 및 DM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X-커패시터 및 Y-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부스바를 이용하여 CM 노이즈 및 DM 노이즈를 제거하기 용이한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은, X-커패시터로 형성된 입력측 부스바, Y-커패시터로 형성된 인버터측 부스바 및 상기 입력측 부스바 및 상기 인버터측 부스바에 연결되며, DM 노이즈 및 CM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코일 회로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측 부스바는,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와 상부면이 접촉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하부면에 접촉된 제4 입력 부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 각각은,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입력 부스바는,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 및 상기 제1 절연체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박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박 패드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사이즈 대비 1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측 부스바는,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와 상부면이 접촉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는, 상기 제2 절연체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체는, 하부면이 샤시 접지에 접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은, 부스바를 이용하여 X-커패시터 및 Y-커패시터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는 X-커패시터 및 Y-커패시터의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은, X-커패시터 및 Y-커패시터를 부스바로 형성함으로써, 부스바를 통해 방사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샤시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필터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입력측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입력측 부스바를 A-A`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측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의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샤시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및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필터 모듈을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100)은 입력측 부스바(110), 인버터측 부스바(150) 및 코일 회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코일 회로부(19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패터닝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샤시 접지(SG)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입력측 부스바(110)는 3상 4선식으로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 각각은 R상 전원, S상 전원, T상 전원 및 N상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는 도 2에 나타낸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는 전원선 사이의 X-커패시터를 형성하여 CM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는 제4 입력 부스바(130)와 제1 절연체(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측 부스바(110)의 구조에 대하여, 도 3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인버터측 부스바(150)는 코일 회로부(190)와 인버터부(2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측 부스바(150)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 각각은 R상 전원, S상 전원 및 T상 전원을 인버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는 도 2에 나타낸 제1 내지 제3 인버터 커패시터(Cin1, Cin2, Cin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인버터 커패시터(Cin1, Cin2, Cin3)는 전원선과 샤시 접지(SG) 사이의 Y-커패시터를 형성하여 DM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와 제2 절연체(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샤시 접지(SG)에 배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인버터 커패시터(Cin1, Cin2, Cin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버터측 부스바(150)의 구조에 대하여, 도 5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코일 회로부(190)는 입력측 부스바(110) 및 인버터측 부스바(15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 및 제1 내지 제3 인버터 커패시터(Cin1, Cin2, Cin3)와 LC 필터를 형성함으로써, CM 노이즈 및 DM 노이즈를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는 CM 노이즈 및 DM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초크 코일, CM 모드 인덕터, DM 모드 인덕터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입력측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입력측 부스바를 A-A`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입력측 부스바(110)는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 및 제1 절연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 각각은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 각각은 제1 절연체(135)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 각각은 제1 절연체(135)의 상부면에 접촉 배치되는 면에 전도성 물질(cp1), 예를 들면 동박 및 전도성 필름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전도성 물질(cp1)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절연체(135)는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가 서로 결합하여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4 입력 부스바(130)는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132) 및 제1 절연체(135)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전도성 금속(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박 패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도성 금속(132)은 제1 내지 제3 입력 커패시터(C1, C2, C3)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박 패드(134)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금속(132)은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와 동일하게 전도성 물질(cp1)이 배치될 수 있다.
동박 패드(134)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동박 패턴(cp2)이 패터닝될 수 있으며, 동박 패턴(cp2)은 제1 절연체(135)의 하부면 및 전도성 금속(13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에 의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커패시터(C1, C2, C3)의 용량은 제1 절연체(135)의 두께 및 유전율과,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의 면적 및 유전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커패시터(C1, C2, C3)의 용량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7114782320-pat00001
여기서, εr 은 입력 부스바의 유전율, εo 는 제1 절연체의 유전율, A는 입력 부스바의 면적 및 d는 제1 절연체의 두께이다.
이때, 제1 내지 제4 입력 부스바(115, 120, 125, 130) 각각의 전도성 금속은 동박 패드(134) 보다 사이즈, 즉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양측이 전원과 코일 회로부(19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박 패드(134)의 사이즈는 제1 절연체(135)의 사이즈 대비 1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측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버터측 부스바(150)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 및 제2 절연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는 제2 절연체(170)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절연체(170)는 하부면이 샤시 접지(SG)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65), 제2 절연체(170) 및 샤시 접지(SG)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 커패시터(Cin1, Cin2, Cin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155, 160, 170)는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115, 120, 12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절연체(170)는 제1 절연체(135)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 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실시 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실시 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X-커패시터로 형성된 입력측 부스바;
    Y-커패시터로 형성된 인버터측 부스바; 및
    상기 입력측 부스바 및 상기 인버터측 부스바에 연결되며, DM 노이즈 및 CM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코일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 부스바는,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와 상부면이 접촉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하부면에 접촉된 제4 입력 부스바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입력 부스바 각각은,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입력 부스바는,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 및
    상기 제1 절연체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도성 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박 패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패드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연체의 길이 대비 1배 내지 1.5배인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측 부스바는,
    절연 코팅된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와 상부면이 접촉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인버터 부스바는,
    상기 제2 절연체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하부면이 샤시 접지에 접촉된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KR1020170154341A 2017-11-17 2017-11-17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KR10196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41A KR101968335B1 (ko) 2017-11-17 2017-11-17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41A KR101968335B1 (ko) 2017-11-17 2017-11-17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335B1 true KR101968335B1 (ko) 2019-04-12

Family

ID=6616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341A KR101968335B1 (ko) 2017-11-17 2017-11-17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3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733A (ko) * 2011-01-28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13105657A (ja) * 2011-11-15 2013-05-30 Daikin Ind Ltd バスバ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733A (ko) * 2011-01-28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13105657A (ja) * 2011-11-15 2013-05-30 Daikin Ind Ltd バスバー組立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8638C2 (ru) Инвертор с высокой удельной мощностью
US20180166211A1 (en) Inductor and dc-dc converter
EP3120673B1 (en) Common mode noise suppression of switch-mode power converters by capacitive shield with damping network
US20160344279A1 (en) Cr snubber circuit
US9967969B2 (e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with switching power supply capacitors, broad patterns, and TT-type filter
WO2013157098A1 (ja) ノイズフィルタ装置
US10312801B2 (en) High power density inverter (II)
CN106953420B (zh) 无线充电的emi抑制
JP2013219919A (ja) ノイズ低減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US10069335B2 (en) Power transfer system with capacitive coupling
KR101968335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
US10256583B2 (en) Power adapter
CN107624216B (zh) 电力电子设备
JP6835082B2 (ja) 電力変換装置
CN108235672B (zh) 屏蔽体、电子电路以及dc-dc转换器
CN111934538B (zh) 一种屏蔽结构、电路以及电源适配器
EP2797091A1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sing the transformer
CN108462379A (zh) 一种直流双施加高压大电流试验电源用纹波抑制电路
CN215378757U (zh) 开关电源电路及应用该电路的开关电源系统
JP2018182880A (ja) 電力変換装置
WO2020071196A1 (ja) Acアダプタ
WO2023013343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330826B1 (en) Integrated architecture for power converters
CN109639140A (zh) 一种dc-dc开关电源的pcb板
US20180277307A1 (en) Capacitor and substrat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