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007B1 -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 Google Patents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007B1
KR101968007B1 KR1020170139445A KR20170139445A KR101968007B1 KR 101968007 B1 KR101968007 B1 KR 101968007B1 KR 1020170139445 A KR1020170139445 A KR 1020170139445A KR 20170139445 A KR20170139445 A KR 20170139445A KR 101968007 B1 KR101968007 B1 KR 10196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heating element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선
이종호
Original Assignee
김봉선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선, 이종호 filed Critical 김봉선
Priority to KR10201701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에 따르면, 중간부에 분리막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하를 분리하여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를 형성시키는 가로막과, 상기 발열체저장부를 다수개로 분리하는 다수의 세로막 및 다수로 분리된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로 가압되면 상기 가로막을 파열시켜 물과 발열체가 혼합되도록 하는 파열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발열체저장부를 세로막으로 다수개 분리함에 따라 발열체저장부가 다수개 형성되되, 분리되는 부피를 일정하게 하면 동일한 열을 다수회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부피를 다르게 하면 열의 발생에 따른 온도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Heat-gener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나 등산 등의 야외활동할 때는, 보온병을 사용한다.
보온병은, 내용물의 온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등산을 갈 때에는, 따뜻한 물을 보온병에 담아 갈 수 있으며, 필요시에 커피 또는 컵라면 등을 먹을 때 따뜻한 물을 사용한다.
또한, 야외에서 아기의 분유를 탈 수 있도록 따뜻한 물을 보온병에 보관하기도 한다.
그러나, 분유, 커피, 라면 등에 이용할 물의 온도는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보온병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특히, 분유의 경우에는 일정온도로 만든 다음에 아기에게 줄 수 있기 때문에, 보온병에 물을 보관하더라도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온병에 보관된 따뜻한 물의 온도는 점차 낮아지기 때문에, 장시간 후에는, 찬물로 변하여 사용자가 따뜻한 물의 사용이 어려워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고자, 물과 발열체를 이용한 열 발생기기에 대해 개발이 되었지만, 일회용이며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없고, 기 설정된 열만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6067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73200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 저장부를 세로막으로 다수개 분리함에 따라 발열체저장부가 다수개 형성되되, 분리되는 부피를 일정하게 하면 동일한 열을 다수회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부피를 다르게 하면 열의 발생에 따른 온도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 발생 용기에 따르면, 중간부에 분리막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하를 분리하여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를 형성시키는 가로막과, 상기 발열체저장부를 다수개로 분리하는 다수의 세로막 및 다수로 분리된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로 가압되면 상기 가로막을 파열시켜 물과 발열체가 혼합되도록 하는 파열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로막은, 상기 발열체저장부를 분리하되, 부피가 각각 다르게 하거나 동일하게 분리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압부로 가압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의 발열체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발열체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로막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열의 조절이 가능하거나, 일정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열침의 가압이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조절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에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위치조절부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압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열침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열침의 반경과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형성된 세로막이 상기 물저장부로 연장형성되어 다수의 발열체저장부 상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물저장부로 분리시키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물저장부와 발열체저장부에 물과 발열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세로막으로 분리된 수만큼 열을 다수회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는, 중간부에 분리막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하조절통로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좌우를 분리하여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타측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세로막과, 상기 물저장부와 발열체저장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가로막 및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각각 형성되되, 일단이 상하조절통로를 향하고 타단이 세로막을 향하도록 형성된 파열침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된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파열침이 가압되어, 파열침으로 세로막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통로의 주위인 본체 외측면에는, 상기 위치조절부가 상하조절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조절통로의 내부측을 향하도록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조절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날개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발열체저장부를 세로막으로 다수개 분리함에 따라 발열체저장부가 다수개 형성되되, 분리되는 부피를 일정하게 하면 동일한 열을 다수회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부피를 다르게 하면 열의 발생에 따른 온도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가압부가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가압부가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는, 본체(100) 및 가압부(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중간부에 분리막(110)이 형성되어 상하가 분리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상기 분리막(110)의 하부에 가열부(130)가 형성되고, 분리막(110)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120)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는, 본체(100)의 내입홈(120)을 닫을 수 있는 덮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30)가 열을 발생시킴에 따라 내입홈(120)에 내입된 내용물이 데워질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가로막(131), 세로막(132), 파열침(133) 및 연장부(134)를 포함한다.
가로막(131)은, 본체(100)의 분리막(110) 하부를 상하를 분리하여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135)와, 물저장부(135)의 하부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136)를 형성시킨다.
이때, 발열체저장부(136)에는, 생석회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추가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들이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세로막(132)은, 발열체저장부(136)를 다수개로 분리한다.
이때, 세로막(132)은, 발열체저장부(136)를 분리하되, 부피가 각각 다르게 분리한다. 이는, 발열체과 물이 혼합될 때, 발열체의 양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발열체 양을 조절하여 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세로막(132)은, 발열체저장부(136)를 분리하되 부피가 동일하도록 분리할 수도 있으며, 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온도를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세로막(132)은, 발열체저장부(136)를 본체(10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반경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로막(132)은, 반경이 다른 다수개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발열체저장부(136)의 부피는 커지게 된다.
파열침(133)은, 다수로 분리된 발열체저장부(136)에 각각 형성되고, 가압부(200)로 가압되면 가로막(131)을 파열시켜 물과 발열체가 혼합되도록 한다.
즉, 파열침(133)이 가압부(200)로 가압되면, 상부로 이동되어 가로막(131)을 파열시킨다. 이때, 물저장부(135)에 저장된 물이 파열침(133)에 파열된 구멍을 통해 발열체저장부(136)로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발열체저장부(136)에 저장된 발열체과 물의 혼합으로 열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열은, 내입홈(120)에 내입된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막(132)으로 발열체저장부(136)가 서로 다른 부피로 다수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한 열의 온도를 선택하여 가로막(131)을 파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발열체저장부(136)의 상부인 가로막(131)이 파열되는 위치에 따라 가열부(130)로 발생되는 열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파열침(133)은, 다수로 분리된 발열체저장부(136)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열침(133)은, 본체(100)의 중심점에서 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본체(100)의 중심점에서 일직선으로 다수개의 파열침(133)에 형성되면, 가압부(200)로 가압시 주위의 파열침(133)도 가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발열체저장부(136)의 상부인 가로막(131)이 선택적으로 파열될 수 있도록, 파열침(133)은,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100)의 중심점을 지나는 임의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경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에 따른 가열부(130)는, 가압부(200)로 가압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의 발열체저장부(136) 중 어느 하나의 발열체저장부(136)의 상부에 형성된 가로막(131)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열의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시 다수의 발열체저장부(136)에 저장된 발열체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발열체저장부(136) 하측면에는, 발열체와 물의 혼합으로 팽창될 수 있기 때문에, 반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열체저장부(136)의 내부가 팽창하면, 반칼홈이 찌져짐에 따라 팽창에 따른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반칼홈을 통해 새어나오는 압력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술할 가압부(200)의 받침부(210)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본체(100)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본체(100)의 하측면을 가압 가능하다.
이러한, 가압부(200)는, 받침부(210), 위치조절부(220), 기둥부(230), 파지부(240) 및 연장부(134)를 포함한다.
받침부(210)는,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부(210)의 상측면은 본체(100)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외력에 의해 받침부(210)를 가압하더라도 파열침(133)이 직접적으로 가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통공(211)은, 후술할 위치조절부(220)가 회전되는 중심점이 되므로, 본체(100)의 중심부의 중심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관통공(211)의 내주면에는, 파열침(133)이 형성된 위치를 향하는 고정홈(212)이 파열침(133)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위치조절부(220)는, 받침부(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파열침(133)의 가압이 가능한 돌출부(221)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221)는 위치조절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21)는, 위치조절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파열침(133)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파열침(133)의 반경과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즉, 돌출부(221)는, 파열침(133)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파열침(133)을 선택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파열침(133)은 돌출부(221)가 가압에 의해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되어, 상단이 가로막(131)을 파열시킬 수 있다.
기둥부(230)는, 관통공(211)에 삽입되어 위치조절부(220)에 결합된다.
또한, 기둥부(230)는, 위치조절부(22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고정돌기(231)가 돌출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후술할 파지부(240)를 회전시킬 때, 회전고정돌기(231)가 고정홈(212)에 삽입됨에 따라, 파열침(133)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때 사용자가 파지부(240)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력에 따라 돌출부(221)가 파열침(133)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파열침(133)이 가로막(131)을 파열시키게 된다.
파지부(240)는, 기둥부(23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받침부(210)의 하부에 구비되고, 기둥부(2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파지부(240)는, 위치조절부(220)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연장부(134)는, 세로막(132)이 물저장부(135)로 연장형성되어 부피가 각각 다르게 물저장부(135)를 분리한다.
이에 따라, 발열체저장부(136)의 상부에는, 각각 물저장부(135)가 형성된다.
즉, 상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에 물과 발열체가 저장됨에 따라, 가열부(130)는 세로막(132)에 분리된 수만큼 각기 다른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세로막(132)은 반경을 달리하여 형성됨에 따라, 최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더 커지며, 부피가 큰 만큼 발열체과 물이 저장되어, 가열부(130)가 발생시킬 수 있는 열의 온도가 높게 된다.
다시 말해,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는, 본체(100)의 중심부에 외측으로 갈수록 부피가 커지도록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사용예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를 보관하거나, 소지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00)의 파지부(240) 길이방향이 OFF를 향하도록 파지부(240)를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침(133)의 직하부에 돌출부(221)가 위치하지 않아 사용자가 파지부(240)를 가압하더라도 파열침(133)이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가로막(131)이 파열되지 않는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가압부(200)를 회전시켜 '1'의 위치를 향하도록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내측에 형성된 파열침(133)의 하부에 돌출부(221)가 위치된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부(200)를 위로 가압하면, 파열침(133)이 돌출부(221)로 가압되어 가로막(131)을 파열하게 된다.
그리고, 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에는, 물저장부(135)에 저장된 물이 내려오게 되고, 화학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는, 다수의 발열체저장부(136) 중 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의 부피가 제일 작게 형성되어, 다수의 발열체저장부(136)보다 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에 저장된 발열체과 물은 약 40~50°의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양이면 충분하다. 이 온도를 통해 사용자는 우유 등을 데울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가압부(200)를 회전시켜 '2'의 위치를 향하도록 하면, H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내측에 형성된 파열침(133)보다 외측에 형성된 파열침(133)의 위치에 돌출부(221)가 위치된다.
즉, 도 8과 같이, 중간부분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의 하부에 또 다른 돌출부(221)가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가압부(200)를 위로 가압하게 되면, 중간의 발열체저장부(136)에 형성된 파열침(133)이 중간에 형성된 물저장부(135)의 하부인 가로막(131)을 파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에 각각 저장된 발열체과 물이 화학반응하게 되며, 열을 발생시키되, 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보다 더 큰 부피로 이루어지고 저장된 물과 발열체 양도 많음에 따라 최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에서 발생되는 열보다 보다 높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에 저장된 발열체과 물은 약 80~90°의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양이면 충분하다. 이 온도를 통해 사용자는 커피를 탈 수 있는 물을 데울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가압부(200)를 회전시켜 '3'의 위치를 향하도록 하면, H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외측에 형성된 파열침(133)의 위치에 돌출부(221)가 위치된다.
즉,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가압부(200)를 위로 가압하게 되면, 외 외측의 발열체저장부(136)에 형성된 파열침(133)이 최 외측에 형성된 물저장부(135)의 하부인 가로막(131)을 파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 외측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에 각각 저장된 발열체과 물이 화학반응하게 되며, 열을 발생시키되, 다수의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 중 가장 큰 부피로 이루어지고 저장된 물과 발열체 양도 가장 많음에 따라 가장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최 외측에 형성된 발열체저장부(136)와 물저장부(135)에 저장된 발열체과 물은 약 90~99°의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양이면 충분하다. 이 온도를 통해 사용자는 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가압부(200)의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3번 열을 발생시키되, 서로 다른 온도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의 부피를 동일하게 세로막(132)으로 분리시키면, 3번 모두 동일한 온도로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가압부가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가압부가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에 다른 실시예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의 본체(100)는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중간부에 분리막(110)이 형성되어 상하가 분리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분리막(110)의 하부에 가열부(130)가 형성되고, 분리막(110)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120)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후술할 파열침(133)이 형성된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상하조절통로(137)가 형성된다.
또한, 상하조절통로(137)의 주위인 본체(100) 외측면에는, 후술할 위치고정돌기(222)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138)이 형성된다.
이때, 위치고정홈(138)은, 후술할 위치조절부(220)가 수평으로 형성된 파열침(133)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파열침(133)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가열부(130)가 열을 발생시킴에 따라 내입홈(120)에 내입된 내용물이 데워질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가로막(131), 세로막(132) 및 파열침(133)을 포함한다.
세로막(132)은,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를 수직으로 분리하여 좌우에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를 형성시킨다.
이때, 가로막(131)은 세로막(132)으로 분리된 물저장부(135)와 발열체저장부(136)를 다수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파열침(133)은 발열체저장부(136)에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파열침(133)은 일단이 상하조절통로(137)를 향하고 타단이 세로막(132)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부(200)의 위치조절부(220)는, 상하조절통로(137)에 결합되되, 상하조절통로(137)의 내부측을 향하도록 돌출부(221)가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22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조절날개(223)가 형성된다. 이때, 위치조절날개(223)는, 위치고정홈(138)에 삽입되어 위치조절부(22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돌기(222)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220)의 위치조절날개(223)를 상하로 이동시켜 돌출부(133)가 파열침(133)과 수평으로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위치조절날개(223)를 외부에서 내부로 가압하게 되면, 돌출부(221)가 파열침(133)의 일단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파열침(133)의 일단이 세로막(132)을 파열시키게 된다.
세로막(132)이 파열됨에 따라, 물과 발열체의 혼합으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세로막(132)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물저장부와 발열체저장부의 저장공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10 : 분리막
120 : 내입홈 130 : 가열부
131 : 가로막 132 : 세로막
133 : 파열침 134 : 연장부
135 : 물저장부 136 : 발열체저장부
137 : 상하조절통로 138 : 위치고정홈
200 : 가압부 210 : 받침부
211 : 관통공 212 : 고정홈
220 : 위치조절부 221 : 돌출부
222 : 위치고정돌기 223 : 위치조절날개
230 : 기둥부 231 : 회전고정돌기
240 : 파지부 300 : 덮개

Claims (7)

  1. 중간부에 분리막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하를 분리하여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하부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를 형성시키는 가로막과,
    상기 발열체저장부를 다수개로 분리하는 다수의 세로막 및
    다수로 분리된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로 가압되면 상기 가로막을 파열시켜 물과 발열체가 혼합되도록 하는 파열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열침의 가압이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조절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에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위치조절부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막은, 상기 발열체저장부를 분리하되, 부피가 각각 다르게 하거나 동일하게 분리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압부로 가압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의 발열체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발열체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로막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열의 조절이 가능하거나, 일정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압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열침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열침의 반경과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형성된 세로막이 상기 물저장부로 연장 형성되어 다수의 발열체저장부 상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물저장부로 분리시키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물저장부와 발열체저장부에 물과 발열체가 저장됨에 따라, 상기 세로막으로 분리된 수만큼 열을 다수회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6. 중간부에 분리막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막의 하부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의 상부에 내용물이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하조절통로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좌우를 분리하여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타측에 발열체가 저장되는 발열체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세로막과,
    상기 물저장부와 발열체저장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가로막 및
    상기 발열체저장부에 각각 형성되되, 일단이 상하조절통로를 향하고 타단이 세로막을 향하도록 형성된 파열침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된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파열침이 가압되어, 파열침으로 세로막이 파열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상하조절통로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조절통로의 주위인 본체 외측면에는, 상기 위치조절부가 상하조절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조절통로의 내부측을 향하도록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조절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날개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조절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7. 삭제
KR1020170139445A 2017-10-24 2017-10-24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KR10196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45A KR101968007B1 (ko) 2017-10-24 2017-10-24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45A KR101968007B1 (ko) 2017-10-24 2017-10-24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007B1 true KR101968007B1 (ko) 2019-04-10

Family

ID=6616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45A KR101968007B1 (ko) 2017-10-24 2017-10-24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639U (ko) * 1985-10-03 1987-04-16
KR100360676B1 (ko) * 2000-03-24 2002-11-13 이종호 컵라면 용기
KR20100073200A (ko) 2008-12-23 2010-07-01 김봉선 자체 발열식 용기
CN105197425A (zh) * 2015-09-23 2015-12-30 宿州同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加热式饮料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639U (ko) * 1985-10-03 1987-04-16
KR100360676B1 (ko) * 2000-03-24 2002-11-13 이종호 컵라면 용기
KR20100073200A (ko) 2008-12-23 2010-07-01 김봉선 자체 발열식 용기
CN105197425A (zh) * 2015-09-23 2015-12-30 宿州同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加热式饮料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4643A (en) Unpressurized container for holding a plurality of products separately and dispensing them simultaneously
US4773389A (en) Self-heating foodstuff container
JP4243024B2 (ja) 包装体
TWI616382B (zh) 飲料製造膠囊及膠囊製造方法
US7025055B2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WO2007059122A1 (en) Self-heating container
JP2015528358A (ja) 可搬性食品加熱装置及び可搬性発熱体
WO2016162729A1 (en) A single use self-heating cup
CN1341071A (zh) 自加热或自冷却式容器
US11396416B2 (en) Portable heating for small quantities of consumer product
JP2019523182A (ja) 単一ポーションパック、使用および調製機
KR101968007B1 (ko) 다수회 사용이 가능한 열발생 용기
AU2017243613A1 (en) Disposable capsule for machines for the dispensing of infused beverages
JP2003528775A (ja) 流体容器およびこれに関する改良
WO2006123964A1 (fr) Emballage permettant de modifier la temperature d'un produit stocke avant son ouverture
JP2002544083A (ja) 自己加熱型または自己冷却型容器
WO2007070893A1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cartridg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10308416B2 (en) Apparatus for thermal conditioning a product
US20120103969A1 (en) container warmer apparatus
EP3672717B1 (en) Mixing vessel for consumable substances, method of using said mixing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mixing vessel
CN214731307U (zh) 一种新型自热瓶
CN214525740U (zh) 一种自热瓶
CN216154532U (zh) 一种自热装置及自热罐
US20240067436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container
JPH05231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