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986B1 - Wire test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 tes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986B1
KR101967986B1 KR1020170096250A KR20170096250A KR101967986B1 KR 101967986 B1 KR101967986 B1 KR 101967986B1 KR 1020170096250 A KR1020170096250 A KR 1020170096250A KR 20170096250 A KR20170096250 A KR 20170096250A KR 101967986 B1 KR101967986 B1 KR 10196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d
support
tub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2760A (en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1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orsional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6Investigating twisting or coil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1Torsio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는 선재가 고정되는 고정척이 양측에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를 감싸게 제공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유닛은,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관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외관부재 및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관개공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선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관부재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내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내관개공부를 상기 외관개공부와 겹치게 위치시켜 상기 선재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이탈시키도록, 외면부가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를 따라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testing a wir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provided between a pair of fixing chucks and a device body unit having fixing chucks on both sides of which wire rods are fixed, , The shatterproofing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an outer pipe member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opened; an outer member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n inner pipe member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member, wherein the inner pipe memb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ner pipe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open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wire is received in the inner tube or separated from the outer tube, And may be provided to rotat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sh.

Description

선재시험장치{Wire test apparatus}[0001] WIRE TEST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선재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일정한 크기와 직경의 강선 등의 선재는 가공 비틀림 실험을 통해 항복강도를 측정한다. 선재시험장치인 비틀림 실험기는 양측에 각각의 고정척이 구성되며 한 쌍의 고정척 중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되게 구비된다.Wire strands, such as steel wire of a certain size and diameter, measure the yield strength through a working twist test. The torsion test machine, which is a wire rod tester, consists of two fixed chucks on each side, one fixed and one rotatable.

즉, 어느 하나의 고정척은 회전을 통해 선재를 일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That is, any one of the fixed chucks rotates the wire material at a constant speed in one direction through rotation.

이와 같이, 비틀림 실험기는 선재의 양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일부 고정척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비틀림에 의한 절단시점의 항복강도를 측정하게 된다.Thus, in the twist test machine, the yield strength at the cutting point due to the twist is measured by one-direction rotation of a part of the fixed chuck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wire are fixed.

이러한 비틀림 시험 완료 후 절단된 선재의 형상을 측정하고 항복강도를 다른 선재의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품질을 측정하는데, 측정되는 항복강도는 일 방향 회전으로 비틀림이 진행되어 파단 직전의 항복강도이다.After completion of the torsion test, the shape of the cut wire is measured, and the yield strength is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of other wire materials to measure the quality. The yield strength measured is the yield strength just before fracture due to unidirectional twisting.

그런데, 이러한 파단 과정에서 절단된 강선의 일부가 돌발적으로 비산되어 위험하고, 더욱이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사고위험과 함께 주변설비의 파손위험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re is a danger that a part of the steel wire cut in the breakage process is scattered suddenly, and furthermore, there is a risk that the risk of a fatal accident to a worker and the risk of breakage of peripheral equipment are increased.

이러한 비산되는 선재 파편의 위험성은 실험 대상인 선재의 강도가 높을수록 비례하여 증가한다.The risk of these scattered wire fragments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the strength of the wire rod being tested.

또한, 실험 완료후 절단된 선재를 회수하여 절단면의 형상을 측정하여 선재의 품질 평가를 수행해야 하는데, 선재가 비산함에 따라 절단된 선재를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In addition, after completion of the test, the cut wire is recovered and the shape of the cut surface is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wi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ut wire after the wire is scattered.

더하여, 절단되어 비산된 선재의 회수불능시 재실험을 진행해야 하므로, 시험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test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retest when the cut wire is not recovered.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재시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has become necessary to study a wire test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 시험시의 선재의 비산을 방지하는 선재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rod from scattering during wire rod testing.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된 선재의 회수율을 높이는 선재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that increases the recovery rate of a cut wire r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는 선재가 고정되는 고정척이 양측에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를 감싸게 제공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유닛은,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관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외관부재 및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관개공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선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관부재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내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내관개공부를 상기 외관개공부와 겹치게 위치시켜 상기 선재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이탈시키도록, 외면부가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를 따라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testing a wir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provided between a pair of fixing chucks and a device body unit having fixing chucks on both sides of which wire rods are fixed, , The shatterproofing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an outer pipe member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opened; an outer member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n inner pipe member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member, wherein the inner pipe memb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ner pipe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open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wire is received in the inner tube or separated from the outer tube, And may be provided to rotat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sh.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외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외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외관부재의 양단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삽입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tube member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tube portion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member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tube member and having both ends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outer tube member can do.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삽입관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정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inner tube member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justing rod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삽입관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에 밀착되는 선재지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tube member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 rod support rod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r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선재지지봉부는, 상기 삽입관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서포트봉 및 상기 서포트봉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가 밀착되는 홈이 형성된 선재받침탭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rod support bar portion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o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a wire rod support tab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단부가 개방된 관재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단지지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외관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각형바가 상단부에 삽입되는 각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ation chucks and a tubular member having an upper end portion opened and a lower end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a rectangular tube portion into which a rectangular ba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ular member is inserted in an upper end portion.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지지부재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상기 장치바디유닛의 베이스부재와의 탈착을 조정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gnetic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portion so as to adjust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device body unit, which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with the base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상기 고정척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척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body unit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ng uni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stationary chucks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stationary chucks.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는 선재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ire rods from being scattered.

이에 의해서, 선재의 비산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being injured by the scattering of the wire rod and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peripheral equipment.

다른 측면에서는 시험 이후의 선재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선재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어, 재시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On the other side, the recovery of the wire after the test is facilitated, the recovery rate of the wire can be increased, and retesting can be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est.

또한, 이러한 선재의 비산을 방지하면서도, 고정척에 선재를 고정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 of fixing or recovering the wire to the fixed chuck while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wire rod.

도 1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의 외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의 내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member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tube member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reference signs allotted in the same reference notation or the lik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

본 발명은 선재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재(w)가 비산(飛散)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선재(w)의 비산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주변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wire rods (w) from scattering, thereby preventing an operator from being injured by scattering of the wire rods (w) .

다른 측면에서는 시험 이후의 선재(w)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선재(w)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어, 재시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험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side, the recovery of the wire rods after the test is facilitated, the recovery rate of the wire rods w can be increased, and retesting is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est.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는 선재(w)가 고정되는 고정척(110)이 양측에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100) 및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w)를 감싸게 제공되는 비산방지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chuck 110 And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provided between the device body unit 100 and the pair of fixing chucks 110 provided on both sides and provided to wrap the wire rods w.

즉,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이 선재(w)가 파단에 의해서 비산하는 경우에 장애물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파단된 선재(w)가 선재시험장치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serves as an obstacle in the case where the wire rod w is scattered by fra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oken wire rod w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선재(w)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바디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선재(w)를 고정하여 제공하게 된다.The apparatus body unit 100 serves as a body for performing a test on the wire rod w, and the wire rod w is fixedly provided.

이를 위해서,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선재(w)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척(110)을 구비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척(110)은 실험 대상인 선재(w)에 따라서 간격을 조정하거나 위치를 변경하게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pparatus bod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ing chucks 110 for fixing the wire rods w, and the fixing chuck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ire rope w Adjust or change position.

더하여,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선재(w)의 비틀림 시험을 위해서 상기 선재(w)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body unit 10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130 for rotating the wire rod w for a twist test of the wire rod w.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고정척(11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척(1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회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apparatus body unit 10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unit (not shown)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xing chucks 110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fixing chucks 110 130).

이러한 회전부(130)는 상기 고정척(110)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척(110)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척(110)에 고정된 상기 선재(w)의 일단부를 회전하여 비틀림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rot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xing chucks 110 to rotate the fixing chuck 110 so that one end of the wire w fixed to the fixing chuck 11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torsional test.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은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의해서 비틀림 시험 등의 수행시에 상기 선재(w)가 파단되면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은 상기 선재(w)를 감싸게 제공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된다.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serves to prevent the wire rod w from being scattered while being broken by the device body unit 100 during a twist test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wire rod w an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110. [

구체적으로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은 지지부재(210), 외관부재(220), 내관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pecifically,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10, an outer member 220, and an inner member 23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20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은,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10), 상기 지지부재(210)에 고정되는 외관부재(220) 및 내측에 상기 선재(w)를 수용하며, 상기 외관부재(22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내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 supporting member 210 provided between the fixing chucks 110, an outer member 220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210 and a wire member w inserted into the outer member 220, And an inner tubular member 230 which is provided to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이와 같이, 상기 비산방지유닛(200)이 지지부재(210), 외관부재(220), 내관부재(2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선재(w)를 감싸게 되어 상기 선재(w)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ncludes the support member 210, the outer member 220 and the inner member 230 so that the scattering of the wire w is prevented by wrapping the wire member w .

상기 지지부재(210)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외관부재(220), 내관부재(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외관부재(220)와 결합된다. The support member 210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110 and serves to support the outer member 220 and the inner member 23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210 is engaged with the outer member 22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지지부재(210)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지지부(211) 및 상단부가 개방된 관재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단지지부(211)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외관부재(220)의 하부에 결합된 각형바(222)가 상단부에 삽입되는 각형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1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portion 211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110 and a pipe shape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a rectangular tube portion 212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211 and a rectangular bar 2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e 220 inserted into the upper end.

즉,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외관부재(220)가 향하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지지지하기 위해서, 하단지지부(211), 각형관부(21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210 may include a lower support portion 211 and a rectangular tube portion 212 to support the outer member 2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uter member 220 is not changed.

상기 하단지지부(211)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의 베이스부재(120)에 안착되어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단지지부(2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ing portion 211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110 and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base member 120 of the apparatus body unit 100. To this end, the lower support part 211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상기 각형관부(212)는 상기 외관부재(2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외관부재(220)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형의 관재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형관부(212)에는 상기 각형관부(212)의 내부 각형 중공에 대응하는 형상의 각형바(222)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형바(222)는 상기 외관부재(22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내관부재(230)의 삽입관부(232)가 삽입되는 상기 외관부재(220)의 수용관부(223)에 결합되는 구성이다.The rectangular tube portion 212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e member 220 and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tube to prevent the direction of the outer tube member 220 from being changed. A square bar 2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quare hollow of the square tube portion 212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tube portion 212 and is seated. The rectangular bar 222 is provided to the outer tube member 220 and is coupled to the receiving tube portion 223 of the outer tube member 220 into which the tube tube portion 232 of the inner tube member 230 is inserted .

그리고, 상기 각형관부(212)는 상기 외관부재(220)의 각형바(222)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도록 측면부에 높이 조절 나사(미도시)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The rectangular tube portion 212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screw (not shown) coupled to the side portion thereof to adjust the fixing height of the rectangular bar 222 of the outer tube member 220.

즉,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 사이에 구비되는 선재(w)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외관부재(220)의 수용관부(223)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각형관부(212)는 조절 나사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ceiving tube portion 223 of the outer tube member 22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wire rod w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the fixed chucks 110, As shown in FIG.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지지부재(210)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의 베이스부재(120)와의 탈착을 조정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211)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1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2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ower support portion 211 ") for adjusting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apparatus body unit 100, And a magnetic part 213 provided on the magnet unit 213.

이러한 마그네틱부(213)는 상기 지지부재(210)가 상기 외관부재(220)를 지지할 때,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재(w)가 고정된 고정척(110)은 베이스부재(120)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베이스부재(120)가 강자성체로 구비되면, 상기 하단지지부(211)에 결합된 마그네틱부(213)가 자력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210)의 결합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마그네틱부(213)는 전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그네틱부(213)는 영구자석으로 제공되어 일정한 자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210)를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결합되게 제공할 수도 있다.
The magnetic member 213 may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210 from being changed when the support member 210 supports the outer member 220. That is, the fixing chuck 110 to which the wire rod w is fixed is provided in the base member 120. When the base member 120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the magnetic portion 213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211 Can be fixed to the base member 120 by a magnetic force.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210, the magnetic portion 213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magnet. Alternatively, the magnetic portion 213 may be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to provide the support member 210 to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120 by a predetermined magnetic force.

상기 외관부재(220)는 상기 지지부재(210)에 고정되며, 상기 내관부재(23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관부재(230)와 협력하여 상기 선재(w)를 감싸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선재(w)가 내부에 위치하게 제공할 수 있다.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210 and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is provided in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to cooperate with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to enclose the wire rod w, So that the wire rod w can be positioned inside.

여기서, 상기 외관부재(2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외관개공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내관부재(230)에 형성된 내관개공부(231)와 겹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재(w)를 수용하거나 상기 선재(w)를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is formed with an outer tubular opening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tubular member w when it overlaps with the inner tubular tubular member 231 formed in the tubular tubular member 230, The wire rods w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선재(w)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외관부재(220)와 협력하여 상기 선재(w)를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The inner tube member 230 may be provided to enclose the wire member w in cooperation with the outer member 220 while accommodating the wire member w therein.

특히,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외관부재(2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관부재(22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관부재(230)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관개공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외관부재(220)에 형성된 외관개공부(221)와 어긋나거나, 겹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선재(w)의 주변을 완전히 감싸게 제공하거나, 일부 개방되게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ner tube member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member 2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within the outer tube member 220. An inner irrigation channel 231 is formed in the inner pipe member 2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offset or overlapped with the outer pipe opening 221 formed in the outer pipe member 220, It can be completely wrapped or partially open.

이에 따라 상기 선재(w)를 상기 내관부재(230)의 내부에 수용허가나 상기 선재(w)를 상기 내관부재(230)의 내부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내관부재(230) 내부에 수용된 선재(w)를 완전히 감싸게 제공할 수 있다. The wire member w can be allowe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tube member 230 or the wire member w can be released from the inner tube member 230, The wire rods w can be completely wrapped.

그리고, 상기 내관부재(230)와 상기 외관부재(220)는 아크릴 재질 등의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형성됨으로서, 내부에 위치하는 선재(w)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and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n acrylic material so that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and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can be provided to check the state of the wire rod w positioned therein.

도 3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200)의 외관부재(22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외관부재(220)는,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관개공부(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member 220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outer member 22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uter opening opening 2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이와 같이, 상기 외관부재(2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외관개공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내관부재(230)에 형성된 내관개공부(231)와 겹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재(w)를 수용하거나 상기 선재(w)를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is formed with the outer tubular opening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verlaps with the inner tubular tubular member 231 formed in the tubular tubular member 230, The wire rods w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선재(w)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관개공부(221)를 통하여 상기 선재(w)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관개공부(221)의 양단부도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Since the wire member w is fixed to the pair of fixing chucks 110, in order to accommodate the wire member w through the outer opening 221, Should also be provided in an open form.

도 4는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200)의 내관부재(2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선재시험장치에서 비산방지유닛(2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tube member 230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show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00 in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여기서, 상기 도 5는 내관부재(230)의 내관개공부(231)가 외관부재(220)의 외관개공부(221)와 겹치게 제공되어 상기 내관부재(230)와 상기 외관부재(220)가 형성하는 영역의 일부를 개방된 형태로 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 6은 내관부재(230)의 내관개공부(231)가 외관부재(220)의 외관개공부(221)와 엇갈리게 제공되어 상기 내관부재(230)와 상기 외관부재(220)가 형성하는 영역이 밀폐된 형태로 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in which the inner tubular member 231 is overlapped with the outer tubular opening 221 of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so that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and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are formed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ner irrigation run 231 of the inner tubular member 230 is staggered with the outer tubular opening 221 of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And a region formed by the inner pipe member 230 and the outer pipe member 220 is provided in a closed form.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230)는,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관개공부(231)가 형성되며, 외면부가 상기 외관부재(220)의 내면부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재(220)의 내면부를 따라 회전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ner pipe member 23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ner irrigation hole 23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clos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220 and rotat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ember 220.

이와 같이, 상기 내관부재(230)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관개공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외관부재(220)에 형성된 외관개공부(221)와 겹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재(w)를 수용하거나 상기 선재(w)를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inner pipe member 230 is formed with the inner irrigation pipe 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verlaps the outer pipe opening 221 formed in the outer pipe member 220, the wire member w is received The wire rods w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선재(w)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관개공부(231)를 통하여 상기 선재(w)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관개공부(231)의 양단부도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In order to accommodate the wire rod w through the inner irrigation hole 231, the inner and outer irrigation holes 231 and 231 of the inner and outer irrigation holes 231, Should also be provided in an open form.

그리고, 상기 내관부재(230)의 외면부가 상기 외관부재(220)의 내면부에 밀착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외관부재(22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inner tube member 230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member 220 so that the inner tube member 230 can be stably rotated inside the outer tube member 220.

여기서, 상기 내관개공부(231)가 형성되며 상기 외관부재(220) 내부에서 회전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내관부재(230)는 삽입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ner irrigation unit 231 is formed and rotated inside the outer member 220, and the inner pipe member 230 may include an insertion pipe portion 232.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외관부재(220)에 삽입되며, 상기 외관부재(220)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외관부재(220)의 양단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삽입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pipe member 23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member 2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pipe member 220, And an insertion tube portion 232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삽입관부(232)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정봉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tube member 23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justing rod portion 2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이에 의해서 상기 삽입관부(232)가 상기 외관부재(22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to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outer tubular member 220.

다시 말해, 상기 내관부재(230)의 삽입관부(232)에 형성된 상기 내관개공부(231)가 상기 외관부재(220)의 수용관부(223)에 형성된 외관개공부(221)와 겹치게 위치하는 시키기거나, 또는 엇갈리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삽입관부(23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조정봉부(233)를 구비시킨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ner irrigation 231 formed in the insertion tube 232 of the inner tube 230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the outer opening 221 formed in the receiving tube 223 of the outer tube 220 The adjusting rod 233 is provided as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in order to position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in a staggered or staggered position.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조정봉부(233)를 잡고서 상기 삽입관부(232)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내관개공부(231)와 외관개공부(221)를 서로 겹치거나 엇갈리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The operator can grip the adjustment rod 233 and rotat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232 along the axis so that the inner irrigation 231 and the outer opening 221 are overlapped or staggered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내관부재(230)는, 상기 삽입관부(232)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w)에 밀착되는 선재지지봉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tube member 230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rod supporting bar portion 234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and closely contacting the wire rod w can do.

이러한 선재지지봉부(234)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내관부재(230)가 회전될 때 상기 선재(w)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파단되어 비산되는 선재(w)의 이탈되는 힘을 다단계로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By further including the wire rod supporting bar 234, the inner pipe member 230 can support the wire member w when the inner pipe member 230 is rotated, It also plays a role.

다시 말해, 상기 내관부재(230)가 회전시에 상기 선재지지봉부(234)가 상기 선재(w)에 밀착되어 제공됨으로써, 선재(w)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면서 상기 내관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ner tube member 230 rotates, the wire rod 234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rod w, thereby guiding the inner wire member 230 so as no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ire rod w,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선재지지봉부(234)는 상기 선재(w)에 밀착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선재(w)가 상기 선재지지봉부(234)의 방향으로 비산되는 경우에 1차적으로 비산되는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선행하여 상기 선재(w)의 이탈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wire rod supporting bar 234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rod w to reduce a primary scattering force when the wire rod w is scattered in the direction of the wire rod supporting bar 234 , The force of releasing the wire (w) can be reduced in advance.

이를 위해서, 상기 선재지지봉부(234)는 상기 삽입관부(2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으로 서포트봉(234a)과 선재받침탭(234b)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a plurality of the wire rod supporting barbs 234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232, and may include a support bar 234a and a wire rod receiving tab 234b.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시험장치의 상기 선재지지봉부(234)는, 상기 삽입관부(232)의 내측에 결합되는 서포트봉(234a) 및 상기 서포트봉(234a)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w)가 밀착되는 홈이 형성된 선재받침탭(234b)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 rod supporting bar portion 234 of the wire rod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od 234a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and a support rod 234a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234a And a wire rod receiving tab 234b having a groove in which the wire rod w is closely contacted.

여기서, 상기 서포트봉(234a)이 상기 삽입관부(2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선재받침탭(234b)이 상기 선재(w)에 밀착되며, 상기 선재(w)가 밀착되는 부분은 단면이 반원형인 홈으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rods 234a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232 and the wire rod support tab 234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rods w,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Bu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장치바디유닛 110: 고정척
120: 베이스부재 130: 회전부
200: 비산방지유닛 210: 지지부재
211: 하단지지부 212: 각형관부
213: 마그네틱부 220: 외관부재
221: 외관개공부 222: 각형바
223: 수용관부 230: 내관부재
231: 내관개공부 232: 삽입관부
233: 조정봉부 234: 선재지지봉부
100: Device body unit 110: Fixing chuck
120: base member 130:
200: scattering prevention unit 210: support member
211: lower support part 212: square tube part
213: magnetic part 220: outer member
221: Opening the exterior 222: Square bar
223: receiving tube 230: inner tube member
231: My irrigation study 232: Insertion tube
233: adjusting rod 234: wire rod supporting rod

Claims (11)

선재가 고정되는 고정척이 양측에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를 감싸게 제공되는 비산방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유닛은,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관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외관부재; 및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관개공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선재를 수용하며, 상기 외관부재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내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내관개공부를 상기 외관개공부와 겹치게 위치시켜 상기 선재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이탈시키도록, 외면부가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재의 내면부를 따라 회전하게 구비되는 선재시험장치.
A device body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a fixing chuck to which the wire rod is fixed; And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and provided to wrap the wire rod;
/ RTI >
The scattering-
A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An outer tubular member having both end portions opened and formed with outer tubular opening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And
An inner pipe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member and accommodates the wire rod in an inner part of the outer pipe member,
Lt; / RTI >
The inner tube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tubular member so that the inner tubular tubular member is overlapped with the outer tubular perfora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inner tubular tubular member or detach it to the outside, And the wire is rot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외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외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외관부재의 양단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삽입관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member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tube member and having both ends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outer tube member;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삽입관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정봉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 adjusting ro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tube;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는,
상기 삽입관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에 밀착되는 선재지지봉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wire rod support ro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and closely contacting the wire rod;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지지봉부는,
상기 삽입관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서포트봉; 및
상기 서포트봉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선재가 밀착되는 홈이 형성된 선재받침탭;
을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ire rod-
A support ro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portion; And
A wire rod support tab coupled to an end of the support rod and having a groove in which the wire rod is closely contacted;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척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단부가 개방된 관재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단지지부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외관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각형바가 상단부에 삽입되는 각형관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lower end supporting part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fixing chucks; And
A rectangular tube portion provid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a lower end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support portion, and a rectangular ba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tubular member,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상기 장치바디유닛의 베이스부재와의 탈착을 조정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magnet unit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unit for adjust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device body unit provided as a ferromagnetic body to / from the base member;
The wire rope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상기 고정척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척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선재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aratus body unit comprises:
A rotating uni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stationary chucks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stationary chucks;
The wire rope test device.
KR1020170096250A 2017-07-28 2017-07-28 Wire test apparatus KR101967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50A KR101967986B1 (en) 2017-07-28 2017-07-28 Wire tes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50A KR101967986B1 (en) 2017-07-28 2017-07-28 Wire tes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60A KR20190012760A (en) 2019-02-11
KR101967986B1 true KR101967986B1 (en) 2019-04-10

Family

ID=6537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50A KR101967986B1 (en) 2017-07-28 2017-07-28 Wire tes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96B1 (en) * 2019-05-31 2021-04-2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for torsion test of wire rod
CN110333149B (en) * 2019-07-31 2022-04-08 宇宙钢丝绳有限公司 Steel rope torsion measuring device
CN114112899A (en) * 2021-10-31 2022-03-01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On-line iron scale stripping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mall-size wire r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774A (en) * 1999-06-01 2000-12-15 Akashi Corp Sample support apparatus
JP2002221475A (en) * 2001-01-26 2002-08-09 Nishimatsu Constr Co Ltd Spattering preventing member
JP2007085737A (en) * 2005-09-20 2007-04-05 Shinshu Univ Testing machine for evaluat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nanofiber
JP2008196931A (en) * 2007-02-13 2008-08-28 Toyota Motor Corp Breaking test device
KR101671977B1 (en) 2014-12-22 2016-11-04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ensile strength of curved wide plate specim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955U (en) * 1988-11-22 1990-06-04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774A (en) * 1999-06-01 2000-12-15 Akashi Corp Sample support apparatus
JP2002221475A (en) * 2001-01-26 2002-08-09 Nishimatsu Constr Co Ltd Spattering preventing member
JP2007085737A (en) * 2005-09-20 2007-04-05 Shinshu Univ Testing machine for evaluat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nanofiber
JP2008196931A (en) * 2007-02-13 2008-08-28 Toyota Motor Corp Breaking test device
KR101671977B1 (en) 2014-12-22 2016-11-04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ensile strength of curved wide plate specim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형섭 외, 극저온에서 실용 초전도복합선재의 인장특성평가,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1995년 제2권제1호, 대한기계학회, 1995.1. pp752-75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60A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986B1 (en) Wire test apparatus
JP6076362B2 (en) Device for pulling a flexible piece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device with a flexible piece
US9194079B2 (en) Metal filament body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device
US8137372B2 (en) Tissue shredding device and tissue shredding method
KR102361166B1 (en) Breakage diagnosis device of steel reinforcement for electric pol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WO2010029409A1 (en) A surgical drill aimer
JP5466835B2 (en) Protective device for wire saw device
US20160256236A1 (en) Apparatus for aligning a dental drill
KR101730009B1 (en) apparatus of probe assembly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sleeve using the probe
CN107049403B (en) Knotter is used in operation
JP2016191226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attaching anchor
JP2009167630A (en) Anchor tensioning method and anchor tensioning implement
AU2019100320B4 (en) Wire strainers
US20200268426A1 (en) Medical fixation device for polymer cables
KR101800238B1 (en) Implant for fixing the bone
WO2010114651A1 (en) Grip-mounted specimen holder
DE10107156B4 (en) Device for therapeutic treatment in paranasal sinuses
JP6822449B2 (en) Cutting jig
KR102347335B1 (en) Jig apparatus for pipe welding of semiconductor an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device
KR102096441B1 (en) Welding auxiliary apparatus
JPS5925416Y2 (en) Gut tensioning device
KR102101231B1 (en) Tool for clamping connector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JP6400420B2 (en) Bone fixation forceps
JPH0860616A (en) Stretching method of cable
KR20220096598A (en) Wire clamp device for indirect liv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