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64B1 -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64B1
KR101967764B1 KR1020120081160A KR20120081160A KR101967764B1 KR 101967764 B1 KR101967764 B1 KR 101967764B1 KR 1020120081160 A KR1020120081160 A KR 1020120081160A KR 20120081160 A KR20120081160 A KR 20120081160A KR 101967764 B1 KR101967764 B1 KR 10196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ignal
case
voice coil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638A (ko
Inventor
황성필
고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전면 케이스(Front Case)와 후면 케이스(Back Case)를 포함하는 바디부(Body Portion), 상기 전면 케이스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Voice Coil Portion) 및 상기 바디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Speaker Device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장치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청취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는 고음 영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일반 스피커와 저음 영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스피커 장치에서는 일반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앰프(Amplifier)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를 함께 사용하면서도 앰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전면 케이스(Front Case)와 후면 케이스(Back Case)를 포함하는 바디부(Body Portion), 상기 전면 케이스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Voice Coil Portion) 및 상기 바디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부는 보이스 코일 보빈(Voice Coil Bobbin) 및 상기 보이스 코일 보빈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Voice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부와 상기 후면 케이스에 연결되는 댐퍼(Damper),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며 상기 진동판과 상기 전면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엣지(Edge), 상기 엣지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개스킷(Gasket) 및 상기 진동판에 배치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캡(Dust 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회로부는 마그네트(Magnet),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및 상기 마그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텀 플레이트(Bottom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자성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성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케이스에는 상기 전면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회로부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자기 회로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으로 상기 자기 회로부의 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기 함몰부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부와 상기 돌출부는 서로 중첩(Overlap)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홀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홀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홀은 상기 보이스 코일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피커 장치(Speaker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전면 케이스(Front Case)와 후면 케이스(Back Case)를 포함하는 바디부(Body Portion), 상기 전면 케이스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Voice Coil Portion) 및 상기 바디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단말기는 일반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를 함께 사용하면서도 앰프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스피커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10은 스피커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내지 도 32는 스피커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33은 또 다른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기의 일례로 방송신호 수신기(TV)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의 일례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단말기(100~105)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단말기(100~105)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LAN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Ethernet Port인 것이 가능하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펜 터치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Q)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오디오 출력부(185Q)는 스피커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단말기(100~105)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Q)는, 단말기(100~105)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은 스피커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스피커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185Q)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는 공통 앰프(Common Amplifier, 200),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First High Pass Filter, 220), 제 1 스피커(First Speaker, 230), 저주파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240),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 250), 제 2 스피커(Second Speaker,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앰프(200)는 입력되는 좌(Left, L), 우(Right, R)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First Signal)의 저주파수 대역을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즉,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First Signal)의 저주파수 대역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스피커(230)는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청취자가 청취가능 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24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의 고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저주파 통과 필터(24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의 고주파수 대역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우퍼 스피커(250)는 저주파 통과 필터(240)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청취자가 청취가능 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 2 스피커(21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2 신호(Second Signal)에 대응하여 음성을 청취자가 청취가능 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신호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우 오디오 신호(Right Audio Signal) 및 좌 오디오 신호(Left Audio Signal)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신호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도 2의 경우는 제 1 신호는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우 오디오 신호이고, 제 2 신호는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좌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스피커(230)는 우 오디오 신호(R)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고, 제 2 스피커(210)좌 오디오 신호(L)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제 1 신호는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고, 제 2 신호는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동일한 타입의 스피커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가 동일한 타입의 스피커라고 하는 것은 제 1 스피커(230)의 재생 음역대역이 제 2 스피커(210)의 재생 음역 대역과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고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트위터 스피커(Tweeter Speaker)일 수 있다.
또한, 우퍼 스피커(250)는 제 1, 2 스피커(230, 210)에 비해 저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우퍼 스피커(250)의 재생 음역대역은 제 1, 2 스피커(230, 210)의 재생 음역대역보다 더 낮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앰프(공통 앰프(200))를 이용하여 좌, 우 오디오 신호를 함께 증폭하고, 좌, 우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우퍼 스피커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하나의 앰프(공통 앰프(200)), 세 개의 스피커(제 1, 2 스피커(230, 210), 우퍼 스피커(250)), 두 개의 필터(하나의 고주파 통과 필터(220), 하나의 저주파 통과 필터(24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에는 스피커의 개수는 필터의 개수보다 더 많고, 필터의 개수는 앰프의 개수보다 더 많은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에서는 제 1 스피커(230) 및 우퍼 스피커(25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고, 제 2 스피커(21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제 2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타입의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에 인가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좁을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대략 50Hz~20KHz이고,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대략 100Hz~20KHz로서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스피커(23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하여 출력한 신호 중 제 1 신호에 대응하여 고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하고, 우퍼 스피커(25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하여 출력한 신호 중 제 1 신호에 대응하여 저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스피커(210)는 공통 앰프(200)가 증폭하여 출력한 신호 중 제 1 신호와 다른 제 2 신호에 대응하여 고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신호가 우 오디오 신호이고, 제 2 신호가 좌 오디오 신호라고 가정하면,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서는 고음 영역 및 저음 영역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으나,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서는,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저음 영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다른 우퍼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저음 영역의 음성 출력이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저음 영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다른 우퍼 스피커의 생략에 따른 저음 영역의 출력 제한을 보상하기 위해, 도 3의 경우와 같이,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 2 스피커(210)는 제 1 스피커(230)에 비해 저음 영역의 음성 출력이 증대되어 좌, 우 음성 균형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우퍼 스피커(25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각각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AHz에서 BHz라고 가정하면,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AHz보다 큰 CHz에서 BHz이고, 우퍼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AHz에서 CHz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피커(210)는 AHz~BHz의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가 공급되더라도 AHz보다 높은 DHz~BHz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우퍼 스피커(25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중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는 도 4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퍼 스피커(25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우퍼 스피커(25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일부 중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과는 다르게 앰프를 복수개 사용하는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일례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좌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400), 우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410), 제 1, 2 고주파 통과 필터(40, 41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앰프(AMP1, 430), 제 1 앰프(430)가 출력한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450), 제 1 앰프(430)가 출력한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스피커(460), 좌, 우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420), 저주파 통과 필터(420)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앰프(AMP2, 440) 및 제 2 앰프(440)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서는 두 개의 앰프, 즉 제 1 앰프(430)와 제 2 앰프(440)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아울러 구조가 복잡해지며 그에 따라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2의 경우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나의 앰프(공통 앰프(200))를 이용하여 좌, 우 오디오 신호를 함께 증폭하기 때문에 앰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단가를 저감시키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의 경우에는 고주파 통과 필터의 개수가 도 5의 경우에 비해 더 적을 수 있다.
아울러, 도 5와 같은 구조에서는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400)와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410)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타입의 제 1 스피커(450)와 제 2 스피커(46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도 6의 경우와 같이,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도 7에는 또 다른 비교예 따른 스피커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좌, 우 오디오 신호를 함께 증폭하는 공통 앰프(600), 공통 앰프(600)가 증폭한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610), 공통 앰프(600)가 증폭한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스피커(610) 및 우퍼 스피커(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스피커(610)와 우퍼 스피커(650)의 부조화로 인해 음성의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와 같은 구조의 스피커 장치(185Q)에서는 제 1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230)와 우퍼 스피커(250)는 고주파 통과 필터(220) 또는 저주파 통과 필터(240)를 통해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때문에 조화로운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스피커(230)와 우퍼 스피커(250)가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는 입력되는 좌(Left, L), 우(Right, R)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공통 앰프(200),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좌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520),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520)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230),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좌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540), 저주파 통과 필터(540)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550), 공통 앰프(200)가 증폭한 신호 중 우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스피커(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의 경우를 앞선 도 2의 경우와 비교하면, 우퍼 스피커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가 다르다.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공통 앰프(200)와 제 2 스피커(210)의 사이에 또 다른 고주파 통과 필터, 즉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Second High Pass Filter, HPF2, 8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스피커(210)는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가 출력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스피커(210)가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가 출력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좌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저음 대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가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과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가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는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는 제 1 커패시터(First Capacitor, C1)와 제 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의 입력단자는 공통 앰프(200)와 연결되어 있고, 제 1 저항(R1)의 출력이 제 1 스피커(230)의 출력일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는 제 2 커패시터(Second Capacitor, C2)와 제 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의 입력단자는 공통 앰프(200)와 연결되어 있고, 제 2 저항(R2)의 출력이 제 2 스피커(210)의 출력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의 제 2 커패시터(C2)의 용량(제 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은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의 제 1 커패시터(C1)의 용량(제 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의 주파수 통과 대역의 최저 주파수가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고주파 통과 필터(800)의 주파수 통과 대역은 제 1 고주파 통과 필터(220)의 주파수 통과 대역에 비해 더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스피커(21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 1 스피커(23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넓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스피커 장치는 방송신호 수신기와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80Q),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1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80Q)과 후면커버(1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피커 장치(Speaker Device, 185Q)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80Q)은 앞선 도 1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면커버(Front Cover, 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장치(185Q)는 입력되는 좌, 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공통 앰프, 공통 앰프가 증폭한 신호 중 제 1 신호의 저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고주파 통과 필터, 고주파 통과 필터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230), 제 1 신호의 고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 저주파 통과 필터가 출력한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250) 및 공통 앰프가 증폭한 신호 중 제 2 신호에 대응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스피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스피커 장치(185Q)에 대해서는 앞선 도 2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더 이상의 상세히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 11에서 공통 앰프, 저주파 통과 필터, 고주파 통과 필터에 대한 개시는 생략한다.
여기서, 우퍼 스피커(250)는, 음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공간적으로,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양쪽 끝단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양쪽 끝단에서 전면커버(1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전방을 향해 음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3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하단 모서리(Corner)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양쪽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전방을 향해 음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측면방향으로 음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피커(230)와 제 2 스피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측면 방향으로 음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5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1120)에는 제 1, 2 스피커(230, 21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 방출용 홀(120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앞선 도 12 내지 도 13의 경우에서도 전면커버(1120)에 제 1, 2 스피커(230, 21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 방출용 홀(12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도 15의 경우에는 음 방출용 홀(1200)이 전면커버(112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80Q)에 수직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도 12 내지 도 13의 경우에는 음 방출용 홀(1200)이 전면커버(112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80Q)에 수평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우퍼 스피커(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후방을 향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우퍼 스피커(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80Q)과 후면커버(1110)의 사이에서 전면커버(1120)에 배치되어 후면커버(1110)를 향해 음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110)에는 우퍼 스피커(250)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1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185Q)는 하나의 바디(Body)로 이루어지는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피커(230), 제 2 스피커(210) 및 우퍼 스피커(250)가 각각 서로 다른 바디(1700, 1710, 1720)를 이루는 경우에는, 청취자(1400)는 제 1 스피커(230), 제 2 스피커(210) 및 우퍼 스피커(250)가 출력하는 좌, 우 음성이 여러 방향으로 들려오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좌, 우 음성 중 어느 하나는 우퍼 스피커 및 트위터 스피커 등의 고음 재생 스피커(제 1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음 재생 스피커(제 2 스피커(210))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청취자는 좌, 우 음성의 불균형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청취자는 음성의 품질이 나쁘다고 느낄 수 있다.
반면에,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단말기에 스피커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좌, 우 음성 중 어느 하나만이 우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더라도, 좌, 우 음성의 출력 방향이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방에서 음성을 청취하는 청취자(1400)는 좌, 우 음성의 불균형을 감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장치(185Q)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저감시키면서도 음성의 품질의 과도한 악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8 내지 도 32는 스피커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피커 장치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 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전면 케이스(Front Case, 1802)와 후면 케이스(Back Case, 1801)를 포함하는 바디부(Body Portion, 1800), 전면 케이스(1802)에 배치되는 진동판(1830), 전면 케이스(1802)와 후면 케이스(1801)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Voice Coil Portion, 1810) 및 바디부(1800)의 외곽에 배치되는 자기회로부(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부(1810)에 소정의 신호(오디오 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부(1810)는 이에 대응하여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보이스 코일부(1810)에 형성된 자기력과 자기회로부(1820)의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으로 보이스 코일부(1810)가 구동함으로써 진동판(1830)에서 음성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피커 장치는 소정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보이스 코일부(1810)와 후면 케이스(1801)에 연결되는 댐퍼(Damper, 1840), 진동판(1830)을 지지하며 진동판(1830)과 전면 케이스(180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엣지(Edge, 1850), 엣지(1850)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개스킷(Gasket, 1860) 및 진동판(1830)에 배치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캡(Dust Cap, 1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자기회로부(1820)는 마그네트(Magnet, 1821), 마그네트(1821)와 후면 케이스(1801)의 사이에 위치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1823) 및 마그네트(1821)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텀 플레이트(Bottom Plate, 18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네트(1821)가 탑 플레이트(1823)와 바텀 플레이트(182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탑 플레이트(1823)와 바텀 플레이트(182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탑 플레이트(1823)와 바텀 플레이트(1822)의 자성은 마그네트(1821)의 자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823)와 바텀 플레이트(1822)는 마그네트(1821)가 발산하는 자속의 방향을 보이스 코일부(1810)의 구동에 유리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기회로부(1820)를 스피커 장치의 바디부(1800)의 외곽에 배치하게 되면 바디부(180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스피커 장치에서 발산하는 음성의 음압(Sound Pressure)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는 다르게 자기회로부를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일례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를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서 바디부(1900)는 전면 케이스(1902)와 후면 케이스(1901)를 포함하고, 탑 플레이트(1923), 마그네트(1921) 및 바텀 플레이트(1922)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부(1920)는 전면 케이스(1902)와 후면 케이스(190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번호 1940은 댐퍼이고, 번호 1910은 보이스 코일부이고, 번호 1930은 진동판이고, 번호 1950은 엣지이고, 번호 1960은 개스킷이고, 번호 1970은 더스트 캡이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스피키 장치의 경우, 자기회로부(1920)의 크기는 바디부(1900)의 크기, 자세하게는 후면 케이스(1901)의 크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 내지 도 21의 경우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서는 후면 케이스(1901)에 자기회로부(19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케이스(1901)의 측벽(Side Wall)의 두께가 D2+D3이고, 후면 케이스(190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 즉 후면 케이스(1901)의 내부에서 벽들 사이의 간격이 D1이라고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자기회로부(1920)의 폭(S1)은 후면 케이스(190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D1)보다 작을 수 있다.
반면에, 도 22 내지 도 23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서는 자기회로부(1820)는 바디부(18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회로부(1820)는 후면 케이스(180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기회로부(1820)의 크기는 바디부(1800)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자기회로부(1820)의 폭 방향을 제 1 방향(Fisrt Direction)이라고 가정하면, 제 1 방향으로 자기회로부(1820)의 폭(S2)은 후면 케이스(180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D1)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자기회로부(1820)의 폭(S2)은 D1+D2+D3와 대략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자기회로부(1820)는 후면 케이스(1801)의 측벽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서는 자기회로부(1820)를 바디부(1800)의 외곽에 배치함으로써 정해진 공간 내에서 자기회로부(1820)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면, 자기회로부(1820)가 생성하는 자기력의 세기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음향의 음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에는, 자기회로부(1820)를 바디부(1800)의 외곽에 배치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앞선 도 19의 경우와 같이 자기회로부(1920)를 바디부(1900)의 내부에 배치한 비교예의 음압(Sound Pressure) 특성에 대한 데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발생시키는 음향의 음압이 비교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가 발생시키는 음향의 음압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보이스 코일부(1810)는 보이스 코일 보빈(Voice Coil Bobbin, 1811) 및 보이스 코일 보빈(1811)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Voice Coil, 18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 보빈(1811)은 속이 비어 있는 통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보이스 코일 보빈(1811)의 단면은 가로 방향으로 폭(W1)이 세로 방향으로 폭(W2)보다 더 큰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을 살펴보면, 후면 케이스(1810)에는 전면 케이스(1892)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80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자기회로부(1820)는 함몰부(1805)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 케이스(1810)의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바디부(1800)의 전체 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후면 케이스(1801)의 함몰부(1805)에는 홀(Hole, 1804)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회로부(1802)는 홀(1804)을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기회로부(1820)의 폭 방향을 제 1 방향, 자기회로부(1820)의 길이방향을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자기회로부(1820)의 두께방향을 제 3 방향(Third Direction)이라 가정할 때, 제 2 방향으로 자기회로부(1820)의 길이(H4)는 함몰부(1805)의 길이(H2)보다 작고, 제 3 방향으로 자기회로부(1820)의 두께(H3)는 함몰부(1805)의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7의 경우와 같이, 자기회로부(1820)가 함몰부(1805)에 안착되면, 함몰부(1805)의 높이(H1)가 자기회로부(1820)의 높이(H3)보다 더 높기 때문에, 후면 케이스(1801)가 자기회로부(1820)보다 소정 높이(H5) 만큼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피커 장치의 바디부(1800)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자기회로부(1820)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자기회로부(1820)의 폭(S2)은 제 2 방향으로 자기회로부(1820)의 길이(H4)보다 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8을 살펴보면, 보이스 코일부(1810)는 후면 케이스(1801)에 형성된 홀(1804)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댐퍼(1840)는 보이스 코일부(1810)와 후면 케이스(1801)에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부(18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840)는 중앙에 홀(1841)이 형성된 고리(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댐퍼(1840)의 가장자리 영역은 후면 케이스(1801)의 홀(1804)의 주변 영역에 연결되고, 댐퍼(1840)의 홀(1841)의 주변 영역은 보이스 코일부(181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댐퍼(1840)의 홀(1841)의 주변 영역은 보이스 코일부(1810)의 보이스 코일 보빈(1811)에서 보이스 코일(1812)이 권선되지 않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840)는 댐퍼(1840)에 연결된 보이스 코일부(1810)가 구동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1840)가 보이스 코일부(1810)와 후면 케이스(180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29의 경우와 같이, 보이스 코일부(1810)가 후면 케이스(1801)의 홀(1804)을 관통하여 후면 케이스(1801)로부터 소정 높이(W1)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자기회로부(1820)의 바텀 플레이트(1822)는 보이스 코일부(181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8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1821)에는 홀(1825)이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1823)에도 홀(182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1의 경우와 같이, 바텀 플레이트(1822)의 돌출부(1824)는 마그네트(1821)의 홀(1825)과 탑 플레이트(1823)의 홀(1826)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1823), 마그네트(1821) 및 바텀 플레이트(182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텀 플레이트(1822)의 돌출부(1824)는 보이스 코일 보빈(1811)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보이스 코일부(1810)가 후면 케이스(1801)의 홀(1804)를 관통하여 탑 플레이트(1823)의 홀(1826)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2의 경우와 같이, 보이스 코일부(1810)와 바텀 플레이트(1822)의 돌출부(1824)는 서로 중첩(Overlap)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텀 플레이트(1822)의 돌출부(1824)는 보이스 코일 보빈(1811)에서 보이스 코일(1812)이 권선된 부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바텀 플레이트(1822)의 돌출부(1824)는 보이스 코일(1812)과 중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구동 시 자기회로부(1820)와 보이스 코일부(1810)의 상호작용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다.
도 33은 또 다른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앞선 도 1 내지 도 32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은 이하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3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80Q), 디스플레이 패널(180Q)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1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80Q)과 후면커버(1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피커 장치(3300, 3310)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피커 장치(3300, 3310)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바디부, 전면 케이스에 배치되는 진동판,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곽에 배치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18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스피커 장치(3300, 3310)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자기회로부의 크기를 증대시켜 음향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3에서와 같이 스피커 장치(3300, 3310)가 디스플레이 패널(180Q)과 후면커버(1110) 사이, 예컨대 전면커버(1120)와 후면커버(1110)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더라도 스피커 장치(3300, 3310)가 발생시키는 음향의 음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면 케이스(Front Case)와 후면 케이스(Back Case)를 포함하는 바디부(Body Portion);
    상기 전면 케이스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부(Voice Coil Portion); 및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일부가 노출되는 자기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마그네트(Magnet);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후면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및
    상기 마그네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텀 플레이트(Bottom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전면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회로부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하는 스피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기 함몰부에는 홀(Hole)이 형성되는 스피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부와 상기 돌출부는 서로 중첩(Overlap)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탑 플레이트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홀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홀을 관통하는 스피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5. 삭제
KR1020120081160A 2012-07-25 2012-07-25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196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60A KR101967764B1 (ko) 2012-07-25 2012-07-25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60A KR101967764B1 (ko) 2012-07-25 2012-07-25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38A KR20140014638A (ko) 2014-02-06
KR101967764B1 true KR101967764B1 (ko) 2019-04-10

Family

ID=5026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160A KR101967764B1 (ko) 2012-07-25 2012-07-25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99B1 (ko) 2015-04-02 2016-12-07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스피커유니트가 장착된 슬림화된 박스
KR102589400B1 (ko) 2016-11-10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 스피커 홀을 구비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89A (ja) * 2000-12-22 2002-07-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
US20110311093A1 (en) * 2010-06-21 2011-12-22 Jing He Micro-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470A (ko) * 2007-03-20 2008-09-24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489A (ja) * 2000-12-22 2002-07-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
US20110311093A1 (en) * 2010-06-21 2011-12-22 Jing He Micro-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38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548B2 (en) Loudspeaker having a passive radiator
JP6652599B2 (ja) マルチチャネルのオーディオ出力が可能なオーディオ出力装置及びそれを適用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8189809B2 (en) Audio device for improved sound reproduction
US20100246873A1 (en) Speaker set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9872108B2 (en) Loudspeaker device and audio outpu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60366260A1 (en)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Receiver Mode
US9241055B1 (en) Two-way passive acoustic concentrator for a mobile phone
CN104581539A (zh) 移动终端音频播放的控制方法及其移动终端
US8045747B2 (en) Bi-directional loudspeaker
KR101967764B1 (ko)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1956154B1 (ko)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US20090303387A1 (en) Digital tv having two channel stereo
US9942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udio output of a device
CN106657621B (zh) 一种声音信号自适应调节装置及方法
CN209882073U (zh) 一种免安装无线数字影院音响
JP2014175670A (ja) 情報端末装置及び音響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330371B2 (en) Audio control based on room correction an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JP2014075722A (ja) 携帯端末装置
CN107371108A (zh) 一种多声道扬声器系统及设备
US8374357B2 (en) Audio output device
CN211791927U (zh) 一种可提升智能电视机音质的外接长条音响
US9282397B2 (en) Acoustic signal corrector and acoustic signal correcting method
JP5473090B2 (ja) 電子機器及び処理切替プログラム
CN211047195U (zh) 一种音效切换电路、设备及系统
WO2021088806A1 (zh) 音频输出模块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