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373B1 -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373B1
KR101967373B1 KR1020170144779A KR20170144779A KR101967373B1 KR 101967373 B1 KR101967373 B1 KR 101967373B1 KR 1020170144779 A KR1020170144779 A KR 1020170144779A KR 20170144779 A KR20170144779 A KR 20170144779A KR 101967373 B1 KR101967373 B1 KR 101967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pump
fluid
pump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률
이원근
문기선
조수진
김승욱
Original Assignee
(주)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이 filed Critical (주)티이
Priority to KR102017014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를 온시킨 이후 히트펌프를 온시키기 이전의 소정의 시점부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을 시작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운전시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시점부터 히트 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운전시는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시점부터 히트 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Method for calculation of heating value and efficiency of heat pump system using geothermal heat energy}
본 발명은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 열량과 효율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 펌프는 대기중에서 열을 얻거나 배출하는 공기열원방식, 냉각탑을 통해 열을 배출하는 수열원방식, 지중에서 열을 얻거나 지중으로 열을 배출하는 지열원 방식 등이 있다.
지중의 온도는 일정 깊이 이상의 경우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지열원 방식의 경우, 공기열원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여름철 냉방의 경우, 공기열원 방식은 대기중의 온도가 30℃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냉방열을 배출하기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되나, 지열원 방식은 지중의 온도가 10 내지 20℃로서 대기 중의 온도보다 매우 낮기 때문에 냉방열을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여 효율이 높다. 겨울철 난방의 경우, 공기열원 방식은 대기중의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난방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기 어려운 반면, 지열원 방식은 지중의 온도가 10 내지 20℃로서 대기 중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난방열을 히트펌프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의 경우, 지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냉,난방시 사용되는 지열 에너지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0496895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열량과 효율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 및 효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지중 열교환기로부터 열원을 제공받고 열수요처로 열원을 제공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열수요처를 순환하는 제1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온시킨 후, 제1설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히트펌프를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상기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보다 미리 설정된 제1설정온도 이상 차이가 나면,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는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 및 상기 제1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적산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는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 및 상기 제1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적산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히트펌프를 오프시키면, 상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의 적산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펌프를 온시킨 이후 히트펌프를 온시키기 이전의 소정의 시점부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을 시작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운전시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시점부터 히트 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운전시는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시점부터 히트 펌프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여 적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트펌프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에 따라 제1유체 중 일부를 히트펌프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제1유체의 유입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제1유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생산 열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제1유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생산 열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중 열교환기(10)로부터 열원을 제공받고 열수요처(40)로 열원을 제공하는 히트펌프(20)와, 상기 히트펌프(20)와 상기 열수요처(40)를 순환하는 제1유체를 펌핑하는 펌프(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중 열교환기(10)는,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기다. 상기 지중 열교환기(10)와 상기 히트펌프(20)는 제2유체가 순환하는 제2유로(11)로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유체는 브라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유로(11)에는 상기 브라인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유량계(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20)는, 상기 지중 열교환기(10)로부터 열원을 제공받고 상기 열수요처(40)로 열원을 제공한다.
상기 히트펌프(20)는, 압축기(미도시), 실내 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및 팽창장치(미도시)로 구성되어, 제3유체가 상기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차례로 순환한다. 상기 제3유체는 상기 제1유체와 다른 냉매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20)의 일측과 상기 지중 열교환기(10)는 상기 제2유로(11)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20)의 일측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에 해당한다.
상기 히트펌프(20)의 타측과 상기 열수요처(40)는 상기 제1유로(21)(22)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20)의 타측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에 해당한다.
상기 제1유로(21)(22)는, 상기 열수요처(40)로부터 나온 상기 제1유체를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유로(21)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열교환된 제1유체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2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유로(21)에는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유량계(23)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유로(21)에는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입 온도센서(51)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유로(22)에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를 펌핑하는 상기 펌프(3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유로(22)에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토출 온도센서(5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히트펌프(20)의 냉방 운전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냉방 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펌프(30)를 온시킨다.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1설정시간(ΔT1)이 지나면, 상기 히트펌프(20)를 온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30)와 상기 히트펌프(20)를 동시에 온시키지 않는다.
상기 히트펌프(20)의 냉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는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유입유로(21)를 통해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된 제1유체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토출유로(22)를 통해 상기 열수요처(40)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요처(4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11)를 통해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된 브라인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후, 상기 지중 열교환기(10)로 토출된다.
상기 지중 열교환기(10)에서는 상기 브라인이 지중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냉방 운전모드의 중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2설정시간(ΔT2)이 지나면, 상기 펌프(20)를 오프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20)와 상기 펌프(30)를 동시에 오프시키지 않는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 후에도 상기 유입유로(21)나 상기 토출유로(22)상에 제1유체가 남아있기 때문에, 잔류된 제1유체를 모두 빼내기 위해서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펌프(30)를 더 작동시켜야 한다. 상기 유입유로(21)나 상기 토출유로(22)상에 상기 제1유체가 남게 되면, 추후 상기 제1유체가 얼게 되어 유로나 상기 히트펌프(2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제1유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30)가 온되는 제1시점(T1)과 상기 히트펌프(20)가 온되는 제2시점(T2)은 상기 제1설정시간(ΔT1)만큼 시간차가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은 2분 내지 3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펌프(30)만이 온된 이후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는 거의 일정하나,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t0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히트펌프(20)가 온되는 제2시점(T2)부터 오프되는 제3시점(T3)까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소정의 온도까지 감소한 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되는 제3시점(T3)과 상기 펌프(30)가 오프되는 제4시점(T4)은 상기 제2설정시간(ΔT2)만큼 시간차가 있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은 2분 내지 3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설정시간은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와 비슷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는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생산 열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30)만이 온된 이후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Q)은 서서히 증가하나 0보다 낮은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은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생산 열량(Q)은 마이너스 값이다.
도 3에서 Q0은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시점의 열량을 나타내고, Q1은 상기 히트펌프(20)를 온시킨 시점의 열량을 나타낸다.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이 경과하여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면,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상기 제1유체가 열교환되어 냉각되므로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생산 열량(Q)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Q)은 점차 감소하다가 일정값을 유지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은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지 않으나 상기 펌프(30)는 구동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생산 열량(Q)은 점차 감소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이 경과하여 상기 펌프(30)까지 오프되면, 상기 생산 열량(Q)은 0이 된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20)의 냉방 운전시,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냉방 운전시, 상기 생산 열량(Qreal)의 측정시간(ΔTreal)은, 제5시점(T5)부터 상기 제3시점(T3)까지로 설정된다.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상기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t0)보다 미리 설정된 제1설정온도(Δt1) 이상 차이가 나는 시점이다.
여기서,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상기 토출온도센서(52)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이다. 상기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t0)는,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이후 상기 토출온도센서(52)에서 최초로 측정된 초기 토출온도이다.
냉방운전시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생산 열량이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온시키기 이전에도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서서히 감소하며, 상기 생산열량도 소량이지만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시점인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생산 열량의 계산과 적산을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생산 열량을 측정하여 적산하고,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키는 상기 제3시점(T3)에 상기 생산 열량의 적산을 중지한다.
상기 측정시간(ΔTreal)동안 상기 생산 열량(Qreal)을 구하는 식은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에서 m은 상기 제1유량계(23)에서 측정한 유량이고, Δt는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와 토출온도(tout)의 차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108529108-pat00001
상기 생산열량(Qreal)을 계산하면, 상기 지중 열교환기(10)의 생산 열량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30)의 작동시간과 상관없이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제3시점(T3)까지의 측정시간(ΔTreal)동안 상기 생산 열량(Qreal)을 측정하여 적산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이나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을 모두 고려하기에는 실제 열교환에 따른 생산 열량에 영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를 고려하여 일부 구간의 생산 열량만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η)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제1시점(T1)부터 상기 펌프(30)를 오프시키는 제4시점(T4)까지 소모된 동력(P)을 계산한다. 상기 동력(P)은, 상기 펌프(30)와 상기 히트펌프(20)를 구동하는데 소모된 동력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계산된 생산 열량(Qreal)을 상기 동력(P)으로 나누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η)을 알 수 있다.
수학식 2는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η)을 나타낸 식이다.
Figure 112017108529108-pat00002
한편, 상기 히트펌프(30)의 난방 운전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난방 운전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펌프(30)를 온시킨다.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1설정시간(ΔT1)이 지나면, 상기 히트펌프(20)를 온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30)와 상기 히트펌프(20)를 동시에 온시키지 않는다.
상기 히트펌프(20)의 난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는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유입유로(21)를 통해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된 제1유체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후, 상기 토출유로(22)를 통해 상기 열수요처(40)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요처(40)에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11)를 통해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된 브라인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상기 지중 열교환기(10)로 토출된다.
상기 지중 열교환기(10)에서는 상기 브라인이 지중으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난방 운전모드의 중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2설정시간(ΔT2)이 지나면, 상기 펌프(20)를 오프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20)와 상기 펌프(30)를 동시에 오프시키지 않는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킨 후에도 상기 유입유로(21)나 상기 토출유로(22)상에 제1유체가 남아있기 때문에, 잔류된 제1유체를 모두 빼내기 위해서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펌프(30)를 더 작동시켜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제1유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30)가 온되는 제1시점(T1)과 상기 히트펌프(20)가 온되는 제2시점(T2)은 상기 제1설정시간(ΔT1)만큼 시간차가 있다.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은 2분 내지 3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펌프(30)만이 온된 이후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는 거의 일정하나,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히트펌프(20)가 온되는 제2시점(T2)부터 오프되는 제3시점(T3)까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소정의 온도까지 증가한 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되는 제3시점(T3)과 상기 펌프(30)가 오프되는 제4시점(T4)은 상기 제2설정시간(ΔT2)만큼 시간차가 있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은 2분 내지 3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2설정시간은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점차 감소하다가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와 비슷해지고,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tin)는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운전시 시간에 따른 생산 열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30)만이 온된 이후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Q)은 서서히 증가하나 0보다 낮은 값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설정시간(ΔT1) 동안은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생산 열량(Q)은 마이너스 값이다.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이 경과하여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면, 상기 히트펌프(20)에서 상기 제1유체가 열교환되어 가열되므로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생산 열량(Q)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20)가 오프된 이후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Q)은 점차 감소하다가 일정값을 유지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 동안은 상기 히트펌프(20)가 구동되지 않으나 상기 펌프(30)는 구동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생산 열량(Q)은 점차 감소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이 경과하여 상기 펌프(30)까지 오프되면, 상기 생산 열량(Q)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히트펌프(20)의 난방 운전시, 상기 히트펌프(20)의 생산 열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난방 운전시에도 냉방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생산 열량(Qreal)의 측정시간(ΔTreal)은,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제3시점(T3)까지로 설정된다.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상기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t0)보다 미리 설정된 제1설정온도(Δt1) 이상 차이가 나는 시점이고, 상기 제3시점(T3)은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키는 시점이다.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히트펌프(20)에서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제5시점(T5)은, 상기 생산 열량이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상기 히트펌프(20)를 온시키기 이전에도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는 점차 높아지며, 상기 생산열량도 소량이지만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시점인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생산 열량의 계산과 적산을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생산 열량을 측정하여 적산하기 시작하고, 상기 히트펌프(20)를 오프시키면 상기 생산 열량의 적산을 중지한다. 상기 생산 열량의 측정은, 상기 펌프(30)의 작동시간과는 무관하다.
상기 측정시간(ΔTreal)동안 상기 생산 열량(Qreal)을 구하는 식은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에서 난방운전시 Δt는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에서 유입온도(tin)를 뺀 값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시점(T5)부터 상기 제3시점(T3)까지의 측정시간(ΔTreal)동안 상기 생산 열량(Qreal)을 측정하여 적산하기 때문에, 상기 펌프(30)의 작동시간을 모두 고려하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한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시간(ΔTreal)이외에 상기 제1설정시간(ΔT1)이나 상기 제2설정시간(ΔT2)을 모두 고려하기에는 열교환에 따른 생산 열량에 영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일부 구간을 무시하고,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tout)를 고려하여 일부 구간만의 생산 열량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운전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η)을 구하는 방법은 냉방 운전시와 동일하다.
즉, 상기 펌프(30)를 온시킨 제1시점(T1)부터 상기 펌프(30)를 오프시키는 제4시점(T4)까지 소모된 동력(P)을 계산한다. 상기 동력(P)은, 상기 펌프(30)와 상기 히트펌프(20)를 구동하는데 소모된 동력을 포함한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계산된 생산 열량(Qreal)을 상기 동력(P)으로 나누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η)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히트펌프(20)의 토출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유로(60)와, 삼방밸브(61)를 더 포함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60)는, 상기 유입유로(21)에서 분기되어 상기 토출유로(22)로 연결된다.
상기 삼방밸브(61)는, 상기 유입유로(21)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60)가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냉방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유입온도를 미리 설정된 최저설정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삼방밸브(61)가 상기 바이패스유로(6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바이패스유로(60)로 유입시킨다.
상기 바이패스유로(60)로 유입된 제1유체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냉각되지 않으므로, 상기 토출유로(22)상의 제1유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토출유로(22)의 제1유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상기 토출유로(22)를 통해 상기 열수요처(40)로 공급되었다가 다시 상기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패스유로(60)를 다시 차폐시킨다.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트펌프(20)의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히트펌프(20)의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 후,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 열량과 효율을 구할 수 있다.
한편, 난방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유입온도를 미리 설정된 최고설정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삼방밸브(61)가 상기 바이패스유로(6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바이패스유로(60)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60)로 유입된 제1유체는 상기 히트펌프(20)에서 가열되지 않으므로, 상기 토출유로(22)상의 제1유체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토출유로(22)의 제1유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토출유로(22)를 통해 상기 열수요처(40)로 공급되었다가 다시 상기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패스유로(60)를 다시 차폐시킨다.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 이하로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트펌프(20)의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히트펌프(20)의 실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펌프(20)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의 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 미만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 후,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 열량과 효율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생산 열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생산 열량을 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중 열교환기 20: 히트펌프
30: 펌프 40: 열수요처
60: 바이패스유로 61: 삼방밸브

Claims (8)

  1. 지중 열교환기로부터 열원을 제공받고 열수요처로 열원을 제공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열수요처를 순환하는 제1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히트펌프의 토출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삼방밸브와, 상기 히트펌프, 상기 펌프 및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온시킨 이후 상기 히트펌프를 온시키기 이전에 상기 히트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제1유체의 토출온도가 상기 제1유체의 초기 토출온도보다 미리 설정된 제1설정온도 이상 차이가 나면,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는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 상기 제1유체의 토출온도 및 상기 제1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적산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펌프를 온시킨 후, 제1설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히트펌프를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트펌프를 오프시키면, 상기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의 적산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히트펌프를 오프시킨 후 제2설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펌프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펌프를 온시킨 시점부터 상기 펌프를 오프시키기 이전까지 상기 펌프와 상기 히트펌프를 작동시키는 데 소모된 동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히트펌프의 생산 열량과 상기 계산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은, 냉방 운전시 상기 펌프를 온시킨 시점부터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저설정온도 이상이 되는 시점까지 시간으로 설정되고,
    냉방 운전시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히트펌프의 토출측으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유체가 바이패스되는 동안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상기 최저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차폐하여 상기 제1유체를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시키고,
    난방 운전시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고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되기 이전의 제1유체 중 일부를 상기 히트펌프의 토출측으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유체가 바이패스되는 동안 상기 제1유체의 유입온도가 상기 최고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차폐하여 상기 제1유체를 상기 히트펌프로 유입시키는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 및 효율을 계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44779A 2017-11-01 2017-11-01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KR10196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79A KR101967373B1 (ko) 2017-11-01 2017-11-01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79A KR101967373B1 (ko) 2017-11-01 2017-11-01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373B1 true KR101967373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79A KR101967373B1 (ko) 2017-11-01 2017-11-01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95B1 (ko) 2004-12-01 2005-06-23 주식회사 삼영 지열을 이용한 히트 펌프식 냉난방 장치
KR101171763B1 (ko) * 2012-05-15 2012-08-07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복합열원방식의 가스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1455189B1 (ko) * 2013-02-28 2014-10-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Ict 기반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성능 진단 방법
KR20170036487A (ko) * 2015-09-24 2017-04-03 한국전력공사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95B1 (ko) 2004-12-01 2005-06-23 주식회사 삼영 지열을 이용한 히트 펌프식 냉난방 장치
KR101171763B1 (ko) * 2012-05-15 2012-08-07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복합열원방식의 가스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1455189B1 (ko) * 2013-02-28 2014-10-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Ict 기반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성능 진단 방법
KR20170036487A (ko) * 2015-09-24 2017-04-03 한국전력공사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5129B2 (en) Geothermal heat utilization system and geothermal heat utilization method
KR101662468B1 (ko) 열원시스템 및 냉각수 공급장치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4704303B (zh) 热泵装置
KR101727561B1 (ko) 에너지 절약형 산업용 공조기 및 그 운전방법
JP5779070B2 (ja) 太陽エネルギ利用システム
CN104704302A (zh) 热泵装置
CN104246395A (zh) 制冷循环装置
JP2012127573A (ja) 熱源システム
CN106989545A (zh) 冷媒冷却装置及空调器
CN105805825A (zh)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KR101926642B1 (ko)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KR101984242B1 (ko) 지열을 이용하는 브라인-냉매 방식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량 계산 방법
KR101967373B1 (ko)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KR101967374B1 (ko) 지열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생산 열량과 효율의 계산 방법
KR1016939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난방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3130494A (ja) 地中熱交換器を利用し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空気調和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1647285B1 (ko) 단일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축냉 및 방냉 또는 축열 및 방열을 순차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수축열 냉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3615774B (zh) 用于泵系统的辅助装置及用于该辅助装置的控制方法、以及泵系统
KR101456878B1 (ko) 히트펌프 성능평가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84241B1 (ko) 지열을 이용하는 브라인-냉매 방식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량 계산 방법
KR20140103474A (ko) 전기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제어방법
KR101402837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EP3594588B1 (en) Geothermal heat pump device
KR101162746B1 (ko) 현장설치 교육용 지열 실험장비
JP2015001348A (ja) 地中熱ヒート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