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371B1 -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 Google Patents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371B1
KR101967371B1 KR1020170027193A KR20170027193A KR101967371B1 KR 101967371 B1 KR101967371 B1 KR 101967371B1 KR 1020170027193 A KR1020170027193 A KR 1020170027193A KR 20170027193 A KR20170027193 A KR 20170027193A KR 101967371 B1 KR101967371 B1 KR 10196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ed
patient
support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856A (ko
Inventor
신준식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식 filed Critical 신준식
Priority to KR102017002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는,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되어 고정 레일의 배향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새들; 일단이 상기 새들에 고정되고 상기 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체를 수용하는 장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본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체결되어 상하방으로 종단 가능하고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몸통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통 지지판과, 상기 몸통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고 환자의 양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어깨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 지지판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통을 양측에서 조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WEIGHT REDUCTIO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비 본체에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비 본체를 상방으로 견인하여 환자의 체중을 경감, 환자가 스스로 지탱 가능한 체중 상태에서 요통 치료를 포함한 재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에 관한 것이다.
척추 신경이나 주변의 인대, 근육 등에 손상, 염증이 생기면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면서 신체를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가 오래 방치되면 척추 근육과 인대가 더 굳고 혁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통증이 더 심해진다.
이와 같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부위의 유효한 경혈에 침을 놓은 상태에서 운동을 병행하면 긴장된 근육이 이완되면서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침 시술 후에도 환자는 여전히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환자의 자발적인 운동을 강요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환자의 운동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환자의 체중을 경감시키면서 재활 운동이 가능한 특수 재활 장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 본체에 환자의 상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비 본체를 상방으로 견인하여 환자의 체중을 경감, 환자가 스스로 지탱 가능한 체중 상태에서 재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환자의 몸통 양측에서 조임이 가능토록 장비 본체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체격에 대하여 폭넓게 수용 가능한 재활 장비를 제공하고, 기어와 래크의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조임 조작이 가능한 재활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는,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되어 고정 레일의 배향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새들; 일단이 상기 새들에 고정되고 상기 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체를 수용하는 장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본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체결되어 상하방으로 종단 가능하고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몸통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통 지지판과, 상기 몸통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고 환자의 양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어깨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 지지판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통을 양측에서 조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부재에 내장된 기어와 연결되는 회전원판이 상기 승강 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원판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몸통 지지판은 상기 몸통 지지판에서 연장된 래크가 상기 승강 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몸통 지지판 중 제1 지지판의 래크는 상기 기어의 상측에서 맞물리고, 상기 몸통 지지판 중 제2 지지판의 래크는 상기 기어의 하측에서 맞물리며, 상기 한 쌍의 몸통 지지판은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근접 및 이격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들은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각 일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장비 본체는 상기 고정 레일을 따르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하중 경감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하중 경감 장치에는 하방을 향하여 견인 와이어가 연장되어 상기 장비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하중 경감 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하중 경감 장치에 미리 결정된 조건으로 고압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장비 본체를 상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장비 본체에 수용된 환자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에 따르면, 장비 본체를 설정값만큼 상방으로 견인하여 하체가 부담하는 신체의 무게를 경감시키는 구동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체중이 경감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재활 운동을 가능케 하는 재활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몸통 양측에서 조임이 가능토록 장비 본체를 설계함으로써 체격 조건이 다른 신체에 대해서도 폭넓게 적용 가능하고, 장비 본체는 기어와 래크의 조합으로 조임 구동이 가능한바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활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활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 본체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재활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 본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재활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승강 부재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이하, "재활 장비"라고도 칭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장비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장비 본체의 후면도, 도 4는 장비 본체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장비 본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활 장비(100)는 고정 레일(110), 새들(120), 가이드바(130) 및 장비 본체(14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 레일(110)은 미리 결정된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된다. 고정 레일(110)의 양단이 모두 공간의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도 가능하고, 양단이 수직 기둥을 통해 지주 고정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 일단은 벽면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지주 고정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 레일(110)은 수평 방향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적어도 하나의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 레일(110)에는 새들(120)(saddle)이 결합된다. 새들(120)은 고정 레일(1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구름 이동이 가능하고, 그 하방에는 후술하는 장비 본체(140)가 연결되어 있어, 장비 본체(140)와 고정 레일(11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새들(120)은 고정 레일(110)에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121)와, 이동 플레이트(121)의 하측에서 이동 플레이트(1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가 레일 배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 회전 플레이트(123)는 고정 플레이트와의 연결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환자는 장비 본체(140)를 착용한 후 레일 배향으로 걸으면서 상체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바(1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새들(120)에 고정되고 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타단은 공간의 일정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가이드바(130)에는 장비 본체(14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가이드바(130)의 타단은 장비 본체(140)의 하방 이탈을 막기 위해 수평바로 폐쇄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130)의 각 일단은 새들(120)의 회전 플레이트(123)에 위치 고정되는바, 장비 본체(140)는 고정 레일(110)을 따르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장비 본체(140)는 환자의 상체를 수용하며 한 쌍의 가이드바(13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비 본체(140)는 먼저 한 쌍의 가이드바(130)에 체결되어 가이드바(130)를 타고 상하방으로 종단 이동이 가능하고 환자의 몸통에 접촉하여 몸통을 지지하는 승강 부재(141)를 포함한다. 승강 부재(1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갖는 중공의 평판형 부재로서, 전방에서는 환자의 몸통을 면 지지하고 후방에서는 가이드바(130)와 체결된다. 승강 부재(141)의 후면에는 각 가이드바(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바(130) 수용부가 구비되는데, 가이드바(130) 수용부는 가이드바(130)를 수용하는 중공관으로 구성되고, 중공관 내부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가이드바(130)와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또, 승강 부재(141)의 내부 공간에는 기어(150)가 구비되는데,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장비 본체(140)는 승강 부재(141)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몸통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통 지지판(143)과, 몸통 지지판(143)에 각각 설치되고 환자의 양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어깨 지지판(145)을 포함한다. 몸통 지지판(143)와 어깨 지지판(145)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위에 완충 쿠션(146)을 포함할 수 있고, 몸통 전방을 감싸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몸통 지지판(143)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몸통에 맞도록 폭을 조이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몸통 지지판(143)은 그 후방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내측으로 연장된 래크(147)를 구비하고, 래크(147)는 승강 부재(14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몸통 지지판(143)은 승강 부재(14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승강 부재(141)의 내부 공간에는 각 래크(14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레일이 고정 설치되고 각 래크(147)의 후면에는 레일의 대응면에 레일과 결합하는 직선 형상의 레일 홀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좌측 몸통 지지판)에서는 래크(147)가 상방측에 편향 배치되고 마주보는 제2 지지판(우측 몸통 지지판)에서는 래크(147)가 하방측에 편향 배치되어 서로 상보적인 구조를 이룬다. 승강 부재(141)의 내부 공간에는 기어(15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데, 제1 지지판의 래크(147)는 기어(150)의 상측과 맞물리고, 제2 지지판의 래크(147)는 기어(150)의 하측에서 맞물린다. 기어(150)와 연결되어 기어(150)를 회전시키는 회전원판(160)이 승강 부재(141)의 후방에 배치되고, 회전 원판(160)에는 손잡이(170)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7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원판을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원판에 연결된 기어(150)가 회전 구동되는데, 기어(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기어(150)에 맞물린 한 쌍의 래크(147)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한 쌍의 몸통 지지판(143)의 간격을 손잡이(17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체 사이즈에 대해서도 수용 가능하고, 조임 조작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재활 장비(100)는 하중 경감 장치(180)를 더 포함한다. 하중 경감 장치(180)는 전술한 새들(120)의 회전 플레이트(123)에 장착되고, 하중 경감 장치(180)에서 하방을 향하여 견인 와이어(181)가 연장되어 장비 본체(14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견인 와이어(181)는 장비 본체(140)의 승강 부재(141)에 설치된 연결바(165)에 고정된다. 하중 경감 장치(180)는 예컨대, 내부에 실린더를 구비되는데, 실린더 내부에 고압 공기를 주입하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견인 와이어(181)가 장비 본체(140) 및 장비 본체(140)에 수용된 환자를 상방으로 견인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하중을 경감시킨다. 재활 장비(100)는 별도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하중 경감 장치(180)를 통해 상방으로 견인하고자 하는 하중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환자의 부담 가능한 체중 등을 고려하여 견인 하중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맞는 재활 운동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100)에 따르면, 환자의 하체가 부담하는 신체의 무게를 경감시켜 환자 스스로 하중 부담 없이 용이하게 재활 운동을 가능케 하고, 환자의 몸통 양측에서 조임이 가능토록 장비 본체(140)를 설계함으로써 체격 조건이 다른 신체에 대해서도 폭넓게 적용 가능하며, 장비 본체(140)는 기어(150)와 래크(147)의 조합으로 조임 구동이 가능한바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재활 장비 110: 고정 레일
120: 새들 130: 가이드바
140: 장비 본체 141: 승강 부재
143: 몸통 지지판 145: 어깨 지지판
147: 래크 150: 기어
160: 회전 원판 170: 손잡이
180: 하중 경감 장치 181: 견인 와이어

Claims (5)

  1.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되어 고정 레일의 배향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새들;
    일단이 상기 새들에 고정되고 상기 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체를 수용하는 장비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본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체결되어 상하방으로 종단 가능하고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몸통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통 지지판과, 상기 몸통 지지판에 각각 설치되고 환자의 양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어깨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 지지판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몸통을 양측에서 조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 부재에 내장된 기어와 연결되는 회전원판이 상기 승강 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원판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몸통 지지판은 상기 몸통 지지판에서 연장된 래크가 상기 승강 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몸통 지지판 중 제1 지지판의 래크는 상기 기어의 상측에서 맞물리고, 상기 몸통 지지판 중 제2 지지판의 래크는 상기 기어의 하측에서 맞물리며,
    상기 한 쌍의 몸통 지지판은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근접 및 이격 구동되고,
    상기 새들은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각 일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장비 본체는 상기 고정 레일을 따르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하중 경감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하중 경감 장치에는 하방을 향하여 견인 와이어가 연장되어 상기 장비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하중 경감 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하중 경감 장치에 미리 결정된 조건으로 고압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하중 경감 장치의 실린더 내부에 고압 공기가 주입되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견인 와이어(181)가 장비 본체(140) 및 장비 본체(140)에 수용된 환자를 상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장비 본체에 수용된 환자의 하중을 경감시키고,
    상기 고정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7193A 2017-03-02 2017-03-02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KR10196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93A KR101967371B1 (ko) 2017-03-02 2017-03-02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93A KR101967371B1 (ko) 2017-03-02 2017-03-02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56A KR20180100856A (ko) 2018-09-12
KR101967371B1 true KR101967371B1 (ko) 2019-04-09

Family

ID=6359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93A KR101967371B1 (ko) 2017-03-02 2017-03-02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267B1 (ko) *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870B1 (ko) * 2002-12-16 2005-11-09 이창재 보행 곤란자를 위한 보조기
US7291097B1 (en) * 2004-08-12 2007-11-06 Dace Les N Ambulatory patient support mechanism
KR100796251B1 (ko) * 2007-02-09 2008-01-21 박홍재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KR20150005151A (ko) * 2013-07-04 2015-01-14 박영덕 하체근력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56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1518A (en) Apparatus for specific lumbar traction treatments
US11273089B2 (en) Apparatus for applying multi-dimensional traction to the spinal column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US76954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joint rehabilitation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US5460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tight muscles
KR101354760B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US9393172B2 (en) Spinal traction machine and methods
JP6159889B2 (ja) 脊椎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8882802B2 (en) Chiropractic machine
JP2007082877A (ja) トレーニング装置付きベッド
CN101754738B (zh) 用于自主进行物理治疗练习的器械
CN107041804A (zh) 一种头部康复系统及其制成的多功能颈椎分型治疗机
KR101967371B1 (ko) 체중 경감이 가능한 재활 장비
KR101566877B1 (ko) 척추 교정기
KR200386069Y1 (ko) 정형용 척추 견인기
KR20140022993A (ko) 재활치료용 상지 및 하지 운동기구
KR101675218B1 (ko) 척추 교정방법
CN103932869A (zh) 卧式颈椎牵引装置
TW201936154A (zh) 自動化按摩設備
US7674210B2 (en) Exercise device
KR101498430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HU229977B1 (hu) Gerincregeneráló készülék
KR101366533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