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97B1 -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97B1
KR101966397B1 KR1020170097135A KR20170097135A KR101966397B1 KR 101966397 B1 KR101966397 B1 KR 101966397B1 KR 1020170097135 A KR1020170097135 A KR 1020170097135A KR 20170097135 A KR20170097135 A KR 20170097135A KR 101966397 B1 KR101966397 B1 KR 10196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tice points
pipe
value
thinning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108A (ko
Inventor
박흥배
황경모
오영진
윤훈
박병욱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 Length-Measuring Devices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감육 판별 방법 및 감육 판별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1 시간에 측정된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인 제1 측정값과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측정된 상기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편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값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육 판별 방법 및 감육 판별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wall thinning occurrence}
본 발명은 감육을 판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관 및 피팅류와 같은 배관 또는 압력 용기의 두께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 및 감육 위치를 통계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나 일반 산업 설비의 배관 또는 압력용기 등에서 발생하는 부식, 유동가속부식, 침식 및 침부식 등으로 인한 감육(두께의 감소) 현상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산업계에서는 감육으로 인해 두께 감소가 예상되는 배관 또는 압력용기를 비파괴 검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두께를 측정하며 감육의 진행 정도를 판별 또는 예측한다.
배관 및 압력용기의 제작 시에 불가피하게 제작 편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는 측정 편차를 포함한다. 기존의 평가 방법은 이러한 편차들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육을 과대 또는 과소하게 평가하게 되고, 발생된 감육의 특성을 분석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많은 배관에 대한 두께 측정 결과들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배관에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고, 감육이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감육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자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감육 판별 방법은, 제1 시간에 측정된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인 제1 측정값과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측정된 상기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인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편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값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상기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격자점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획득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격자점 간의 분산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산출된 분산값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분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된 격자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의 감육이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격자점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에 동일한 수의 상기 격자점이 포함되도록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의 감육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내의 격자점들의 편차값들 간의 총합, 평균 및 분산 등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의 감육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의 수인 감육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의 수인 미감육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의 감육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간에 상기 감육수 및 상기 미감육수를 비교하여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제1 시간부터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된 상기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들인 제1 측정값과,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부터 상기 측정부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한 상기 배관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들인 제2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격자점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편차값 산출부, 및 상기 편차값에 대한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의 감육 발생여부를 판별하는 판별하는 감육 판별부를 포함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상기 산출된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을 추출하고 격자점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배열 형태 및 배열 순서에 기초한 좌표 정보가 설정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추출된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추출된 격자점 간의 분산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분산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분산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일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배관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획득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를 더 포함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각 그룹 내의 격자점들의 편차값들 간의 총합, 평균 및 분산 등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고,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이면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된 그룹별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의 수인 감육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상기 격자점의 수인 미감육수를 검출하는 이산변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각 그룹의 상기 감육수 및 상기 미감육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감육 판별부는, 상기 산출된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면, 상기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수많은 배관에 대한 두께 측정 결과들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배관에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고, 감육이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설비 상의 배관의 감육 상태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감육이 발생한 배관을 교체할 수 있어 배관 설비의 안정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가 저장한 제1 측정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가 제2 측정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낸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편차값 산출부가 산출한 편차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로 분산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그룹별 검정 통계량을 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10)은 일 표면인 일영역에 복수의 격자점들이 미리 정의되고,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측정부(110) 및 데이터 수집부(120)를 포함한다.
배관(10)은 액체, 기체, 분말 등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며, 파이프 및 피팅류를 포함한다. 파이프는 액체, 기체, 분말 등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피팅류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배치되어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피팅류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연결시키는 목적에 따라 배관의 방향 전환에 사용되는 엘보, 밴드, 리턴, 마이터와 구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 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레듀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해주는 플랜지 등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파이프 및 피팅류를 포함하는 배관(1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관(10)은 일영역에 복수의 격자점들이 정의되어 있다. 배관(10)은 상기 일영역과 다른 영역에 대해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일영역 및 다른 영역들은 감육이 상대적으로 잘 발생하는 곳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배관(10)은 상기 일영역에 대해서 상기 다른 영역들과 독립적으로 국부 감육 여부가 판별되고, 상기 일영역에 대한 배관(10)의 감육 판별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한 영역인 배관(10)의 일영역에 대해서 국부 감육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격자 무늬상에 위치한다.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배열 형태 및 개수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격자점들은 12 by 12, 10 by 2, 100 by 200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서로 인접하는 격자점 간에 임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거리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거나,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서로 인접하는 격자점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즉, 일정한 간격의 격자를 포함하는 격자 무늬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배관(10)의 일영역에 직접 페인트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외부의 투사기에 의해 투영되어 표시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표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배관(10)에 표시된 각 격자점마다 측정부(110)를 통해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감육 판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된 모든 지점에서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배관(10)의 두께의 정보는 데이터 수집부(120)에 저장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마다 설정된 좌표 정보와 대응시켜 측정된 상기 배관(10)의 두께를 저장한다. 상기 좌표 정보는 배관(10)의 일영역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배열 순서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이 표시된 배관(10)의 일영역 상의 위치 및 상기 좌표 정보간의 대응관계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좌표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 소정의 위치에 배열된 격자점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배관(10)의 일영역 상의 위치 간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특정된 격자점이 상기 배관(10) 일영역상에 표시된 지점의 위치 또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배관(10)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 및 배관(10)의 축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설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관(10)의 일영역의 끝의 제1 지점(A1)부터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해 B, C, D 순으로 배정하고, 상기 제1 지점(A1)부터 배관(10)의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격자점들의 위치에 대해 2,3,4,5 순으로 배정하여, 각 격자점에 대한 상기 좌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점(A1)의 좌표 정보를 갖는 격자점이 배관(10)의 일영역상의 어느 지점에 표시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미리 설정되어 있다.
측정부(110)는 비파괴 방법으로 배관(10)에 포함된 파이프 및 피팅류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측정 방법에 따라 자성체를 이용하는 두께를 측정하는 전자기식, 방사선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사선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초음파식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된 각 지점별로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파이프 및 피팅류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한 파이프 및 피팅류를 포함하는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전달받거나,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입력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을 상기 격자점에 각각 대응시켜 저장한다. 즉,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관(10)의 두께를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응시켜 데이블 표로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20)는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상기 격자점들의 배열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각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배관(10)의 원주 방향 및 배관(10)의 축 방향에 따라 격자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A1)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로 A, B, C 순으로 상기 좌표 정보가 설정되고, 축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로 1, 2, 3 순으로 상기 좌표 정보가 설정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지점(A1)의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A1으로, 제1 지점(A1)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의 배열 순서에 따라 각 지점의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B1. C1으로 저장하고 있으며, 축 방향의 배열 순서에 따라 각 지점의 격자점에 대응하는 상기 좌표 정보를 A2, A3으로 저장하고 있다. 한편, 상기 좌표 정보는 1, 2 및 3 차원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원적 좌표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들을 제1 시간부터 수집하고, 제1 시간에 배관(10)의 두께의 측정이 완료된 이 후인 제2 시간에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반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은 배관(10)의 감육 진행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10)이 1%의 두께가 감소하는데 예상되는 시간이 6개월인 경우에,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6개월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시간에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된 배관(10)의 두께를 제1 측정값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된 배관(10)의 두께를 제2 측정값이라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는 상기 제1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된 지점에 대한 배관(10)의 두께를 각 격자점마다 측정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을 상기 각 격자점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예컨대, 측정부(110)가 제1 지점(A1)의 격자점에서 3mm의 두께를, 제2 지점(A2)의 격자점에서 2mm의 두께를, 제3 지점(A3)의 격자점에서 2.2mm의 두께를 측정한 경우,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지점(A1)의 격자점이 3mm이고, 제2 지점(A2)의 격자점이 2mm이며, 제3 지점(A3)의 격자점이 2,2mm로 각 지점의 격자점에 대응시켜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관(10)의 두께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한편, 복수의 격자점들에 대해 배관(10)의 두께의 측정이 완료되면, 데이터 수집부(120)는 복수의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수집 정보를 제1 측정값이란 데이터로 저장해 둔다.
이 후,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측정값이 저장된 후 제2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배관(10)의 두께를 재측정한다.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에 측정부(110) 측정한 복수의 격자점들은 동일한 격자점들이다. 즉, 측정부(110)는 제1 시간에서 측정한 것과 동일한 위치에 대한 복수의 격자점들에서의 배관(10)의 두께를 상기 제2 시간에서 재측정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2 시간에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측정값들을 제2 측정값으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측정부(110), 데이터 수집부(120), 편차값 산출부(130), 격자점 추출부(140), 그룹 분류부(150), 이산변수 검출부(160) 및 감육 판별부(170)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비파괴 방법으로 파이프 및 피팅류를 포함하는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측정 방법에 따라 자성체를 이용하는 두께를 측정하는 전자기식, 방사선을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사선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초음파식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격자점이 표시된 각 지점에서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한다. 측정부(110)가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해 측정한 배관(10)의 두께들은 데이터 수집부(120)에 전달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측정부(110)가 전달한 배관(10)의 두께를 각 격자점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예컨대,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지점(A1)의 격자점에서 1mm, 제2 지점(A2)의 격자점에서 2mm, 제1- 지점(B1)의 격자점에서 2.1mm 등과 같이 각 격자점의 좌표 정보 대응시켜 측정부(110)가 전달한 측정값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시간에서 복수의 격자점들에 대응시킨 배관(10)의 두께들을 제1 측정값로 저장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제2 시간에 재측정되어 복수의 격자점들에 대응시킨 배관(10)의 두께들을 제2 측정값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대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대한 감육 상태의 판별을 시작한다.
편차값 산출부(130)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격자점이 표시된 지점에서의 배관(10)의 두께 변화인 편차값을 산출한다. 편차값 산출부(130)는 어느 한 격자점의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편차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점(A1)의 격자점에서 제1 측정값이 2mm이고, 제2 측정값이 1.8mm인 경우, 편차값 산출부(130)는 제1 지점(A1)의 격자점에 대한 편차값을 0.2mm로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편차값 산출부(130)는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한 편차값을 산출할 수 있다. 편차값 산출부(130)는 데이터 수집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차값들을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응시켜 저장해둔다.
즉, 편차값 산출부(130)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각 격자점이 표시된 지점에서의 배관(10)의 두께 변화량인 편차값을 측정한다. 즉, 편차값 산출부는 배관(10)에 표시된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된 배관(10)의 두께가 상기 제1 시간에서 상기 제2 시간까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나 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격자점 추출부(140)는 복수의 격자점들 중 소정의 격자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격자점 추출부(140)는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응하는 편차값과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한다. 이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상기 편차값들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배관(10)에 감육이 크게 발생한 지점을 추출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상기 편차값들 중 상위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에 대한 편차값이 0.1, 0.11, 0.1, 0.2, 0.4, 0.42, 0.2, 0.2, 0.6, 0.21, 0.32, 0.65인 경우에, 격자점 추출부(140)는 상위 30 프로에 해당하는 편차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상기 편차값들 중 상위 30%에 해당하는 0.4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격자점 추출부(140)는 0.42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격자점 추출부(140)는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격자점을 추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격자점 추출부(140)는 편차값을 크기 순으로 나열하고, 크기가 큰 값부터 순서대로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추출한다. 예컨대, 편차값이 크기 순으로 나열될 때 0.1, 0.1, 0.11, 0.2, 0.2, 0.2, 0,21, 0.32, 0.4, 0.42, 0.6, 0.65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가 4인 경우, 0.4, 0.42, 0.6, 0.65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룹 분류부(150)는 복수의 격자점들을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때, 그룹 분류부(150)는 서로 인접하는 격자점들이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고, 각 그룹간에 동일한 수의 격자점들이 포함되도록 분류한다. 예를 들면, 그룹 분류부(150)는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2 by 2, 3 by 3, 4 by 4 등의 단위로 무리 지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상기 그룹의 편차값으로부터 이산화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상기 각 그룹 내의 격자점들의 편차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격자점들의 수를 검출한다. 즉,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각 그룹별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의 수인 감육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의 수인 미감육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격자점 추출부(140)에 설정된 값과 상응한 값으로 설정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격자점 추출부(140)가 추출한 격자점들의 분산을 계산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그룹 분류부(150)가 분류한 복수의 그룹 간의 편차값에 기초하여 검정 통계량을 구하거나, 상기 이산변수 검출부(160)가 검출한 그룹별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한 검정 통계량을 구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지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격자점 추출부(140)가 추출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격자점 추출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분산값을 산출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산출된 상기 분산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산출된 분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산출된 분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이 서로 밀집하여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준이 되는 분산에 대한 값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확률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과 상기 동일한 좌표 범위를 갖고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랜덤하게 선출한 표본을 복수개 추출할 때에, 상기 표본들의 분산값에 대한 확률 분포를 구할 수 있다. 상기 랜덤하게 추출된 격자점들이 서로 밀집해 있는 경우의 확률은 서로 고르게 분포된 경우보다 상당히 낮은 값을 갖는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서로 밀집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분산값을 예측할 수 있고, 상기 예측된 분산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확률 분포에서 1% 내지 10% 사이 확률을 갖는 분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개수 및 배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그룹 분류부(150)가 분류한 각 그룹의 편차값들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으로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했는지 판별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각 그룹 내의 편차값들의 합, 평균 및 분산 등 통계적 특성을 구하고, 상기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그룹 간의 분산 특성을 산출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분산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F)가 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그룹별의 유의한 차이(F)에 따른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검정 통계량을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이상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은 0.01 내지 0.05 중 어느 한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이런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 및 유의한 확률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일원 배치법에 따른 분산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검정 통계량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귀무가설이 맞다고 가정할 때 얻은 결과보다 극단적인 결과가 실제로 관측될 확률로, 실험의 표본 공간에서 정의되는 확률 변수이며,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에 편차값들의 통계적 특성이 서로 상응하다는 것을 귀무가설로 설정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유의 수준보다 높으면 귀무가설은 기각되지 않아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유의 수준보다 낮으면 상기 귀무가설은 기각되어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이산변수 검출부(160)가 이산화한 감육수 및 비감육수에 기초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여 배관(10)의 국부 감육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육 판별부(170)는 각 그룹의 감육수 및 비감육수가 그룹별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통계적으로 분석을 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통계적인 분석 방법으로 감육수 및 비감육수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 및 검정 통계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산출된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보다 작으면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은 0.01 내지 0.05 중 어느 한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감육 판별부(170)는 그룹 간에 감육수 및 미감육수가 서로 상응하다는 것을 귀무가설로 설정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유의 수준보다 높으면 귀무가설은 기각되지 않아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유의 수준보다 낮으면 상기 귀무가설은 기각되어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이런 검정 통계량의 산출 방법으로 카이제곱 분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가 저장한 제1 측정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가 제2 측정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편차값 산출부가 산출한 편차값을 정리한 예시적인 표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표 1 및 표 2는 12 by 12로 배관(10)에 표시된 격자점들 각각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정리한 표이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시간에서 각 격자점이 표시된 위치의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받아 제1 측정값으로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120)는 상기 측정된 배관(10)의 두께를 상기 측정부(110)가 측정한 격자점의 위치 정보와 대응시켜 제1 측정값으로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수집부(120)는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각 격자점이 표시된 지점에서 재측정된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2 측정값으로 저장한다.
표 1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저장한 상기 제1 측정값을 각 격자점의 좌표 정보에 대응하도록 배열된 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 1은 배관(10)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른 좌표값을 가로축으로 하고, 배관(10)의 축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른 좌표값을 세로축으로 한다. 예컨대, 표 1에서 B3에 해당하는 배관(10)의 두께는 원주 방향으로 두번째, 축방향으로 세번째에 위치하는 격자점에서 측정된 배관(10)의 두께에 관한 것으로 0.751이다.
표 2는 상기 표 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측정값이 좌표 정보에 대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술 한바와 같이, 상기 제2 측정값은 상기 제1 측정값이 측정된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다시 동일한 격자점들 각각에 대해 재측정한 배관(10)의 두께를 데이터 수집부(120)가 상기 제1 측정값과 별개로 수집하여 저장한 값이다. 즉, 표 1에서 B3의 좌표 정보를 갖는 격자점은 표 2에서 B3의 좌표 정보를 갖는 격자점과 동일한 격자점이다.
도 3 C를 참조하면, 표 3은 각 격자점에서 제1 측정값과 제2측정값의 차이를 정리한 표로,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할 때에 각 격자점들이 표시된 지점에서 측정된 배관(10)의 두께의 변화량인 편차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 3은 편차값 산출부(130)가 산출한 편차값을 좌표 정보에 따라 배열한 표이다. 즉, 표 3은 상술한 제1 및 표 2와 같이 세로축을 배관(10)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른 좌표값으로 하고, 가로축을 배관(1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른 좌표값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 3에서 편차값이 음의 값을 갖는 경우는 두께가 증가한 곳이고, 양의 값을 갖는 경우는 배관(10)의 두께가 감소한 곳이다.
상기 편차값들은 감육이 발생한 지점을 추출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감육 판별부(170)가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값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선 후술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로 분산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 4는 도 3A에 도시된 표 1의 제1 측정값과 표 2의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값을 정리한 표이고, 표 5는 격자점 추출부(140)가 추출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표이다.
표 4는 격자점 추출부(140)가 추출한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칸을 음영으로 표시한다. 격자점 추출부(140)는 표 4의 편차값들이 입력되면, 상기 편차값의 상한 10%에 해당한 값인 0.008을 미리 설정된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격자점 추출부(140)는 표 4에 음영으로 표시된 A1, B1, D1, G2, C4, F6, I7, I8, D9, G9, E11, J11, A12, E12 및 F12의 좌표 정보를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한다.
표 5는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분산값을 구하기 위하여 문자로된 좌표값을 대응되는 숫자로 변환하여 나타낸 표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격자점들은 인접하는 격자점들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었다고 가정한바, A, B, C, D 등이 상응한 숫자인 1, 2, 3, 4 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표 5와 같은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격자점들 간의 떨어진 정도인 분산값을 구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격자점들의 밀집한 정도에 대한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분산값을 구할 수 있다.
예컨대, 감육 판별부(170)는 2 차원 평면에 대한 좌표 정보에 대해서, 세로축으로 분산값과 가로축으로 분산값으로 나눠 분산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표 5에서 감육 판별부(170)가 분산값을 산출하는 경우, 감육 판별부(170)는 1, 1, 1, 3, 4, 6, 7, 8, 9, 9, 11, 11, 12, 12, 12의 세로축 좌표값으로부터 17.838의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고, 1, 2, 4, 7, 3, 6, 9, 9, 4, 7, 5, 10, 1, 5, 6의 가로축 좌표값으로부터 8.057의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제시된 상기 분산값을 구하는 방법은 설명의 편의상 제시된 방법으로, 이와 달리 2차원적 좌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2차원에 대응하는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감육 판별부(170)가 분산값을 구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 6은 상술한 표 4의 편차값을 획득한 배관(10)의 일영역과 다른 영역에서 산출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에 기초한 편차값을 정리한 표이고, 표 7은 격자점 추출부(140)가 표 6에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을 갖는 격자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이다.
표 6은 격자점 추출부(140)가 추출한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칸을 음영으로 표시한 표이다. 격자점 추출부(140)는 표 6의 편차값들이 입력되면, 상기 편차값들의 상위 10%에 해당하는 0.035을 미리 설정된 상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격자점 추출부(140)는 표 6에 음영으로 표시된 E7, F7, H7, E8, F8, G8, H8, F9, G9, H9, F10, G10, H10, E11, H11의 좌표 정보를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한다.
표 7은 표 6에 음영으로 표시된 격자점들의 분산값을 구하기 위하여 문자로된 좌표 정보를 대응되는 숫자로 변환하여 나타낸 표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격자점들은 인접하는 격자점들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었다고 가정한바, A, B, C, D 등을 1, 2, 3, 4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축방향 좌표(세로축)에 대한 분산과 원주방향 좌표(가로축)에 대한 분산을 구할 수 있다. 표 7에서 분산값을 산출하는 경우, 감육 판별부(170)는 7, 7, 7, 8, 8, 8, 8, 9, 9, 9, 10, 10, 10, 11, 11의 세로축 좌표값으로부터 1.886의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고, 5, 6, 8, 5, 6, 7, 8, 6. 7, 8, 6, 7, 8, 5, 8의 가로축 좌표값으로부터 1.381의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추출된 격자점들의 분산값에 기초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 by 12로 배열된 격자점들 중 15개의 격자점들이 밀집된 것으로 예측되는 분산값(즉,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 3으로 설정된 경우, 감육 판별부(170)는 표 4와 같은 편차값을 갖는 배관(10)의 일영역에서는 3보다 큰 분산값을 갖는바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별할 수 있고, 표 6와 같은 편차값을 갖는 배관의 다른 일영역에서는 3보다 작은 분산값을 갖는바 국부 감육이 발생했다고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배관(10) 상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6에 대한 편차값을 갖는 배관에 대해, 감육 판별부(170)는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E7, F7, H7, E8, F8, G8, H8, F9, G9, H9, F10, G10, H10, E11, H11의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배관(10) 상 위치 정보를 외부의 표시 장치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복수의 격자점들 중 편차값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격자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따른 분산값에 기초하여 국부 감육의 발생 여부, 국부 감육이 발생한 위치 및 감육 정도를 효율적으로 예측 및 분석할 수 있고, 다른 시점에 측정된 배관(10)의 두께의 편차값을 이용하는 점에서 제작시 배관(10)의 두께 편차, 표면의 불연속성 등이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배관(10)의 국부 감육 여부 및 국부 감육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그룹별 검정 통계량을 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 8은 편차값 산출부(130)가 산출한 편차값들을 좌표 정보에 대응시킨 편차표로서 도 4A의 표 4와 상응한 표이고, 표 9는 표 8를 균등하게 9개 그룹으로 분류한 표이다.
그룹 분류부(150)는 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격자점들을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그룹 분류부(150)는 12 by 12로 배열된 격자점들을 4 by 4로 서로 인접한 격자점들을 무리지어 균분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컨대, 그룹 분류부(150)는 표 8의 편차값을 갖는 복수의 격자점들을 표 9와 같이 16개씩 9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균분한 하나의 그룹에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의 수인 감육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의 수인 미감육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격자점 추출부(140)에 설정된 미리 설정된 상한값과 상응한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제1 그룹에 대해 감육수 4개 및 미감육수 12개, 제2 그룹에 대해 감육수 1개 및 미감육수 15개, 제3 그룹에 대해 감육수 0개 및 미감육수 16개, 제4 그룹에 대해 감육수 0개 및 미감육수 16개, 제5 그룹에 대해 감육수 1개 및 미감육수 15개, 제6그룹에 대해 감육수 2개 및 미감육수 14개, 제7 그룹에 대해 감육수 2개 및 미감육수 14개, 제8 그룹에 대해 감육수 4개 및 미감육수 12개, 제9그룹에 대해 감육수 1개 및 미감육수 11개로 검출하여 각 그룹별 편차값을 이산화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이산변수 검출부(160)가 각 그룹에 대한 감육수와 미감육수에 대한 이산화 정보를 전달하면, 상기 전달된 이산화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적인 분석에 의한 각 그룹 간 검정 통계량을 계산한다. 예컨대, 모든 그룹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서 감육수 및 미감육수가 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다는 귀무가설이 설정된 경우,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감육수 및 미감육수가 균등하게 배분된 그룹인 기대 그룹과 상기 실제 그룹간의 유의한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들의 검정 통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계산된 검정 통계량과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을 비교한다. 상기 유의 수준은 통계적 가설 검증에서 귀무가설이 실제로 참일 때에 귀무가설에 대한 판단의 오류 수준을 말하며, 0.01 내지 0.05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유의 수준이 0.05로 설정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귀무가설에서 검정 통계량이 0.05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미리 설정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이 서로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 경우, 감육 판별부(170)는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이제곱 검정법으로 검정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그룹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서 감육수 및 미감육수가 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다는 귀무가설을 설정된 경우에, 감육 판별부(170)는 카이제곱 검정법에 따른 표 9에 도시된바와 같은 9개 그룹의 검정 통계량을 계산하면, 0.14873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의 수준인 0.05보다 큰 값으로, 감육 판별부(170)는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 10은 편차값 산출부(130)가 산출한 편차값들을 좌표 정보에 대응시킨 편차표로서 도 4B의 표 6과 상응한 표이고, 표 11은 표 10을 균등하게 9개 그룹으로 분류한 표이다.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표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격자점들을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표 11를 참조하면, 상기 표 9와 마찬가지로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12 by 12로 배열된 격자점들을 4 by 4로 균분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감육수 및 미감육수를 검출한다.
예컨대,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표 10에 대응하는 편차값을 갖는 복수의 격자점들을 표 11와 같이 16개씩 9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그룹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를 검출할 수 있다. 표 11에 대해서, 이산변수 검출부(160)는 제1 그룹 내지 제4 그룹에 대해 감육수 0개 및 미감육수 16개, 제5 그룹에 대해 감육수 7개 및 미감육수 9개, 제6 그룹 및 제7 그룹에 대해 감육수 0개 및 미감육수 16개, 제8 그룹에 대해 감육수 8개 및 미감육수 8개, 제9 그룹에 대해 감육수 0개 및 미감육수 16개로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이제곱 검정법으로 검정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그룹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서 감육수 및 미감육수가 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다는 귀무가설을 설정된 경우에, 감육 판별부(170)는 카이제곱 검정법에 따른 표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9개 그룹의 검정 통계량을 계산하면, 7.52195E^-10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의 수준인 0.05보다 매우 작은 값으로 상기 귀무가설이 기각되며, 따라서 감육 판별부(170)는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배관(10)의 위치가 검출되면 외부의 표시 장치 등에 상기 배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감육 판별부(170)가 제공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관(10)에서 어느 부분에 국부 감육이 자주 발생하는지에 대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복수의 격자점들을 그룹으로 분류하여, 검출된 각 그룹별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한 통계적 분석으로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수많은 측정 데이터를 일거에 평가하여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신속 및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배관의 국부 감육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수많은 산업 설비의 배관(10) 및 압력 용기의 두께 감육의 관리 과정에서 불필요한 반복측정, 부적절한 기기의 정비 및 교체를 최소하여 산업 설비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표 12는 도 4A의 표 4에서 그룹으로 분류된 격자점들에 대한 편차값을 각 그룹별로 나열한 표이고, 표 13은 각 그룹 내의 편차값들에 대한 합, 평균 및 분산을 나타낸 요약표이고, 표 14는 표 13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간의 분산 분석을 한 분산 분석표이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표 12와 같은 그룹별 편차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면, 그룹별로 편차값들의 합, 평균 및 분산 등 통계적 특성을 구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표 14와 같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판단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그룹들간에 유의한 차이에 따른 검정 통계량을 구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이하의 값을 갖는지 확인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의 값을 갖는다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표 12와 같은 입력을 받으면 표 13과 같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편차값의 총합, 평균, 분산 등의 통계적 특성을 산출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산출한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제곱합과 자유도 및 제곱 평균등을 구하여 유의한 차이와 검정 통계량을 구할 수 있다. 이는 일원 배치법에 의한 분산 분석 방식으고, 표 14를 참조하면, 감육 판별부(170)가 산출한 표 12에 대한 유의한 차이(F)는 1.7084이고, 검정 통계량은 0.1018이 된다.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이 0.05인 경우, 표 12의 각 그룹간 검정 통계량이 0.05보다 크므로, 감육 판별부(170)는 표 12에 대한 편차값을 갖는 배관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별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 15는 도 4B의 표 6에서 그룹별로 격자점들에 대한 편차값을 나열한 표이고, 표 16은 표 15에서 각 그룹 내의 편차값들에 대한 합, 평균 및 분산을 나타낸 요약표이고, 표 17은 표 15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간의 분산 분석을 한 분산 분석표이다. 한편, 표 12와 표 15는 서로 다른 영역의 배관에 대해 측정한 측정값에 대한 것이다.
감육 판별부(170)는 표 15와 같은 그룹별 편차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면, 그룹별로 편차값들의 합, 평균 및 분산 등 통계적 특성을 구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표 17와 같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판단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그룹들간에 유의한 차이에 따른 검정 통계량을 구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이하의 값을 갖는지 확인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의 값을 갖는다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한다.
감육 판별부(170)는 표 15과 같은 값이 입력되면 표 16과 같은 각 그룹의 편차값의 총합, 평균, 분산 등 통계적 특성이 산출된다. 감육 판별부(170)는 상기 산출한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제곱합과 자유도 및 제곱 평균등을 구하여 유의한 차이와 검정 통계량을 구할 수 있다. 표 17을 참조하면, 감육 판별부(170)가 각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F)는 17.61이고, 검정 통계량은 9E-18이 된다.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이 0.05라면, 감육 판별부(170)는 표 15과 같은 값을 갖는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감육 판별 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복수의 격자점이 표시된 배관(10)의 일영역에 대해 제1 시간에 측정된 제1 측정값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시간에 측정된 제2 측정값을 획득하여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시간에 각 격자점이 표시된 지점의 배관(10)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배관(10)의 두께를 상기 격자점에 대응시켜 제1 측정값으로 미리 저장하고 있다. 이 후, 동일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이 표시된 배관(10)의 두께를 재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 대응시킨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를 제2 측정값으로 추가로 저장한다. 상기 제2 측정값에 대한 획득 및 저장이 완료되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비교 판단하여 상기 배관(10)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별을 시작한다(S101).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 간의 차이인 편차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 각각으로부터 특정 격자점에 대한 배관(10)의 두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배관(10)의 두께의 차이를 구하며, 나머지 격자점들에 대해서도 각각 상술한바 같이 동일한 격자점에서 배관(10)의 두께가 얼마나 변했는지에 대한 편차값을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으로부터 산출한다(S103).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산출한 편차값에 기초하여 특정 격자점들을 추출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격자점들을 선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은 상기 산출된 편차값들에 의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격자점들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좌표 정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격자점들의 배열 형태 및 배열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된 배관(10)상 위치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은 배관의 원주 방향 및 배관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좌표 정보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 및 축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S105).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획득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분산값을 산출한다(S107).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산출된 상기 분산값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서로 비교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수 및 상기 추출된 격자점의 수에 따라 달라지며, 분산값의 확률 분포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확률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이 밀집하여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분산값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S109).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산출된 분산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미만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의 표시 장치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격자점들이 표시된 배관(10) 상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한 배관(10) 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 함께 상기 외부의 표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111).
이와 달리,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산출된 상기 분산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즉,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분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이 고르게 위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분산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이 서로 밀집하여 위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무수한 배관(10)의 두께의 측정결과에 대해 일일이 비교 분석할 필요 없이, 단순히 배관(10)의 두께에 대한 정보만 감육 판별 시스템(100)에 입력되면 국부 감육 여부 및 국부 감육 위치까지 용이하게 감육 판별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감육 판별 시스템(100)이 어느 한 측정값과 재차 측정된 측정값과의 편차값을 이용한 점에서, 제작시 배관(10)의 두께 편차, 표면의 불연속성 등에 의한 오차를 제거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관(10)의 감육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감육 판별 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시간에 측정된 제1 측정값 및 제2 시간에 측정된 제2 측정값을 획득한다(S201).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격자점에서 제2 시간에 두께가 얼만큼 변하였는지에 대한 편차값을 산출한다(S203).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이 100 by 100 형태로 배열되어 배관(10)의 일영역에 표시되고 10개의 그룹으로 상기 복수의 격자점이 분류되는 경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10 by 10의 단위로 배관의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좌표 이동하여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복수의 격자점들이 표시된 배관(10)의 일영역을 여러 영역으로 균분하고, 상기 균분한 각 영역에 포함된 격자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S205).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각 그룹별로 감육수 및 미감육수를 검출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그룹별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격자점들의 개수를 감육수로 검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인 격자점들의 개수를 미감육수로 검출한다(S207).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각 그룹의 감육수 및 미감육수에 기초하여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및 검정 통계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예컨대,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이제곱 검정법을 통해 각 그룹별 유의한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의한 차이에 기초하여 검정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다(S209).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산출된 검정 통계량과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을 비교하여, 배관의 일표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도 5A에서 설명한 미리 설정된 검정 통계량은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확률로, 0.01 내지 0.0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S211).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산출된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의 값을 갖는 다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배관(10)상 위치를 추정 및 판단할 수 있다(S213).
한편, 검정 통계량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인 격자점들이 배관(10)의 일영역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육 판별 시스템이 배관의 일영역의 감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감육 판별 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시간에 측정된 제1 측정값 및 제2 시간에 측정된 제2 측정값을 획득한다(S301).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격자점에서 제2 시간에 두께가 얼만큼 변하였는지에 대한 편차값을 산출한다(S303).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305).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그룹별로 편차값들의 통계적 특성인 총합, 평균, 분산 등을 산출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각 그룹별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 간의 분산 분석을 수행한다. 이 경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각 그룹의 편차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각 그룹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들간의 유의적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S307).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분산 분석에 기초하여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 및 검정 통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원 배치법에 따른 분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S309).
다음으로,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검정 통계량을 비교한다(S311).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산출된 검정 통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 미만이면 배관(10)의 일영역에 국부 감육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격자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감육 판별 시스템(100)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격자점들이 배관(10)상 표시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인 디스플레이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S313).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10: 배관
100: 감육 판별 시스템
110: 측정부
120: 데이터 수집부
130: 편차값 산출부
140: 격자점 추출부
150: 그룹 분류부
160: 이산변수 검출부
170: 감육 판별부

Claims (23)

  1.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복수의 격자점들을 정의하는 단계;
    제1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제1 격자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격자점들 간의 위치 분산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 분산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위치 분산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 분산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4.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복수의 격자점들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제1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된 격자점들에서의 편차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정 통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서로 군집하는 동일한 개수의 격자점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격자점들에서의 편차값들의 총합, 평균 및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정 통계량을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기준 통계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8.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복수의 격자점들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제1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제1 격자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제1 격자점의 개수를 계수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감육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상기 감육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정 통계량을 기초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정 통계량을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기준 통계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제2 격자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제2 격자점의 개수를 계수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미감육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상기 검정 통계량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상기 감육수 및 상기 미감육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방법.
  11.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정의된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 여부를 판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제1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편차값 산출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제1 격자점들을 추출하는 격자점 추출부;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격자점들 간의 위치 분산값을 산출하고, 상기 위치 분산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국부 감육 판별부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감육 판별부는 상기 산출된 위치 분산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분산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감육 판별부는 상기 제1 격자점들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국부 감육이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4.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정의된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 여부를 판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제1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편차값 산출부; 및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된 격자점들에서의 편차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기초하여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국부 감육 판별부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분류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서로 군집하는 동일한 개수의 격자점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통계적 특성은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격자점들에서의 편차값들의 총합, 평균 및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감육 판별부는 상기 검정 통계량을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기준 통계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8. 배관의 제1 영역 상에 정의된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비파괴 검사를 통해 상기 배관의 국부 감육 여부를 판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 상기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제1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인 제2 시간에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제2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각각에서의 편차값을 산출하는 편차값 산출부;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의 편차값을 갖는 제1 격자점들을 추출하는 격자점 추출부; 및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제1 격자점의 개수를 계수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감육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상기 감육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을 기초로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국부 감육 판별부를 포함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감육 판별부는 상기 검정 통계량을 미리 설정된 유의 수준에서의 기준 통계량과 비교하고, 상기 검정 통계량이 상기 기준 통계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배관의 상기 제1 영역 내에 국부 감육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점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격자점들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한값 미만의 편차값을 갖는 제2 격자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국부 감육 판별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제2 격자점의 개수를 계수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미감육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각각의 상기 감육수 및 상기 미감육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들 간의 유의한 차이에 대한 상기 검정 통계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감육 판별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삭제
  23. 삭제
KR1020170097135A 2017-07-31 2017-07-31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35A KR101966397B1 (ko) 2017-07-31 2017-07-31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35A KR101966397B1 (ko) 2017-07-31 2017-07-31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08A KR20190013108A (ko) 2019-02-11
KR101966397B1 true KR101966397B1 (ko) 2019-07-23

Family

ID=6537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35A KR101966397B1 (ko) 2017-07-31 2017-07-31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54B1 (ko) * 2020-09-28 2022-04-05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감육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4912B1 (ko) * 2022-12-01 2023-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향방출신호 및 진동가속도의 측정에 의한 유체수송관의 감육 탐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993B1 (ko) * 2023-07-24 2023-12-1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감육 및 보강이 존재하는 배관과 감육이 존재하는 배관의건전성 평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250A (ja) * 2002-11-13 2004-06-10 Shinryo Corp 超音波による配管劣化診断方法
JP2007024546A (ja) 2005-07-12 2007-02-01 Univ Of Fukui 配管の減肉状態推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158387A (ja) 2010-02-02 2011-08-18 Ihi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Ltd 超音波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518B2 (ja) * 1992-08-14 1999-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学習型異常診断アルゴリズム自動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78682B1 (ko) * 2010-02-26 2012-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배관 검사 시스템 및 배관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250A (ja) * 2002-11-13 2004-06-10 Shinryo Corp 超音波による配管劣化診断方法
JP2007024546A (ja) 2005-07-12 2007-02-01 Univ Of Fukui 配管の減肉状態推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158387A (ja) 2010-02-02 2011-08-18 Ihi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Ltd 超音波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영진 외, 초음파 두께측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원전 탄소강 배관 두께감육 발생여부 판별기법 개발, 대한기계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대한기계학회, 2014.11.pp514-515
주경문 외, 유도초음파기술을 이용한 배관 감육 평가, 비파괴검사학회지 제30권제4호,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0.8.pp295-301
황경모 외, 탄소강배관 다중 UT 측정 두께를 활용한 감육여부 판별법 개발,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제11권제5호, 한국부식방식학회, 2012, pp173-17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54B1 (ko) * 2020-09-28 2022-04-05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감육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4912B1 (ko) * 2022-12-01 2023-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향방출신호 및 진동가속도의 측정에 의한 유체수송관의 감육 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08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397B1 (ko) 감육 판별 시스템 및 방법
CN102473660B (zh) 等离子加工系统自动瑕疵检测和分类及其方法
KR101316255B1 (ko) 증기 발생기 매핑 시스템
CN108008006B (zh) 一种焊缝缺陷检测方法、装置、设备及系统
CA2777939C (en) Method of modeling steam generator and processing steam generator tube data of nuclear power plant
CN101968463A (zh) 管道螺旋焊缝类裂纹缺陷三轴漏磁内检测线信号识别方法
CN103400308B (zh) Gis设备运行状态在线检测方法与系统
CN113947726B (zh) 基于互联网的生态河湖区域监管系统
CN102269684A (zh) 小管道液液两相流流型辨识系统及方法
CN115047064A (zh) 管道缺陷量化方法、处理器和管道缺陷量化装置
CN112801135A (zh) 一种基于特征量相关性的发电厂厂用电系统故障选线方法及设备
JP2740718B2 (ja) ガス、蒸気等の漏洩地点および漏洩量推定システム
Rojik et al. Water pipe leak detection using the k-nearest neighbor method
Salam et al. A leakage detection system on the Water Pipe Network through 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RU2536778C1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локальных дефектов металла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JP4948238B2 (ja) 分布解析方法および装置、異常設備推定方法および装置、上記分布解析方法または異常設備推定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上記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1272622B (zh) 气溶胶质量浓度确定方法、装置及系统
JP7347303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KR102367340B1 (ko) 증기 발생기의 이격 판의 파울링을 정량 평가하는 방법
Elgazooli et al. Multiple Gross Errors Detection in Surveying Measurements Using Statistical
CN112462408B (zh) 一种利用贝叶斯分析搜寻本底中弱放射源的方法
CN116953196B (zh) 一种钢制三通的缺陷检测与安全状态评估方法
CN117291874B (zh) 用于铜公测量的自动分中方法及其系统
JP5907559B2 (ja) 三次元速度の計測システム
CN117191172A (zh) 一种天平称量罩的质量检测和饱和预警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