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237B1 - 복층형 양봉용 벌통 - Google Patents

복층형 양봉용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237B1
KR101966237B1 KR1020170139430A KR20170139430A KR101966237B1 KR 101966237 B1 KR101966237 B1 KR 101966237B1 KR 1020170139430 A KR1020170139430 A KR 1020170139430A KR 20170139430 A KR20170139430 A KR 20170139430A KR 101966237 B1 KR101966237 B1 KR 10196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plate
layer
plates
beek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환이
권혁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포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포,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filed Critical (주)한국이포
Priority to KR102017013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한 사출에 의해 몸체와 뚜껑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품질의 벌통을 생산할 수 있으며, 내부에 나무를 이용해 내부몸체를 설치하여 벌통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복층형 양봉용 벌통이다.

Description

복층형 양봉용 벌통{A duplex type beehive for beekeeping}
본 발명은 양봉용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한 사출에 의해 몸체와 뚜껑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품질의 벌통을 생산할 수 있으며, 내부에 나무를 이용해 내부몸체를 설치하여 벌통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복층형 양봉용 벌통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을 위해 사용되는 벌통은 천연목재나 합성목재를 이용해 몸체가 만들어지고 뚜껑을 덮어 벌이 생활할 수 있는 집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양봉용 벌통은 몸체와 뚜껑 그리고 몸체 내에 설치되는 소비를 모두 목재로 제조함에 따라 무게가 무겁고 또 습기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낮아 파손이 잦아져 양봉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이동이 잦은 양봉의 특성상 무거운 벌통의 운반이 까다로우며, 특히 산에서 이루어지는 벌꿀의 채취작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를 이용한 벌통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는 발포폴리스틸렌(EPS)이나 스티로폼을 이용해 만든 스티로폼 벌통이 있다.
상기 발포폴리스틸렌(EPS)이나 스티로폼 벌통은 그 무게가 매우 가벼운 반면 내구성이 낮아 작은 충격에도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벌이 싫어하는 인공재질로 만들어져 양봉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는 본 출원인이 발명한 등록특허 제10-0576626호에 제안되어 있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벌통(101) 내측으로 다수개의 소비(4)를 안치하고 그 일측 하단면으로는 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13)를 형성함과 동시에 벌통(101) 상단으로 단턱(12)을 형성하여 덮개(102)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통상적인 합성수지재의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10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외부몸체(1) 내주면으로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홈(1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한 다음 그 내측으로 목재로 이루어진 내부몸체(2)를 이중으로 설치구성하되, 상기 외부몸체(1)의 바닥면 일측에 통풍구(14)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13)로는 바람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목재로 된 조절문(16)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몸체(2)의 바닥면에는 상기 외부몸체(1)의 통풍구(14)와 연통되게 통풍구(22)를 마련하여 그 표면으로 이물질투입방지망(23)을 설치하고, 내부몸체(2)의 상단에는 소비(4)가 안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21)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선단이 외부몸체(1)의 선단보다 일정 길이 낮게 설치되어 경첩(31)에 의해 절첩되는 뚜껑(3)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이 제안되어 있는데, 바람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문이 출입구를 막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문에 개폐대가 회동 방식으로 개폐량을 조절하는 구조이나 임의로 개폐대가 닫혀 벌의 출입을 오히려 막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한쪽 부분의 파손이 생길 경우 벌통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고 외부몸체의 크기가 비교적 커서 이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크기 또한 커야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되게 된다.
벌통과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8792호에 제안되어 있는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 벌통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able Polystyrene)을 원료로 성형되는 벌통, 발포 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원료로 성형되는 벌통, 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을 원료로 성형되는 벌통, 폴리 우레탄폼(PUF, Polyurethane Foam)을 원료로 성형되는 벌통 중에 있어서, 벌통(10)의 전후 좌우측벽이 각각 분리되어 개별 성형 되는 전후 좌우측 벽체(11,12,13,14)와; 상기 전후 좌우측 벽체(11,12,13,14)의 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닥판(15)과; 상기 벌통(10) 내측에 삽입 안착 되며, 사료통과 급수통 및 헛집방지대를 개별 성형하여 구비되는 내부 부속물(20) 및; 상기 전후 좌우측 벽체(11,12,13,14)가 맞닿는 면에 도포되어 전후 좌우측 벽체(11,12,13,14)를 접착고정하는 접착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후 좌우측 벽체(11,12,13,14)와 바닥판(15) 및 부속물(20)이 각각 개별 성형 된 후, 조립되어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 벌통이 제안되어 있는데, 벌통을 이루는 각각의 구조물들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당연하고, 일정한 위치에 조립하기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생산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야만 접착제의 냄새가 제거되어 벌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식이므로 벌통을 갉아먹는 벌의 습성으로 인해 벌이 건강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써 양봉의 효율 역시 저하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66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8792호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를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여 제작을 간편하게 하고, 뚜껑에는 공기순환구를 형성하여 여름철 벌통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며, 몸체의 내부면은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공기순환율을 높여 벌통 내부가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하며, 몸체를 1층 몸체와 2층 몸체로 구성하여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복층형 양봉용 벌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 내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몸체를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내부몸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몸체에 의해 벌통의 습도를 조절하고 유지함과 동시에 보온효과와 냉방효과를 볼 수 있는 복층형 양봉용 벌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1층 몸체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각각 구성하며, 하부몸체에 형성된 바닥면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출입구를 통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구획홈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홈에는 차단판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들의 식량인 사양액을 공급량 조절이 용이하고 공급된 사양액이 한쪽으로 쏠려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층형 양봉용 벌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층형 양봉용 벌통은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료로 사출 성형되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1층 몸체와, 상기 1층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1층 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2층 몸체와, 상기 2층 몸체의 상부에 착탈되며 공기순환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들의 내부 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층형 양봉용 벌통은 몸체를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여 제작을 간편하게 하고, 뚜껑에는 공기순환구를 형성하여 여름철 벌통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며, 몸체의 내부면은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공기순환율을 높여 벌통 내부가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하며, 몸체를 1층 몸체와 2층 몸체로 구성하여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몸체 내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몸체를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내부몸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몸체에 의해 벌통의 습도를 조절하고 유지함과 동시에 보온효과와 냉방효과를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1층 몸체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각각 구성하며, 하부몸체에 형성된 바닥면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출입구를 통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구획홈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홈에는 차단판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들의 식량인 사양액을 공급량 조절이 용이하고 공급된 사양액이 한쪽으로 쏠려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구성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절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분리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일부분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본 발명은 양봉용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한 사출에 의해 몸체와 뚜껑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품질의 벌통을 생산할 수 있으며, 내부에 나무를 이용해 내부몸체를 설치하여 벌통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복층형 양봉용 벌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구성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절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평면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복층형 양봉용 벌통은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료로 사출 성형되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1층 몸체(10)와, 상기 1층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1층 몸체(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2층 몸체(30)와, 상기 2층 몸체(30)의 상부에 착탈되며 공기순환구(51)가 형성된 뚜껑(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들(10, 30)의 내부 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1층 몸체(10)와 2층 몸체(30)는 폴리프로필렌(PP)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EPP(발포폴리프로필렌 : 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즉, 폴리프로필렌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이나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쓰이는 소재로 깨짐성,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해 제품 포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적합한데,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해 몸체들(10, 30)를 발포 성형함으로써 벌통의 내구성을 높이고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100%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소재이므로 산이나 들에서 이루어지는 양봉의 특성상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다.
상기 2층 몸체(30)의 상부에는 공기순환구(51)가 형성된 뚜껑(50)이 착탈되는데, 상기 공기순환구(51)는 벌통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일측에 망을 설치하여 말벌 등 외부의 적이 벌통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50)의 상부에는 보강판(52)이 보강 설치되어, 뚜껑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벌통을 적층할 때 하중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강판(52)은 뚜껑(50)과 별도의 자재를 이용하거나 뚜껑(5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1층 몸체(10)와 2층 몸체(30)의 내부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굴곡면은 도 3과 도 6에 나타나듯이 몸체의 전,후면과 측면 전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굴곡면은 벌통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벌이 자랄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또한, 상기 1층 몸체(10)와 2층 몸체(30)의 내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몸체(40, 44)가 부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몸체(40, 44)는 1층 몸체(10) 및 2층 몸체(30)와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벌통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유지하고 보온효과 및 냉방효과를 가져온다.
즉, 내부몸체(40, 44)는 대략 상면과 하면이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1층 몸체(10)와 2층 몸체(30)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몸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높이는 각각의 몸체에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더 높게 형성되며, 1층 몸체(10)에 장착되는 내부몸체(40)와 2층 몸체(30)에 장착되는 내부몸체(44)는 별도로 제작되어 각각의 몸체에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나무재질의 내부몸체(40, 44)는 1층 몸체(10) 및 2층 몸체(30)와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므로써, 필요시 분리가 가능하며, 나무의 특성상 일정한 수준의 습기를 머금고 있으므로 건조한 날씨에는 가습작용을 하고, 흐린 날씨에는 제습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EPP 재질의 몸체들과 서로 융합되어 보온효과와 함께 냉방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다.
여기서, 2층 몸체(30)는 1층 몸체(10)에서 한 층이 올라간 몸체를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3층 몸체, 4층 몸체 등 복층(n층)의 몸체가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최초 양봉을 시작할 때 벌의 세력이 약하면, 2층 몸체(30)를 제거하고 1층 몸체(10)에 뚜껑(50)을 덮어 양봉을 하다가, 벌의 세력이 커지면 2층 몸체(30)를 적층하여 사용하고 더욱 벌의 세력이 커지면 3층, 4층 몸체를 적층하여 양봉작업에 사용할 수 있으며, 벌꿀의 채밀시에는 복층의 몸체에서 한 층만을 빼내어 채밀한 뒤 다시 양봉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1층 몸체(10)에 착탈되는 내부몸체(40)는 전후좌우의 몸체판(41)과, 상기 몸체판(41)에 착탈되는 입구판(42)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판(41)에는 벌들이 외부로 들어오고 나가는 출입구(43)가 형성되며, 2층 몸체(30)에 착탈되는 내부몸체(44)는 전후좌우의 몸체판만 구성되고 별도의 입구판이나 출입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입구판(42)은 1층 몸체(10)에 형성된 결합구(11)를 통해 몸체판(41)과 결합됨으로써, 결합구(11)를 막아주어 벌들이 통행하는 통로의 면적을 조절해주고,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벌들에 대한 적의 침입을 방지한다. 즉, 말벌 등이 벌통을 공격할 경우 입구판(42)에 꿀벌들이 모여서 적의 공격을 방어하게 된다.
상기 1층 몸체(10)는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6)에 형성된 바닥판(12)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출입구(43)를 통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사양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1층 몸체(10)는 결합구(11)가 상부몸체(17)와 하부몸체(16)가 결합됨으로써 나타나고, 하부몸체(16)의 상부면 즉, 바닥판(12)의 상면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이 굴곡져 있는 바닥판(12)에 의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벌들의 식량인 사양액을 줄 때 벌통이 경사진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굴곡면에 의해 높낮이가 낮은 쪽에 남게 되어 사양액이 한쪽으로 흘러내려 외부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굴곡진 바닥판(12)은 적절한 양의 사양액을 주도록 유도함으로써 벌들의 꿀 채집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겨울철에 양봉을 할 때에는 벌들이 양식인 꿀을 따올 꽃이 없으므로 사양액의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 1층 몸체(10)의 바닥판(12)에 대한 공간을 구획하여 사양액의 양을 늘려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판(12)의 일측에는 구획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홈(14)에는 차단판(15)이 착탈되며, 상기 차단판(15)에 의해 벌통에 공급하는 사양액의 양 조절이 용이하며, 공급된 사양액이 한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12)의 구조는 공급하고자 하는 사양액의 양 조절이 용이한데, 많은 양의 사양액을 공급할 경우 출입구(43) 쪽의 차단판만 남겨두고 나머지 차단판을 제거한 다음 사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고, 사양액의 공급량을 줄일 경우 출입구 반대쪽의 차단판을 구획홈에 끼워 한쪽 공간에만 사양액을 공급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분리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몸체의 일부분 구성도로써, 상기 1층 몸체(10)는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7)는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으로 구성되고, 하부몸체(16)의 상부에는 전체적인 두께보다 얇도록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의 하부에는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와 단차부(21)가 맞닿은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1층 몸체(10)의 강도가 향상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1층 몸체(1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몸체(17)와 하부몸체(16)가 별도로 사출 성형되며, 상부몸체(17)는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이 각각 별도로 성형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전면몸체판(18)과 후면몸체판(19)은 그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좌면몸체판와 우면몸체판 역시 그 형상이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금형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이 편리하며, 재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상기 1층 몸체의 상부몸체(17)는 2층 몸체(30)와 동일한 형상이어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재고에 대한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의 하부에는 전체적이 두께보다 얇은 단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6)의 상부에는 상기 단차부(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도 8에서 확인되듯이 단차부(21)와 돌출부(13)가 서로 결합되면 상부몸체(17)나 하부몸체(16)의 전체적인 두께와 일치하는 두께가 되므로, 결합된 이후에는 외부에서 볼 때는 일정한 두께로 보이게 된다.
도 6에 나타나듯이, 상기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 역시 상기 단차부(21)와 돌출부(13)처럼 결합시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교차부로 인해 결합위치를 안내해줌으로써 결합작업이 용이해지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상기 내부몸체(40, 44)의 내부에는 격리판(60)이 부가 설치되되, 상기 격리판(60)은 벌 세력에 따라 벌들을 분리하며, 상부에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내부몸체(40, 44)에서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즉, 격리판(60)은 걸림돌기(61)에 의해 내부몸체(40, 44)의 상부에 걸친 상태로 고정되며, 이러한 격리판(60)은 벌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아주고, 벌통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벌집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복층형 양봉용 벌통은 몸체를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여 제작을 간편하게 하고, 뚜껑에는 공기순환구를 형성하여 여름철 벌통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며, 몸체의 내부면은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공기순환율을 높여 벌통 내부가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하며, 몸체를 1층 몸체와 2층 몸체로 구성하여 벌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몸체 내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몸체를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내부몸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몸체에 의해 벌통의 습도를 조절하고 유지함과 동시에 보온효과와 냉방효과를 볼 수 있는 현저한 효과와 함께, 1층 몸체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각각 구성하며, 하부몸체에 형성된 바닥면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출입구를 통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측에는 구획홈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홈에는 차단판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들의 식량인 사양액을 공급량 조절이 용이하고 공급된 사양액이 한쪽으로 쏠려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1층 몸체
11. 결합구 12. 바닥판
13. 돌출부 14. 구획홈
15. 차단판 16. 하부몸체
17. 상부몸체 18. 전면몸체판
19. 후면몸체판 20. 좌(우)면몸체판
21. 단차부
30; 2층 몸체
31. 전면몸체판 32. 후면몸체판
33. 좌(우)면몸체판
40; 내부몸체
41. 몸체판 42. 입구판
43. 출입구 44. 2층 내부몸체
50; 뚜껑
51. 공기순환구 52. 보강판
60. 격리판 61. 걸림돌기

Claims (5)

  1.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에 있어서,
    상기 벌통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료로 사출 성형되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1층 몸체(10)와, 상기 1층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1층 몸체(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2층 몸체(30)와, 상기 2층 몸체(30)의 상부에 착탈되며 공기순환구(51)가 형성된 뚜껑(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들(10, 30)의 내부 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층 몸체(10)와 2층 몸체(30)의 내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내부몸체(40, 44)가 부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몸체(40, 44)는 몸체(10)와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벌통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유지하고 보온효과 및 냉방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상기 내부몸체(40)는 전후좌우의 몸체판(41)과, 상기 몸체판(41)에 착탈되는 입구판(42)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판(41)에는 벌들이 외부로 들어오고 나가는 출입구(43)가 형성되며,
    상기 1층 몸체(10)는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6)에 형성된 바닥판(12)은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출입구(43)를 통한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벌통이 경사진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사양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높낮이가 낮은 쪽에 남게 되어 사양액이 한쪽으로 흘러내려 외부로 새는 것이 방지되고, 적절한 양의 사양액을 주도록 유도할 수 있어 벌들의 꿀 채집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상기 바닥판(12)의 일측에는 구획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홈(14)에는 차단판(15)이 착탈되며, 상기 차단판(15)에 의해 벌통에 공급하는 사양액의 양 조절이 용이하며, 공급된 사양액이 한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1층 몸체(10)는 하부몸체(16)와 상부몸체(17)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7)는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으로 구성되고, 하부몸체(16)의 상부에는 전체적인 두께보다 얇도록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의 하부에는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와 단차부(21)가 맞닿은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1층 몸체(10)의 강도가 향상되며
    상기 상부몸체(17)와 하부몸체(16)가 별도로 사출 성형되며, 상부몸체(17)는 전후면몸체판(18, 19)과 좌우면몸체판(20)이 각각 별도로 성형되어 조립되되,
    상기 전면몸체판(18)과 후면몸체판(19)은 그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좌면몸체판와 우면몸체판 역시 그 형상이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금형의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이 편리하며, 재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것이 특징인 복층형 양봉용 벌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39430A 2017-10-25 2017-10-25 복층형 양봉용 벌통 KR10196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30A KR101966237B1 (ko) 2017-10-25 2017-10-25 복층형 양봉용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30A KR101966237B1 (ko) 2017-10-25 2017-10-25 복층형 양봉용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237B1 true KR101966237B1 (ko) 2019-04-09

Family

ID=6616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30A KR101966237B1 (ko) 2017-10-25 2017-10-25 복층형 양봉용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366A (ko) 2020-01-02 2021-07-12 오승재 발포수지 벌통용 뚜껑의 분리 방지장치
KR102373660B1 (ko) * 2021-10-29 2022-03-14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양봉용 벌통의 바닥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39Y1 (ko) *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KR200402336Y1 (ko) * 2005-08-13 2005-11-30 노영걸 내면 돌기형 토종 벌통
KR100576626B1 (ko) 2004-07-07 2006-05-08 (주) 동아양봉산업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KR20070109959A (ko) * 2007-06-12 2007-11-15 이성진 다기능 휴대용 벌통
KR20090128792A (ko) 2008-06-11 2009-12-16 (주)비센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벌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626B1 (ko) 2004-07-07 2006-05-08 (주) 동아양봉산업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KR200385239Y1 (ko) * 2005-03-08 2005-05-25 윤지훈 통풍이 강화된 벌통
KR200402336Y1 (ko) * 2005-08-13 2005-11-30 노영걸 내면 돌기형 토종 벌통
KR20070109959A (ko) * 2007-06-12 2007-11-15 이성진 다기능 휴대용 벌통
KR20090128792A (ko) 2008-06-11 2009-12-16 (주)비센 분리 성형한 후에 조립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개선된벌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366A (ko) 2020-01-02 2021-07-12 오승재 발포수지 벌통용 뚜껑의 분리 방지장치
KR102373660B1 (ko) * 2021-10-29 2022-03-14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양봉용 벌통의 바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237B1 (ko) 복층형 양봉용 벌통
KR200385239Y1 (ko) 통풍이 강화된 벌통
CN104039200A (zh) 复合身体支撑构件及其制造和再循环利用的方法
KR101966234B1 (ko) 양봉용 벌통
KR101986727B1 (ko) 벌통용 단열 패널
CN104540735A (zh) 飞行器厨房立体空间结构
US3343186A (en) Hive
US20210059224A1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US20140230152A1 (en) Pillow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KR20190135654A (ko) 조립식 벌통
KR200408552Y1 (ko) 기능성 침대 머리판
CN110786269B (zh) 一种西蜂蜂箱
CN108347901A (zh) 厕所用铺垫材料和厕所
KR100576626B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KR200287083Y1 (ko) 계상형 벌통
KR200491251Y1 (ko) 통풍성이 향상된 양봉용 벌통
KR101783465B1 (ko)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JP2004254648A (ja) ペットルーム
KR20200025739A (ko)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KR102016759B1 (ko) 캣타워 도어
KR100764609B1 (ko) 기능성 침대 머리판
KR20200023830A (ko) 조립식 벌통
JP2950757B2 (ja) みつばち巣箱
KR20140007165A (ko) 단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