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207B1 - 마을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을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207B1
KR101966207B1 KR1020190005675A KR20190005675A KR101966207B1 KR 101966207 B1 KR101966207 B1 KR 101966207B1 KR 1020190005675 A KR1020190005675 A KR 1020190005675A KR 20190005675 A KR20190005675 A KR 20190005675A KR 101966207 B1 KR101966207 B1 KR 10196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village
town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덕
남승주
나영환
Original Assignee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마을에 설치된 방송장치가 가정에 설치된 방송수신기에게 마을방송 전송시, 장애물에 의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곤란한 가정의 방송수신기에 대해서 상기 임의의 마을 주변의 인근 마을에 설치된 다른 방송장치로 마을방송을 전송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곤란한 가정의 방송수신기에게 마을방송이 원활하게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장애물에 의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어려운 지역이라 하더라도 인근 마을의 방송장비를 활용하여 난청지역 없이 전체적으로 원하는 마을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공동마을방송을 전송시 장애물이 있더라도 인근 마을로부터 해당 공동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마을방송을 쉽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을방송 시스템 {Villag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마을에 설치된 방송장치가 가정에 설치된 방송수신기에게 마을방송 전송시, 장애물에 의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곤란한 가정의 방송수신기에 대해서 상기 임의의 마을 주변의 인근 마을에 설치된 다른 방송장치로 마을방송을 전송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곤란한 가정의 방송수신기에게 마을방송이 원활하게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마을방송은 방송장치에 구비되는 확성기를 통해 방송하거나 거주지역별로 유선으로 연결하여 방송하고 있었다.
상기 마을방송 중 확성기의 경우는 원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마을주민에게 마을방송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고 마을방송 중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는 거주지가 신설되거나 증축되는 경우에 유선라인을 새롭게 증축함으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마을방송은 확성기로 마을방송 하는 문제점, 유선으로 방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을 이용한 마을방송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마을방송은 무선으로 함에 있어서, 숲, 지형적 특성과 같은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영역 전송시 중계기를 이용하여 마을방송을 전송하면 현 전파법에 저촉됨에 따라 중계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을방송은 중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가정에 전송하기 위하여 고비용의 안테나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방송장치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마을방송 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700호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마을방송을 하기 위한 마을방송장치와, 각 개별가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마을방송장치를 통해 출력된 방송내용을 개별가정에서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정방송수신기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각 개별가정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들과 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가정방송수신기에서 위급신호가 입력되거나 감지된 경우 응급발생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되어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에서 기 설정된 음성 메시지와 개별가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원거리에서 마을방송을 수행하고 위급상황 시 자동 알림 기능을 통해 위급상황에 처한 장소에서 최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주민들이나 관리자로 하여금 우선적으로 위급 상황을 신속히 전달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위급 상황을 마을방송을 통해 전체적으로 방송되도록 하고 있을 뿐,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각 가정에 원활히 마을방송을 제공할 수 없는 기술이다.
마을방송과 관련되어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361호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방송내용을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받아 송신하는 마을방송 요청자용 단말기, 상기 마을방송 요청자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송내용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마을방송 관리자에게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마을방송 송신장치, 상기 마을방송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확인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마을방송 관리자가 상기 마을방송 송신장치에 저장된 상기 방송내용을 검증할 수 있도록 출력시키는 마을방송 관리자용 단말기, 및 유선 전화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을방송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방송내용이 변화된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마을방송 수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을방송 송신장치는 상기 마을방송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마을방송 승인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내용이 변화된 상기 방송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을방송 수신장치로 무선 송신하되, 상기 방송내용이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내용을 상기 음성 또는 문자에 각각 대응되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음성 및 상기 문자가 한 쌍을 이루는 방송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을방송 수신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마을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마을방송 수신장치의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가 정상범위 또는 위험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위험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마을방송 송신장치로 응급상황발생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응급구조기관에 응급상황 경보신호를 전송시키는 생체정보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을방송 송신장치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버스회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버스의 현재위치 및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버스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버스정보를 화면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으로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된 것을 각각 대응되는 음성 또는 문자로 변환하고 다시 음성 및 문자가 한 쌍을 이루는 방송신호를 생성,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응급구조기관에 경보신호 전송, 버스정보를 화면에 출력시켜서 마을 주민이 버스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는 등 다양한 출력기능을 갖고 있을 뿐,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각 가정에 원활히 마을방송을 제공할 수 없는 기술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700호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361호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숲, 지형적 특성과 같은 장애물 등에 의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곤란한 가정의 방송수신기에게 마을방송이 원활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마을에 실시간으로 동시에 다자간 방송시에도 장애물에 의하여 해당 마을의 마을방송을 직접 수신이 곤란한 방송수신기도 인근 마을을 통해서 해당 마을의 마을방송을 원활히 수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을방송 시스템은 제 1 마을에서 제 1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제 1 방송입력부, 상기 제 1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1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1 방송수신기에게 전송하는 제 1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제 1 방송장치와; 상기 제 1 방송장치가 구비된 제 1 마을 인근의 제 2 마을에서 제 2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제 2 방송입력부, 상기 제 2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2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2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마을의 제 1 마을방송을 제 1 방송수신기가 수신하여야 하지만 장애물로 인하여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는 못하는 제 1 마을에 속하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1 마을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전송부로부터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공하는 제 2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제 2 방송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물에 의하여 마을방송 수신이 어려운 지역이라 하더라도 인근 마을의 방송장비를 활용하여 난청지역 없이 전체적으로 원하는 마을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공동마을방송을 전송시 장애물이 있더라도 인근 마을로부터 해당 공동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마을방송을 쉽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을방송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을방송 제공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이 있는 경우 마을방송 전송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환경조건에 의한 마을방송 제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마을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수신기들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마을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서 마을방송 제공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표현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을방송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마을방송 시스템은 제 1 방송입력부(110), 제 1 무선전송부(120)를 포함하는 제 1 방송장치(100)와 제 2 방송입력부(210), 제 2 무선전송부(220)를 포함하는 제 2 방송장치(20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방송장치(100)의 제 1 방송입력부(110)는 제 1 마을에서 제 1 마을방송이 입력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방송입력부(110)는 제 1 마을에서 입력된 방송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송장치(100)에 확성기가 구비된 경우라면 직접 확성기를 통해서 이장이 제 1 마을방송을 입력한 것 또는 지방자치단체방송이 유무선망을 통해 입력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제 1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 상기 제 1 방송입력부(110)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방송들을 마을방송으로 하여 입력된다.
상기 제 1 방송장치(100)의 제 1 무선전송부(120)는 상기 제 1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1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1 방송수신기에게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마을의 가정1, 2, 3부터 가정n까지 각각 제 1 방송수신기가 설치됨에 따라 제 1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A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1 방송수신기로 전송하고 각각의 제 1 방송수신기는 제 1 방송입력부(110)에 입력된 제 1 마을방송이 출력된다.
상기 제 2 방송장치(200)의 제 2 방송입력부(210)는 상기 제 1 방송장치(100)가 구비된 제 1 마을 인근의 제 2 마을에서 제 2 마을방송이 입력된다.
예컨대, 상기 제 2 방송입력부(210)는 상기 제 1 방송입력부(110)와 같이 마이크와 같은 것으로서 입력된 방송 예를 들어 상기 제 2 방송장치(200)에 확성기가 구비된 경우라면 직접 확성기를 통해서 이장이 제 2 마을방송을 입력한 것 또는 지방자치단체방송이 유무선망을 통해 입력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제 2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 상기 제 2 방송입력부(210)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방송들을 마을방송으로 하여 입력된다.
상기 제 2 방송장치(200)의 제 2 무선전송부(220)는 상기 제 2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2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2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마을의 제 1 마을방송을 제 1 방송수신기가 수신하여야 하지만 장애물로 인하여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고 제 1 마을에 속하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1 마을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로부터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상기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마을에서 A마을의 마을방송을 수신하는 방송수신기1, 2, 3이 있다고 가정하면, 방송수신기1, 2는 제 1 무선전송부로부터 A마을의 마을방송을 수신하지만 예를 들어 숲과 산의 지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방송수신기3은 A마을의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영역에 해당되고 반면, 도 3에 도시된 제 2 무선전송부(220)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방송수신기3은 난청영역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 무선전송부(220)는 제 1 마을방송을 제 1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마을방송을 방송수신기3으로 전송함에 따라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장애물이 있는 가정까지 해당 마을방송을 전송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방송장치(100)의 제 1 방송입력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모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뎀에 의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호환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음성인 제 3 마을방송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가 장애물에 의해서 제 3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공하기 위한 제 3 마을방송을 상기 제 2 방송장치(200)의 제 2 무선방송부(220)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무선방송부(220)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3 마을방송을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방송입력부(100)는 모뎀을 구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즉,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과 호환됨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 즉, 마을방송이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 1 방송입력부(100)는 마을방송을 전송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음성인 마을방송을 A마을의 방송수신기3에 전송하고자 하여도 장애물로 인하여 방송수신기3은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마을방송이 제 2 무선전송부로 전송되고 제 2 무선전송부는 방송수신기3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마을방송이 방송수신기3에서 전송됨으로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장애물이 있는 가정까지 해당 마을방송을 전송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방송장치(100)는 상기 제 1 방송수신기에 전송되는 제 1 마을방송 전송시 방송환경과 제 2 방송장치에게 제 1 마을방송 전송시 다른 방송환경으로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1 마을방송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마이크를 이용한 방송의 경우에 상기 제 1 방송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A마을방송장치라 하고 제 2 방송장치(200)는 B마을방송장치라 가정하면 A마을의 방송수신기1 내지 방송수신기n은 A마을방송환경 1-1에서 A마을방송을 제공하고 또한, A마을방송장치는 장애물로 인하여 A마을방송을 제공받지 못하는 방송수신기6, 7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B마을방송장치에게 1-2 방송환경을 요청한다.
이때, B마을방송장치는 B마을 방송환경 2-1을 통해서 B마을의 방송수신기1 내지 방송수신기n에게 제공하는 도중에 1-2방송환경 요청에 의해서 1-2방송환경으로 전환 후 A마을의 방송수신기6, 7에게 1-2방송환경으로 A마을방송을 제공한다.
따라서, A마을은 정상적인 전송에 의한 방송환경 장애물로 인한 방송환경을 서로 달리하여 A마을방송을 모든 마을방송수신가 제공받는다.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역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 방송과 유사하게 작용함에 따라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주변의 각 마을에 공통마을방송 전송시, 각 마을에 설치된 다수의 방송장치와 호환되는 데이터통신부가 포함된 다자방송장치가 더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음성이 공통마을방송이 되고 상기 공통마을방송은 데이터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방송장치에 전송되며 상기 다수의 방송장치 각각은 이웃한 마을의 방송수신기들에게 상기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A, B, C, D마을 공통사항에 해당하는 공통마을방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마을은 장애물1로 인하여 방송장치1이 공통마을방송을 방송수신기1로 전송되지 않고 B마을도 장애물2로 인하여 방송장치2가 공통마을방송을 방송수신기2로 전송되지 않으며 C마을도 장애물3으로 인하여 방송장치3이 공통마을방송을 방송수신기3으로 전송되지 않고 D마을도 장애물4로 인하여 방송장치4가 공통마을방송을 방송수신기4로 전송되지 않으며 특히, 실시간 전송시에 더욱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자간 공통마을방송 전송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마을의 방송장치1은 B마을의 장애물2로 인하여 공통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수신기2로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하고 B마을의 방송장치2는 C마을의 장애물3으로 인하여 공통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수신기3으로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하고 C마을의 방송장치3은 D마을의 장애물4로 인하여 공통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수신기4로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하고 D마을의 방송장치4는 A마을의 장애물1로 인하여 공통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수신기1로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한다.
따라서, 공통마을방송은 각 가정의 방송수신기1, 2, 3, 4 모두가 실시간으로 공통마을방송을 자연스럽게 청취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 다자간 공통마을방송은 도 7에 도시된 전송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는 지방자치단계, 관공서와 같은 국가단체에서 각종 마을방송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각종 마을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종 마을방송을 제 2 무선전송부(220)로 전송하고 각종 마을방송을 수신한 제 2 무선전송부(220)는 각종 마을방송을 제 3 방송수신기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무선전송부(120)는 국가단체에서 태풍과 관련된 마을방송 제공시 장애물로 인하여 태풍 관련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가정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장애물이 있다하더라도 제 2 무선전송부(220)를 통해 원활하게 장애물이 있는 가정의 방송수신기에 태풍 관련 마을방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제 1 방송장치(100)와 제 2 방송장치(20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제 1 방송장치(100)도 제 2 방송장치(200)의 역할을 수행하는 정도의 변형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방송장치 110 : 제 1 방송입력부
120 : 제 1 무선전송부 200 : 제 2 방송장치
210 : 제 2 방송입력부 220 : 제 2 무선전송부

Claims (5)

  1. 제 1 마을에서 제 1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제 1 방송입력부, 상기 제 1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1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1 방송수신기에게 전송하는 제 1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제 1 방송장치와;
    상기 제 1 방송장치가 구비된 제 1 마을 인근의 제 2 마을에서 제 2 마을방송이 입력되는 제 2 방송입력부, 상기 제 2 마을방송을 무선으로 제 2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제 2 방송수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마을의 제 1 마을방송을 제 1 방송수신기가 수신하여야 하지만 장애물로 인하여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고 제 1 마을에 속하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1 마을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전송부로부터 제 1 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공하는 제 2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제 2 방송장치로 이루지면서,
    상기 제 1 방송장치의 제 1 방송입력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모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뎀에 의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호환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음성인 제 3 마을방송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무선전송부가 장애물에 의해서 제 3 마을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공하기 위한 제 3 마을방송을 상기 제 2 방송장치의 제 2 무선전송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 2 무선방송부는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3 마을방송을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주변의 각 마을에 공통마을방송 전송시, 각 마을에 설치된 다수의 방송장치와 호환되는 데이터통신부가 포함된 다자방송장치가 더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음성이 공통마을방송이 되고 상기 공통마을방송은 데이터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방송장치에 전송되며 상기 각각의 방송장치는 이웃한 마을의 방송수신기들에게 상기 공통마을방송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장치는 상기 제 1 방송수신기에 전송되는 제 1 마을방송 전송시 방송환경과 제 2 방송장치에게 제 1 마을방송 전송시 다른 방송환경으로 제 3 방송수신기에게 제 1 마을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전송부는
    지방자치단계, 관공서와 같은 국가단체에서 각종 마을방송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각종 마을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종 마을방송을 제 2 무선전송부로 전송하고 각종 마을방송을 수신한 제 2 무선전송부는 각종 마을방송을 제 3 방송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190005675A 2019-01-16 2019-01-16 마을방송 시스템 KR10196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75A KR101966207B1 (ko) 2019-01-16 2019-01-16 마을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75A KR101966207B1 (ko) 2019-01-16 2019-01-16 마을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207B1 true KR101966207B1 (ko) 2019-04-05

Family

ID=6610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75A KR101966207B1 (ko) 2019-01-16 2019-01-16 마을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30B1 (ko) 2020-04-13 2020-11-18 주식회사 비전 마을 방송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201A (ja) * 2001-05-09 2002-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装置
KR20130136635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규모지역 또는 건물의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3361B1 (ko) 2015-04-08 2015-10-26 (주)유진테크시스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45443A (ko) * 2016-10-25 2018-05-04 강남일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6670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201A (ja) * 2001-05-09 2002-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装置
KR20130136635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아이에스디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규모지역 또는 건물의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3361B1 (ko) 2015-04-08 2015-10-26 (주)유진테크시스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45443A (ko) * 2016-10-25 2018-05-04 강남일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6670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30B1 (ko) 2020-04-13 2020-11-18 주식회사 비전 마을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3918B2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deliver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to an ad hoc group of mobile subscribers
WO2017096637A1 (zh) Mimo卫星服务终端
KR101563361B1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RU200913108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редупреждений через радиовещание
US20180098207A1 (en) Relay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569059B1 (ko)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WO2008051303A4 (en) Disaster aler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66207B1 (ko) 마을방송 시스템
US20030022684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notification
CN108476386B (zh) 行动装置的广播通讯方法及无线电云端系统的通讯方法
KR101563891B1 (ko)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3890B1 (ko) 혼선방지 기능을 갖는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6158B1 (ko) 디지털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JP55206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90069890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JP6661182B1 (ja) 防災放送システム
KR102062770B1 (ko)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JP5301296B2 (ja) 無線告知放送システム
JP2954196B1 (ja) 市町村防災無線システム
JP2009116492A (ja) 通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子機器
JP4680053B2 (ja) 防災情報広域報知システム
CN100440948C (zh) 广播接收装置及广播信号接收方法及广播系统
KR102298732B1 (ko) 방송기기의 방송 내용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