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69B1 - 무한반사거울 - Google Patents

무한반사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69B1
KR101966169B1 KR1020170021993A KR20170021993A KR101966169B1 KR 101966169 B1 KR101966169 B1 KR 101966169B1 KR 1020170021993 A KR1020170021993 A KR 1020170021993A KR 20170021993 A KR20170021993 A KR 20170021993A KR 101966169 B1 KR101966169 B1 KR 10196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nit
reflection mirror
light emitting
infi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968A (ko
Inventor
이수홍
김대은
이형석
양웅
우민혁
황현태
이원기
조연철
김효겸
김태현
최익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shape of the mirro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 H05B33/0845
    • H05B33/086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프미러 후면에 부착되는 LED와 거울의 반사기능을 이용하여 무한한 공간을 만드는 착시현상을 제공한다. 또한, LED의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이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착시현상을 제공하는 무한반사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한반사거울{Infinite reflective mirror}
본 발명은 거울을 이용한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거울에 빛이 노출되어, 일정 시간 동안 거울에 반복 반사되는 빛의 시차를 이용한 입체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무한반사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 light-emitting diode)는 GaP, 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의 PN 접합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체 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 제조시 반도체 화합물의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파장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는 소정 영역의 파장을 이용하는 의료용은 물론, 식물의 생장촉진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력 소모가 적으면서도 시인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신호등, 차량의 리어 램프, 그리고 옥외 광고용 간판으로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점점 확대되어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2164호("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2016.11.17.)와 같이 거울에도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손거울 뒤에 LED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가능한 거울을 제공하고 있을 뿐, 그 이외의 다른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2164호("백라이트를 이용한 손거울",2016.11.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에 거울을 장착하여 무한반사원리를 이용하여 무한한 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모터를 구비하여 LED의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이 상하좌우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착시현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LED 전방에 하프미러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조명장치 또는 거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은,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투광거울, 상기 투광거울 후면 배치되는 반사거울, 상기 투광거울과 상기 반사거울 둘레를 감싸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을 따라 상기 투광거울과 상기 반사거울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부, 일측 단부가 상기 반사거울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반사거울이 상기 투광거울과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소자부의 색상, 밝기,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부는 LED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무한반사거울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발광소자부의 색상, 밝기,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입력부는 모션인식센서, 음성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터치센서, 버튼타입, 근거리무선통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반사거울.
본 발명에 의하면, 무한반사거울은 일반적인 거울로 사용되며 또한 조명장치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LED와 거울을 이용하여 입체적이고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가지는 무한반사거울로써, 공연 무대, 전시회, 미술관 또는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시장성이 높다는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더불어,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며 친환경적이므로 전기료와 생활비는 절감시키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의 구동부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거울(110), 투광거울연결부(120), 외곽프레임(130), 반사거울(140) 및 발광소자부(150)로 이루어진 거울부(100), 구동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투광거울(110)은 임계각 이상의 빛은 외부로 투사하고 임계각 이내의 빛은 내부로 반사시키는 거울(Mirror)로서, 외부 노출 면의 반사율에 비해 내측 방향의 반사율이 더 높게 설정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거울(140)은 상기 투광거울(110)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투광거울(110)과 같이 하프미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거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을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소자부(150)에서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임계각(예컨대 60도, 이하 생략함) 이하의 빛은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 사이에서 무한 반복되고, 상기 임계각 이상의 빛은 상기 투광거울(110)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임계각을 만족하지 못하고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 사이에서 수차 반복되던 빛 중 일부는 상기 임계각을 만족하면 상기 투광거울(110)의 외부로 방출되며, 이때, 외부로 방출되는 빛은 시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차에 의해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 사이의 공간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광거울연결부(120)는 상기 투광거울(110) 주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거울연결부(120)는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130)은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더 나아가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30)은 아크릴, 유리, 플라스틱, 크리스탈,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부(150)는 상기 외곽프레임(130)을 따라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소자부(150)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소자부(150)의 발광 면은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의 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부(150)와 상기 투광거울(110)과 상기 반사거울(140)의 면 방향에 대한 위치관계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의 구동부(200)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0)의 일측단부는 상기 반사거울(1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200)는 모터부(210), 모터링크부(220), 반사거울링크부(230), 베어링부(240), 볼조인트부(250) 및 모터지지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의 모터부(210)는 네 개의 제 1스텝모터, 제 2스텝모터, 제 3스텝모터, 제 4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거울링크부(230)는 상기 모터부(2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반사거울(140)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반사거울링크부와 상기 반사거울(140)은 상기 베어링부(240)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링크부(220)는 상기 모터부(2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반사거울링크부(230)와 소정의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한반사거울은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아두이노 메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거울(140)이 상기 투광거울(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다양한 입체적인 시각적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반사거울(140)이 상하좌우로 움직여 동적인 시각적효과를 만들도록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200)의 모터부(210), 모터링크부(220), 반사거울링크부(2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보다 나아가 상기 발광소자부(150)의 밝기, 색 등의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한반사거울은 입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모션센서, 음성센서, 무선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입력, 홍채인식센서, 버튼과 같은 스위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모션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는 Talmic lab에서 발명한 마이오(MYO)밴드로 할 수 있다. 상기 마이오밴드는 인간의 근육을 입력 값으로 가지고 그에 따라 출력 값을 가지게 되어 제어에 이용된다.
이때, 상기 모션감지신호는 주먹을 쥐는 모션, 손바닥을 활짝 피는 모션, 손바닥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모션, 손바닥을 왼쪽으로 움직이는 모션, 손가락 검지와 중지를 엄지와 두 번 탭(Tab)하는 모션과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발광소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섯 가지의 모션감지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은 지진과 같은 진동이 일어나는 시각적 효과, 무한공간에서 파도가 출렁이는 시각적 효과, 상기 발광소자부(150)의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여 만드는 illusion 효과, 이외의 역동적인 시각적효과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발광소자부(15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한반사거울은 시각적효과를 가지는 조명장치로 이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거울로 사용가능 하다.
또한, 상기 수신부(410)는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거울부
110: 투광거울 120: 투광거울연결부 130: 외곽프레임 140: 반사거울
150: 발광소자부
200: 구동부
210: 모터부 220: 모터링크부
230: 반사거울링크부 240: 베어링부
250: 볼조인트부 260: 모터지지대
300: 제어부
400: 입력부
410: 수신부

Claims (5)

  1.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투광거울;
    상기 투광거울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거울;
    상기 투광거울과 상기 반사거울 둘레를 감싸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을 따라 상기 투광거울과 상기 반사거울 사이에 발광면이 상기 투광거울 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소자부;
    일측 단부가 상기 반사거울에 연결되어 상기 반사거울의 상하좌우 및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발광소자부의 색상, 밝기, 점멸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반사거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반사거울은,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발광소자부의 색상, 밝기,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반사거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모션인식센서, 음성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터치센서, 버튼타입, 근거리무선통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반사거울.
KR1020170021993A 2017-02-20 2017-02-20 무한반사거울 KR10196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93A KR101966169B1 (ko) 2017-02-20 2017-02-20 무한반사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93A KR101966169B1 (ko) 2017-02-20 2017-02-20 무한반사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68A KR20180095968A (ko) 2018-08-29
KR101966169B1 true KR101966169B1 (ko) 2019-08-13

Family

ID=6343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993A KR101966169B1 (ko) 2017-02-20 2017-02-20 무한반사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3750B1 (en) 2018-08-17 2023-07-19 Lg Chem, Ltd. Polymer, monom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KR102267346B1 (ko) * 2020-08-07 2021-06-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포그핀유닛을 포함하는 적응광학 장치의 변형거울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72B1 (ko) * 2008-07-29 2008-12-26 (주)엘이디피아 공간 연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9968B2 (en) 2014-11-06 2019-10-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messag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72B1 (ko) * 2008-07-29 2008-12-26 (주)엘이디피아 공간 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68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77522A3 (en) Micromirror systems with concealed multi-piece hinge structures
KR20120030388A (ko) 기능 강화 구조체를 갖는 조명 기구
WO2003023467A3 (e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KR101966169B1 (ko) 무한반사거울
US10094965B2 (en) Pattern displaying device
WO2008156163A1 (ja) 実鏡映像結像光学系
EP1501007A3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pting a user control input
EP1193773A3 (en) Optical device for an optical element and apparatus employing the device
WO2006130387A3 (en) Cassegrain optical configuration to expand high intensity led flashlight to larger diameter lower intensity beam
RU2011154333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ветящимся корпусом с расцветкой, зависящей от окружающей обстановки
TW200512947A (en) Optical module, optical transceiver, and optical joint sleeve
US20180301788A1 (en) Optically transmissive antenna break structures for wireless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processes
US61167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retroreflective and other objects
US11353646B2 (en) Waveguide lighting fixture providing ambient light
US20200233266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 housing
CN108240866B (zh) 光电模块、运动感测装置及其驱动方法
TWI500884B (zh) 照明裝置與應用此照明裝置之隱蔽式照明模組
WO2008155899A1 (ja) 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TW201615958A (zh) 光學建材
CN104930379B (zh) 一种可变焦的灯具
GB2319332A (en) Lighting system with variable-focus lens
EP1569016A4 (en) TWO-DIMENSIONAL PHOTONIC CRYSTAL WITH LO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JP2019075330A (ja) 照明装置
CN106871001B (zh) 一种光束灯装置
US20220288503A1 (en) Toy with integrated light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