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43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043B1
KR101966043B1 KR1020120062528A KR20120062528A KR101966043B1 KR 101966043 B1 KR101966043 B1 KR 101966043B1 KR 1020120062528 A KR1020120062528 A KR 1020120062528A KR 20120062528 A KR20120062528 A KR 20120062528A KR 101966043 B1 KR101966043 B1 KR 10196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hute
refrigerator
ban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8958A (en
Inventor
손주현
이동훈
이욱용
김동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043B1/en
Priority to US13/905,345 priority patent/US20130327081A1/en
Priority to CN201310231207.5A priority patent/CN103486810B/en
Priority to EP13171366.1A priority patent/EP2674703B1/en
Publication of KR2013013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 및 상기 이송 부재의 출구단과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얼음 이송 통로가 되는 아이스 슈트가 포함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냉동실에서 냉장실 도어에 위치한 아이스뱅크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냉장실 도어가 열리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얼음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얼음의 낭비를 막고,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는 부가적인 센서나 모터를 통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기계적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장이 일어날 경우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a cabinet in which a freezing chamber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forme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 ice bank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and storing ice therein; A dispenser provided below the ice bank for discharg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to the outside;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freezing room for making ice; A transfer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ce maker for transferring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to the ice bank; And an ice chute which connects the outlet end of the conveying member and the ice bank and serves as an ice transfer passage, and ic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from the ice chute in a state that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is open And a stopper is formed to cut of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mitting a space for providing a separate ice maker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by positioning the ice maker in the freezer compartment, . Therefo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s a whole can be increased while maintaining ease of use. Further, since the ice making is performed in the freezing roo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can also be expected. Also, even i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ic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to the ice bank loca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ce is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stopp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te of ice is prevented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Particularly, since the stopper uses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without using an additional sensor or a control through a motor,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place and repair when a failure occurs.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by storing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그리고,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되어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정수된 물과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An ice maker for making ice is usually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The ice maker is configured such that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r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to make ice.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door may be provided with a purified water or a dispenser for taking ice from the ice maker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refrigerato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nd a dispen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irculation of cold air in the ice making chamb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30)에 의해 전체적인 외부 형상이 형성된다.1 and 2, a conventional refrigerator 1 includes a cabinet 10 for form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doors 20 and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10, Shape is formed.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구획된 상방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된다.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abinet 10 is partitioned up and down by the barrier 11. [ A refrigerating chamber (12) is formed above the compartment, and a freezing chamber (13) is formed below.

상기 도어(20,30)에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30)가 포함된다. The doors 20 and 30 include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a freezing chamber door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13.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2)는 독립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arranged laterally. The plurality of doors include a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and a secon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and the secon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2) are configured to rotate independently.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도어로 구성되며,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is composed of a door capable of sliding in and ou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arranged up and dow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composed of one door as required.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22)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3)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21)에 상기 디스펜서(23)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On the other hand, a dispenser 23 for taking out water or ice is provided on one of the doors of the first and second refrigerating chamber doors 21 and 22. In FIG. 1, for example,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is provided with the dispenser 23.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는 제빙실(4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빙실 도어(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An ice making chamber 40 is formed i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1 to make and store ice. The ice making chamber 40 is formed to have an independent heat insulating space and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ice making chamber door 41. An ice maker (not shown) for making ice may be provid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0, and the ice can be stored or guided to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23.

상기 제빙실(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냉기 덕트(50)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42)와 냉기 출구(43)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42)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제빙실(40)의 내부를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열교환된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43)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A cool air inlet 42 and a cool air outlet 43 communicating with the cool air duct 50 provided in the cabinet 10 when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is closed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0 .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inlet 42 allows the in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0 to be cooled to make ice and the heat exchanged col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40 through the cold air outlet 43 .

한편,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상기 냉동실(13)과 구획되는 열교환실(14)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실(14)에는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3)과 냉장실(12) 그리고 상기 제빙실(40)로 공급되어 각각의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meantime, a heat exchange chamber (14)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freezing chamber (13) to partition the freezing chamber (13).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supplied to the freezing chamber 13,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the ice making chamber 40 to cool the respective spaces. .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측벽면에는 상기 제빙실(40)로의 냉기 공급 및 제빙실(40)의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냉기 덕트 (5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50)는 상기 냉동실(13) 측에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기 입구(42) 및 냉기 출구(43)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50)는 상기 열교환실(14) 및 냉동실(13)과 연통된다. A cool air duct 50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ice making chamber 40 and recovering cold air from the ice making chamber 40 is provided on a sidewall of the cabinet 10. The cool air duct 50 extends from the freezing chamber 1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so that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21 is closed the cool air inlet 42 and the cool air outlet 43 . The cool air duct 50 communicates with the heat exchange chamber 14 and the freezing chamber 13.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14)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공급 유로(51)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40)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회수 유로(52)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13)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50)를 통한 냉기의 지속적인 순환에 의해 상기 제빙실(40) 내부에서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ol air in the heat exchange chamber 14 flows into the ice making chamber 40 through the supply passage 51 of the cool air duct 50, and the cool air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40 flows into the cool air duct 50 to the freezing chamber 13 through the recovery flow path 52. In addition, ice can be made and stor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0 by continuous circulation of cool air through the cool air duct 50.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얼음의 제빙 및 저장이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제공되는 상기 제빙실(40)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부피가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20) 배면의 수납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icing and storing of ice are performed in the ice making chamber 40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hamber door 20, so that the volume of the refrigerator chamber door 20 is increased So that the storage space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is reduced.

또한, 제빙을 위한 냉기가 상기 제빙실까지 공급될 수 있어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because cool air for making ice can be supplied to the ice making chamber.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이송장치에 의해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아이스 뱅크로 공급하고, 디스펜서를 통해 외부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수납 공간을 늘리고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supply ice to the ice bank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by the transfer device and take out the ic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ispenser so as to increase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Refrigerator.

또한 나아가, 얼음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 얼음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장치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topper at one side of a transfer device so as to prevent ice from dropping when the door is opened during the transfer of ice.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 입구단이 상기 하우징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단이 상기 냉장실의 측면에 노출되는 아이스 슈트; 입구단이 상기 냉장실의 측면에 노출되고, 출구단이 상기 냉동실에 놓이는 냉기 덕트; 및 상기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이 정지하여 얼음 이송이 중단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의 일부를 차폐하는 댐퍼와, 상기 댐퍼를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댐퍼의 자중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상기 얼음에 작용하면서 상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얼음이 상기 댐퍼를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배출되면,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 출구단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a cabinet in which a freezing chamber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forme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 ice bank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and storing ice therein; A dispenser provided below the ice bank for discharg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to the outside;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freezing room for making ice; A housing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to receive ice separated from the ice maker; A convey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conveying ice stored in the housing to the ice bank; An ice chute having an inlet end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e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 cold air duct having an inlet end ex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an outlet end placed in the freezing chamber;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eeding member, wherei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and ice transfer is stopped, and at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And a stopper for blocking ice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in a state that the ice chute is in a state of being opened. The stopper includes: a damper for shielding a part of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And the damper is configured to apply a resistance force corresponding to the self weight of the damper to the ice when the ice is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And the ice is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through the damper And a portion of the outlet end of the ice chute is shiel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ce maker is loc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a space for providing a separate ice maker can be omit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t is possible to further enlarge the space for storing the data. Therefo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s a whole can be increased while maintaining ease of use.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Further, since the ice making is performed in the freezing roo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can also be expected.

또한, 냉동실에서 냉장실 도어에 위치한 아이스뱅크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냉장실 도어가 열리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얼음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얼음의 낭비를 막고,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Also, even i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ic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to the ice bank loca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ce is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stopp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te of ice is prevented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특히, 상기 스토퍼는 부가적인 센서나 모터를 통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기계적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장이 일어날 경우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topper uses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without using an additional sensor or a control through a motor,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place and repair when a failure occur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스토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reezing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ic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ing state of ice through an ic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topper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ortion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ortion,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to " comprise "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캐비닛(110)과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는 베리어(111)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13)이 형성된다. 3 to 5,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cabinet 110 and a door. The inside of the cabinet 110 is partitioned by a barrier 111 so that a refrigerating chamber 1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freezing chamber 113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200)와, 만들어진 얼음을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를 구성하는 아이스 슈트(340)와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장실(112)의 측벽에 각각 개구부(341,35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개구부(341)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벗어나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되는 부분이므로, ‘토출단(341)’이라 할 수도 있다.In the freezing chamber 113, an ice maker 200 for making ice and an ice transfer device 300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bank 140 may be provided. The ice chute 340 and the cool air duct 350 constituting the ice transfer device 300 form openings 341 and 351 on the side wall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respectively.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340 may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end 341' because ice is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340 to the ice bank 140.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1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20)와 상기 냉동실(113)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로 구성되며, 각각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3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면서 상기 냉동실(1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The door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0 for block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and a freezing chamber door 130 for blocking the freezing chamber 113.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includes a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1 and a secon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2 by pivoting. The freezing chamber door 13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hamber 113 while being slid in and ou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정수된 물과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dispenser 12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The water purified through the dispenser 123 and the ice that has been de-iced from the ice maker 200 described below can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배면에는 아이스 뱅크(14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얼음 이송장치(300)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 슈트(340) 및 냉기 덕트(350)와 연결되어 얼음의 공급 및 냉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상기 디스펜서(123)와 연통되어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는 얼음이 수용되는 별도의 케이스(14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얼음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오거(143)와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ce bank 140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0. The ice bank 140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ice bank 140 as a space for storing ice transferred by the ice transfer devic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ice bank 140 forms a heat insulating space.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is closed, the ice bank 140 is connected to the ice chute 340 and the cold air duct 350, . The ice bank 140 communicates with the dispenser 123 so that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140 can be taken out when the dispenser 123 is operated. In addition, a separate case 142 for receiving ice can be provided in the ice bank 140, and an auger 143 for smoothly moving the ic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A blade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2) 내측 벽면에 형성된 상기 아이스 슈트(340) 및 냉기 덕트(350)의 개구부(341,351)와 대응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측벽면에는 에어 홀(144)과 얼음 유입구(1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제빙된 얼음의 공급 및 얼음의 유지를 위한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The ice bank 140 is protru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is closed. An air hole 144 and an ice inlet (not shown) are formed i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ce bank 14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341 and 351 of the ice chute 340 and the cold air duct 350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145 may be further formed. Therefore,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is closed, it is possible to supply ice to the ice bank 140 and cool air to maintain the ice.

한편, 도 3에는 생략되었지만, 상기 아이스 슈트의 개구부(341)의 일측에는 스토퍼(도 9에서 40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개구부(341)에서 상기 얼음 유입구(145)로 이동되는 얼음을 간섭하는 부재이다. 상기 스토퍼(400)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의 개구부(341)와 얼음 유입구(145) 사이에서 이동중이던 얼음은 상기 스토퍼(400) 및 아이스 슈트(341) 사이에서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열리는 경우에 얼음이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a stopper (400 in FIG. 9)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The stopper 400 is a member that interferes with ice that is moved from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to the ice inlet 145. The ice that has been moving between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and the ice inlet 145 remains between the stopper 400 and the ice chute 341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stopper 4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falling to the floor when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1 is opened.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과 아이스 메이커(200), 얼음 이송장치(3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A drawer, an ice maker 200, an ice transfer device 30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eezing chamber 113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out.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급수원에서 제공되는 물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113)의 좌측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제빙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ice maker 200 may be provided above the left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113 for making ice us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The ice maker 200 is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111 and the ice that has been ice from the ice maker 200 drops downward to be received in the housing 310 of the ice transfer device 300 .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와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위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에 구비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최단 거리가 될 수 있는 냉동실(113)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n ice transfer device 300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200 to supply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200 to the ice bank 140.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ice maker 200 and the ice transfer device 3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ce bank 140, and the ice bank 140,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refrigerator chamber door 121, And the freezing chamber 113, which can be the shortest distance.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 벽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0)은 아이스 슈트(340)와 연결되어 제빙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슈트(340)을 따라 이송되는 얼음 주위로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회수(또는 공급) 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ice transfer device 300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200 and can be fixedly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freezing chamber 113. The housing 310 may be connected to the ice chute 340 to allow the ice cubes 340 to pass through the ice chute 340. [ To the ice bank 1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cold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13 can be recovered (or supplied) around the ice conveyed along the ice chute 340.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ice transfer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일측에는 냉기 덕트(35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를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또는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 입구가 노출되며, 상기 냉기 덕트(350)의 일측에는 송풍팬(353)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ol air duct 3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 transfer device 300. The cool air duct 350 is for supplying (or recovering) the cool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13 to the ice bank 140. An inlet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a blowing fan 353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lower fan.

상기 송풍팬(35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350)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40)에 공급된 냉기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13)로 회수된다. 반대로, 상기 송풍팬(35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40)에 공급된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35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13)로 회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아이스 슈트(340)와 상기 냉기 덕트(35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113)로 되돌리는 “냉기 회수 덕트”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cool air in the freezing chamber 113 is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via the cool air duct 350 and the cool air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is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 And is returned to the freezing chamber (113) through the ice chute (340). Conversely, when the blowing fan 353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ol air in the freezing chamber 113 is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through the ice chute 340, The cool air is recovered into the freezing chamber (113) through the cool air duct (350). In other words, one of the ice chute 340 and the cold air duct 350 is a " cold air supply duct "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ce bank 140, and the other is a cold air of the ice bank 140 It can be understood as a " cold air recovery duct " that is returned to the freezing chamber 113. [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ce mak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브라켓(도 7에서 25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전체적으로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210)와,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220),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240), 상기 상판 트레이(210) 또는 하판 트레이(220)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ice maker 200 is mounted on an ice maker bracket (250 in FIG. 7) provided in the barrier 111. The ice maker 200 includes a top plate tray 210 that forms an upper shape as a whole, a lower plate tray 220 that forms a lower shape, and a lower plate tray 220 that is driven by one of the upper plate tray 210 and the lower plate tray 220. [ And an ejecting unit for releasing the ice from the upper tray 210 or the lower tray 220. The motor assembly 240 for the ice maker 20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구 형상 얼음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detail, the lower plate tray 2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pherical ice can be formed therein, and the depressed part 225 Is formed. The lower plate tray 2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t least partially if necessary.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lower plate tray 2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221)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장착되어 상기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상기 함몰부(225)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223)와, 상기 트레이 바디(223)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 장착시키는 트레이 커버(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tray 220 includes a tray case 221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lower plate tray 220 and a recessed portion 225 formed in the tray case 221, A tray body 223 and a tray cover 226 for fixing the tray body 223 to the tray case 221.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안착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상기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반구 형상의 상기 함몰부(225)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함몰부(225)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case 2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rim. In addition, a circular seating hole 221a is formed in the tray case 221. The seating part 221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pressed part 225 of the tray body 223 and may be formed so that its inner side is rounded so that the hem recessed depressed part 225 stably seats . A plurality of the seating portions 221a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a row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depressions 225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후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형성된다.A lower plate tray connecting part 222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tray 210 and the motor assembly 240 at the rear of the tray case 221 and rotatably mounts the tray case 221 .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1)의 장착을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22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221b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case 221 for mounting the elastic member 23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lower plate tray 220 .

상기 트레이 바디(2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223)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형상과 대응하는 평면부(224)와 상기 평면부(224)에서 함몰된 상기 함몰부(225)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y body 223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s formed to be seated above the tray case 221. The tray body 223 may include a planar portion 224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ray body 223 and the depressed portion 225 recessed from the planar portion 224.

상기 평면부(22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상기 셀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구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flat portion 224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op surface shape of the tray case 221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tray case 221. The depression 225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cell, which is a space in which ice is to be formed. The depression 22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225 of the upper tray 210, . Accordingly, when the upper tray 210 and the lower tray 220 are closed, the cells providing the spherical space can be formed.

상기 함몰부(225)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안착부(221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25)은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시 상기 이젝팅 유닛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상기 함몰부(225)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이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epressed portion 225 may protrude downward through the seating portion 221a of the tray case 221. Therefore, the depression 225 is pressed by the ejecting unit when the lower tray 220 rotates, and the ice inside the depression 225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부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턱은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부턱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lower jaw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round the depressed portion 225. The lower jaw can be overlapped with the upper jaw of the upper tray 210 when the upper tray 210 and the lower tray 220 are closed to prevent water leakage.

상기 트레이 커버(226)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223)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스크류 또는 리벳 등이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 또는 리벳은 상기 트레이 커버(226)와 상기 트레이 바디(223),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The tray cover 226 is provided above the tray body 223 so that the tray body 223 can be fixed to the tray case 221. A screw or a rivet is fastened to the tray cover 226. The screw or rivet passes through the tray cover 226, the tray body 223 and the tray case 221 in order, To be assembled.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225)의 개구된 상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천공부(226a)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226a)는 다수개의 원형이 서로 연속하여 겹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천공부(226a)를 통해서 상기 함몰부(225)가 노출되며, 상기 하부턱이 상기 천공부(226a)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tray cover 226 is formed with a perforation 226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epression 225 formed in the tray body 223. The perforations 226a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les are successiv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lower plate tray 220 is assembled, the depression 225 is exposed through the perforation 226a, and the lower jaw is positioned inside the perforation 226a.

한편,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211)와 얼음의 성형을 위한 트레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p plate tray 210 forms an upper outer shape of the ice maker 200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1 for mounting the ice maker 200 and a tray portion 212 for forming ice .

상세히,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상기 냉동실(113)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부(212)와는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냉동실(113)와 면접촉에 의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detail, the mounting portion 211 allows the ice maker 200 to be mounted in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y portion 212.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211 can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by surface contact with the freezing chamber 113.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212)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212)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13)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함몰부(225)와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는 서로 형합되어 구 형상의 제빙 공간인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 함몰부(213)의 형상은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y part 21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late tray 220. The tray part 212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pressions 213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the depressed portions 213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row. When the upper plate tray 210 and the lower plate tray 220 are closed, the depressed portion 225 of the lower plate tray 220 and the depressed portion 213 of the upper plate tray 2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cell as an ice-making space.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213 of the upper plate tray 210 may be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late tray 220.

한편, 상기 트레이부(212)의 후측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축결합되는 축 결합부(21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211a)는 상기 트레이부(212)의 하면 양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와 축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shaft coupling portion 211a to which the lower tray tray connection portion 222 is axially coupled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ray portion 212. The shaft coupling portion 211a extends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portion 212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tray tray connecting portion 222 by shaft coupling. Accordingly, the lower plate tray 220 is mounted on the upper tray 210 in a rotatable manner,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assembly 240.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셀 내부의 물을 빠른 속도로 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210)를 가열하는 히터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급수부(21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tray 210 may be formed entirely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rapidly freeze water in the cells by thermal conduction. The upper tray 210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for heating the upper tray 210 to freeze ice.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214 of the upper tray 210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tray 210.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이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op plate tray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epressed portion 213 of the top plate tray 2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easily unloaded, like the lower plate tray 220.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는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231)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상기 탄성부재(231)의 인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판 트레이(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 rotating arm 230 and the elastic member 231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wer tray 220. The rotatable arm 23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tray 220 for tensioning the elastic member 231.

상기 로테이팅 암(230)의 일단은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에 축결합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21b)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3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31)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가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보다 밀착되어 제빙 중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rotatable arm 230 is coupled to the lower tray connection part 222 and may be further rotated while the lower tray 220 is closed to tension the elastic member 231 . An elastic member 231 is mounted between the rotatable arm 230 and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221b. The elastic member 231 may be a tension spring. Therefore, when the lower tray 220 is closed, the rotating arm 230 is rotated fur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elastic member 231 can be pull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31, The lower tray 220 is mo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tray 210 so a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during the ice making.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 구비되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어들이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tor assembly 24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tray 210 and the lower tray 220 and may include a motor. 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lower tray 220, The gears may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이하에서는, 얼음 이송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ce transfer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c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transferring ice through the ic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냉동실(113)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과 냉장실(112) 및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를 지나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7 and 8, the ice transfer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passes through the freezing chamber 113,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and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And the ice bank 140 is connected to the ice bank 140 to supply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200 to the ice bank 140.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5)에 장착되어 고내 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5)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부재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단열을 위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110)의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 사이의 단열재(미도시)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ce transfer device 30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case 115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10 a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10. At this time, the ice transfer device 300 may be mounted on a member such as a separate bracket coupled to the inner case 115. At least a part of the ice transfer device 300 is embedd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between the outer case 114 and the inner case 115 of the cabinet 110, .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이빙되는 얼음들이 공급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유닛(33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23)까지 안내하기 위한 아이스 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ce transfer device 300 includes a housing 310 to which ice cubes are transferred from the ice maker 200 and a transfer unit 330 tha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and transfers the ice in the housing 310. [ A driving unit 330 for rotating the conveying member 320 and an ice chute 340 for guiding the ice inside the housing 310 to the dispenser 123, .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얼음과 이송부재(320)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공급되는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housing 310 is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200. The housing 310 forms a space for receiving the ice and the conveying member 320 therein and is opened upward to receive the ice supplied from the ice maker 200.

이때,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가 수용되는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의 사이의 단열재(미도시)에 매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10 is located below the ice maker 200 and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freezing chamber 113.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0 in which the transfer member 320 is accommodated may be embedd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between the outer case 114 and the inner case 115.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기어 또는 날개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321) 사이에 제빙된 구형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Inside the housing 310, a conveying member 320 is provided. The conveying member 32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gear or a wing car and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ice cube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1 formed on the conveying member 320.

상기 이송부재(320)는 전체가 상기 하우징(310)에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에는 구동유닛(330)이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conveying member 320 is entirely receiv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veying member 3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0 through the housing 310. A driving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veying member 320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conveying member 320.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 조합을 통해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30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conveying member 320. [ The drive unit 330 may include a drive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and a gear assembly tha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he plurality of gear assemblies may be provided,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member 320 may be adjusted through a plurality of gear combinations.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안내하면서, 동시에, 상기 냉동실(113) 및 아이스 뱅크(140)를 순환하는 냉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가 장착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까지 연장 형성되며, 구형의 얼음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가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내부 직경은 제빙된 구형의 얼음 직경과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제빙된 얼음이 일렬로 연속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는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ce chute 340 is configured to guide the ice generated in the ice maker 200 to the ice bank 140 while at the same time guiding the cold air circulating through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the ice bank 140 . The ice chute 34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310 to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on which the ice bank 140 is mounted and has a hollow tube shape As shown in FIG. When the ice chute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inner diameter of the ice chute 340 may correspond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ice diameter of the ice cubes, so that the ice cubes can be continuously moved in a row. On the other hand, the ice chute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베리어(111)를 관통하여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13) 및 냉장실(1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외측으로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12)과 아이스 슈트(340)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 ice chute 340 may extend through the barrier 111 and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At this time, a heat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ice chute 340 to prev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and the ice chute 340.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 벽면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단열부재(미도시)에 의해 단열될 수 있게 되며, 고내측으로도 노출되지 않게 된다.Meanwhile, the ice chute 3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14 and the inner case 115. That is,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may be located inside a wall of the cabinet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member (not shown) inside the cabinet 110 can be insulated,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상기 아이스 슈트(340)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상단에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341)가 형성된다.The ice chute 340 may exten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ce bank 140. An opening 34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ce chute 340 so as to be opened at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아이스 슈트(340)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is closed, the ice bank 140 and the ice chute 34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ice can be moved along the ice chute 340 and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한편,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와 함께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140)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에서 상기 냉장실(112)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340)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35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또는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ol air duct 350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cool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13 together with the ice chute 340 through the ice bank 140. The cool air duct 350 is disposed along the freezing chamber 112 at one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113 and may be embedded inside the cabinet 100 like the ice chute 340. The cool air duct 350 communicates with the ice bank 140 to supply (or recover) cool air in a state where the first refrigerator chamber door 121 is clos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냉장고(1)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3) 내측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 공급되는 물은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서 구형의 얼음을 형성하게 되며,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 구비되는 히터 또는 이빙을 위한 구성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can be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provided inside the freezing chamber 113 while the refrigerator 1 is in opera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ce maker 200 forms spherical ice inside the ice maker 200. When the ice making is completed,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200 is heated And falls downward.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310)의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으로 제빙된 구형의 얼음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상방으로 공급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An inlet of the housing 310, which is opened upward, is formed below the ice maker 200, and spherical ice that has been ice-dried can be supplied to the housing 310. The ice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310 can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상세히, 상기 이송부재(320)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방사상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구형의 얼음이 하나씩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안내되는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In detail,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adially extended from the conveying member 320,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to receive one sphere of ice. Therefore, the ice guided into the housing 31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conveying member 320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340)에는 제빙된 얼음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의 얼음이 밀려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ice contain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conveying member 320 can transfer 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Meanwhile, the ice chute 340 is kept filled with ice, and the ice in the ice chute 340 is pushed and discharged to the ice bank 1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에서 저장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게 된다.The ice discharged into the ice bank 140 is stored in the ice bank 140 and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140 is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123 when the dispenser 123 is operated .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는 만빙 감지장치(14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만빙 감지장치(146)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되는 만빙 감지장치(312)에 의해 아이스 뱅크(140) 및 하우징(310)에는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만빙 감지장치에 의해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가득 찰 때까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얼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ce bank 140 may be provided with a full ice detector 146. Further, the full ice level sensing device 146 may further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The ice bank 140 and the housing 310 are kept in a state of being filled with ice over a set amount by the ice bank 140 and the full ice sensing device 312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nd controls the ice maker 200 to operate until the predetermined amount of ice is filled by the device. In this state, ice can be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320.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얼음이 차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330)의 구동이 시작된다.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340) 하단에 수용된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아이스 슈트(340) 하단을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아이스 슈트(340) 내부에서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얼음도 동시에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340) 개구부(341)를 통해서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123 in a state where the ice bank 140 is filled with ice, the drive unit 330 starts to be driven. When the conveying member 320 rotates, the ice stor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conveying member 320 rotates together with the ice stored in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340. When ice is pushed up from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340,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chute 340 is simultaneously pushed up. The spherical ice can be supplied to the ice bank 140 through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340 and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123.

이때, 상기 디스펜서(123)로 취출되는 얼음은 구형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개수만큼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ice taken out to the dispenser 123 is spherical, and the user can take out a desired number of 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한편,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에 의해 구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유닛(330)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얼음의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driving unit 330 may be limited in operation by a door sensor that sens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123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0 is opened, the driving unit 330 is not driven so that the ice is not taken out.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개방되는 순간에, 상기 아이스 슈트의 개구부(341)와 얼음 유입구(145) 사이에서 이동 중이던 얼음은, 상기 스토퍼(400)에 의해 간섭되므로, 바닥으로 낙하될 염려가 없다. 이하, 상기 스토퍼(4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The ice that has been moving between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and the ice inlet 145 is interfered by the stopper 400 at the moment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1 is opened,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it. Hereinafter, the stoppe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스토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9는 냉장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and Fig. 10 shows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closed.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개구부(34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340)에서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되는 얼음의 이동을 간섭하는 것이다.The stopper 4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341 and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ice transferred from the ice chute 340 to the ice bank 140.

상세히, 상기 스토퍼는 전면부(410)와 상기 전면부(410)를 둘러싸는 테두리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topper may include a front portion 410 and a rim portion 420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410.

상기 전면부(410)에는, 상기 전면부(410)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플랩(411) 및 상기 전면부(410)의 중앙에 위치하는 냉기 구멍(412)이 포함될 수 있다.The front part 410 may include a flap 411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410 and a cooling hole 41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410.

상기 플랩(411)은 상기 얼음에 대하여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플랩(411)은 상기 전면부(410)의 외곽을 따라서 다수 개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상기 얼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lap 411 is a portion that exerts a force against the i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flaps 411 may be radial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410.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escaping stably.

상기 스토퍼(400)는 얼음이 상기 스토퍼(400)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휘어지면서 저항력을 상기 얼음에 작용하고, 통과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내열성 및 내한성이 내수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stopper 40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acts to resist the ice while being deflected when the ice passes through the stopper 400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topper 400.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use a silicon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with respect to water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한편, 상기 스토퍼(400)의 전면부(410), 테두리부(420) 및 플랩(41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랩(411)은 상기 전면부(410)의 일부를 소정의 길이로 절개하는 것으로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부(410), 테두리부(420) 및 플랩(411)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 및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The front portion 410, the rim portion 420, and the flap 411 of the stopper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flap 411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part 410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fabricate the front part 410, the rim part 420, and the flap 411,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의 토출단(341)과 상기 스토퍼(400)를 연결하는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00)는, 상기 토출단(341)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15)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외벽(510)과 상기 외벽(5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제 1 결합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테두리부(420)를 따라 형성된 제 2 결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500 connecting the discharge end 341 of the ice chute 340 and the stopper 400. The support member 500 includes an outer wall 510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end 341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115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520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wall 510 ). The stopper 4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520.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topper 400 may include a second engaging portion (not shown) formed along the rim 420.

상기 제 1,2 결합부(520,미도시) 중 하나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결합부(451,미도시)의 구조를 통해, 상기 스토퍼(400) 및 지지부재(500)는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400)가 오염되거나 연성을 잃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400)를 분리 후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400) 및 지지부재(5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520 (not shown) may be formed to be protruded, and the other may be formed in a recessed shape. The stopper 400 and the support member 5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451 (not shown). Therefore, when the stopper 400 is dirty or lost its ductility as the use period passes, the stopper 400 can be detached and then washed or replaced. Of course, the stopper 400 and the support member 5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한편,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341)에 직접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단(341)의 외주면, 내주면 또는 끝단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341)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112)의 측벽에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stopper 400 may be directly or remov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end 341 of the ice chute. For example, i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end of the discharge end 341. The stopper 400 may be fixedl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2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end 341 of the ice chute.

이하 상기 스토퍼(400)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400 will be described.

도 10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4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 1 얼음(I1)과, 상기 아이스 슈트(400)의 개구부(341)를 벗어난 직후의 제 2 얼음(I2)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얼음(I1)의 상태부터 제 2 얼음(I2)의 상태까지 이동하는 얼음은,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열릴 때에,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낙하하지 못하고 실내 바닥에 떨어질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400)를 적용하여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shows a first ice I1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ice chute 400 and a second ice I2 immediately after the opening of the opening 341 of the ice chute 400. As shown in FIG. The ice which moves from the state of the first ice I1 to the state of the second ice I2 can not fall into the ice bank 140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is opened,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topper 400 from falling down to the floor.

먼저,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플랩(41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플랩(411)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상기 플랩(411)은 상기 전면부(410)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얼음의 이동이 시작되면, 상기 얼음은 상기 플랩(411)의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얼음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플랩(411)은 오른쪽으로 휘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랩(411)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게 된다. 상기 플랩(411)은 연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얼음이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휘어지면서 저항력을 상기 얼음에 작용하고, 통과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 제 1 얼음(I1)의 상태에서 제 2 얼음(I2)의 상태까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이 제 2 얼음(I2)의 상태를 더욱 벗어나게 되면, 상기 플랩(411)은 얼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400)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10)를 벗어난 얼음은 이미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400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is closed will be described. When no external force acts on the flap 411, the flap 411 maintains a constant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flap 411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ane of the front part 410. When the movement of the ice starts, the ice causes deformation of the flap 411. 10, the ice is moved to the right, so that the flap 411 is bent to the right. In other words, the flap 411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ice bank 140. Since the flap 411 is made of a soft material, when the ice passes through the stopper and is discharged, a resistance force acts on the ice, and after passing,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escaping from the ice chute 340 while the ice moves from the first ice I1 to the second ice I2. When the ice further deviates from the state of the second ice 12, the flap 411 is opened to allow the ice to pass therethrough, so that the ice can escape from the stopper 400. Since the ice out of the stopper 410 has already entered the inner space of the ice bank 140, it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ice bank 140.

다음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열리게 되면, 얼음을 이송하는 구동유닛(33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제 2 얼음(I2)의 상태를 벗어난 얼음은 이미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안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얼음(I2)의 상태를 벗어나기 전까지의 얼음, 예를 들어 상기 제 1,2 얼음(I1, I2) 상태에 있는 얼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랩(411)이 얼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400) 및 아이스 슈트(34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400 in a state that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is open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0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30 for transferring ice is stopped. The ice out of the state of the second ice (I2) is already in the ice bank (140). The ice, for example, the ice in the first and second ice (I1, I2) states before the second ice (I2) And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stopper 400 and the ice chute 340 by a force acting thereon.

만일 상기 스토퍼(4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상태(I2)에 있는 얼음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상태(I1)에 있는 얼음도, 상기 냉장고(100)에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내부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벗어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얼음(I1) 부터 제 2 얼음(I2)의 상태까지 있는 얼음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될 수 있다.If the stopper 400 is not provided, the ice in the second state I2 falls to the floor. Also, the ice in the first state I1 may fall off the ice chute 340 to the floor when a slight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100 or an internal vibration occur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ce from the first ice (I1) to the second ice (I2) can be stably transferred to the ice bank (140) without dropp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40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첩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공통되는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topp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appli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common codes.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개구부(341)의 상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0)에는, 얼음의 이동을 간섭하는 댐퍼(414) 및 상기 댐퍼(414)가 상기 개구부(341)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축(415)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1, the stopper 40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an upper edge of the opening 341. The stopper 400 includes a damper 414 for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ice and a pivot 415 for pivotally coupling the damper 414 to the edge of the opening 341.

상기 댐퍼(414)는 대략 상기 개구부(3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댐퍼(414)는 상기 개구부(341)의 일부분만 차폐하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아이스 슈트(340)를 통하여 흐르는 냉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1에서는 상기 댐퍼(414)가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amper 414 has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41. The damper 414 may be configured to shield only a part of the opening 341. This is to ensure that circulation of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ice chute 340 is smoothly performed. 11, the damper 414 is shown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amper 414 bu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dampers.

상기 회동축(415)은 상기 댐퍼(414) 및 이너케이스(115)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댐퍼(414)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댐퍼(414)는 상기 회동축(415)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rotary shaft 41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amper 414 as a portion to which the damper 414 and the inner case 115 are coupled. The damper 414 may be pivoted up and down about the pivot 415.

상기 댐퍼(414)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얼음이 이동되는 경우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얼음에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댐퍼(414)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341)를 차폐하는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얼음이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댐퍼(41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댐퍼(414)는 자중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되돌아 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414)는 상기 얼음에 대하여, 얼음이 이동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amper 414 functions to apply force to the i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ice moves.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damper 414 returns to the position where the damper 414 shields the opening 341 due to its own weight. 11, when the ice is moved to the right, the damper 414 rotates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damper 414 receives a force that is return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e to its own weight. Accordingly, the damper 414 applies a force to the i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is moved.

한편, 상기 댐퍼(414)가 상기 얼음에 가하는 힘은 중력에 의한 것이므로, 상기 댐퍼(414)를 구성하는 재료는 연성 재료로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ice by the damper 414 is due to gravity,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amper 414 is not limited to a soft material.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스토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개구부(341)의 일측에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스토퍼(400)는 도 12와 같이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0)에는, 얼음의 이동을 간섭하는 댐퍼(414)와, 상기 댐퍼(414)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동축(415) 및 상기 회동축(415)의 일측에 제공되는 스프링(416)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topper 4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341. For example, the stopper 4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The stopper 400 includes a damper 414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ice, a rotation shaft 41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amper 414, and a spring 416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415. [ May be included.

상기 스프링(416)은 상기 댐퍼(414)가 상기 개구부(341)를 차폐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스프링(416)은 일례로,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spring 416 is a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damper 414 is held at a position where the damper 414 shields the opening 341. The spring 416 may be provided as a torsion spring, for example.

상기 댐퍼(414)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얼음이 이동되는 경우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얼음에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댐퍼(414)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프링(4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기 개구부(341)를 차폐하는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이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댐퍼(414)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댐퍼(414)는 상기 스프링(4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414)는 상기 얼음에 대하여 얼음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amper 414 functions to apply force to the i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ice moves.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damper 414 is returned to the position for shielding the opening 34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6.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ice is moved to the right, the damper 414 rotates clockwise. At this time, the damper 414 receives a force to retur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6. The damper 414 applies a force to the i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ce.

한편, 상기 댐퍼(414)가 상기 얼음에 가하는 힘은 상기 스프링(416)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므로, 상기 댐퍼(414)를 구성하는 재료는 연성 재료로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ice by the damper 414 i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6,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amper 414 is not limited to the soft material.

제안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e maker is located in the freezing room, it is possible to omit a space for providing a separate ice maker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so that the convenience of taking out ice can be maintained, The space can be further enlarged. Therefo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s a whole can be increased while maintaining ease of use.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Further, since the ice making is performed in the freezing roo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ce making efficiency can also be expected.

또한, 냉동실에서 냉장실 도어에 위치한 아이스뱅크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도 중에 냉장실 도어가 열리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얼음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얼음의 낭비를 막고,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ic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to the ice bank loca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ce is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stopp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ste of ice is prevented and the usability is improved.

특히, 상기 스토퍼는 부가적인 센서나 모터를 통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기계적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장이 일어날 경우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topper uses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without using an additional sensor or a control through a motor,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replace and repair when a failure occur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12)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
입구단이 상기 하우징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단이 상기 냉장실의 측면에 노출되는 아이스 슈트;
입구단이 상기 냉장실의 측면에 노출되고, 출구단이 상기 냉동실에 놓이는 냉기 덕트; 및
상기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이 정지하여 얼음 이송이 중단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의 일부를 차폐하는 댐퍼와,
상기 댐퍼를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단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댐퍼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댐퍼의 자중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상기 얼음에 작용하면서 상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얼음이 상기 댐퍼를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로부터 배출되면,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 출구단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provid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forme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 ice bank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and storing ice therein;
A dispenser provided below the ice bank for discharg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to the outside;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freezing room for making ice;
A housing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to receive ice separated from the ice maker;
A convey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conveying ice stored in the housing to the ice bank;
An ice chute having an inlet end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housing and an outlet e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 cold air duct having an inlet end ex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an outlet end placed in the freezing chamber; And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eeding member,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to stop the ice transfer,
A stopper for blocking the discharge of ice from the ice chute in a state that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is opened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The stopper
A damper for shielding a part of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And a pivot shaf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damper to the discharge end edge of the ice chute,
Wherein the rotary shaft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end of the ice chute,
The damper rotates upward while acting on the ice with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damper when the ice is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Wherein when the ice passes through the damper and is discharged from the ice chute, the ice is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o shield a part of the outlet end of the ice chu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방사상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날개차 형상을 이루고,
인접하는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얼음이 수용되며,
상기 이송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인접하는 돌출부들 사이에 수용되는 얼음이 밀려서 상기 아이스 슈트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member has a wing c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projections,
The ice is received in a space formed between adjacent projections,
Wherein ice is accommodat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as the conveying member rotates, thereby moving along the ice chute.
KR1020120062528A 2012-06-12 2012-06-12 Refrigerator KR101966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28A KR101966043B1 (en) 2012-06-12 2012-06-12 Refrigerator
US13/905,345 US20130327081A1 (en) 2012-06-12 2013-05-30 Refrigerator
CN201310231207.5A CN103486810B (en) 2012-06-12 2013-06-09 Refrigerator
EP13171366.1A EP2674703B1 (en) 2012-06-12 2013-06-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528A KR101966043B1 (en) 2012-06-12 2012-06-1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958A KR20130138958A (en) 2013-12-20
KR101966043B1 true KR101966043B1 (en) 2019-04-05

Family

ID=4857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528A KR101966043B1 (en) 2012-06-12 2012-06-12 Refriger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7081A1 (en)
EP (1) EP2674703B1 (en)
KR (1) KR101966043B1 (en)
CN (1) CN10348681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6342B (en) * 2014-03-21 2016-08-17 江苏弗格森制冷设备有限公司 Ball ice maker
CN105783371A (en) * 2014-12-25 2016-07-20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KR20170087638A (en) * 2016-01-21 201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170227276A1 (en) 2016-02-04 2017-08-10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otary damper
CN105650954B (en) * 2016-02-23 2018-05-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Ice machine assembling structure and with its refrigerator
KR102491598B1 (en) * 2016-03-10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US10775088B2 (en) * 2018-02-16 2020-09-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ing assembly coupling
ES2966034T3 (en) * 2018-11-16 2024-04-1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421926B2 (en) 2018-11-16 2022-08-23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00057601A (en) * 2018-11-16 2020-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4812030B (en) * 2022-05-07 2023-03-21 青岛彭美创新科技有限公司 Ice making module and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93Y1 (en) * 1997-05-16 1999-08-16 윤종용 Ice dispensing structure in refrigerator
EP1598618A1 (en) 2004-05-17 2005-11-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irflow passage for ice making compartment
US20060086127A1 (en) *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60086132A1 (en) 2004-10-26 2006-04-27 Maglinger Frank W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0854746B1 (en) * 2002-10-0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 air of dispense portion for refrigerator
KR101069475B1 (en) * 2008-08-01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buc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691A (en) * 1974-12-06 1976-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ing system of a refrigerator-freezer
US4069545A (en) * 1975-12-24 1978-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control device with closure regulator
US6862891B2 (en) * 2003-06-02 2005-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ing within refrigerators
KR100535685B1 (en) * 2003-08-12 200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6083048A1 (en) * 2005-02-01 2006-08-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81262B1 (en) * 2005-06-17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O2008054152A1 (en) * 2006-11-03 2008-05-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080040998A (en)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Freezing room on a refrigerating door
US8371773B2 (en) * 2007-03-26 2013-02-12 Picker Technologies Llc Transport system for fruit and like objects
KR20090013573A (en)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frigerator
US7874457B2 (en) * 2007-10-25 2011-01-25 Sowers Charles L Ice bucket dispenser apparatus
KR101626614B1 (en) * 2009-04-13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KR101596502B1 (en) * 2009-04-13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643635B1 (en) * 2009-10-0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ce Making and Ice Maker Apparatus
KR20110081704A (en) * 2010-01-08 201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KR20120010924A (en) * 2010-07-27 2012-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ice feeding means
US20120023996A1 (en) * 2010-07-28 2012-02-02 Herrera Carlos A Twist tray ice maker system
KR20120012228A (en)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banks
KR101794346B1 (en) * 2010-07-30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damper assembly
US9127871B2 (en) * 2011-06-22 2015-09-08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transferring,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CN103017461B (en) * 2011-09-27 2017-08-2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Refrigerating appliance and the distribution system for refrigerat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93Y1 (en) * 1997-05-16 1999-08-16 윤종용 Ice dispensing structure in refrigerator
KR100854746B1 (en) * 2002-10-0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 air of dispense portion for refrigerator
EP1598618A1 (en) 2004-05-17 2005-11-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irflow passage for ice making compartment
US20060086127A1 (en) * 2004-10-26 2006-04-27 Anselmino Jeffery J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60086132A1 (en) 2004-10-26 2006-04-27 Maglinger Frank W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069475B1 (en) * 2008-08-01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buc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86810A (en) 2014-01-01
CN103486810B (en) 2015-11-18
US20130327081A1 (en) 2013-12-12
EP2674703B1 (en) 2018-10-31
EP2674703A1 (en) 2013-12-18
KR20130138958A (en)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043B1 (en) Refrigerator
KR101892755B1 (en) Refrigerator
KR101913423B1 (en) refrigerator
KR101932076B1 (en) Refrigerator
CN102997587B (en) Refrigerator
KR101929517B1 (en) Refrigerator
US8671711B2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assembly with provisions for guiding cool air flow to an ice tray
EP3343139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US9234688B2 (en) Ice make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US11859893B2 (en) Refrigerator
CN114719512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20240051627A (en) Refrigerator
KR20240051646A (en) Refrigerator
KR100556255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