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92B1 -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92B1
KR101965692B1 KR1020180029869A KR20180029869A KR101965692B1 KR 101965692 B1 KR101965692 B1 KR 101965692B1 KR 1020180029869 A KR1020180029869 A KR 1020180029869A KR 20180029869 A KR20180029869 A KR 20180029869A KR 101965692 B1 KR101965692 B1 KR 10196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ember
pressing piece
pressing
cover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9/00Clutches with mechanically-actuated clutching me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부의 스트로크 길이를 조절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해정시 걸림현상 등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일부가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가압편;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CLUTCH OF DOORLOCK}
본 발명은 클러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에 적용된 클러치의 연결을 위한 도락의 클러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는 제3자의 침입에 대한 주거공간의 안전 또는 사무공간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기계식 또는 전자식 도어락이 설치된다.
종래 전자식 도어락은 주로 모터를 이용하여 걸쇠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즉, 내부에 모터와 걸쇠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어와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복수의 기어와 링크부재를 통해 걸쇠에 전달하여 걸쇠에 의한 잠금동작과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은 문 내측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걸쇠가 작동하는 구조이므로, 인증신호 또는 열쇠동작에 따라 문 외측 손잡이와 문 내측 손잡이의 축을 선택적으로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걸쇠가 문틀에 끼인 경우에도 비교적 수월하게 걸쇠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손잡이 축 연결구조체는 손잡이 축과 모티스 구동축을 클러치수단으로 서로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연동시키거나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보다 간편하게 사용자가 손잡이 축과 모티스 구동축을 연결 또는 단락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식 도어락의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열쇠를 통해 수동식 개폐구조로 전환시키는 구조와, 이러한 수동식 개폐구조를 효율적인 구조로 개량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는 손잡이 축에 연결된 손잡이 클러치부(200)의 클러치 핀(210)을 가압하도록 가압부(20)가 마련된 클러치 연동장치(100)가 설치된다. 또한 클러치 연동장치(100)의 말단(23)은 모티스 구동체(300)와 연결되고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5는 가압편이고, 26은 연동편이며, 310 및 320은 캠면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는 가압부(20)의 스트로크의 길이를 조절하기 어려워 장치가 비대해짐으로써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핸들 축의 작동시 걸림현상(jam)으로 인해 구동 도중에 가압부(20)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경우 그 충격은 그대로 클러치 연동장치 내부에 모터로 전달되어 모터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119015호(공개일:2011. 11. 0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가압부의 스트로크 길이를 조절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해정시 걸림현상 등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일부가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가압편;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 샤프트,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와 연결된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이동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이동 샤프트의 상기 나사산에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압편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가압편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 채널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평면상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압편의 위치를 감지수단에 의해 인지시키기 위한 인식편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양측 변에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을 따라 직선으로 활주하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이동 샤프트를 하향으로 가압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과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함으로써, 상기 가압편에 가해지는 외부의 반력을 완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축 연결조립체에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러치 핀이 설치된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로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편이 상기 클러치 핀을 가압할 시, 상기 클러치 핀의 오동작으로 인해 상기 가압편에 반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가압편의 이동에 대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가압편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에서 탄성지지된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의 스트로크 길이를 구동부(이동 샤프트와 너트부재의 조립체)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편이 슬라이더 부재에 탄성지지됨으로써 손잡이 축의 작동 중 걸림현상(jam)이 발생되어도 이를 완충하여 가압편으로 전달되는 반발력이 모터로 재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의 일 구성인 슬라이더 부재와 가압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의 일 구성인이동 샤프트와 너트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너트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의 일 구성인 위치감지 센서의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의 일 구성인 스프링 부재의 설치 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가압편과 슬라이더 부재의 결합 및 작동 상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장장치는 커버부(30)의 상단 외부로 가압편(40)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30)는 상부 커버(30a)와 하부 커버(30b)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부 커버(30a)에는 다수의 후크부(31a)가 형성되고 하부 커버(30b)에는 후크부(31a)와 대응되게 걸림부(31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31a)와 걸림부(31b)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부 커버(30a)와 하부 커버(30b)가 서로 결합된다.
커버부(30; 도 2)의 내부에는 가압편(40)과 슬라이더 부재(50), 이동 샤프트(60), 너트부재(70), 구동모터(M), 및 PCB(90)가 수용된다. 또한 하부 커버(30b)에는 포스트(35)가 형성되고, 이 포스트(35)에는 스프링 부재(80)의 고정부(83)가 삽입되어 스프링 부재(80)는 커버부(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부재(50)는 스프링(S; 도 6)이 수용되는 선단부(51)가 형성되고, 슬라이더 부재(50)의 몸체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공(53)과 원형의 연결공(52; 도 10)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에는 일정폭을 갖는 안내채널(54)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 부재(50)의 양측변에는 단턱형상의 가이드 레일부(55)가 각각 형성된다. 이 가이드 레일부(55)는 하부 커버(30b)의 가이드부(32a; 도 3)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슬라이더 부재(50)는 하부 커버(30b)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가압편(40)은 고정돌기(42)가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압선단(41)이 구성되고, 가압 몸체(43) 상에는 인식편(44)이 돌출형성된다. 이 인식편(44)은 슬라이더 부재(50)의 가이드공(53)을 따라 이동되고, 도 8에도시된 위치감지 센서(91,92)를 통해 그의 이동 위치를 감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압 몸체(43)는 슬라이더 부재(50)의 안내채널(54)에 삽입되고 안내채널(54)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가압선단(41)의 고정돌기(42)에는 스프링(S도 6)의 일단이 끼워지고, 스프링(S)의 타단은 슬라이더 부재(50)의 선단부(51)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가압편(40)은 슬라이더 부재(50)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가압편(40)과 슬라이더 부재(50)의 구동부로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이동 샤프트(60)와 너트부재(70)가 제공된다. 도 5의 (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 샤프트(60)는 원통형의 바(bar)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간에는 일정폭으로 나사부(63)가 형성된다. 즉 이동 샤프트(60)는 선단 포스트(61), 후단 포스트(62) 및 그 중간의 나사부(63)로 구성된다. 한편 도 5a의 (b) 및 도 5b를 참조하면, 너트부재(70)는 이동 샤프트(60)가 관통하는 관통부(72)가 형성되고, 관통부(72)의 내부를 수직관통하도록 연결핀(71)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너트부재(70)는 고정핀(71)을 통해 이동 샤프트(60)의 나사부(63)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구동모터(M)가 이동 샤프트(60)를 회전시켜면 이동 샤프트(60)에 형성된 나사부(63)의 나사산을 따라 고정핀(71)이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너트부재(7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고정핀(71)의 말단을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 부재(50)도 너트부재(7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즉 이동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재와 연결된 슬라이더 부재가 하부 커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됨).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샤프트(60)의 회전방향에 따라 너트부재(70)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너트부재(70)와 연결핀(71)을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 부재(50)를 하부 커버(30b)에서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30b)의 내부에는 PCB(90; 도 3)와 연결된 위치감지센서(91,92)가 설치된다. 위치감지센서(91,92)는 슬라이더 부재(50)와 함께 이동되는 가압편(40; 도 10)의 인식편(44)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압편(4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PCB(9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편(40)이 커버부(30)에서 인입된 상태는 제1 위치감지센서(91)가 감지하고, 가압편(40)이 커버부(3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는 제2 위치감지센서(92)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가압편(40)의 작동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가압편(40)의 인출 작동시나 인입 작동시 끼이는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해 구동모터(M)의 전원 오프(off)나 작동제어(회전방향제어)를 위한 감지기능으로 제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커버(30b)에는 스프링 부재(8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커버(30b)에는 수직방향으로 포스트(35)가 연장형성되고, 이 포스트(35)에는 스프링 부재(80)의 고정부(83)가 끼워진다. 한편 스프링 부재(80)의 제1단(81)과 제2 단(82)은 너트부재(70)를 하향으로 가압하도록 연장설치된다. 즉 너트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스프링 부재(80)의 제1단(81)이 하향으로 누르게 되어 이동 샤프트(60)의 나사부(63)에 너트부재(70)의 연결핀(71; 도 7참조)이 확실하게 인입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너트부재(70)가 후진하여 제2 단(82)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2 단(82)에 의해 너트부재(70)가 하향으로 눌러짐으로써 이동 샤프트(60)의 나사부(63)에 너트부재(70)가 연결핀(71)이 확실하게 인입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즉 이동 샤프트(60)의 갑작스러운 회전에 의해 나사부(63)에서 너트부재(70)의 연결핀(7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손잡이 축의 걸림현상(jam) 등으로 인해 인출된 상태의 가압편(40)에 반력이 작용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압편(40)이 슬라이드 부재(50)에서 일정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편(40)의 가압선단(41)과 슬라이더 부재(50)의 선단부(51) 사이에 스프링(S)을 개재함으로써 일종의 완충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반력이 가압편(40)의 가압선단(41)에 작용하여 가압편(40)이 슬라이더 부재(50)의 인출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된 경우에, 인식편(44)이 슬라이더 부재(50)에서 커버부(30)의 내측방향(즉, 도 10 및 도 11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위치감지센서(92)가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M)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갑작스러운 반력이 가압편(40)이 작용하여도 스프링(S)으로 완충하여 반력을 완충하고, 나아가 그 상태를 위치감지센서(91,92)를 통해 감지하여 구동모터(M)의 전원을 오프시켜 내부의 구동기어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는 손잡이축 연결조립체(500)에 돌출된 클리치 핀(510)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는 커버부(30)에서 인출되는 가압편(40)을 통해 손잡이축 연결조립체(500)의 클러치 핀(510)을 가압시킴으로써 내부의 클러치 구조의 상태를 클러치 온(0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핀(510)이 손잡이축 연결조립체(500)에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클러치 핀들에도 본 발명의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30: 커버부
30a: 상부 커버
30b: 하부 커버
31a: 후크부
31b: 걸림부
40: 가압편
50: 슬라이더 부재
60: 이동 샤프트
70: 너트부재
80: 스프링 부재
81: 제1 단
82: 제2 단
83: 고정부
90: PCB

Claims (9)

  1.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일부가 탄성지지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가압편;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압편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기 가압편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평면상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압편의 위치를 감지수단에 의해 인지시키기 위한 인식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일부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 샤프트,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와 연결된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이동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이동 샤프트의 상기 나사산에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연결된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양측 변에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을 따라 직선으로 활주하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너트부재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과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함으로써,
    상기 가압편에 가해지는 외부의 반력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9. 삭제
KR1020180029869A 2018-03-14 2018-03-14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KR101965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69A KR101965692B1 (ko) 2018-03-14 2018-03-14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69A KR101965692B1 (ko) 2018-03-14 2018-03-14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92B1 true KR101965692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69A KR101965692B1 (ko) 2018-03-14 2018-03-14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49704A (zh) * 2023-11-03 2024-01-26 中山市汇丰防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防暴力扭坏的智能锁具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2454A1 (en) * 2008-07-15 2010-01-21 Imedio Ocana Juan Clutch mechanism applicable to electromechanical cylinders for locks
KR200462783Y1 (ko) * 2011-04-22 2012-10-0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용 기계식 구동조립체의 클러치
KR101448395B1 (ko) * 2013-07-04 2014-10-07 현대다이모스(주) 클러치용 엑추에이터
CN205688986U (zh) * 2016-05-23 2016-11-16 深圳市众指科技有限公司 电子锁离合模块及电子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2454A1 (en) * 2008-07-15 2010-01-21 Imedio Ocana Juan Clutch mechanism applicable to electromechanical cylinders for locks
KR200462783Y1 (ko) * 2011-04-22 2012-10-0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용 기계식 구동조립체의 클러치
KR101448395B1 (ko) * 2013-07-04 2014-10-07 현대다이모스(주) 클러치용 엑추에이터
CN205688986U (zh) * 2016-05-23 2016-11-16 深圳市众指科技有限公司 电子锁离合模块及电子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49704A (zh) * 2023-11-03 2024-01-26 中山市汇丰防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防暴力扭坏的智能锁具结构
CN117449704B (zh) * 2023-11-03 2024-05-14 中山市汇丰防盗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防暴力扭坏的智能锁具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355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8353185B2 (en) Vehicle handle locking apparatus
US7194881B2 (en) Closure panel lock and opener handle
CN108894617B (zh) 一种电子锁锁体
US20190169887A1 (en) Hatch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EP3593673B1 (en) Furniture system
US20230137704A1 (en) Panel lock
KR101965692B1 (ko)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KR200422612Y1 (ko) 문자동개폐장치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200420119Y1 (ko) 캐비닛 도어 개폐 단속구조
JP5145183B2 (ja) 扉ロック装置
KR20140126580A (ko) 도어락 모티스의 에지볼트 조립체
KR200329242Y1 (ko) 디지털 도어록용 도어개폐 감지장치
EP3380688B1 (en) Electric unlocking system
KR200437514Y1 (ko) 모티스 록 장치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EP3613930B1 (en) Automatic tightening closure device for doors and hatches
KR100732602B1 (ko) 문자동개폐장치
CN113700383B (zh) 门锁及洗衣机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