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14B1 - Groove - Google Patents

Gro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14B1
KR101965514B1 KR1020170176147A KR20170176147A KR101965514B1 KR 101965514 B1 KR101965514 B1 KR 101965514B1 KR 1020170176147 A KR1020170176147 A KR 1020170176147A KR 20170176147 A KR20170176147 A KR 20170176147A KR 101965514 B1 KR101965514 B1 KR 10196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und
radius
depth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철
Original Assignee
문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철 filed Critical 문성철
Priority to KR102017017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lip groove, which prevents a lifespan of a tire from being shortened, prevents a groove from being damaged, and sufficiently ensures an anti-slip function by reducing a contact area with the tire and reducing friction streng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oove shap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 road surface, and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floor surfa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or the second side surface includes a first round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oove.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GROOVE}Slip prevention grooves {GROOVE}

본 발명은 도로의 일정 구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홈인 그루브(Groov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마찰 강도를 저감시켜,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되, 미끄럼 방지 기능은 충분히 보장되는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Groove)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ove, which is a non-slip groo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ertain section of a ro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a contact area with a t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groove which can prevent breakage of a sliding surface of a sliding member.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눈이나 수막 등에 의해 주행 중인 차량이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노면에 그루브를 시공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있다.Generally, in order to prevent a slip phenomenon that a vehicle running on the road due to snow or water film slips, a groove is formed on a certain road surface to prevent slipping.

도 1(일반적인 그루브 시공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그루브(G)는 도로(R)의 일정 구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도로(R)의 노면(S)에서 소정 간격으로 패인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ypical groove construction example), these grooves G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oad R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road surface S of the road R Shape.

이러한 그루브(G)는 일반적으로, 도 2(종래의 그루브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 그루브(G1) 또는 V컷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V홈 그루브(G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conventional groove example), such a groove G is generally formed by a square groove G1 in the form of a square groove or a V groove groove G2 in the form of a V cut groove ≪ / RTI >

그러나 종래의 그루브(G)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반복적으로 차량의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바퀴의 타이어 부분과의 접촉 부위에서 마모 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groove G ha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vehicle repeatedly by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groove is worn or severely damag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tire portion of the vehicle.

또한 종래의 그루브(G)는 노면과의 경계 부위(모서리)에 의해 차량의 타이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roove G is accompanied by problems such as shortening the service life of the tire of the vehicle due to the boundary (edge) with the road surface.

그루브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81878호(2007년02월06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노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노면을 다른 도로와 확연히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0002] Conventionally,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ique of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on the road surface in a child protection zone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And in particular to make it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roads from other roads in children's protected areas.

그러나 종래기술 역시 상기한 그루브의 파손 문제, 타이어 수명 단축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provide a proper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groove breakage and the shortening of the tire lif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루브를 구성하는 측면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마찰 강도를 저감시켜,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re, comprising: forming a round on a side surface constituting a groove to reduce a contact area with a tire, .

또한 그루브를 구성하는 측면에 상기한 라운드와는 성격이 다른 또 다른 라운드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strengthen the anti-slip function by forming another round which is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e round on the side constituting the groove.

아울러 그루브를 구성하는 저면에 상기한 라운드들과는 또 다른 성격의 라운드를 형성하여, 그루브 내로 차량의 바퀴가 과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저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round of a character different from the above round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groove so as to prevent the wheels of the vehicle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s an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shortening of the tire life, And to prevent such problems.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도로의 노면에서 소정 깊이로 패인 홈 형상을 갖고, 제1측면, 그리고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2측면, 그리고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타단은 상기 제2측면에 이어진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또는 상기 제2측면은 그루브의 중심 측으로 굴곡진 제1라운드를 포함한다.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surface at one end and to the second side surface at a second depth, Wherein the first side or the second side includes a first round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oove.

또한 상기 제2측면 또는 상기 제1측면은 그루브의 외곽 측으로 굴곡진 제2라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side or the first sid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ound bent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groove.

아울러 상기 바닥면은 상부로 굴곡진 제3라운드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may include a third round that is curved upward.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제1라운드를 통해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마찰 강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함은 물론 그루부의 홈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제2라운드를 통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아울러 제3라운드를 통해 그루브 내로 차량의 바퀴가 과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타이어와 그루브의 저면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홈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features, the contact area with the tire is reduced and the friction strength is reduced through the first round, thereby preventing shortening of the tire life of the running vehicle,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is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round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ire of the vehicl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minimized by preventing the wheel of the vehicle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through the third round to thereby prevent shortening of the tire lif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breakage.

도 1은 일반적인 그루브 시공 예.
도 2는 종래의 그루브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동시 시공한 실시예.
1 is a typical groove construction example.
2 is a conventional groove embodiment;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ultaneously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s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do not depend o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May not coincide.

본 발명은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고, 마찰 강도를 저감시켜,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되, 미끄럼 방지 기능은 충분히 보장되는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Groov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groov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tire, reducing the friction strength, preventing shortening of the life of the tire,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gro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이하 본 그루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non-slip gro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그루브를 측면 시점에서 도시한 것이다.Fig. 3 relates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esent groove is shown at a side view.

도 3을 참고하면, 본 그루브는 도로(R)의 노면(S)에서 소정 깊이로 패인 홈 형상을 갖고, 제1측면(1), 제2측면(2) 및 바닥면(3)을 포함한다.3, the main groove has a groove shap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road surface S of the road R and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1, a second side surface 2 and a bottom surface 3 .

각 구성 별로. 제1측면(1)은 홈 형상의 일 측면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좌측면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측면(1)은 일단(상단)은 도로(R)의 노면(S)과 이어지고 타단은(하단)은 바닥면(3)과 이어진다.For each configuration. The first side face 1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groove shape, and corresponds to the left side face with reference to Fig. One end (upp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 is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S of the road R and the other end (low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3.

다음으로, 제2측면(2)은 홈 형상의 또 다른 일 측면으로, 제1측면(1)과 마주보게 구비되며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면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도로(R)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측면(1)은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측면(2)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1측면(1)과 제2측면(2)을 도로(R)의 차량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 위치로 특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Next, the second side face 2 is another side face of the groove shape, facing the first side face 1, and corresponds to the right face with reference to Fig. For example, the first side 1 may be positioned forward and the second side 2 may be locat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R. [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the first side 1 and the second side 2 at an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R. [

다음으로, 바닥면(3)은 홈 형상의 저면으로, 일단은 제1측면(1)에 이어지고, 타단은 제2측면(2)에 이어진다.Next, the bottom face 3 is a groove-shaped bottom fa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face 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ace 2.

특징적인 것은, 본 그루브는 제1측면(1) 또는 제2측면(2)이 그루브의 중심 측으로 굴곡진 제1라운드(4)를 포함한다는 것인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운드(4)는 본 그루브의 중심 측으로 굴곡, 즉 중심 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성된다는 것이다.The mai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ide (1) or the second side (2) includes a first round (4) curved toward the center of the groove.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round ) Is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groove, that is, convex toward the center side.

도 3에는 제1라운드(4)를 제1측면(1)과 제2측면(2) 모두에 구비한 실시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1라운드(4)는 제1측면(1)에만, 제2측면(2)에만 또는 제1측면(1)과 제2측면(2)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round 4 is provided on both the first side 1 and the second side 2 but this first round 4 is formed on the first side 1, Only on the second side 2, or on both the first side 1 and the second side 2.

이러한 제1라운드(4)는 차량의 바퀴(도 3에는 차량 바퀴의 가상선이 도시되어 있음)와 제1측면(1) 또는 제2측면(2)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타이어와의 마찰 강도를 저감시키고, 이를 통해 타이어 수명 단축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하중에 의한 그루브의 파손을 방지한다.This first round 4 minimiz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heels of the vehicle (the imaginary lines of the vehicle wheels are shown in Fig. 3) and the first side 1 or the second side 2, Thereby reducing the strength, thereby preventing shortening of the tire life and preventing damage of the groove due to the vehicle load.

특히 제1라운드(4)는 타이어와의 마찰 강도를 저감시키면서도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제1라운드(4)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편의상 제1라운드(4)의 반지름(r4)으로 명명)과 그루브의 깊이(h)(제1측면(1) 또는 제2측면(2)의 수직 직선 길이)가 [제1라운드의 반지름(r4) : 그루브의 깊이(h) = 0.8 ~ 2.9 : 1]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하부 원 영역 참조)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und (4) has a curvature so as not to degrade the anti-slip function while reducing the friction strength with the tire. For this purpose, a radius of a virtual circle around the first round (4) (The radius r4 of the first round 4) and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vertical straight line length of the first side 1 or the second side 2) : The depth (h) of the groove = 0.8 to 2.9: 1] (see the lower circle area in Fig. 3)

만약 제1라운드의 반지름(r4)이 그루브의 깊이(h)의 0.8배보다 작으면, 일반적인 홈과 유사하게 되어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마찰 강도 저감 효과가 미미하고, 가령 제1라운드의 반지름(r4)이 그루브의 깊이(h)의 2.9보다 크면, 그루브의 깊이(h)가 너무 얕아지게 되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제1라운드의 반지름(r4) : 그루브의 깊이(h) = 1.5 : 1]인 것이다.If the radius r4 of the first round is smaller than 0.8 times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tire i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 intensity is small. For example, If the depth r4 of the groove is larger than 2.9 of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depth h of the groove becomes too shallow and the anti-slip function is deteriora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adius (r4) of the first round: the depth h of the groove = 1.5: 1].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3과 마찬가지로 본 그루브를 측면 시점에서 도시한 것이다.Fig. 4 relates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 3, this groove is shown at a side view.

도 4를 참고하면, 본 그루브는 제2측면(2) 또는 제1측면(1)이 그루브의 외곽 측으로 굴곡진 제2라운드(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라운드(5)는 본 그루브의 외곽 측으로 굴곡, 즉 중심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된다는 것이다.4, the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ound 5 in which the second side surface 2 or the first side surface 1 is curv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groov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round 5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main groove, that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center.

도 4에는 제1측면(1)에는 제1라운드(4)를 구비하고, 제2측면(2)에는 제2라운드(5)를 구비한 실시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측면(1)과 제2측면(2)을 치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4 shows a first round 1 in a first side 1 and a second round 5 in a second side 2, ) And the second side face (2).

이러한 제2라운드(5)는 차량의 바퀴(도 4에는 차량 바퀴의 가상선이 도시되어 있음)가 본 그루브를 빠져나갈 때, 제2측면(2)(또는 제1측면(1))이 차량의 바퀴에 일종의 저항력을 작용하도록 하여 본 그루브를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차량의 바퀴가 본 그루브를 빠져나갈 때 제2측면(2)(또는 제1측면(1))의 상부, 즉 노면(S)과의 경계에서 걸림 현상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강화하여 제1라운드(4)에 의한 미끄럼 방지 기능 저하를 보완한다는 것이다.This second round (5) is the second round (5) when the second side (2) (or the first side (1)) of the vehicle exits the groove of the vehicle (the virtual line of the vehicle wheel is shown in Figure 4) So that the groove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easily, thereby improving the anti-slip function. (Or first side 1), that is, at the boundary with the road surface S, 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exit the groove, thereby causing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4) to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of the anti-slip function.

상기한 제2라운드(5) 역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저항력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작용하여 마찰 강도를 과도하게 상승시키지 않도록 하는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제2라운드(5)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편의상 제2라운드(5)의 반지름(r5)으로 명명)과 그루브의 깊이(h)(제2측면(2) 또는 제1측면(1)의 수직 직선 길이)가 [제2라운드의 반지름(r5) : 그루브의 깊이(h) = 0.6 ~ 2.5 : 1]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하부 원 영역 참조)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ound 5 also has a curvature that sufficiently provides the anti-slip function but does not excessively increase the frictional strength by acting more strongly than necessary. For this purpose, (The radius r5 of the second round 5 for convenience) and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second straight line 2 or the vertical straight line length of the first side 1) [The radius of the second round (r5): the depth of the groove (h) = 0.6 to 2.5: 1] (see the lower circle area in Fig. 4).

만약 제2라운드의 반지름(r5)이 그루브의 깊이(h)의 0.6배보다 작으면, 마찰 강도가 과도하게 강해져 타이어의 마모 및 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가령 제2라운드의 반지름(r5)이 그루브의 깊이(h)의 2.5배보다 크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발현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제2라운드의 반지름(r5) : 그루브의 깊이(h) = 1 : 1]인 것이다.If the radius r5 of the second round is smaller than 0.6 times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friction strength becomes excessively strong, which causes wear and jamming of the tire. For example, if the radius r5 of the second round is greater than 2.5 times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anti-slip function is not exhibi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adius of the second round (r5): groove depth (h) = 1: 1].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역시 본 그루브를 측면 시점에서 도시한 것이다.Fig. 5 relates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groove is also shown at the side view.

도 5를 참고하면, 본 그루브는 바닥면(3)이 상부로 굴곡진 제3라운드(6)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3 may include a third round 6 curved upward.

이러한 제3라운드(6)는 특히 제1라운드(4) 또는 제2라운드(5)의 곡률이 작을 때 보다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및 제2라운드(4)(5)의 곡률이 작은 경우 차량이 본 그루브를 통과하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본 그루브 내측으로 순간 삽입되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차량의 바퀴와 제1 및 제2측면(1)(2) 간의 접촉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게 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차량의 바퀴가 바닥면(3)에 접촉하게 된다. 이는 타이어의 마모도를 가중시키고 본 그루브가 받는 차량의 하중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This third round 6 may have a greater significance especially when the curvature of the first round 4 or the second round 5 is small and the curv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ounds 4 and 5 If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groove, the portion of the vehicle where the wheels are instantly inserted into the groove is increased,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 and 2 becomes unnecessary Or in the worst case, the wheels of the vehicle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increases the wear of the tire and increases the load on the vehicle that the groove is subjected to.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바퀴가 본 그루브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 늘어나더라도 삽입된 타이어의 외면이 제3라운드(6)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마모도를 줄이고, 본 그루브가 받는 하중을 저감시킨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even if the portion of the vehicle where the wheel is inserted into the grooved portion is extende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tir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round 6 to reduce the wear of the tire, .

이러한 제3라운드(6)의 바람직한 실시로는, 제3라운드(6)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편의상 제3라운드(6)의 반지름(r6)으로 명명)과 그루브의 깊이(h)(제2측면(2) 또는 제1측면(1)의 수직 직선 길이)가 [제3라운드의 반지름(r6) : 그루브의 깊이(h) = 1 ~ 1.5 : 1]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하부 원 영역 참조)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such a third round 6 is to have a radius of a virtual circle around the third round 6 (named as the radius r6 of the third round 6 for convenience) and the depth of the groove h (The radius of the third round (r6): the depth of the groove (h) = 1 to 1.5: 1)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ide face 2 or the first side face 1) 5)

만약 제3라운드의 반지름(r6)이 그루브의 깊이(h)보다 작으면, 제3라운드(6)의 상부 돌출 정도가 너무 작아져 그 존재의 의미가 없고, 제3라운드의 반지름(r6)이 그루브의 깊이(h)의 1.5배보다 크면 상부 돌출 정도가 너무 커져 본 그루브가 홈의 형태를 잃어버리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제3라운드의 반지름(r6) : 그루브의 깊이(h) = 1.2 : 1]인 것이다.If the radius r6 of the third round is smaller than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degree of the upper protrusion of the third round 6 is too small to have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the radius r6 of the third round If the depth h is larger than 1.5 times the depth h of the groove, the degree of the overhang becomes too large, and the groove will lose the shape of the groov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adius (r6) of the third round: the depth (h) of the groove = 1.2: 1].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동시에 적용한 도면으로, 역시 측면 시점에서의 도시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도 6에는 제1측면(1)에는 제1라운드(4)를, 제2측면(2)에는 제2라운드(5)를, 바닥면(3)에는 제3라운드(6)를 구비한 실시를 확인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일부만을 실시하거나 또는 모두를 실시하는 것 등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6 shows a first round 4 on the first side 1, a second round 5 on the second side 2 and a third round 6 on the bottom 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performing only a part or all of them.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G: 그루브 G1, G2: 종래의 그루브
R: 도로 S: 노면
1: 제1측면 2: 제2측면
3: 바닥면 4: 제1라운드
5: 제2라운드 6: 제3라운드
G: Groove G1, G2: Conventional groove
R: Road S: Road
1: First aspect 2: Second aspect
3: bottom side 4: first round
5: Round 2 6: Round 3

Claims (4)

도로의 노면에서 소정 깊이로 패인 홈 형상을 갖고,
상기 도로의 차량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1측면;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후방에 위치한 제2측면; 및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타단은 상기 제2측면에 이어진 바닥면;
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은 그루브의 외곽 측으로 굴곡진 제2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그루브의 중심 측으로 굴곡진 제1라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라운드는 다음의 조건,
[제1라운드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 0.8 ~ 2.8 : 1]
- 제1라운드의 반지름: 제1라운드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제1 또는 제2측면의 수직 직선 길이
을 만족하는 곡률을 갖고,

상기 제2라운드는 다음의 조건,
[제2라운드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 0.6 ~ 2.5 : 1]
- 제2라운드의 반지름: 제2라운드(5)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제1 또는 제2측면의 수직 직선 길이
을 만족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
And has a groove shap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road surface,
A first side located at a front side with respect to a vehicl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A second side located at a rear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 bottom surface having one end on the first side and the other end on the second side;
≪ / RTI >
The first side includes a second round bent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groove,
Wherein the second side further comprises a first round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oove,

The first round i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Radius of first round: depth of groove = 0.8-2.8: 1]
- Radius of the first round: radius of the imaginary circle around the first round
The depth of the groove: the vertical straight line length of the first or second side
And the curvature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The second round i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Radius of the second round: groove depth = 0.6 to 2.5: 1]
- the radius of the second round: the radius of the imaginary circle around the second round (5)
The depth of the groove: the vertical straight line length of the first or second side
Wherein the groove has a curvature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부로 굴곡진 제3라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further comprises an upwardly curved third round. ≪ RTI ID = 0.0 > 11. < / RTI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라운드는 다음의 조건,
[제3라운드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 1 ~ 1.5 : 1]
- 제3라운드의 반지름: 제3라운드를 둘레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
- 그루브의 깊이: 제1 또는 제2측면의 수직 직선 길이
을 만족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rd round i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Radius of third round: depth of groove = 1 to 1.5: 1]
- Radius of the third round: radius of the imaginary circle around the third round
The depth of the groove: the vertical straight line length of the first or second side
Wherein the groove has a curvature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삭제delete
KR1020170176147A 2017-12-20 2017-12-20 Groove KR101965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47A KR101965514B1 (en) 2017-12-20 2017-12-20 Gro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47A KR101965514B1 (en) 2017-12-20 2017-12-20 Gro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14B1 true KR101965514B1 (en) 2019-04-03

Family

ID=661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47A KR101965514B1 (en) 2017-12-20 2017-12-20 Gro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18B1 (en) * 2019-07-10 2019-11-27 겨루 주식회사 Asymmetric grooving and groov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41B1 (en) * 2009-11-06 2010-10-26 하성민 Groove
KR101078600B1 (en) * 2010-06-01 2011-11-01 진형건설(주) Method for forming a non-slip groove on a road
KR101631868B1 (en) * 2016-01-25 2016-06-20 안산개발(주) complex grooving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41B1 (en) * 2009-11-06 2010-10-26 하성민 Groove
KR101078600B1 (en) * 2010-06-01 2011-11-01 진형건설(주) Method for forming a non-slip groove on a road
KR101631868B1 (en) * 2016-01-25 2016-06-20 안산개발(주) complex grooving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018B1 (en) * 2019-07-10 2019-11-27 겨루 주식회사 Asymmetric grooving and gro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38B1 (en) Heavy duty tire
JP6359977B2 (en) Pneumatic tires for vehicles
US11173752B2 (en) Tire comprising high-contrast marking
JP5002202B2 (en) Pneumatic tires for construction vehicles
JP2009190677A (en) Pneumatic tire
JP2018524232A (en) Rubber track
KR101965514B1 (en) Groove
KR20090053134A (en) Decoupling groove structure of tbr tire
JP2008155859A (en) Non-pneumatic tire
JP2002019420A (en) Pneumatic tire
JP2011084186A (en) Tire
JP4600027B2 (en) Pneumatic tire
JP2000185525A (en)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built for prevention of eccentric wear
JP3479384B2 (en) Pneumatic radial tire
US20220281268A1 (en) Tire including dissymmetry sipe
JP5497462B2 (en) tire
KR102080395B1 (en) A pneumatic tire
JP4966749B2 (en) Pneumatic tire
KR102017432B1 (en) Groove
EP3917790B1 (en) Car tyre
JP5028184B2 (en) Pneumatic tire
RU2796082C2 (en) Car tire
JP2004017846A (en) Pneumatic tire
CN107953727B (en) Pneumatic tire
CN204236149U (en) The asymmetric tread structure of decorative pattern differentiation and a kind of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