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944B1 -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944B1
KR101964944B1 KR1020170098341A KR20170098341A KR101964944B1 KR 101964944 B1 KR101964944 B1 KR 101964944B1 KR 1020170098341 A KR1020170098341 A KR 1020170098341A KR 20170098341 A KR20170098341 A KR 20170098341A KR 101964944 B1 KR101964944 B1 KR 10196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basic
oxidized
debr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640A (ko
Inventor
김영관
홍유림
남기호
유남호
유재상
구본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using heat to ionise a gas
    • G01N27/62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using heat to ionise a gas and a beam of energy, e.g. laser enhanced i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calorimetric detection, e.g. with thermal lens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상기 산화성 잔해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광열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ANALYSIS OF GRAPHENE DERIVATIVES}
본원은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은 2차원 탄소물질로서, 육각형 벌집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단일 탄소 원자층으로 이루어진 초박막 구조이다. 그래핀은 강도, 열전도율, 전자이동도 등 여러 가지 특징이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뛰어난 소재로서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발광소자, 촉매, 및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핵심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래핀은 크게 기계적 박리법, 화학 증착법, 에피텍셜 성장법, 화학적 박리법 또는 산화-환원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흑연을 산화시켜 얻은 산화 그래핀을 다시 환원하여 환원된 산화 그래핀을 얻는 방법은 그래핀 기반의 소재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흑연은 상기 그래핀 층들이 z축 방향으로 쌓여있는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고 산화 그래핀 역시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강력한 산화 반응 중 sp2 네트워크가 부분적으로 깨지면서 sp3 결합으로 바뀌고 다양한 산소 작용기들이 그래핀 의 윗면(basal plane)과 끝(edge) 부분에 공유결합을 통해 결합된다. 150년이 넘는 역사에도 불구하고 산화 그래핀의 정확한 화학 구조가 규명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모델들이 제안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윗면에는 히드록시기와 에폭시기가 존재하고 끝부분에는 카르복실기와 케톤기가 존재한다는 럴프의 모델(Lerf's model)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루크 (Rourke)는 산화 그래핀이 준 그래핀 시트 (grapheme like sheet)와 상기 준 그래핀 시트 상에 산화성 잔해 (oxidative debris)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산화 그래핀의 진짜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 분석기MALDI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metry)는 유기물, 바이오물질, 폴리머 등을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질량분석법으로서, 분자량이 비교적 큰 시료와 매트릭스를 혼합하여 결정을 만든 후, 레이저 조사를 통해 질량분석을 하는 방법이다.
상세하게는, 시료와 매트릭스를 혼합하여 결정을 만든 후, 순간적으로 상기 결정에 강한 펄스형의 UV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결정으로부터 탈착 이온화를 유도하고 기체상태의 이온으로 방출시켜 질량분석기로 분자량을 측정하거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체이온으로 만들기 어려운 고분자 생화학 물질의 이온화뿐만 아니라, 단백질, 펩타이드, DNA, 폴리머 등 분자량이 큰 고분자 물질에 대하여 깨어짐 없이 기체 상태의 이온으로 생성시키며, 매우 민감하여 미량의 시료(펨토 몰에서 피코 몰 수준)에서도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27690호는 그라핀과 탄소나노튜브 복합 필름에 기반한 레이저/탈착 이온화 질량분석 기판 제작 및 응용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산화 그래핀의 분석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측면은,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상기 산화성 잔해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광열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 나트륨 (NaOH), 수산화 칼륨 (KOH), 암모니아 (NH3), 탄산수소나트륨 (NaH(CO3)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액을 포함하는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량분석기는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열 특성은 빛을 흡수하여 열을 방출하는 효과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에 따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은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산화그래핀의 화학적 구조와 광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그래핀 유도체의 광화학적/열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 그래핀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성 잔해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탈착 효율 및 생존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UV-Vis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Raman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FT-IR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1측면은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상기 산화성 잔해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광열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의 모식도이다.
먼저, 산화 그래핀 (100)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110) 및 산화성 잔해 (120)을 수득한다(S100).
상기 산화성 잔해 (120)는 상기 산화 그래핀 (100)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했을 때, 상기 산화 그래핀 (100)으로부터 분리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성 잔해 및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을 분석하여 상기 산화 그래핀의 구조, 화학적 특성 및 광열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 나트륨 (NaOH), 수산화 칼륨 (KOH), 암모니아 (NH3), 탄산수소나트륨 (NaH(CO3)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액을 포함하는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기성 용액을 25 ℃ 내지 100 ℃ 에서 30 분 내지 90분 동안 상기 산화 그래핀을 세척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온도에 따라 세척시간 및 상기 산화 그래핀의 구조변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110) 및 상기 산화성 잔해(120)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광열 특성을 분석한다(S200).
상기 질량분석기로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110) 및 상기 산화성 잔해(120)의 화학적 특성을 추가 분석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량분석기는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열 특성은 빛을 흡수하여 열을 방출하는 효과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열 특성은 입자의 종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고, 입자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파장 및 세기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광열 특성을 이용하여 특정 화학반응의 촉매로 사용하거나 바이러스, 미생물, 암세포 등의 치료제나 환경 오염물질의 제거 등에 응용하고 있다.
산화 그래핀의 정확한 화학 구조가 규명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모델들이 제안되어 왔다. 최근에 일반적으로는 윗면에는 히드록시기와 에폭시기가 존재하고 끝부분에는 카르복실기와 케톤기가 존재한다는 럴프의 모델(Lerf's model)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반면, 루크 (Rourke)는 산화그래핀이 준 그래핀 시트 (grapheme like sheet)와 상기 준 그래핀 시트 상에 산화성 잔해 (oxidative debris)가 존재하는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아이글러(Eigler)는 산화 그래핀의 화학적 및 광열 특성이 산화성 잔해 보다 준 그래핀 시트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먼저, 훔머법 (Hummer's method)를 이용하여 산화 그래핀을 수득하였다.
상기 산화 그래핀을 70 ℃의 0.01 M NaOH로 1시간 동안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에 대한 특성을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LDI-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내지 도 4로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 모드에서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작동하였고, 도 2내지 도 4에서 탄소 무리 이온 (carbon cluster ion)은 @, 산화된 탄소 무리 이온 (oxidized carbon cluster ion)은 #으로 나타내었다.
도 2는 산화 그래핀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탄소 무리 이온의 m/z 값은 각각 23 [C2]-, 35 [C3]-, 47 [C4]-, 59 [C5]-, 71 [C6]-, 83 [C7]-, 95 [C8]-, 107 [C9]-, 및 131 [C11]-로 나타나고, 산화된 탄소 무리 이온의 m/z 값은 각각 44 [C1O2]-, 79 [C4O2]-, 96 [C4O3]-, 120 [C6O3]- 및 140 [C9O2]-로 나타났다.
도 3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탄소무리 이온의 m/z 값은 각각 59 [C5]-, 71 [C6]-, 83 [C7]-, 95 [C8]-, 107 [C9]-, 131 [C11]-, 및 143 [C12]-로 나타나고, 산화된 탄소 무리 이온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도 4는 산화성 잔해의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탄소 무리 이온의 m/z 값은 각각 59 [C5]-, 71 [C6]-, 83 [C7]-, 95 [C8]-, 107 [C9]-, 및 119 [C10]-로 나타났고, 산화된 탄소 무리 이온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분석 전에는 산화 그래핀의 산소 작용기들은 산화성 잔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으나,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산화된 탄소 무리 이온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써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화학적 구조가 바뀐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에 대한 광열 특성을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LDI-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5 로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 모드에서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작동하였고, 벤질피리디늄 염 (BP, benzylpyridinium salt)를 온도계 분자(thermometer molecule)로서 이용하여 광열 특성을 평가하였다.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로 분석할 때, 상기 벤질피리디늄 염은 분자구조 상에 양전하를 띄고 있어 이온화 거동과 별개로 열탈착 효율만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로 분석할 때 상기 벤질피리디늄 염의 분해되는 거동이나 탈착되는 효율을 확인하는 것을 통해 광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5는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탈착 효율 및 생존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 각각의 탈착 효율은 534, 5625 및 16으로 나타나며, 생존 수율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는 비슷한 탈착 효율을 가지고 있어 비슷한 광열 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이글러(Eigler)가 주장하는 산화 그래핀의 화학적 및 광열 특성이 산화성 잔해 보다 준 그래핀 시트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과 상반된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에 대한 특성을 UV-V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6으로서 나타내었다.
도 6은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UV-Vis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산화 그래핀은 233 nm 피크와 300 nm 숄더 피크가 나타났고,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은 적색 이동을 한 236 nm에서 피크가 나타났고, 산화성 잔해는 청색 이동을 한 224 nm피크와 300 nm 숄더 피크가 나타났다. 또한, 가시광선 영역에서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흡광도가 높게 나온 것은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탄소의 sp2 구조가 회복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에 대한 특성을 Ram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7로서 나타내었다.
도 7은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Raman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1350 cm-1에서 D 밴드가 나타나고, 1580 cm-1에서 G밴드가 나타났으며, D/G 값은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가 각각 0.95, 0.92 및 0.98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에 대한 특성을 FT-I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8로서 나타내었다.
도 8은 산화 그래핀,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FT-IR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산화 그래핀은 1068 cm-1(C-OH 신축), 1280 cm-1 (C-O-C 진동), 1411 cm-1 (O-H 굽힘), 1623 cm-1 (물), 1731 cm-1 (C=O 신축), 및 3386 cm-1(O-H 진동) 피크가 나타났다.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은 C=O 신축 피크인 1716 cm-1가 약해졌고, 1619 cm- 1피크가 넓게 나타났으며, 카복실레이트 이온의 피크가 1619 cm-1에서 나타났다. 산화성 잔해는 카복실레이트 이온의 피크가 1380 cm-1, C-H 신축 피크가 2923 cm-1에서 나타났고 그 외에는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의 피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카복실산 그룹이 탈양성자화 되어 나타났다.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산화 그래핀의 구조는 준 그래핀 시트와 산화성 잔해가 존재하는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의 화학적 구조가 변했기 때문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는 순수한 그래핀의 준 그래핀 시트와 산화성 잔해와는 차이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산화 그래핀
110: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120: 산화성 잔해

Claims (4)

  1.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여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성 잔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염기성 처리된 산화 그래핀 및 상기 산화성 잔해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광열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분석기는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 그래핀을 염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탄소의 sp2 구조가 회복되는 것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 나트륨 (NaOH), 수산화 칼륨 (KOH), 암모니아 (NH3), 탄산수소나트륨 (NaH(CO3)2)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액을 포함하는 것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특성은 빛을 흡수하여 열을 방출하는 효과인 것인,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KR1020170098341A 2017-08-03 2017-08-03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KR10196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341A KR101964944B1 (ko) 2017-08-03 2017-08-03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341A KR101964944B1 (ko) 2017-08-03 2017-08-03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40A KR20190014640A (ko) 2019-02-13
KR101964944B1 true KR101964944B1 (ko) 2019-04-03

Family

ID=6536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341A KR101964944B1 (ko) 2017-08-03 2017-08-03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9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16B1 (ko) * 2014-03-19 2015-05-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효과가 우수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16925D0 (en) * 2010-10-07 2010-11-24 Univ Manchester Graphene oxide
KR101720608B1 (ko) * 2015-04-24 2017-03-2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대사 지문용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16B1 (ko) * 2014-03-19 2015-05-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열효과가 우수한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Structural Influence of Graphene Oxide on Its Fragmentation during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ss Spectro metry for...’, Young-Kwan 등, Chem. Eur. J, v.21(19),7217~7223(2015.05.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40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173B2 (en) Interconnected corrugated carbon-based network
Hu et al. Coupling piezocatalysis and photocatalysis in Bi4NbO8X (X= Cl, Br) polar single crystals
Elbanna et al. Black phosphorus sensitized TiO2 mesocrystal phot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with visible and near-infrared light irradiation
Jin et al. Bismuth-rich bismuth oxyhalides for environmental and energy photocatalysis
Chu et al. Synthesis of g-C3N4-based photocatalysts with recyclable feature for efficient 2, 4-dichlorophenol degradation and mechanisms
Zhang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carbon nitride polymers by core–shell nickel/nickel oxide cocatalysts for hydrogen evolution photocatalysis
Son et al. Amorphous carbon nitride as a robust photocatalyst for biocatalytic solar-to-chemical conversion
Zou et al. ZnO nanorods on reduced graphene sheets with excellent field emission, gas sensor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Thurakkal et al. The art of constructing black phosphorus nanosheet based heterostructures: from 2D to 3D
Li et al. Noble metal-free modified ultrathin carbon nitride with promoted molecular oxygen activation for photocatalytic formaldehyde oxidization and DFT study
Odabaş et al. Novel ball-type homo-and hetero-dinuclear phthalocyanines with four 1, 1′-methylenedinaphthalen-2-ol bridge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electrical and gas sensing properties and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towards oxygen reduction
US10208384B2 (en) Efficient water oxidation catalysts and methods of oxygen and hydrogen production by photoelectrolysis
JP2007535106A (ja) 試料分析へ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利用
Chen et al. Molybdenum tungsten disulfide with a large number of sulfur vacancies and electronic unoccupied states on silicon micropillars for solar hydrogen evolution
Ye et al. X-ray spectroscopies studies of the 3d transition metal oxides and applications of photocatalysis
Li et al. 2D/2D Nb3O7F/g-C3N4 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with enhanced hydrogen evolution activity
Zuo et al. Phase-reversed MoS2 nanosheets prepared through femtosecond laser exfoliation and chemical doping
Sendeku et al. Nonlayered tin thiohypodiphosphate nanosheets: controllable growth and solar-light-driven water splitting
Shu et al. Electrochemical exfoliation of two‐dimensional phosphorene sheets and its energy application
Biswas et al. A No-sweat strategy for graphene-macrocycle Co-assembled electrocatalyst toward oxygen reduction and ambient ammonia synthesis
KR101964944B1 (ko) 그래핀 유도체의 분석방법
Zeng et al. In-situ self-assembled flower-like ZnIn2S4/CdIn2S4 composites with enhanced interfacial charge transfer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atrazine
Younan et al. Improving the Stability of Silicon Nanowires During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Generation with Zinc 1T‐Phase Molybdenum Disulfide
US20160222525A1 (en) Water splitting method
Paital et al. Photoelectrochemical water oxidation with plasmonic Au@ MnOx core–shell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