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737B1 -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737B1
KR101964737B1 KR1020170096184A KR20170096184A KR101964737B1 KR 101964737 B1 KR101964737 B1 KR 101964737B1 KR 1020170096184 A KR1020170096184 A KR 1020170096184A KR 20170096184 A KR20170096184 A KR 20170096184A KR 101964737 B1 KR101964737 B1 KR 10196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upply
supply hose
water
nutrient solu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733A (ko
Inventor
조해인
Original Assignee
조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인 filed Critical 조해인
Priority to KR102017009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공급호스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액공급호스의 물을 신속하게 역류 배수시켜 물이 실내로 유출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은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토양이나 배지가 내부에 설치되는 식재용기와,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며 식재용기쪽 끝단은 막혀 있는 액공급호스와, 액공급호스에 설치되고 식재용기의 식물이 식재된 토양이나 배지쪽으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는 점적기능이 있는 점적노즐부재와, 액공급호스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물이나 양액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누수감지센서와, 액공급호스의 공급쪽 끝부분에서 분기되는 배수관에 설치되고 액공급호스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펌프와, 액공급호스의 배수관이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와,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펌프와 방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Indoor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with Draining Function}
본 발명은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공급호스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액공급호스의 물을 신속하게 역류 배수시켜 물이 실내로 유출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조경은 꽃이나 나무 등이 심겨진 화분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실내 조경의 경우에는 화분으로부터 실내의 바닥쪽으로 공급된 물이 흘러나와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504호, 제10-2003-0041118호, 제10-2008-0103134호, 제10-2017-006890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42539호, 제10-1187686호, 제10-1187687호, 제10-143359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854호, 제20-0348057호, 제20-043602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021호, 제20-2016-0001316호 등에는 다양한 실내 조경을 위한 장치와 구조물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실내 조경을 위한 장치와 구조물의 경우에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지만, 실내의 바닥으로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액공급호스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액공급호스의 물을 신속하게 역류 배수시켜 물이 실내로 유출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은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토양이나 배지가 내부에 설치되는 식재용기와,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며 식재용기쪽 끝단은 막혀 있는 액공급호스와, 상기 액공급호스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용기의 식물이 식재된 토양이나 배지쪽으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는 점적기능이 있는 점적노즐부재와, 상기 액공급호스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물이나 양액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누수감지센서와, 상기 액공급호스의 공급쪽 끝부분에서 분기되는 배수관에 설치되고 액공급호스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펌프와, 상기 액공급호스의 배수관이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와 방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액공급호스의 식재용기쪽으로 흐르는 방향 또는 상기 액공급호스에서 배수관쪽으로 흐르는 방향으로 절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로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펌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공급호스의 물이나 양액이 배수관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방향을 절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를 따라 물이나 양액이 식재용기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방향을 절환시키고 상기 펌프는 정지된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점적노즐부재는 저면부에 상기 액공급호스의 원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조립되고 외주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감압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는 상면이 막힌 통형상의 유로튜브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원주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캡부재와, 상기 유로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과 상기 유로튜브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의하면, 누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유량이 상기 점적노즐부재를 통하여 배출되는 정상적인 양보다 많은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제어장치에서 판단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액공급호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물이나 양액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의하면, 누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식재용기에도 점적노즐부재를 통하여 최소의 물이나 양액만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명기구나 액자 등에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점적노즐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점적노즐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점적노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점적노즐부재의 밸브판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와 펌프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있어서, 액공급호스와 점적노즐부재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용기(100)와, 액공급호스(200)와, 점적노즐부재(300)와, 누수감지센서(500)와, 펌프(600)와, 방향제어밸브(700)와, 제어장치(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용기(100)의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토양이나 배지가 설치된다.
상기 액공급호스(200)는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며, 상기 식재용기(100)쪽 끝단은 막혀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액공급호스(200)에는 물이나 양액을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액공급원이 연결된다.
상기 액공급원으로는 수도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이나 양액이 담긴 탱크와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액공급원쪽에는 물이나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액공급호스(200)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29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설치된다.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는 상기 식재용기(200)의 토양이나 배지쪽으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는 점적기능이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부에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원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314)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조립되고 외주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감압유로홈(334)이 길게 형성되는 상면이 막힌 통형상의 유로튜브(330)와, 상기 몸체(3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원주면에 배수구멍(388)이 형성되는 캡부재(380)와, 상기 유로튜브(3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350)과, 상기 내통(350)의 상단과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판(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310)의 삽입부(314)는 화살촉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앵공급호스(200)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314)의 상기 액공급호스(200)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의 크기보다 큰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이 결합부위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10)의 삽입부(314) 저면에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멍(315)이 형성된다.
상기 캡부재(380)의 하단에는 상기 몸체(31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조립부(384)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310)의 상단에는 상기 캡부재(380)의 조립부(384)가 결합되는 결합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부(384)와 결합부(316)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캡부재(38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3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캡부재(380)와 상기 몸체(310)의 결합부위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물이나 양액이 결합부위를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캡부재(380)의 배수구멍(388)은 작은 크기로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물이나 양액의 배출을 소량으로 제어하고, 토양이나 이물질이 캡부재(3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캡부재(380)의 배수구멍(388)은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튜브(330)에 형성되는 감압유로홈(334)은 상단부쪽에서 하단부쪽으로 다시 상단부쪽으로 하나의 유로를 길게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충분한 감압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감압유로홈(334)의 양쪽 끝단과 연결되도록 외주면을 관통하여 제1통공(335)과 제2통공(336)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335)은 상기 밸브판(370)의 저면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336)은 상기 밸브판(370)의 상면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에는 유출구멍(33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유로튜브(330)와 밸브판(370)을 구성하여 설치하면, 상기 몸체(310)의 유입구멍(315)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나 양액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판(370)이 유로튜브(33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유출구멍(338)을 막게 되고, 물이나 양액은 상기 제1통공(335)을 통하여 상기 몸체(310)의 내주면과 상기 유로튜브(330)의 감압유로홈(33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통공(336)은 상기 밸브판(370)의 위쪽에 형성되므로 유로튜브(330) 내부의 물이나 양액이 상기 제2통공(336)쪽으로 유출되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판(37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면, 유로튜브(330) 내부의 물은 제1통공(335)을 통하여 이동하고, 감압유로홈(334)을 통과한 물이나 양액은 제2통공(336)을 통하여 상기 밸브판(370)과 유로튜브(3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멍(338)을 통하여 상기 캡부재(38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2통공(336)으로부터 상기 유출구멍(338)까지 연결되는 유로를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면, 상기 밸브판(370)이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제2통공(336)으로부터 상기 유출구멍(338)으로 물이나 양액의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액공급호스(200)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양액은 상기 제1통공(335)을 통하여 유출된 다음, 상기 감압유로홈(334)을 통과하여 다시 상기 제2통공(336)을 통하여 상기 밸브판(370)과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유출구멍(338)을 통하여 상기 캡부재(380)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내통(350)의 끝단에는 연결구멍(355)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내통(35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구멍(355)과 연결되는 상태로 둘레를 따라 연통홈(35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액공급호스(200)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양액이 상기 연결구멍(355)을 통하여 유출된 다음, 상기 연통홈(354)을 통하여 상기 유로튜브(330)의 제1통공(335)을 통하여 감압유로홈(334)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통홈(354)은 상기 연결구멍(355) 및 제1통공(335)과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형성한다.
상기 연통홈(354)과 연결구멍(355)은 상기 내통(350)의 상단과 하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상기 내통(350)을 상기 유로튜브(330)에 조립할 때에 상하위치를 분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점적노즐부재(300)를 구성하면, 상기 액공급호스(200)로부터 상기 몸체(310)의 유입구멍(315)을 통하여 유입되는 일정 압력의 물이나 양액은 상기 감압유로홈(334)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상기 캡부재(380)의 배수구멍(388)을 통하여 배출될 때에는 방울져서 한방울 한방울 점적 방식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액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액공급호스(200)로의 물이나 양액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액공급호스(200)로부터 상기 유로튜브(330)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감소하며, 상기 밸브판(370)에 작용하던 압력도 감소하고, 상기 제2통공(336)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나 양액의 상기 유출구멍(338)으로의 유량이 일시적으로 많아지게 되고, 감압유로홈(334)과 상기 제2통공(336)으로부터 유출구멍(338) 사이의 유로에 있던 이물질이나 작은 고형물 등이 함께 배출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판(370)이 설치되는 상기 내통(350)의 상면과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부 저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밸브판(370)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하여 형성하고,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부 저면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몸체(31)의 유입구멍(315)으로 소정 압력의 물이나 양액이 유입되어 상기 내통(350)을 채우는 초기에는 상기 밸브판(370)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내통(350)에 물이나 양액이 점점 채워지면서 상기 물이나 양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판(370)이 변형되기 시작하게 되고, 상기 밸브판(370)과 상기 내통(350) 및 상기 유로튜브(33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물이나 양액의 일부는 생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에 형성된 유출구멍(338)을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나 양액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형성되어 이물질의 배출도 이루어지게 되고, 청소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통(350)에 물이나 양액이 충분히 채워지면, 상기 밸브판(370)은 압력에 의해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부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내통(350)에 채워지는 물이나 양액은 상기 내통(350)의 연결구멍(355)과 상기 유로튜브(330)의 제1통공(335)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 상기 몸체(31)의 유입구멍(315)으로 유입되는 물이 차단되면, 상기 내통(35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밸브판(370)이 상기 유로튜브(330)의 상면부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며 발생하는 틈새로 물이나 양액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어 이물질의 배출과 청소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는 물이나 양액이 공급되는 순간 및 공급이 차단되는 순간에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고, 물이나 양액이 유로튜브(330)의 감압유로홈(334)을 통하여 배출될 때에 이물질이 감압유로홈(33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누수감지센서(5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물이나 양액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500)로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누수감지센서(500)를 압력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공급호스(200)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유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펌프(6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공급쪽 끝부분에서 분기되는 배수관(800)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6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배수관(800)이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900)는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600)와 방향제어밸브(700)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식재용기(100)쪽으로 흐르는 방향 또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에서 배수관(800)쪽으로 흐르는 방향으로 선택하여 절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장치(900)는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의 감지신호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이 배수관(800)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700)의 방향을 절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장치(900)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따라 물이나 양액이 식재용기(100)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700)의 방향을 절환시키고 상기 펌프(600)는 정지된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액공급호스(200)로 물이나 양액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는 물이나 양액의 흐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는 유량 또는 유속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액공급호스(200)로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의 유량 또는 유속은 초기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액공급호스(200)의 끝단까지 물이나 양액이 차게 되면 유량 또는 유속이 매우 느려지는 안정화 단계로 된다.
그런데, 액공급호스(200)를 흐르는 물이나 양액은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양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누수감지센서(500)로부터 감지되는 유속이나 유량은 매우 낮다.
반면에,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구멍이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흐르는 물이나 양액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유속이나 유량의 변화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900)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신호의 변화로부터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물이나 양액이 공급되기 시작하여 안정화되었는지,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구멍이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유속이나 유량 변화량의 기준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길이와 단면적,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의 압력을 알면,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전체 길이에 물이나 양액이 채워지는데 걸리는 초기공급시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900)에서는 초기공급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정상상태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에서 액공급호스(200)에 설치되는 점적노즐부재(300)의 수를 알면, 점적노즐부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나 양액의 양을 알 수 있으며, 정상상태에서의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의 유속 또는 유량의 기준값을 상기 제어장치(900)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900)에서는 정상상태에서의 유속 또는 유량의 기준값에 비하여 일정 비율(예를 들면, 20% 또는 30% 등)을 초과하는 유속 또는 유량이 상기 누수감지센서(500)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누수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900)는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앱 등을 이용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0)를 3방향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제어밸브(700)를 4방향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700)와 액공급원 사이에 펌프(600)를 설치하고, 액공급원과 상기 펌프(600) 사이에는 개폐밸브(75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제어밸브(700)의 4개 포트 중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에는 배수관(800)을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펌프(60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연결관(250)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펌프(600)의 흡입구쪽과 연결되는 배수연결관(85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향제어밸브(700)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의 토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이 상기 액공급호스(200)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800)과 배수연결관(850)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는 상태로 작동하고,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이 상기 배수연결관(850)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펌프(600)의 토출구와 연결된 연결관(250)과 상기 배수관(800) 사이의 유로가 형성되는 상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밸브(750)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밸브(750)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가 작동함에 따라 액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이 상기 액공급호스(200)로 일정 압력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펌프(600)가 작동함에 따라 액공급호스(200)의 물이 상기 배수연결관(850)을 거쳐 상기 펌프(600)의 흡입구로 유입된 다음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고, 상기 연결관(250) 및 배수관(800)을 통하여 배수된다.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흐르는 물이나 양액은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양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누수감지센서(500)로부터 감지되는 유속이나 유량은 매우 낮다.
반면에,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구멍이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200)를 흐르는 물이나 양액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유속이나 유량의 변화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장치(900)에서 상기 누수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되는 물이나 양액의 유속 또는 유량이 누수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향제어밸브(700)를 절환하여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이 상기 배수관(800)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펌프(70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물이나 양액을 신속하게 배수관(800)을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액공급호스(900)에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실내로 물이나 양액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액공급호스(200)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펌프(700)를 작동시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고,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과 같아지면 펌프(70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물이나 양액의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공급호스(200)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적노즐부재(300)를 상기 액공급호스(200)의 원주면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액공급호스(200)에 연결되는 분기구(270)에 결합되는 분기관(280)의 끝단에 삽입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기구(270)는 상기 액공급호스(2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입구와 상기 분기관(280)이 결합되는 복수의 출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각각의 식재용기(100)에 하나씩의 점적노즐부재(300)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에 의하면, 물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분의 혼입이 작동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기기구가 사용되는 장소에도 식물을 식재하여 실내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천정에 설치되는 전등의 갓 등에도 식물을 식재하여 실내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분을 흡수하면 손상을 입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가구 등이 있는 장소에도 식물을 식재하여 실내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식재용기, 200 - 액공급호스, 250 - 연결관, 270 - 분기구
280 - 분기관, 290 - 필터, 300 - 점적노즐부재, 310 - 몸체
314 - 삽입부, 315 - 유입구멍, 316 - 결합부, 330 - 유로튜브
334 - 감압유로홈, 335 - 제1통공, 336 - 제2통공, 338 - 유출구멍
350 - 내통, 354 - 연통홈, 355 - 연결구멍, 370 - 밸브판, 380 - 캡부재
384 - 조립부, 388 - 배수구멍, 500 - 누수감지센서, 600 - 펌프
700 - 방향제어밸브, 750 - 개폐밸브, 800 - 배수관, 850 - 배수연결관
900 - 제어장치

Claims (5)

  1.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토양이나 배지가 내부에 설치되는 식재용기와,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며 상기 식재용기쪽 끝단은 막혀 있는 액공급호스와, 상기 액공급호스에 설치되고 상기 식재용기의 식물이 식재된 토양이나 배지쪽으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는 점적기능이 있는 점적노즐부재와, 상기 액공급호스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물이나 양액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누수감지센서와,상기 액공급호스의 공급쪽 끝부분에서 분기되는 배수관에 설치되고 액공급호스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펌프와, 상기 액공급호스의 배수관이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와 방향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4방향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액공급원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고,
    액공급원과 상기 펌프 사이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4개 포트 중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액공급호스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에는 배수관을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포트에는 상기 펌프의 흡입구쪽과 연결되는 배수연결관을 연결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이 상기 액공급호스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과 배수연결관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는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의 물이나 양액이 상기 배수연결관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의 유로가 형성되는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정상상태에서는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누수상태에서는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누수상태에서는 상기 펌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공급호스의 물이나 양액이 배수관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방향을 절환시키도록 구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액공급호스를 따라 물이나 양액이 식재용기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방향을 절환시키고 상기 펌프는 정지된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적노즐부재는 저면부에 상기 액공급호스의 원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조립되고 외주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감압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는 상면이 막힌 통형상의 유로튜브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원주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캡부재와, 상기 유로튜브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과 상기 유로튜브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삽입부는 화살촉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액공급호스와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액공급호스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의 크기보다 큰 치수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삽입부 저면에는 상기 액공급호스의 물이나 양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조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캡부재의 조립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와 결합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유로튜브에 형성되는 감압유로홈은 상단부쪽에서 하단부쪽으로 다시 상단부쪽으로 하나의 유로를 길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로튜브의 상단부에는 상기 감압유로홈의 양쪽 끝단과 연결되도록 외주면을 관통하여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은 상기 밸브판의 저면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은 상기 밸브판의 상면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튜브의 상면에는 유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내통의 끝단에는 연결구멍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상태로 둘레를 따라 연통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연결구멍 및 제1통공과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형성하는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KR1020170096184A 2017-07-28 2017-07-28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KR10196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84A KR101964737B1 (ko) 2017-07-28 2017-07-28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84A KR101964737B1 (ko) 2017-07-28 2017-07-28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33A KR20190012733A (ko) 2019-02-11
KR101964737B1 true KR101964737B1 (ko) 2019-04-02

Family

ID=6537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84A KR101964737B1 (ko) 2017-07-28 2017-07-28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208A1 (ja) * 2012-09-06 2014-03-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点滴灌漑用ドリッパおよびこれを備えた点滴灌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831A (ja) * 1992-02-27 1993-09-17 Hochiki Corp 自動灌水装置
KR960000016Y1 (ko) * 1993-03-09 1996-01-04 김기봉 벽지의 풀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208A1 (ja) * 2012-09-06 2014-03-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点滴灌漑用ドリッパおよびこれを備えた点滴灌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33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781B2 (en)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KR200412640Y1 (ko) 차광조절기능을 갖는 유리창
US9814189B1 (en) Low flow emitter with exit port closure mechanism for subsurface irrigation
EP1547461B1 (en) Self-compensating drip irrigation emitter comprising a unidirectional flow device
US8663525B2 (en) Internally pressure compensated non-clogging drip emitter
US9228670B2 (en) Soil moisture responsive irrigation flow control valve
CA209135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pressurized low continuous flow to high flow in pulses
AU651514B2 (en) Regulated drip irrigation emitter
US8496193B2 (en) Fluid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drip irrigation emitters
KR101893809B1 (ko) 분사노즐 및 필터의 자동 막힘 제거가 가능한 자동 분무시스템
EA039747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рошения
KR101964737B1 (ko)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US5794848A (en) Hygrostat and system
AU2016240761B2 (en) Filtering apparatus, sprinkling apparatus incuding the filtering apparatus, and filtering method
KR101390952B1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US4858636A (en) Preset microscopic flow valve apparatus and method
KR101271515B1 (ko) 비닐하우스의 다중화시스템
US7152816B1 (en) Mister nozzle apparatus
JP4850364B2 (ja) 育苗用底面自動灌水装置
KR102216180B1 (ko)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KR101635010B1 (ko) 양액 자동조절 공급장치
RU23193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рошения теплиц, парников и садовых участков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KR101006196B1 (ko) 공기제어를 이용한 분수용 유로 전환장치
US4121621A (en) Pilot operated flush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