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96B1 -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96B1
KR101964296B1 KR1020180006950A KR20180006950A KR101964296B1 KR 101964296 B1 KR101964296 B1 KR 101964296B1 KR 1020180006950 A KR1020180006950 A KR 1020180006950A KR 20180006950 A KR20180006950 A KR 20180006950A KR 101964296 B1 KR101964296 B1 KR 10196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module
product
kiosk modu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토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필드 filed Critical (주)토필드
Priority to KR102018000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주문 시스템의 외곽을 이루는 다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키오스크 모듈과, 하우징의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결합되는 제2키오스크 모듈과,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제2키오스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PRODUCT ORDERING SYSTEM HAVING DUAL KIOSK}
본 발명은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란 고객의 편의 또는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된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을 의미한다.
키오스크는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매장 내에서 상품을 주문하는 상품 주문용 키오스크, 건물 내에서 건물 내 위치한 매장을 표시하고, 현재 지점으로부터 매장까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건물 안내 키오스크, 영화관, 놀이공원 등에서 티켓을 발급해주는 티켓발매용 키오스크, 현금을 입출금하기 위한 현금자동 입출금기(ATM)용 키오스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키오스크는 하나의 제어 모듈에 하나의 키오스크 모듈이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의 붐빔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경우, 넓은 면적의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키오스크는 키오스크 모듈마다 제어 모듈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상의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제성이 향상된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440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제성이 향상된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주문 시스템의 외곽을 이루는 다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키오스크 모듈과, 하우징의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결합되는 제2키오스크 모듈과,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제2키오스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제2키오스크 모듈은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카드가 투입 가능하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인식부와, 상품 주문에 대한 증빙서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일면과 하우징의 타면이 이루는 각도는 130° 내지 160°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제2키오스크 모듈은, 접근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감지값을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근접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주문에 대한 대금을 카드로 지불할지, 현금으로 지불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현금 결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현금 결재가 가능한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로 안내하는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며, 카드 결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카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2키오스크 모듈은 지폐 또는 동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투입 가능하며, 투입된 현금의 진위를 확인하는 현금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현금 및 카드 결제가 모두 가능한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바로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카드 결제만 가능한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상기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상기 제2 카오스크 모듈에 다른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대기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및 주문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모듈은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을 입력받으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개의 키오스크 모듈을 하나의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드 결제만 가능한 키오스크 모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미리 결제 수단을 물어보고, 결제 수단에 따라 다른 키오스크 모듈로의 이동 또는 주문 진행을 안내함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키오스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키오스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주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S160단계 이전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1, 이하, 상품 주문 시스템)은 일면이 하우징(10), 제1키오스크 모듈(20), 제2키오스크 모듈(30) 및 제어 모듈(40)을 포함한다. 이때, 제1키오스크 모듈(20) 및 제2키오스크 모듈(30)은 제어 모듈(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모듈(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외곽을 이루는 것으로,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일면에 제1키오스크 모듈(20)이 결합되고,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제2키오스크 모듈(30)이 결합되며, 내부에 제어 모듈(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의 일면과 타면이 이루는 각도(A)는 130° 내지 160°일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면과 타면이 이루는 각도(A)가 130° 미만이거나 160°를 초과하는 경우,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설치 시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될 수 있다. 더욱이, 각도(A)가 130° 미만인 경우, 제1키오스크 모듈(20) 및 제2키오스크 모듈(30)을 사용하는 사용자 간에 어깨 부딪힘 등과 같은 신체접촉이 일어남으로, 상품 주문 시스템의 사용에 불편함 따르게 된다. 또한, 각도(A)가 160° 이상인 경우, 제1키오스크 모듈(2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2키오스크 모듈(30)의 표시부(300)에 표시된 화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제2키오스크 모듈(3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1키오스크 모듈(20)의 표시부(200)에 표시된 화면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협소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간의 프라이버시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일면과 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홈이 형성되고, 함몰홈에는 각 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200, 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함몰홈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200, 300)는 함몰홈에 의해 그늘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품 주문 시스템(1)이 외부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용이하게 표시부(200, 300)의 화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은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0), 몸체(100)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며 제1회동판(110) 및 몸체(100)의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2회동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동판(110) 및 제2회동판(120)의 힌지 결합 위치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1키오스크 모듈(20)은 제1회동판(110)에 결합되며, 제2키오스크 모듈(30)은 제2회동판(120)에 결합되고, 몸체의 일면과 타면이 이루는 각도는 130° 내지 160°일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에는 제어 모듈(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평상시에는 제어 모듈(4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제1회동판(110) 및 제2회동판(120)을 회동하여, 하우징(10)의 내부를 완전히 개방해 제어 모듈(40)을 외부로 드러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키오스크 모듈(20)은 제1표시부(200), 제1입력부(210), 제1카드 인식부(220) 및 제1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근접 센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200)는 상품 정보, 결제 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입력부(210)는 제1키오스크 모듈(2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 모듈(40)로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및 2는 제1입력부(210)가 터치 패널로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다.
제1카드 인식부(220)는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로서, 카드가 투입 가능한 카드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카드 투입구에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카드 인식부(220)는 제어 모듈(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읽어드린 카드의 정보를 제어 모듈(4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출력부(230)는 상품의 주문에 대한 증빙서류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프린터일 수 있으며, 증빙서류는 영수증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출력부(230)는 제어 모듈(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모듈(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근접 센서부(240)는 제1키오스크 모듈(20)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근접 센서부(240)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근접 센서부(240)는 제1키오스크 모듈(2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값을 제어 모듈(4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40)은 감지값을 통해 물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키오스크 모듈(30)은 제2표시부(300), 제2입력부(310), 제2카드 인식부(320) 및 제2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근접 센서부(340) 및 현금 인식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키오스크 모듈(2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현금 인식부(350)는 현금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현금의 액수를 확인하는 구성요소로서, 지폐 또는 동전이 투입 가능한 현금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현금 인식부(350)는 투입된 현금이 위폐인 경우, 투입된 현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투입된 현금이 진폐인 경우, 현금의 액수를 카운팅하여 현금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4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키오스크 모듈(20)은 제1관리자 호출부(250)를 및 제2키오스크 모듈(30)은 제2관리자 호출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호출부(250, 360)는 누름 여부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게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관리자 호출부(250)는 하우징(10)의 일면에, 제2관리자 호출부(360)는 하우징(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키오스크 모듈(20, 30)의 사용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 호출부(250, 360)를 통해 용이하게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40)은 제1키오스크 모듈(20) 및 제2키오스크 모듈(3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 모듈(40)은 제2근접 센서부(340)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감지값(이하,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2표시부(300)를 제어하여,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표시부(300)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은 표시부(200, 300)가 오프(OFF)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품 정보 화면은 매장 내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자는 상품 정보 화면 내에서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상품 주문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상품 주문 시스템(1)은 사용자가 근방에 접근하였을 경우에만, 표시부(200, 300)를 온(ON)해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0)은 제1근접센서부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한 감지값(이하, 제1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은 상품 주문 시, 상품 주문에 대한 대금 결제를 카드로 진행할지, 현금으로 진행할지 사용자의 의사를 묻는 화면이다. 한편, 제1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 모듈(40)은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 제어 모듈(40)은 제1입력부(210)를 통해 현금 결제 선택을 입력받으면,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카드 결제 선택을 입력받으면,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안내 화면은 제2키오스크 모듈(30)로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화면으로, 제2키오스크 모듈(30)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함께 “현금 결제가 불가 합니다. 옆에 있는 단말기에서 결제를 진행해주십시오”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현금 및 카드 결제가 모두 가능한 제2키오스크 모듈(30)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바로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카드 결제만 가능한 제1키오스크 모듈(20)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기 전, 결제 수단을 입력받아 결제 수단에 따라,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거나, 현금 결제가 불가함을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는 최종 결제 단계에서 현금 결제가 불가함을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모듈(40)은 제1표시부(200)에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은 상품 정보 화면과 동일하나,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만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상품 주문 입력 시 대금 결제 화면이 아닌 이동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 모듈(40)은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40)은 제2감지값에 따라, 제2키오스크 모듈(30)의 사용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제2키오스크 모듈(30)로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제1키오스크 모듈(20)에서의 상품 우선 선택을 안내할 수 있다.
상품 선택 화면 표시 후, 제어 모듈(40)은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이 제1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면,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표시부(300)를 제어하여 선택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 모듈(40)은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대기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안내 화면은 사용자의 대기를 안내하는 화면으로,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다른 단말기가 사용중 입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로, 사용자가 제1키오스크 모듈(20)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 모듈(40)은 S100단계에서 대기상태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대기 상태에서 제어 모듈(40)은 제1근접 센서부(240) 및 제2근접 센서부(340)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감지값을 수신하는 상태일 수 있다. 본격적인 제어 방법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제어 모듈(40)은 제1감지값 또는 제2감지값을 기설정값과 비교 시, 가장 최근에 수신한 감지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 모듈(40)은 S110단계에서 제어 모듈(40)은 수신한 제1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제1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S13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모듈(40)은 S12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 제어 모듈(40)은 S140단계에서 제1입력부(210)를 통해 현금 결제 선택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현금 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S16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현금 결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제어 모듈(40)은 S170단계에서 제1입력부(210)를 통해 카드 결제 선택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카드 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S18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S160단계 이전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 주문 시스템(1)의 제어 방법은 S160단계 이전, S200단계 내지 S25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40)은 S200단계에서 대기 상태로 사용자의 현금 결제 선택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제어 모듈(40)은 S210단계에서 수신한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 모듈(40)은 S22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 모듈(40)은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S16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이 표시된 후, S230단계에서 제어 모듈(40)은 제1입력부(210)를 통해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이 입력되는 경우, S240단계에서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S260단계에서 제어 모듈(40)은 제2표시부(300)를 제어하여, S230단계에서 선택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S160단계에서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감기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S250단계에서 제어 모듈(40)은 제1표시부(200)를 제어하여, 대기 안내 화면을 표시하고, 다시 S240단계로 돌아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제2감지값과 기설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대금 결제 화면이 표시된 후, 제어 모듈(40)은 카드 인식부(220, 320)로부터 카드 정보를 입력받거나, 현금 인식부(350)로부터 현금 정보를 입력받아 대금을 지불하는 최종 결제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상품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금 결제가 가능한 다른 단말기가 사용중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상품을 우선 선택하도록 하고, 이후, 현금 결제가 가능한 다른 단말기가 사용이 완료된 경우, 다른 단말기로의 이동을 안내와 동시에 다른 단말기로 선택된 상품 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상품 주문 시스템
10 : 하우징
20 : 제1키오스크 모듈
30 : 제2키오스크 모듈
40 : 제어 모듈

Claims (5)

  1. 상품 주문 시스템의 외곽을 이루는 다각형 기둥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키오스크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결합되는 제2키오스크 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은,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카드가 투입 가능하며,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인식부와,
    상기 상품 주문에 대한 증빙서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하우징의 타면이 이루는 각도는 130° 내지160°이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 및 제2키오스크 모듈은, 접근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감지값을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근접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주문에 대한 대금을 카드로 지불할지, 현금으로 지불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현금 결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현금 결재가 가능한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로 안내하는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며, 카드 결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은,
    지폐 또는 동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투입 가능하며, 투입된 현금의 진위를 확인하는 현금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현금 및 카드 결제가 모두 가능한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바로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카드 결제만 가능한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경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상기 결제 수단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상기 제2 키오스크 모듈에 다른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상기 대기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및 주문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안내 화면을 표시하기 전,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품 우선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키오스크 모듈의 입력부를 통해 상품 선택 및 상품 주문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근접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감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키오스크 모듈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상품이 포함된 대금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KR1020180006950A 2018-01-19 2018-01-19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KR10196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50A KR101964296B1 (ko) 2018-01-19 2018-01-19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50A KR101964296B1 (ko) 2018-01-19 2018-01-19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296B1 true KR101964296B1 (ko) 2019-08-07

Family

ID=6762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50A KR101964296B1 (ko) 2018-01-19 2018-01-19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03B1 (ko) 2019-10-21 2020-12-15 주식회사 담다 듀얼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102215213B1 (ko) 2019-12-04 2021-02-10 장관익 슬림화된 키오스크 유닛
KR102215216B1 (ko) 2019-12-04 2021-02-10 장관익 슬림화된 키오스크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03Y1 (ko) 2005-06-17 2005-08-31 한우진 웹 키오스크
JP2011134297A (ja) * 2009-12-22 2011-07-07 Ncr Corp マルチメディア製品を受け渡しするための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システム
JP2012123657A (ja) * 2010-12-09 2012-06-28 Omron Corp 物品販売装置
JP2017134573A (ja) *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寺岡精工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03Y1 (ko) 2005-06-17 2005-08-31 한우진 웹 키오스크
JP2011134297A (ja) * 2009-12-22 2011-07-07 Ncr Corp マルチメディア製品を受け渡しするための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システム
JP2012123657A (ja) * 2010-12-09 2012-06-28 Omron Corp 物品販売装置
JP2017134573A (ja) *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寺岡精工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03B1 (ko) 2019-10-21 2020-12-15 주식회사 담다 듀얼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KR102215213B1 (ko) 2019-12-04 2021-02-10 장관익 슬림화된 키오스크 유닛
KR102215216B1 (ko) 2019-12-04 2021-02-10 장관익 슬림화된 키오스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292B1 (en) Adapter device for obtaining payments and monitoring inventory levels of a vending machine
KR101964296B1 (ko) 듀얼 키오스크를 구비한 상품 주문 시스템
US8205770B2 (en) Vending machine user interface guide; electronic coin return; and hinged delivery bin
US201502352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shless transactions at vending machines
US11263858B2 (en) Cash processing system, cash processing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cash processing machine
US9520033B2 (en) Transaction machine with multiple transaction access points
US20020161598A1 (en) Integrated goods and online service vending machine
US10628810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09048382A (ja) 自動取引装置
JP4626876B2 (ja) 自動取引装置
JP7373729B2 (ja) 精算決済装置および無人店舗システム
JP5176705B2 (ja) 自動取引装置
US20040220859A1 (en) Self service checkout system
KR20190044997A (ko) 차량용 키오스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42020B1 (ko)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효과적인 장애조치를 위한 전후면 화면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화면전환장치
KR102025656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6063420A1 (en) A constructive arrangement in an automatic self-checkout system for transactions of goods purchase
US20220058908A1 (en) Product delivery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WO2023240151A2 (en) Video bezel for automated payment systems
WO2017013955A1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及び自動販売機
KR101010474B1 (ko) 창구 안내 표시기와 순번발행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창구 안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50086026A (ko) 대기표 처리 시스템
KR100312773B1 (ko) 주차요금 자동 정산기의 점검방법
WO2020106294A1 (en) An adapter device for obtaining payments and monitoring inventory levels of a vending machine
JP6569352B2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及び自動販売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