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505B1 -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505B1
KR101963505B1 KR1020170093500A KR20170093500A KR101963505B1 KR 101963505 B1 KR101963505 B1 KR 101963505B1 KR 1020170093500 A KR1020170093500 A KR 1020170093500A KR 20170093500 A KR20170093500 A KR 20170093500A KR 101963505 B1 KR101963505 B1 KR 10196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e collection
hole
tub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266A (ko
Inventor
류희욱
전준민
김유미
양우영
최연주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선 바이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바이오 (주) filed Critical 선 바이오 (주)
Publication of KR2018013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는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시료 채취 장치는, 시료 채취관 및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부에서 연결되는 제1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내측관 - 상기 복수의 제1 셀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됨 -; 및 내부가 비어있는 시료 채취실 및 상기 시료 채취실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제2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셀을 포함하는 외측관 - 상기 복수의 제2 셀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됨 -;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관은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되, 상기 내측관이 제1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 채취관에 담기고, 상기 내측관이 제2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 채취관에 담긴 시료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Description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Device for collecting solid matrix samples from an animal carcass disposal fac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물(가축)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처리 시설 내부의 토양 또는 퇴비 또는 토양과 퇴비 혼합물 등과 같은 고체 매질의 시료가 교란되지 않게 채취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정보와 환경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경 기술 개발 사업/환경 산업 선진화 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출원된 특허이며, 관련 사항은 아래와 같다.
부처명: 환경부
전담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과제명: 고온기능성 미생물과 메탄산화세균을 이용한 감염사축 처리과정의 악취와 온실가스 동시저감기술
연구기관(주관기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관(위탁기관): 그린환경종합센터
과제번호: 2014000110009
가축 전염병의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살처분한 감염 가축을 전염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신속히 처리하여야 하며, 종래에는 화장법, 소각법, 렌더링, 염기가수분해, 매립법, 매몰법, 퇴비화, 혐기소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살처분한 감염 가축을 처리하였다. 국내의 경우, 주로 매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혐기소화법을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토양 매몰법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토양 매몰법은 토양에 4 m 내지 5 m의 높이의 구덩이를 굴착한 후 가축 사체를 매몰한다. 이 때, 살균 처리를 위해 매몰지에 생석회 층을 형성시킨다. 즉, 종래의 토양 매몰법의 경우 가축 사체 분해 시 온도가 5~30℃로 유지되며, 이 경우 병원성 균들이 사멸되지 않아 매몰지에 생석회 층을 형성시켜 살균 처리를 한다.
한편, 종래의 매몰법과 퇴비화법이 적용된 가축 사체 처리 시설에 오거(auger) 등과 같은 관측 장치를 삽입하여 가축 사체 처리시설 내부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해 과정을 확인한다. 그러나, 오거를 사용하는 경우, 채취 깊이에 제약이 있고, 동물의 뼈와 자갈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적용이 어렵고, 채취 과정에서 시료 압축 등으로 인해 원하는 지점에서의 시료를 채취하기 어려우며, 시료 채취 시 시료 교란(sample disturbance)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동물(가축)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토양 또는 퇴비 또는 토양과 퇴비 혼합물 등과 같은 고체 매질의 시료가 교란되지 않게 채취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정보와 환경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시료 채취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사체 처리시설에 삽입되어 토양 또는 퇴비 또는 토양과 퇴비 혼합물 등과 같은 처리 시설 내부의 고체 매질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로서, 시료 채취관 및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부에서 연결되는 제1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내측관 - 상기 복수의 제1 셀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됨 -; 및 내부가 비어있는 시료 채취실 및 상기 시료 채취실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제2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셀을 포함하는 외측관 - 상기 복수의 제2 셀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됨 -;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관은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되, 상기 내측관이 제1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 채취관에 담기고, 상기 내측관이 제2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 채취관에 담긴 시료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된 제1 셀의 제1 연장관에는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는 동일한 열에 기 설정된 높이 차이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제2 셀의 제2 연장관에는 제3 관통구가 배치되며, 고정핀이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제1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제2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2 관통구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관은 내부가 막혀있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연장관은 내부가 비어있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료 채취실의 내부는 비어있되, 상기 시료 채취실의 겉면 중 일부의 겉면은 다공면이고, 상기 시료 채취실의 겉면 중 나머지 일부의 겉면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관은,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1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과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2 구조물 및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을 연결하는 보(beam) 형태의 제3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3 구조물이 위치하는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상기 시료가 담길 수 있다.
상기 내측관이 제1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 채취실에는 상기 시료 채취관 중 상기 사이의 공간이 위치하여 상기 시료가 담기고, 상기 내측관이 제2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료 채취실에는 상기 시료 채취관 중 상기 제1 구조물이 위치하여 상기 시료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물의 높이는 상기 시료 채취실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가지는 시료 채취관 및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막혀있는 기둥 형상을 갖는 제1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내측관 -; 및 내부가 비어있되 겉면 중 일부의 겉면은 다공면이고, 나머지 일부의 겉면은 존재하지 형상을 갖는 시료 채취실 및 상기 시료 채취실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기둥 형상을 갖는 제2 연장관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셀을 포함하며, 수직으로 이동하는 상기 내측관이 내부에 배치된 외측관; 및 상기 내측관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셀 및 상기 복수의 제2 셀 각각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된 제1 셀의 제1 연장관에는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제2 셀의 제2 연장관에는 제3 관통구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제1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 채취관의 공간에 담기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제2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시료 채취관에 담긴 시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는 불교란으로 동물 사체 처리 시설 내부의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미생물 군집변화 등의 미생물학적 정보와 pH/수분함량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토양 매몰법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동물 사체의 처리 시설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시료 채취 장치의 사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 및 외측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 및 외측관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 및 외측관의 결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일례로, 가축) 사체의 처리 시설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내측관(210), 외측관(220) 및 고정핀(230)를 포함한다.
외측관(220)는 비어있는 기둥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비어있는 외측관(220)의 내부 공간에는 내측관(210)이 배치된다. 이 때, 내측관(210)는 외측관(2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내측관(210)는 동물 사체 처리시설 내부의 토양 또는 퇴비 또는 토양과 퇴비의 혼합물 등과 같은 고체 매질의 시료를 담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측관(220)는 담긴 시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고정핀(230)는 외측관(220) 내에서의 내측관(210)의 높이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21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관(22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210) 및 외측관(22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210) 및 외측관(220)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관(210) 및 외측관(220)의 결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측관(210)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셀(211)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1 셀(211) 각각은 시료 채취관(211-1) 및 제1 연장관(211-2)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료 채취관(211-1)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시료 채취관(211-1)는 시료를 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시료 채취관(211-1)는 기둥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1 구조물(211-1A), 제1 구조물(211-1A)과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며 기둥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제2 구조물(211-1B) 및 제1 구조물(211-1A)과 제2 구조물(211-1B)을 연결하는 보(beam) 형태의 제3 구조물(211-1C)을 포함한다. 이 때,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3 구조물(211-1C)이 위치하는 제1 구조물(211-1A)과 제2 구조물(211-1B) 사이의 공간에 시료가 담긴다. 또한, 제3 구조물(211-1C)은 하나 이상을 수 있다(도 4에서는 2개의 제3 구조물(211-1C)를 포함하는 시료 채취관(211-1)를 도시함).
그리고, 제1 연장관(211-2)은 시료 채취관(211-1)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막혀있는 기둥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1 연장관(211-2) 각각은 복수의 시료 채취관(211-1)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높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복수의 제1 셀(211)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된 제1 셀(211)의 제1 연장관(211-2)에는 제1 관통구(211-3) 및 제2 관통구(211-4)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관통구(211-3)와 제2 관통구(211-4)는 동일한 열에 기 설정된 높이 차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일례로, 제1 관통구(211-3)는 제2 관통구(211-4)보다 낮게 형성됨),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핀(230)이 관통됨으로써 내측관(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외측관(220)은 수직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셀(221)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2 셀(221) 각각은 시료 채취실(221-1) 및 제2 연장관(221-2)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료 채취실(221-1)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시료 채취실(221-1)는 시료 채취관(211-1)과 함께 시료를 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시료 채취실(221-1)의 내부는 비어있되, 시료 채취실(221-1)의 겉면 중 일부의 겉면은 다공면일 수 있고, 시료 채취실(221-1)의 겉면 중 나머지 일부의 겉면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하기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내측관(210)의 높이에 따라서, 시료 채취실(221-1)에는 시료 채취관(211-1)의 제1 구조물(211-1A)이 위치할 수 있고, 시료 채취관(211-1)의 제3 구조물(211-1C)이 배치하는 공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구조물(211-1A)의 높이는 시료 채취실(221-1)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관(221-2)은 시료 채취실(221-1)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기둥 형상(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2 연장관(221-2) 각각은 복수의 시료 채취실(221-1)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높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셀(221)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된 제2 셀(221)의 제2 연장관(221-2)에는 제3 관통구(22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고정핀(230)는 외측관(22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내측관(210)을 높이를 조절한다. 즉,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30)이 제1 관통구(211-3)와 제3 관통구(221-3)를 관통하는 경우, 내측관(210)은 외측관(220)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제1 높이로 배치되고(도 8의 (a)), 고정핀(230)이 제2 관통구(211-4)와 제3 관통구(221-3)를 관통하는 경우, 내측관(210)은 외측관(220)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높이로 배치된다(도 8의 (b)). 이 때,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2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관통구(211-3) 및 제3 관통구(221-3)에 고정핀(230)이 동시에 관통하는 시료 채취 장치(200)를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한다. 이 경우, 내측관(210)은 제1 높이로 배치되며, 시료 채취실(221-1)에 시료 채취관(211-1)의 제3 구조물(211-1C)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료 채취 장치(200)의 삽입 동작으로 인해 시료가 제3 구조물(211-1C)이 배치되는 공간에 저절로 담긴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내측관(210)이 수직으로 이동한 후에 제2 고정핀(230)을 관통구(211-4) 및 제3 관통구(221-3)로 동시에 관통시킨다. 이 경우, 내측관(210)은 제2 높이로 배치되며, 시료 채취실(221-1)에 시료 채취실(221-1)보다 높이가 높은 시료 채취관(211-1)의 제1 구조물(211-1A)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3 구조물(211-1C)이 배치되는 공간은 시료 채취실(221-1)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3 구조물(211-1C)이 배치되는 공간에 담긴 시료는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삽입된 시료 채취 장치(200)를 뽑아내어 시료를 채취한다. 이 때, 시료는 외부로부터 보호되는바, 교란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시료 채취 장치(200)는 불교란 시료 채취 장치이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장치(200)는 일정한 깊이 마다 시료 채취관(211-1) 및 시료 채취실(221-1)이 존재하므로, 동물 사체 처리 시설의 깊이 별로 원하는 위치에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설명한 시료 채취관(211-1) 및 시료 채취실(221-1)의 구조를 통해 시료를 교란시키기 않고 미생물학적 정보와 환경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채취한 eco-data를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통해 사용자는 매몰 시간경과에 따른 깊이별 패턴변화를 통해 부패 진행 정도의 정밀 진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료 채취 장치(200)는 장치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다수 개를 삽입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고체 매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상기 동물 사체 처리 시설 내의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셀을 포함하는 내측관 - 상기 복수의 제1 셀 각각은, 시료 채취관 및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부에서 연결되는 제1 연장관으로 구성됨 -;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셀을 포함하는 외측관 - 상기 복수의 제2 셀 각각은, 내부가 비어있는 겉면 중 일부는 존재하고 나머지 일부는 존재하지 않는 시료 채취실 및 상기 시료 채취실의 상부에서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겉면이 막혀있는 제2 연장관으로 구성됨 -;
    상기 외측관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는 상기 내측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시료 채취관은, 제1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과 일정 간격만큼 하부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제2 구조물 및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을 연결하는 보 형태의 제3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된 제1 셀의 제1 연장관의 상부에는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2 관통구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셀 중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제2 셀의 제2 연장관에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거나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를 동시에 관통하되, 상기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가 동시에 관통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상기 외측관 내의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관통구 및 상기 제3 관통구이 동시에 관통되는 경우 상기 내측관은 상기 외측관 내의 제2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관이 상기 제1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구조물이 상기 시료 채취실에 위치하여 상기 시료 채취실의 겉면의 나머지 일부를 통해 상기 시료가 상기 제3 구조물이 위치한 공간에 담기고, 상기 내측관이 제2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시료 채취실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구조물은 상기 제2 연장관에 위치하여 상기 제3 구조물이 위치한 공간에 담긴 시료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관은 내부가 막혀있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연장관은 내부가 비어있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료 채취실의 내부는 비어있되, 상기 시료 채취실의 겉면 중 일부는 다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조물이 위치하는 공간은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의 높이는 상기 시료 채취실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 장치.
  8. 삭제
KR1020170093500A 2017-06-08 2017-07-24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KR101963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531 2017-06-08
KR20170071531 2017-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66A KR20180134266A (ko) 2018-12-18
KR101963505B1 true KR101963505B1 (ko) 2019-03-28

Family

ID=64952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500A KR101963505B1 (ko) 2017-06-08 2017-07-24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KR1020170093499A KR101921001B1 (ko) 2017-06-08 2017-07-24 동물 사체 처리 시설로부터 기상 시료의 채취와 환경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99A KR101921001B1 (ko) 2017-06-08 2017-07-24 동물 사체 처리 시설로부터 기상 시료의 채취와 환경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6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4537A (zh) * 2022-10-19 2023-01-13 张龙(Cn) 一种有机肥制备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17B1 (ko) * 2010-06-23 2010-12-14 울산광역시 여과재 시료 채취기
KR101465019B1 (ko) * 2012-11-29 2014-1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602B1 (ko) * 2014-02-14 2016-03-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물반응 매몰지 및 그 안정화 방법
KR101571779B1 (ko) * 2014-07-21 2015-11-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토양 샘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17B1 (ko) * 2010-06-23 2010-12-14 울산광역시 여과재 시료 채취기
KR101465019B1 (ko) * 2012-11-29 2014-1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66A (ko) 2018-12-18
KR101921001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kons et al. Root-length densities of various annual crops following crops with contrasting root systems
Athmann et al. Root growth in biopores—evaluation with in situ endoscopy
Udawatta et al. Agroforestry and grass buffer influence on macropore characteristics: a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Singh et al. Cover crops for managing stream water quantity and improving stream water quality of non-tile drained paired watersheds
KR101963505B1 (ko) 동물 사체 처리 시설에 삽입되어 고체 매질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
CN100368566C (zh) 水生动物粪样细菌dna提取试剂盒及方法
Égüez et al. Carbon isotope ratios of plant n-alkanes and microstratigraphy analyses of dung accumulations in a pastoral nomadic winter campsite (Eastern Mongolia)
US20120016264A1 (en) Microextraction Probe
Hybholt et al. Quantification of centimeter-scale spatial variation in PAH, glucose and benzoic acid mineralization and soil organic matter in road-side soil
CN100592060C (zh) 根际微域土壤的取样装置
Patrolecco et al. Environmental fate and effects of foaming agents containing sodium lauryl ether sulphate in soil debris from mechanized tunneling
Rhea-Fournier et al.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the study of earthworms in forest ecosystems
Sura et al. Transport of three antimicrobials in runoff from windrows of composting beef cattle manure
Viney et al. The Bruneau Woodpile: A miocene phosphatized fossil wood locality in Southwestern Idaho, USA
CN102103138B (zh) 一种原状土壤培养容器及其应用
Onweremadu et al. Evaluation of selected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as influenced by legumes and ProminoI®-P fertilization
Guzman et al. Escherichia coli transport from surface‐applied manure to subsurface drains through artificial biopores
Brewer Maturity and stability evaluation of composted yard debris
Guzman et al. Surface runoff transport of Escherichia coli after poultry litter application on pastureland
Athmann et al. Biopore characterization with in situ endoscopy: Influence of earthworms on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Pinto et al. Stability, labile organic carbon, and glomalin of biogenic aggregates in sandy soils under management systems in the subtropical region of Brazil
CN104745451B (zh) 一种用于培养降解阿特拉津共生体系的培养装置及获得共生培养体系的方法
US61468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use of sentinel microorganism
Ash et al. Moving towards Zero-Waste: A Case-Study from Kerala, India
Pechal et al. Sampling methods and data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