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17B1 -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17B1
KR101962817B1 KR1020170125078A KR20170125078A KR101962817B1 KR 101962817 B1 KR101962817 B1 KR 101962817B1 KR 1020170125078 A KR1020170125078 A KR 1020170125078A KR 20170125078 A KR20170125078 A KR 20170125078A KR 101962817 B1 KR101962817 B1 KR 10196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rinkle
wrinkle filter
filter portion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니현 김
Original Assignee
제니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니현 김 filed Critical 제니현 김
Priority to KR102017012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17B1/ko
Priority to CN201810146299.XA priority patent/CN10955016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휴대 및 착용할 수 있는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제 1 림부와, 제 1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와, 제 1 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림부와, 제 2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부와, 제 1 림부와 제 2 림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NASAL FILTER, NASAL FILTER S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ASAL FILTER}
본 발명은 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코에 간단하게 착용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대기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미세먼지는 그 발생원이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연적 발생원은 흙먼지, 화산 분출에 의한 분진 및 고체 물질, 식물의 꽃가루 등이 있다. 인위적 발생원은 보일러나 발전시설 등에서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 공장 내 분말형태의 원자재, 부자재 취급공정에서의 가루성분, 소각장 연기 등이 있다.
미세먼지는 중금속, 유해화학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미세먼지는 폐에 깊숙히 침투하여 여러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폐암 발생률 뿐만 아니라 뇌졸중이나 심장마비 심혈관계 사망률과 질병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다. 미세먼지는 목구멍이나 코 점막을 통과한 후 뇌에 도달하여 노년층의 인지 능력을 저하시킬수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자폐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대기오염을 줄이려는 사회적 국제적 노력과 더불어, 대기오염 물질로부터의 건강을 보호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과 관련한 제품의 시장도 커지고 있고, 다양한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미국공개특허 US2007/0283963(2007.12.13)에는 사람의 코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코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코 필터는 플라스틱재의 클립 일측부 및 타측부에 플라스틱재의 링이 연결되고, 한 쌍의 링 각각에 원형의 필터가 각각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코 필터는 사람의 코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호흡 중 코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필터로 걸러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코 필터는 대부분의 구성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불편하고,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필터가 플라스틱 메시망 구조로 이루어져 미세 유해물질 여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07/0283963 (2007.12.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휴대 및 착용할 수 있는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사용자의 콧구멍 내에서 여과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우수한 여과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제 1 림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림부; 상기 제 2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부; 및 상기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는 상기 제 1 림부가 놓이는 평면 상으로 납작하게 접혀 있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도록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는 상기 제 2 림부가 놓이는 평면 상으로 납작하게 접혀 있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도록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은 각각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 필터는 그 기능도(enhancement)에 따라, 사이즈,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의 개수, 첨가된 향이 선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브릿지 중앙에 배치되는 복수의 브릿지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걸이부; 및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고정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브릿지부 전체 또는 일부분이 컬러 코딩(color coding)될 수 있다.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과, 상기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 1 주름 필터 플랩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 시 상기 제 1 주름 필터 플랩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이 개방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 2 주름 필터 플랩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 시 상기 제 2 주름 필터 플랩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브릿지부가 모두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세트는, 제 1 림부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코 필터; 및 상기 코 필터를 수용하는 케이스 홈이 구비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구비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코 필터는,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걸이부와,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고정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 필터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케이스 홈에 낱개로 담기고, 상기 포장 케이스는 복수 개가 하나의 포장 박스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제조방법은, (a)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하부 금형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를 갖는 상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사이에 필터지를 개재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가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으로 상기 필터지를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압축 성형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에 대응하는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압축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납작하게 접는 단계; 및 (e) 상기 필터지를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으로 상기 필터지를 가압하면서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제조방법은, (f) 상기 (d) 단계 이전에,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가 복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접힘 가이드를 갖는 받침 금형과, 프레스 판을 갖는 프레스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상기 한 쌍의 접힘 가이드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판으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가압하여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제조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 (g) 상기 제 1 림부 및 상기 제 2 림부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만드는 단계; 및 (h)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구조가 단순하고 가볍고 얇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콘형으로 펴져서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되므로, 여과 면적이 확장되고, 오염 물질의 여과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할 수 있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공기질이 나쁜 곳에서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한 후, 쓰레기통 등에 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의 크기 조절이 쉬워 사용자가 자신의 코와 콧속 안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접착제 등 다른 고정 수단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의 접힌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가 사용자의 코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 세트 복수 개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포장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의 접힌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가 사용자의 코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와,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 각각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와,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30)와,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1 고정걸이부(140)와,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2 고정걸이부(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 필터(100)는 사용자의 코(10)에 간편하게 착용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와, 제 1 고정걸이부(140) 및 제 2 고정걸이부(145)를 각각 지지한다.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는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 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는 코 필터(100)의 윤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 필터(100)가 사용자의 코(10)에 착용될 때,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는 콧방울(11)의 둘레에 접하여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각각 콧구멍(12) 속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림부(110)의 내측에 제 1 림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을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은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며, 아코디언식으로 접혔다가 펴질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이 접혔다가 펴지는 방식으로 제 1 림부(110)가 놓이는 가상의 평면 상으로 납작하게 접혔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주름 필터부(120)가 제 1 림부(110)와 대략 같은 높이로 주름 접혀 납작하게 눌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주름 필터부(120)를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면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이 펴지면서 제 1 주름 필터부(120)가 도 1과 같이 제 1 림부(110)로부터 콘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를 구성하는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인 것이 좋으며, 설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은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중심이 다소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제 1 림부(110)와 대략 같은 높이로 납작하게 접혔다가 콘형으로 펴지면서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콧구멍(12) 크기에 맞춰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을 펴서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크기를 자신의 콧구멍(12)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콧구멍(12) 속에서 콧구멍(12) 크기와 깊이에 맞춰 펴짐으로써 여과 면적이 확장되고, 오염 물질의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콧구멍(12) 속에 삽입된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콧구멍(12) 속의 습도에 의해 코벽에 달라붙을 수 있어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도 콧구멍(12) 속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주름 필터부(125)는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림부(115)의 내측에 제 2 림부(115)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제 1 주름 필터부(120)와 같다. 즉, 제 2 주름 필터부(125)는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을 포함한다. 제 2 주름 필터부(125)는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이 아코디언식으로 접혔다가 펴지는 방식으로 제 2 림부(115)와 대략 같은 높이로 납작하게 접혔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다.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도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주름 필터부(125) 역시 콧구멍(12) 속에서 콧구멍(12) 크기와 깊이에 맞춰 펴짐으로써 여과 면적이 확장되고, 오염 물질의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과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중심이 다소 편심되게 배치된 것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이나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은 타원형 이외에, 원형, 사각형 등 다른 모양으로 동심 배치되거나, 각각의 중심이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브릿지부(130)는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를 연결한다. 브릿지부(130)는 복수의 브릿지 주름(131)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브릿지 주름(131)은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끝단 중심(C1)과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끝단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면에는 브릿지 주름(131)이 가상의 연결선(L)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브릿지 주름(131)의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 필터(100)의 착용 시, 사용자가 브릿지부(130)의 양쪽 끝부분을 콧구멍(12) 내측의 코벽으로 살짝 꺾어 눌러줌으로써, 브릿지부(130)가 콧구멍(12) 속에 삽입된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두 콧구멍(12) 사이의 거리는 다양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코(10) 모양이나 크기에 맞춰 브릿지 주름(131)의 펴짐량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주름 필터부(120)와 제 2 주름 필터부(125)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 1 고정걸이부(140)는 사용자의 콧방울(11)에 걸칠 수 있도록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고정걸이부(140)는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을 포함한다.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은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 필터(100)의 착용 시, 제 1 고정걸이부(140)를 상측으로 내지 수직으로 접어서 사용자의 콧방울(11)에 걸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걸이부(140)는 사용자의 콧방울(11)에 접함으로써 코 필터(100)의 고정력을 높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콧방울(11) 크기에 맞춰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 중에서 적절한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을 따라 제 1 고정걸이부(140)를 굽혀서 제 1 고정걸이부(140)를 자신의 콧방울(11)에 걸 수 있다.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이 아닌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 내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을 아치형으로 하면 제 1 고정걸이부(140)를 굽힐 때 탄성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 고정걸이부(14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은 제 1 고정걸이부(140)에 복수의 아치형 접이주름을 만들어 눌린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고정걸이부(145)는 사용자의 콧방울(11)에 걸칠 수 있도록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고정걸이부(145)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 1 고정걸이부(140)와 같다. 즉, 제 2 고정걸이부(145)는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6)을 포함한다.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6)은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5)은 제 2 고정걸이부(145)에 복수의 아치형 접이주름을 만들어 눌린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걸이부(140)와 마찬가지로, 제 2 고정걸이부(145)를 상측으로 내지 수직으로 접어서 사용자의 콧방울(11)에 걸침으로써 코 필터(100)의 고정력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컬러 코딩(color coding)될 수 있다. 코 필터(100)를 다양한 색상으로 코딩해 놓으면, 사용자가 코 필터(100)의 색상으로 자신이 필요한 것을 바로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코 필터(100) 전체가 컬러 코딩되거나,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와, 제 1 주름 필터부(120)와, 제 2 주름 필터부(125)와, 브릿지부(130)와, 제 1 고정걸이부(140)와, 제 2 고정걸이부(145) 전체 혹은 일부분이 컬러 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그 효율성(effectiveness)이나, 기능도(enhancement) 등 용도 및 기능에 따른, 어른용과 아이들용을 위한 전체 사이즈, 코 필터(100) 내의 동심형 주름부 개수의 변화 등으로 그 선택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 필터(100)는 각종 무해 향(flavor)을 첨가하여 사용자의 선택 옵션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구조가 단순하고 가볍고 얇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가 콘형으로 펴져서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에 삽입되므로, 여과 면적이 확장되고, 오염 물질의 여과 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할 수 있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공기질이 나쁜 곳에서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한 후, 쓰레기통 등에 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크기 조절이 쉬워 사용자가 자신의 코와 콧속 안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접착제 등 다른 고정 수단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100)는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와, 제 1 주름 필터부(120)와, 제 2 주름 필터부(125)와, 브릿지부(130)와, 제 1 고정걸이부(140)와, 제 2 고정걸이부(145)가 모두 하나의 필터지(filtering pap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코 필터(100)는 하나의 필터지를 압축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 필터(100)를 하나의 필터지로 만들면 다른 소재나 접착제를 배제할 수 있어 제조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필터지로는 HEPA 필터 등 여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코 필터에 요구되는 여과 능력에 따라 단순 오염물질 여과에서 고미세 오염물질 여과까지 오염여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필터지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종류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의 제조방법은, 필터지(20)를 압축 성형하기 위한 하부 금형(210) 및 상부 금형(220)을 준비하는 단계와, 하부 금형(210) 및 상부 금형(220)으로 필터지(20)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와, 압축 성형된 필터지(20)를 납작하게 접는 단계와, 필터지(20)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절단된 코필터의 림을 두껍게 만드는 단계, 및 코 필터 양 끝부분을 아치형 내지 타원형 형태의 접이 자국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부 금형(210) 및 상부 금형(22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다. 하부 금형(210)은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212)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하부 금형 바디(211)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212)은 코 필터(100)의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형 성형홈(213)을 포함한다.
하부 금형 바디(211) 상면에는 하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14)가 배치된다. 하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14)는 코 필터(100)의 브릿지부(130)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212)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금형(220)은 상부 금형 바디(221)와, 상부 금형 바디(221)의 하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2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222)는 하부 금형 바디(211)의 두 하부 금형 성형홈(212)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두 하부 금형 성형홈(21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222)는 코 필터(100)의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형 성형돌기(223)를 포함한다.
상부 금형 바디(221) 하면에는 상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24)가 배치된다. 상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24)는 코 필터(100)의 브릿지부(130)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금형(210)의 하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14)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금형(210) 및 상부 금형(220)으로 필터지(20)를 압축 성형하는 단계에서 하부 금형(210)과 상부 금형(220)의 사이에 필터지(20)를 개재하고, 상부 금형(220)으로 필터지(20)를 하부 금형(210) 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부 금형 성형돌기(222)가 하부 금형 성형홈(212)에 삽입되고 필터지(20)가 하부 금형 성형홈(212)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에 대응하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하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14)와 상부 금형 브릿지 주름 성형 요철부(224)에 의해 브릿지부(130)에 대응하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이 단계에서, 하부 금형(210)과 상부 금형(220) 사이에 개재된 필터지(20)에 열을 가함으로써 필터지(20)를 더욱 원활하고 정교하게 성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금형(220)을 하부 금형(210)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압축 성형된 필터지(20)를 상부 금형(220) 및 하부 금형(210)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 금형(230)과 프레스 금형(240)을 이용하여 압축 성형된 필터지(20)를 납작하게 접는다.
받침 금형(230)은 한 쌍의 수용홈(232)이 마련된 받침 금형 바디(231)와, 받침 금형 바디(2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접힘 가이드(2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접힘 가이드(233)의 한 쌍의 수용홈(232)에 각각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접힘 가이드(233)는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234)를 포함한다. 이들 동심형 가이드돌기(234)는 각각 탄성부재(2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234) 중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다른 동심형 가이드돌기(2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뚫린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234)는 하측 방향으로 누릴 때 각각 탄성부재(235)를 압축하면서 차례로 하강하여 수용홈(232)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접힘 가이드(233)는 하측 방향으로 눌릴 때,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234)가 모두 수용홈(232)에 수용됨으로써 받침 금형 바디(231)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접힐 수 있다.
프레스 금형(240)은 한 쌍의 접힘 가이드(233)를 동시에 가압하여 누를 수 있도록 평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판(241)을 포함한다.
받침 금형(230)과 프레스 금형(240)을 이용하면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가 형성된 필터지(20)를 원활하게 눌러 압축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접힘 가이드(233)가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지지하도록 필터지(20)를 받침 금형(230)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판(241)으로 필터지(20)를 가압하면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가 접힘 가이드(233)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위쪽부터 차례로 접히게 된다. 이때, 접힘 가이드(233)의 동심형 가이드돌기(234)가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를 지지한 상태로 차례로 하강하면서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고르게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주름 필터부(120)가 압축되면서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이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형성되고, 제 2 주름 필터부(125)가 압축되면서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126)이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형성되도록 필터지(20)를 납작하게 접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지(20)를 절단하는 단계에서 필터지(20)를 제 1 주름 필터부(120), 제 2 주름 필터부(125), 브릿지부(130), 제 1 고정걸이부(140) 및 제 2 고정걸이부(145)를 포함하도록 절단한다. 이때, 제 1 주름 필터부(120), 제 2 주름 필터부(125), 제 1 고정걸이부(140) 및 제 2 고정걸이부(145)의 외곽 둘레 부분이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필터지(20)를 눌러 압축하는 방식으로 제 1 고정걸이부(140)의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과, 제 2 고정걸이부(145)의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6)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과정은 별도의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걸이부(140)에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을 형성하는 과정과, 제 2 고정걸이부(145)에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6)을 형성하는 과정은 별도의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은 다른 필터지를 덧대어 압축하는 방법이나, 필터지를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압축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하부 금형(210)의 상면과 상부 금형(220)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를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고정걸이부와 제 2 고정걸이부에 복수의 아치형 내지 부분 아치형 타원형 접이 자국을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시된 것과 같은 상부 금형(220), 하부 금형(210), 받침 금형(230), 프레스 금형(240)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을 통해 필터지(20)를 가공하여 코 필터(10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앞서 설명한 코 필터(100)를 포함하는 코 필터 세트(300)를 나타낸 것이다. 코 필터 세트(30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코 필터(100)와, 코 필터(100)를 수용하는 포장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포장 케이스(400)는 코 필터(100)를 수용하는 케이스 홈(411)이 구비되는 케이스 바디(410)와, 케이스 홈(411)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 바디(4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415)를 포함한다. 케이스 커버(415)의 안쪽 면에는 접착부(416)가 구비된다. 케이스 커버(415)는 접착부(416)를 통해 케이스 바디(4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 필터(100)는 포장 케이스(400)의 케이스 홈(411)에 낱개로 담기고, 포장 케이스(400)는 복수 개가 하나의 포장 박스(500)에 수용될 수 있다. 포장 케이스(400)에 담기는 코 필터(1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코 필터(600)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와, 제 1 림부(110) 및 제 2 림부(115) 각각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와, 제 1 림부(110)와 제 2 림부(115)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30)와, 제 1 림부(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1 고정걸이부(140)와, 제 2 림부(115)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 2 고정걸이부(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 필터(6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코 필터(100)와 같고, 제 1 주름 필터부(120) 및 제 2 주름 필터부(125)에 구성 요소가 더 추가된 것이다.
제 1 주름 필터부(120)는 상단에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과,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주름 필터 플랩(613)을 포함한다.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은 제 1 주름 필터부(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 중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제 1 동심형 링 주름(121)의 중간에 배치된다. 제 1 주름 필터 플랩(613)은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내측에 가동형으로 배치되어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을 개폐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 플랩(613)은 제 1 주름 필터부(120)가 사용자의 콧구멍(12) 속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날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움직여서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을 개방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 플랩(613)은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는 움직이지 않고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을 밀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를 들이마실 때 콧구멍(12)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 1 주름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된 후 사용자의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는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 주름 필터부(120)와 마찬가지로 제 2 주름 필터부(125)는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615)과,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615)을 개폐하기 위한 제 2 주름 필터 플랩(617)을 포함한다.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615)과 제 2 주름 필터 플랩(617)의 작용은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611) 및 제 1 주름 필터 플랩(613)과 같다.
제 1 고정걸이부(140)는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141)을 포함하고 제 1 림부(110)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고정걸이부(145)는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146)을 포함하고 제 1 림부(110)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코 필터는 그 기능도(enhancement) 등에 따라 사이즈, 동심형 링 주름의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각기 다른 향이 첨가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600 : 코 필터 110 : 제 1 림부
115 : 제 2 림부 120 : 제 1 주름 필터부
121 : 제 1 동심형 링 주름 125 : 제 2 주름 필터부
126 : 제 2 동심형 링 주름 130 : 브릿지부
131 : 브릿지 주름 140 : 제 1 고정걸이부
141 :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 145 : 제 2 고정걸이부
146 :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 210 : 하부 금형
212 : 하부 금형 성형홈 220 : 상부 금형
222 : 상부 금형 성형돌기 230 : 받침 금형
233 : 접힘 가이드 235 : 탄성부재
240 : 프레스 금형 241 : 프레스 판
300 : 코 필터 세트 400 : 포장 케이스
410 : 케이스 바디 415 : 케이스 커버
500 : 포장 박스 611 :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
613 : 제 1 주름 필터 플랩 615 :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
617 : 제 2 주름 필터 플랩

Claims (20)

  1. 제 1 림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림부; 상기 제 2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부; 및 상기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걸이부; 및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고정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걸이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는 상기 제 1 림부가 놓이는 평면 상으로 납작하게 접혀 있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도록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동심형 링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는 상기 제 2 림부가 놓이는 평면 상으로 납작하게 접혀 있다가 콘형으로 펴질 수 있도록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동심형 링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은 각각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 필터는 그 기능도(enhancement)에 따라, 사이즈, 상기 제 1 동심형 링 주름 및 상기 제 2 동심형 링 주름의 개수, 첨가된 향이 선택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브릿지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브릿지부 전체 또는 일부분이 컬러 코딩(color co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과, 상기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 1 주름 필터 플랩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 시 상기 제 1 주름 필터 플랩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 오프닝이 개방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을 개폐하는 제 2 주름 필터 플랩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 시 상기 제 2 주름 필터 플랩이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제 2 주름 필터 오프닝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림부 및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브릿지부가 모두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13. 제 1 림부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1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1 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림부의 내측에 주름 접혀 눌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 2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림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코 필터; 및 상기 코 필터를 수용하는 케이스 홈이 구비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구비하는 포장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 필터는,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걸이부와, 사용자의 콧방울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접힘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고정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120)의 중심(C1)과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125)의 중심(C2)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세트.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세트.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 필터는 상기 포장 케이스의 케이스 홈에 낱개로 담기고, 상기 포장 케이스는 복수 개가 하나의 포장 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세트.
  17. (a)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하부 금형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를 갖는 상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사이에 필터지를 개재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가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으로 상기 필터지를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압축 성형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에 대응하는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압축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납작하게 접는 단계; 및
    (e) 상기 필터지를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 상기 (d) 단계 이전에, 동심을 이루며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형 가이드돌기가 복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접힘 가이드를 갖는 받침 금형과, 프레스 판을 갖는 프레스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상기 한 쌍의 접힘 가이드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판으로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가압하여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으로 상기 필터지를 가압하면서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제조방법.
  19. 삭제
  20. (a)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하부 금형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를 갖는 상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사이에 필터지를 개재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가 상기 한 쌍의 하부 금형 성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으로 상기 필터지를 상기 하부 금형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압축 성형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금형 성형돌기에 대응하는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상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가 형성된 상기 필터지를 압축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납작하게 접는 단계; 및
    (e) 상기 필터지를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및 제 2 주름 필터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하여,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1 림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림부와,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와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 이후,
    (g) 상기 제 1 림부 및 상기 제 2 림부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만드는 단계; 및
    (h)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상기 제 1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의 제 1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에 상기 제 2 주름 필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형의 제 2 고정걸이 접이자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제조방법.
KR1020170125078A 2017-09-27 2017-09-27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KR10196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78A KR101962817B1 (ko) 2017-09-27 2017-09-27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CN201810146299.XA CN109550167A (zh) 2017-09-27 2018-02-12 鼻腔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78A KR101962817B1 (ko) 2017-09-27 2017-09-27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817B1 true KR101962817B1 (ko) 2019-03-27

Family

ID=6586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78A KR101962817B1 (ko) 2017-09-27 2017-09-27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2817B1 (ko)
CN (1) CN109550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17B1 (ko) * 2019-04-12 2019-08-14 김창근 소리 전달 기능이 우수한 방진 마스크
KR102064174B1 (ko) * 2019-04-24 2020-01-08 백수정 인체접착 먼지제거 판
KR102082197B1 (ko) * 2019-11-08 2020-02-27 황인국 코 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 마스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214A (ja) * 1998-06-01 1999-12-14 Kao Corp 鼻フィルター
KR20070040046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에어컨 필터 하우징
US20070227542A1 (en) * 2005-05-17 2007-10-04 Boris Kashmakov Nose Filter
US20070283963A1 (en) 2006-06-12 2007-12-13 Sims Guadalupe V Nose air-filter
US20090145788A1 (en) * 2007-12-05 2009-06-11 Rajiv Doshi Packaging and dispensing nasal devices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JP2010207446A (ja) * 2009-03-11 2010-09-24 M-Kaep Japan:Kk 鼻孔用マスク
KR20120118178A (ko) * 2011-04-18 2012-10-26 장의형 저수탱크용 필터링 장치
KR101531197B1 (ko) * 2014-12-19 2015-06-2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매연 및 가스 발생 공간에서 비상 탈출용 산소 흡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2006A (en) * 1996-08-12 1999-07-13 Sugerman; Joseph H. Nasal appliance
CN2600125Y (zh) * 2003-03-01 2004-01-21 张鸿飞 隐形过滤防尘鼻塞、鼻塞装卸器
CN1257755C (zh) * 2003-07-12 2006-05-31 周立新 多功能鼻用防护塞
KR20040039250A (ko) * 2004-04-16 2004-05-10 주경록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CN201127802Y (zh) * 2007-11-16 2008-10-08 王文广 鼻腔过滤器
CN203802992U (zh) * 2014-04-14 2014-09-03 余莉娅 鼻塞式空气净化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214A (ja) * 1998-06-01 1999-12-14 Kao Corp 鼻フィルター
US20070227542A1 (en) * 2005-05-17 2007-10-04 Boris Kashmakov Nose Filter
KR20070040046A (ko) * 2005-10-11 2007-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에어컨 필터 하우징
US20070283963A1 (en) 2006-06-12 2007-12-13 Sims Guadalupe V Nose air-filter
US20090145788A1 (en) * 2007-12-05 2009-06-11 Rajiv Doshi Packaging and dispensing nasal devices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JP2010207446A (ja) * 2009-03-11 2010-09-24 M-Kaep Japan:Kk 鼻孔用マスク
KR20120118178A (ko) * 2011-04-18 2012-10-26 장의형 저수탱크용 필터링 장치
KR101531197B1 (ko) * 2014-12-19 2015-06-24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매연 및 가스 발생 공간에서 비상 탈출용 산소 흡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17B1 (ko) * 2019-04-12 2019-08-14 김창근 소리 전달 기능이 우수한 방진 마스크
KR102064174B1 (ko) * 2019-04-24 2020-01-08 백수정 인체접착 먼지제거 판
KR102082197B1 (ko) * 2019-11-08 2020-02-27 황인국 코 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50167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17B1 (ko) 코 필터 및 코 필터 세트와 코 필터 제조방법
JP2854865B2 (ja) マスク及びマスク素材を作る方法
CN203986233U (zh) 一种微颗粒防护口罩
KR101355247B1 (ko) 코 마스크
CN105495774B (zh) 斜向折痕折叠低压口罩
KR20100118447A (ko) 마스크용 커버체
US2067026A (en) Respirator
CN103857442A (zh) 鼻罩
JP2016539257A (ja) 水平折り畳み式顔面部濾過式呼吸器
KR101171703B1 (ko) 코주머니형 마스크
KR20130040211A (ko) 입체 마스크
KR20180112736A (ko) 호흡구 구분 마스크
CN205018345U (zh) 平面口罩之隐密槽通结构
JP4773820B2 (ja) マスク
CN215995340U (zh) 进气口有凸出滤气包出气口为喇叭形的气流口罩
CN207202134U (zh) 能够增强使用者呼吸舒畅性能的口罩
JP3101352U (ja) 立体構造マスク
KR102421558B1 (ko)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마스크
CN111248545A (zh) 创意装饰防护口罩
CN205947197U (zh) 口罩空气净化器
CN204543321U (zh) 自粘式自吸过滤式防颗粒物呼吸器
CN203183543U (zh) 防霾鼻环
CN208426555U (zh) 鼻塞式空气滤净器
CN208629907U (zh) 气体提取式薄膜铺设装置
CN206791732U (zh) 用于口罩的滤芯和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