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73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736B1
KR101962736B1 KR1020180134588A KR20180134588A KR101962736B1 KR 101962736 B1 KR101962736 B1 KR 101962736B1 KR 1020180134588 A KR1020180134588 A KR 1020180134588A KR 20180134588 A KR20180134588 A KR 20180134588A KR 101962736 B1 KR101962736 B1 KR 10196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owel
defecation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2584A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특허법인 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특허법인 웰 filed Critical 특허법인 웰
Priority to KR102018013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736B1/en
Publication of KR2018012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영상 처리부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만큼 배변 패드를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treating a companion animal, comprising a pad supply unit for storing a defecation pad and supplying the stored defecation pad to a pad support, a pad for processing a defecation pad whe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s the pad supplied from the pad supply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defecation pads supplied on the pad support,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the defecation state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bowel pad to be processed by the pad processing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wel pad on the bowel pad is inspected us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pad can be used economically.

Figure 112018109546222-pat00001
Figure 112018109546222-pat00001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0002]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려동물의 배변 패드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배변하도록 반려동물을 훈련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companion anim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training a companion animal's compartment pad and training companion animals to compartmentalize at predetermined positions .

반려동물은 사람이 곁에 두고 사람의 즐거움을 위해서 키우는 동물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매스컴에 의하여 반려동물을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적어도 한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배변을 자주 처리하여 번거로운 수고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 companion animal means an animal that a person has by his side and raises for the enjoyment of man.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households with at least one companion animal, whose tendency to perceive companion animals as members of the family by recent media. However,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companion animal, it is often necessary to treat the bowel movements frequently and then repeatedly laborious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물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배변용 시트를 감아서 애완동물의 배변이 자동으로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To overcome this problem,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handle companion bowel movement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n automatic pet stool automatic treatment device for automatically defecating pet stools by winding a stool seat by driving a motor, .

특허문헌 1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애완동물이 올라갈 수 있도록 평평하게 구비되는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변판의 일측을 향해 하단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배변용 시트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배변판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변판의 타측을 향해 하단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변용 시트가 감기는 회전축과, 상기 제2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defecating apparatu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defrosting plat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lift a pet; A first case mounted to one side of the baffle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ward one side of the baffle plate; A take-up roll installed rotatably and horizontally inside the first case and wound around the bowel movement seat; A second cas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ffle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baffle plate; And a motor driving unit mounted on the second case and having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the motor shaft being rotatably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cond case and winding the defecation sheet.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61675호(2016년 10월 04일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1675 (issued on October 04, 2016)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반려동물이 배변한 뒤에 변이 배변 패드에 놓여있는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배변 패드를일괄적으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배변 패드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efecation pads are collectively proces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without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defecate animal on the defecation defecation pad after defecation. As a result, the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use amount of the defecation pad is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이 배변한 배변패드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배변하도록 배변 훈련을 유도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processing a defecation pad defecated by a companion animal and guiding the defecation training to defecate at an accurate position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 패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기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position of a side on a bowel pad using an image of the bowel pad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wel pad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는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l compartment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pad supply unit for storing a defecation pad and supplying the stored defecation pad to a pad support,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defecation pad supplied on the pad support and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defecation state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bowel pad to be processed by the pad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bowel conditio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은 (a) 패드 받침대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의 검사부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에서 배변 패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ining a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an animal,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cting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the compartment using an infrared sensor installed on the pad pad; b) checking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does not advanc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infrared sensor at an inspec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and c)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entering or advancing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the step b) (D) inspecting the defecation state using the image information by the control uni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and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pad process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에 의하면, 영상 처리부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imal compartment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ide on the defecation pad is inspected us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ide, Can be used.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변 주변에 형성되는 그림자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배변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bowel movement is possible and a bowel position using shadows formed around the side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처리부의 하우징 양측에 각각 샤프트의 높이를 가변하도록 장공 형상의 결합공을 형성해서 배변 패드의 처리시 경사로 인해 변이 배변 패드의 외부로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ng hole-shaped engagement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of the pad processing unit so as to vary the height of the shaft, thereby preventing the deviation from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defecation pad due to inclination during processing of the defecation pad, Can be easily achiev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처리부의 샤프트를 배변 패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여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회수해서 처리할 수 있고, 배변 패드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심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ft of the pad processing portion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bowel pad, the bowel pad can be easily recovered and processed, and since no separate wick for treating the bowel pad is used,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공급부 내부에 가이드 판과 가이드 홈을 마련해서 배변 패드가 공급되면서 중첩되어 인출되거나 인출공에 걸리는 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late and the guide groove are provided in the pad supply portion, whereby the jamming can be prevented which is overlapped while being supplied with the defecation pad and is prevented from jamm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변 패드 상의 배변 상태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배변 훈련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nacking is provided to the companion animal in accordance with the defecation state on the defecation pad,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that the companion animal's training can be in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공급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처리부의 제2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imal compan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d supply portion shown in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haft of the pad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steps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패드 공급부(110)를 중심으로 패드 처리부(120)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of the pad processing unit 120 will be referred to as the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d supply unit 110, and the opposite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front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공급부(110), 패드 처리부(120), 패드 받침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조명부(1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apparatus for defecating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supply unit 110, a pad processing unit 120, a pad pedestal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150) and an illumination unit (160).

패드 공급부(110)는 반려동물이 배변을 보는 배변 패드(P)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제1 패드 하우징(111) 및 제1 샤프트(112)를 포함하고,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샤프트(11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d supplying section 110 is a part for supplying a defecation pad P for a companion animal to see a bowel movement and includes a first pad housing 111 and a first shaft 112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A first coupling hole 113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112 are rotatably coupled may be formed.

제1 패드 하우징(111)은 배변 패드(P)를 보관하는 부분으로, 내부 공간에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The first pad housing 111 is a part for storing the defecation pad P, and the defecation pad P can be rolled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제1 샤프트(112)는 제1 패드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에 있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저장하는 부분으로, 롤 형태의 배변 패드(P)의 중심에 배치되어 배변 패드(P)가 회전하여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haft 112 is a portion for storing the bowel pad P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in the form of a roll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wel pad P in the form of a roll, ) Are rotated and released so that they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제1 결합공(113)은 제1 샤프트(112)의 양 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샤프트(112)에 롤 형태로 말려있는 배변 패드(P)가 풀릴 때 회전 중심을 유지하도록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hole 113 is a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112 are engage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112 so that the balloon pad P, Or the like.

한편, 제1 결합공(113)은 제1 샤프트(112)에 감긴 배변 패드(P)의 길이에 따라 제1 샤프트(112)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upling hole 113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hole shape so as to vary the height of the first shaft 112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wel pad P wound around the first shaft 112.

패드 처리부(120)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 및 제2 샤프트(122)을 포함하고,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양측에는 각각 제2 샤프트(12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d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second pad housing 121 and a second shaft 122 that collect the defecation pad P supplied from the pad supply unit 110 and includes a second pad housing 121, A second coupling hole 123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122 are rotatably coupled can be formed.

제2 패드 하우징(121)은 제1 패드 하우징(111)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부분으로, 배변된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말아서 처리한다.The second pad housing 121 collects and stores the defecation pad P supplied from the first pad housing 111 and processes the defecated defecation pad P in a roll form.

제2 샤프트(122)는 제1 패드 하우징(111)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보관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하면서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한다.The second shaft 122 is a portion for storing the bowel pad P supplied from the first pad housing 111 in the form of a roll and is fixed while one end of the bowel pad P is rotated and rolled and stored in the form of a roll.

제2 결합공(123)은 제2 샤프트(122)의 양 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샤프트(122)가 회전하면서 배변 패드(P)를 감을 때 회전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coupling hole 123 is a portion to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122 are coupled and allows the second shaft 122 to maintain the center of rotation when the defecation pad P is wound as the second shaft 122 rotates.

또한, 제2 결합공(123)은 제2 샤프트(122)에 감긴 배변 패드(P)의 길이에 따라 제2 샤프트(122)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coupling hole 123 is formed to have a long hole shape so as to vary the height of the second shaft 122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wel pad P wound around the second shaft 122.

제1 및 제2 패드 하우징(111,121)의 구조를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pad housings 111 and 1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패드 받침대(130)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패드 받침대(13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패드 공급부(110)와 패드 처리부(120)가 마련되며, 배변 패드(P)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패드 반침대(130) 상면을 거쳐 패드 처리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The pad support 130 is a portion where the defecation pad P supplied from the pad supply unit 110 is seated. The pad support unit 110 and the pad treatment unit 120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ad support 130, respectively The pancreatic pad P can be moved from the pad supply unit 110 to the pad processing unit 120 via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half-

여기서, 패드 받침대(130)에는 반려동물이 배변을 위해 배변 패드(P) 위로 이동(이하 '진입'이라 함)하고, 배변 후 배변 패드(P) 외부로 이동(이하 '진출'이라 함)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131)가 마련될 수 있다. Herei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mov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try") above the bowel pad P for defecation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bowel pad 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vance") after bowel movement An infrared ray sensor 131 for inspection may be provided.

적외선 센서(131)는 배변 패드 상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한다.The infrared sensor 131 functions to check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on the defecation pad.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센서 이외에 레이저 센서나 초음파 센서, 중량 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appl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entry / exit of a companion animal in various ways such as a las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weight sensor, etc. in addition to an infrared sensor.

그리고 패드 받침대(130)는 반려동물의 품종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배변 패드(P)가 안착되는 길이나 폭 또는 전체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의 받침판을 복수 개 조립해서 구성될 수 있다. The pad support 130 may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having predetermined sizes so that the length, width, or total area of the defecation pad P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reed or size of the companion animal.

즉, 본 발명은 일정 규격의 받침판을 선택적으로 조립해서 패드 받침대의 길이나 폭, 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length, width, and area of the pad pedestal by selectively assembling the pedestal plate of a certain standard.

이러한 패드 받침대(130)의 상면에는 배변 패드(P) 상의 배변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표시선(132)이 표시될 수 있다.A display line 132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edestal 1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paresthesia on the pelvic pad P. [

예를 들어, 각 받침판 상면에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표시선(132)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display line 132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receiving plates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영상 처리부(140)는 패드 받침대(130)에 공급된 배변 패드(P)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41)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141 that photographs the defecation pad P supplied to the pad support 130 and a processing module 142 that processes the images shot by the camera.

카메라(141)는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P)에서 배변 여부 및 배변 패드(P)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회전(Pan, Tilt) 가능한 동작과 줌 인(Zomm in) 및 줌 아웃(Zoom out)동작이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The camera 141 is capable of performing pan and tilt operations such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examine the position of the side on the defecation pad P and the defecation pad P in the defecation pad P, ) And a camera capable of zooming out can be used.

처리모듈(142)은 배변 상태, 즉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카메라(1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The processing module 142 process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1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so as to inspect the defecation state, that is, the location of the defecation and the side.

제어부(150)는 반려동물 배변처리장치(10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riving of each device provided i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151), 적외선 센서(131)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와 영상 분석부(151)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152) 및 검사 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패드 처리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image analysis unit 151 and the infrared sensor 131 to analyze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A control unit 152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ad processing unit 12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P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And a signal generating unit 153 for generating a signal.

신호 발생부(153)는 조명부(160)에 마련된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조명부(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1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llumination unit 160 so as to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61 and 162 provided in the illumination unit 160. [

즉, 제어부(15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샤프트(122)가 결합된 롤러(126)(도 4 참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9)의 회전수 또는 각도를 조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r angle of the driving motor 129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oller 126 (see FIG. 4) to which the second shaft 122 is coupl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pad P to be adjusted.

이와 함께, 제어부(150)는 반려동물의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패드 처리부(120)에서 배변 패드(P)를 회수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정확한 배변 위치에서 배변한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하여 반려동물의 배변훈련을 유도하도록 급식부(도면 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pad processing unit 120 to collect and process the defecation pad P based on the defecation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supplies snacks to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d at the correct defecation position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section (not shown) can be controlled so as to induce the companion's bowel movement training.

조명부(160)는 배변된 소변과 대변의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 패드 받침대(130) 상의 배변 패드를 조명하는 부분으로, 패드 공급부(110)와 패드 처리부(12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unit 160 illuminates the bowel pad on the pad pedestal 130 at night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efecated urine and the feces from the first and second And may include light sources 161 and 162.

영상 분석부(151)에서 분석된 영상 정보는 변과 빛에 의한 변의 그림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151 may include sides and sides of light due to light.

그래서 제어부(15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변과 그림자를 이용해서 대변과 소변을 판단하고, 변의 위치를 검사하며, 검사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50 can judge the faeces and urine using the sides and shadows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inspect the position of the sides, and control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P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주간에는 태양광에 의해 배변 패드(P)가 조명됨에 따라, 영상 분석부(151)에서 분석된 영상의 색상을 이용해서 대변과 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the feces and the urine using the color of the image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151 as the defecation pad P is illuminated by sunlight in the daytime.

반면, 제어부(150)는 야간 또는 태양광이 차단되어 실내가 어두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고, 변에 의해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대변 또는 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61 and 162 to be sequentially turned on when the night or the sunlight is blocked and the room is dark, and checks whether the shadow is generated by the sides to judge the faeces or urine can do.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해서 시간을 계수하고, 야간에 조명부(160)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동작시켜 패드 받침대(130) 상의 배변 패드(P)로 빛을 조사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unts time using an internal timer and operates the illuminating unit 160 at a predetermined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illuminate the defecation pad P on the pad supporting unit 130 can do.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도 센서를 이용해서 패드 받침대나 배변 패드 상의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조명부를 동작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illuminance on the pad support or the bowel pad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and to change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여기서, 제어부(150)는 배변 패드(P)에 배변된 변이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판단하고, 대변으로 판단된 경우 즉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30)의 구동을 제어한다.Here,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ed urine or a bowel movement defecated in the bowel movement pad P, and controls driving of the pad processing unit 130 to immediately process the bowel move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owel movement is a bowel movement.

반면, 제어부(150)는 배변된 변이 소변으로 판단되면,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면 배변 패드(P)를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fecated side is a urine, the control unit 150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urine determination,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ad processing unit 130 to process the defecation pad P when the counted number reaches a predetermined set number of times can do.

상기 설정횟수는 배변 패드(P)가 소변에 의해 완전히 오염되기 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험치에 의해 설정되고, 예를 들어 2회 내지 5회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et number of times may be set by an experiment value so as to maintain the state before the bowel movement pad P is completely contaminated by urine, and may be set, for example, two to five tim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변 패드에 대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를 처리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use the bowel pad by inspecting the entry /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bowe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wel with respect to the bowel pad, and adjusting the length of processing the bowel pa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ide.

그리고 본 발명은 주간에는 변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별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동작시켜 배변 패드를 조명해서 변에 의한 그림자의 발생 여부를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별하며,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rine and feces are discriminated by using the color of the side in the daytime, and the illuminating unit is operated at night to illuminate the defecation pad to discriminate between urine and faeces using the occurrence of shadows caused by the side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ide on which the side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은 배변 패드의 배변 상태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포상해서 배변 훈력을 유도함으로써, 배변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bowel movement training by rewarding the snack to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bowel condition of the bowel pad to induce the bowel movement.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패드 공급부와 패드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ad supply unit and the pad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공급부(1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처리부(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d supply unit 110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d processing unit 120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공급부(110)의 제1 패드 하우징(111)은 제1 바닥판(1111), 제1 측면판(1112) 및 제1 커버(1113)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first pad housing 111 of the pad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bottom plate 1111, a first side plate 1112, and a first cover 1113.

제1 바닥판(1111)은 제1 패드 하우징(111)의 하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변 패드(P)의 하부를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bottom plate 1111 prot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defecation pad P while discharging the defecation pad P to the outside.

제1 측면판(1112)은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양 측면을 차폐하는 부분으로,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보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side plate 1112 shields both sides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and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respectively.

각 제1 측면판(1112)에는 제1 결합공(113)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112)의 양 단을 삽입 고정할 수 있다.Each first side plate 1112 is formed with a first engagement hole 113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112 can be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제1 바닥판(1111)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가이드 홈(117)이 형성되며, 제1 측면판(1112)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 사이에는 가이드 판(116)이 배치될 수 있다. A guide groove 117 is formed in the first bottom plate 1111 downwardly.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15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plate 1112 and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15 A guide plate 116 can be disposed.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는 제1 측면판(1112)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판(116)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 사이에 끼움고정할 수 있다.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15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112 and the guide plate 116 can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15.

가이드 판(116)은 인출공(114)을 통해 인출되는 배변 패드(P)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제1 하우징(111)에서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가이드 판(116)의 일단, 즉 하단은 배변 패드(P)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guide plate 116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wel pad P drawn out through the drawer hole 114 and guides the bowel pad P from the first housing 111 to the guide plate 116 That is, the lower e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wel pad P. [

가이드 홈(117)은 배변 패드(P)의 하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가이드 판(116)과 접촉함에 따라 돌출되는 하면과 접촉하여 배변 패드(P)가 인출공(114)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The guide groove 11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wel pad P. The bowel pad P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rotruding as the bowel pad P contacts the guide plate 116, To be withdrawn.

제1 커버(1113)는 제1 패드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배변 패드(P)로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커버(1113)의 후면에는 배변 패드(P)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14)이 형성된다.The first cover 1113 protects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d housing 110. The first cover 1113 prevents external impurities from entering into the pouch pad P, A draw-out hole 114 for drawing the bowel movement pad P is formed.

이러한 제1 커버(1113)는 내부에 보관되는 배변 패드(P)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1 바닥판(1111)의 전단에 설치된 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ver 1113 is rotatably mounted around a shaft (not show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1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defecation pad P stored therein can be replaced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측면판 사이에 가이드 판을 설치하고, 제1 바닥판에 가이드 홈을 형성해서 배변 패드가 인출공으로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배변 패드의 걸림 또는 겹침 현상을 방지하여 배변 패드를 매끄럽게 인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late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first side plates,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bottom plate to prevent latching or overlapping of a bowel pad caused when the bowel pad is drawn out to the draw- The bowel pad can be taken out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배변 패드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변 패드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wel pad and pull out the surface of the bowel pad in a clean state.

패드 처리부(120)의 제2 패드 하우징(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판(1211), 제2 측면판(1212) 및 제2 커버(1213)를 포함한다.The second pad housing 121 of the pad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second bottom plate 1211, a second side plate 1212, and a second cover 1213, as shown in FIG.

제2 바닥판(1211)은 제2 패드 하우징(121)의 하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으로 회수되는 배변 패드(P)의 하부를 보호한다.The second bottom plate 1211 prot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ad housing 121 and prot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defecation pad P that is returned to the second pad housing 121.

제2 측면판(1212)은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양 측면을 차폐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보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ide plate 1212 shields both sides of the second pad housing 121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pad housing 121, respectively.

각 제2 측면판(1212)에는 제2 샤프트(122)의 양 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plate 1212 may have a second coupling hole 123 to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122 are coupled.

제2 커버(1213)는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하는 부분으로, 제2 커버(1213)의 전면에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124)이 형성된다.The second cover 1213 protects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ad housing 121 and a recovery hole 124 for recovering the defecation pad P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13 .

이러한 제2 커버(1213)는 내부에 보관되는 배변 패드(P)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2 바닥판(1211)의 후단에 설치된 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1213 is rotatably mounted on a shaft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ttom plate 1211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replace the defecation pad P stored therein .

제2 샤프트(122)는 패드 막대(125) 및 롤러(126)를 포함한다. The second shaft 122 includes a pad rod 125 and a roller 126.

패드 막대(125)는 배변 패드(P) 선단의 상하 양면을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pad rod 125 is formed as a pair so as to fix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tal end of the bowel pad P to each other.

롤러(126)는 배변 패드(P)를 말아서 보관하는 부분으로, 롤러(126)의 일면에는 삽입공간(127)이 형성되어 배변 패드(P)의 타 단을 고정한 패드 막대(125)를 삽입하여 사용한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할 수 있다.The roller 126 is a portion for holding and storing the defecation pad P and an insertion space 12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oller 126 to insert the pad rod 125 having the other end of the defecation pad P fixed thereon The used defecation pad (P) can be rolled and stored.

이러한 패드 막대(125)는 별도의 심지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되는 배변 패드(P)를 말아서 처리하고, 말아진 배변 패드(P)의 일측단을 통해 용이하게 배변 패드(P)와 분리될 수 있다. This pad rod 125 can be processed by winding the recovered defecation pad P without using a separate wick and easily separating from the defecation pad P through one side of the curled defecation pad P have.

롤러(126)의 양 단에는 각각 제2 측면판(1212)의 제2 결합공(123)에 결합되는 삽입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roller 126 may be formed with insertion protrusions 128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holes 123 of the second side plate 1212.

그리고 롤러(126)의 일단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29)가 연결될 수 있다. A driving motor 129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ller 12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수된 배변 패드에서 패드 막대와 롤러로 구동된 제2 샤프트를 분리해서 배변 패드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사용된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pad shaft from the second shaft driven by the roller in the recovered defecation pad, so that the defecation pad can be treated separately, so that the used defecation pad can be easily treated.

한편, 제1 및 제2 광원(161,162)은 각각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제1 커버(1113) 후면과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제2 커버(1213) 전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61 and 162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113 of the first pad housing 111 an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13 of the second pad housing 121, .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각각 패드 받침대(130)의 양측에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61 and 16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d support 130, respectively.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처리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5 to 7, a method for disposing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training apparatu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각 구성을 초기화하여 배변 패드(P)의 배변 유무와 변의 위치 검사 및 처리를 위한 동작을 준비하도록 제어한다.5,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bowel movement training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50 initializes each configuration to perform an operation for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wel movement of the bowel movement pad, .

S10단계에서 패드 받침대(130)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31)는 배변 패드(P) 상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고, 적외선 센서(13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The infrared sensor 131 installed on the pad pedestal 130 senses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on the defecation pad P and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sensor 13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

S1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적외선 센서(131)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를 검사한다. In step S12, the control unit 150 checks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using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infrared sensor 131. [

만약, S12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이 진입 및 진출 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S10단계와 S1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entry and exi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s not confirmed,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repeat steps S10 and S12.

반면, S12단계의 검사 결과 반려동물이 진입 및 진출 상태가 확인되면, 영상 처리부(140)는 배변 패드(P)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S14).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entry and exi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s confirmed,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photographs the defecation pad P and processes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S14).

이때, 제어부(150)는 내부의 타이머에서 계수된 시간이나 조도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조명부(160)의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161 and 162 of the illumination unit 160 to sequentially light up according to the time counted in the internal timer or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그리고 제어부(150)의 영상 분석부(151)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검사부(152)는 분석된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P) 상의 배변 여부, 대변과 소변 판단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한다. The image analyzing unit 151 of the control unit 150 analyze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and the checking unit 152 determines whether the defecation pad, Urine judgment and position of side are checked.

즉, S16단계에서 검사부(152)는 분석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패드(P)에 변이 배변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That is, in step S16, the examining unit 152 checks whether or not the defecation pad P is defecated using the analyzed image.

만약, S16단계의 검사결과 배변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150)는 S10단계 내지 S16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6 that the subject is not in the defecation stat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repeat steps S10 through S16.

반면, S16단계의 검사결과 변이 배변된 상태이면, 검사부(152)는 배변된 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검사한다(S18).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6 that the mutation is defecated, the examining unit 152 checks whether the defecated mutation is feces or urine (S18).

이때, 검사부(152)는 주간에는 영상 정보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고, 야간에는 제1 및 제2 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변 주변에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amining unit 152 judges urine and faeces using the color of the image information during the daytime, and checks whether the shadows are generated around the sides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at night, It can be judged.

그래서 S18단계의 검사결과 소변인 경우, 제어부(150)는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하고(S20), 카운팅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사한다(S22).If the urine is judged to be urine in step S18, the control unit 150 counts the number of urine judgments (S20) and checks whether the counted number has reached a preset number of times (S22).

만약, S22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설정횟수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S10단계 내지 S2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is less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2,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repeat steps S10 through S22.

반면, S22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 횟수가 설정횟수에 도달하거나, S18단계의 검사 결과 배변된 변이 대변이면,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P)의 처리되는 길이를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 that the number of counting reaches the set number of times, or if the defective side is a defecation side in step S18,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P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ide.

이때, 배변 패드(P) 상의 변의 위치는 패드 처리부(120)를 기준으로 패드 받침대(130)의 표시선(132)을 이용해서 패드 처리부(120)에서 이격된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ide of the defecation pad P may be determined to be a distance apart from the pad processing unit 120 using the display line 132 of the pad pedestal 130 with reference to the pad processing unit 120.

즉, 변의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처리부(120)와 근접한 경우,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를 기준으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결정한다.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side is close to the pad processing unit 120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bowel pad P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ide.

반면, 변의 위치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처리부(120)와 멀리 이격된 경우,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를 기준으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 of the side is far away from the pad processing unit 120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bowel pad P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ide.

이에 따라, S26단계에서 제어부(150)의 신호 발생부(153)는 S24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만큼 배변 패드(P)를 회수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Accordingly, in step S26, the signal generator 153 of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d processor 120 to recover and process the faeces pad P by the length determined in step S24.

이와 함께, 제어부(150)는 반려동물의 배변 상태를 확인한 후, 간식을 공급하도록 급식부를 구동해서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P)에서 배변하도록 배변훈련을 유도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50 can check the defecation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n drive the feeding unit to supply the snack so as to induce the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at the defecation pad (P).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배변 패드 상의 배변 여부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변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여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defecation on the defecation pad, judge the exact position of the defecation pad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efecation state, and adjust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배변 패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파악하여 변의 위치만큼 배변 패드를 롤 형태로 말아서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for economically using a bowel movement pad by processing a bowel movement pad in roll form b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bowel movement and the position of the side using the image of the bowel pad.

100: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110: 패드 공급부
111: 제1 패드 하우징 1111: 제1 바닥판
1112: 제1 측면판 1113: 제1 커버
112: 제1 샤프트 113: 제1 결합공
114: 인출공 115: 가이드 돌기
116: 가이드 판 117: 가이드 홈
120: 패드 처리부
121: 제2 패드 하우징 1211: 제2 바닥판
1212: 제2 측면판 1213: 제2 커버
122: 제2 샤프트 123: 제2 결합공
124: 회수공 125: 패드 막대
126: 롤러 127: 삽입공간
128: 삽입돌기 129: 구동모터
130: 패드 받침대
131: 적외선 센서 132: 표시선
140: 영상 처리부
141: 카메라 142: 처리모듈
150: 제어부
151: 영상 분석부 152: 검사부
153: 신호 발생부
160: 조명부
161,162: 제1,제2 광원
100: companion animal training device
110:
111: first pad housing 1111: first bottom plate
1112: first side plate 1113: first cover
112: first shaft 113: first engaging hole
114: Draw-out ball 115: Guide projection
116: guide plate 117: guide groove
120: Pad processing section
121: second pad housing 1211: second bottom plate
1212: second side plate 1213: second cover
122: second shaft 123: second engaging hole
124: Recovery ball 125: Pad bar
126: roller 127: insertion space
128: insertion protrusion 129: drive motor
130: Pad Support
131: Infrared sensor 132:
140:
141: camera 142: processing module
150:
151: Image analysis unit 152: Inspection unit
153: Signal generator
160:
161, 162: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Claims (6)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포함하는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받침대에는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로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패드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발생부는 야간에 상기 패드 공급부와 패드 처리부에 각각 설치된 제1광원 및 제2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검사부는 주간에는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영상 정보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며,
야간에는 상기 제1광원 및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변 주변에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A pad supply part for storing the defecation pad and supplying the stored defecation pad to the pad pedestal;
A pa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bowel pad whe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s the bowel pad supplied from the pad supply unit;
An image processor for photographing a bowel pad supplied on the pad pedestal and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inspecting a defecation state including a defecation state and a position of a side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to be processed by the pad processing unit based on a defecation state; To
≪ / RTI &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advances into the bowel movement pad is provided on the pad support,
Wherein,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mage processor;
An examining unit for examining whether or not a companion animal is entering or exiting and analyzing the image analysis unit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infrared sens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defecated and the position of a side; An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ad processo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wel pad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unit; Lt; / RTI >
The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llumination unit so as to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provided in the pad supply unit and the pad processing unit at night,
Wherein the checking unit determines the urine and the faeces using the color of the imag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mage analyzing unit during the day,
Wherein the urine and the faeces are judged by checking whether shadows are generated around the sides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t night.
제1항에서,
상기 패드 공급부는 내부에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일측 하부에 배변 패드를 인출하는 인출공이 형성되는 제1 패드 하우징; 및
배변 패드의 일 단이 결합되어 외주면에 배변 패드를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하는 제1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하우징의 양 단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d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pad housing for storing therein a pancake pad and a drawer for drawing out the pancreatic pad at a lower side of the pad housing; And
A first shaft coupled with one end of a bowel pad to hold the bowel pad in a roll for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Lt; / RTI >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pad housing are formed with first engagement holes in which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are rotatably engaged.
제2항에서, 상기 제1 패드 하우징은,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한 쌍의 제1 측면판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제1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인출공이 형성되며,
각 제1 측면판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가이드 판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바닥판에는 상기 가이드 판의 하단이 삽입되며 배변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해서 걸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pad housing comprises:
A first bottom plate;
A pair of first side plat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ttom plate; And
A first cover for shield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bottom plate and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Lt; / RTI >
Wherein the first cover has a front surface formed with the through hole,
A pair of guid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each first side plate,
A guide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rojections,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bottom plate so that a lower end of the guide plate is inserted and the movement of the bowel pad is guided to prevent hooking.
제1항에서, 상기 패드 처리부는,
배변 패드가 회수되는 패드 회수공이 형성되는 제2 패드 하우징;
배변 패드의 타 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패드 하우징 내부로 회수되는 배변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 하우징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공은 배변 패드가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긴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의 높이를 가변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The pa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pad housing in which a pad recovery hole is formed in which a bowel pad is withdrawn;
A second shaf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wel pad and configured to roll and handle the bowel pad recovered into the second pad housing; And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econd shaft; Lt; / RTI >
The second pad housing i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with a second coupling hole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are rotatably coupled,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hole is formed as a long ho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vary the height of the second shaft according to a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wound on the second shaft.
제4항에서, 상기 제2 샤프트는,
서로 겹쳐져서 배변 패드 일단의 상하면을 고정하는 한 쌍의 패드 막대; 및
상기 한 쌍의 패드 막대가 결합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의 일 면에는 상기 한 쌍의 패드 막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하우징은,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면판; 및
상기 제2 바닥판과 한 쌍의 제2 측면판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회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A pair of pad rods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ne end of the bowel pad; And
A roller to which the pair of pad rods are coupled; Lt; / RTI >
Wherein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oller so that the pair of pad rods are detachably inserted,
Wherein the second pad housing comprises:
A second bottom plate;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ttom plate; And
A second cover for shielding a space between the second bottom plate and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Lt; / RTI >
And the recovery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를 이용하여,
(a) 패드 받침대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의 검사부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에서 배변 패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배변 상태는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제어부의 영상 분석부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d2) 상기 검사부에서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d3)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패드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d3)단계에서 제어부는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해서 변의 위치 및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야간에 조명부를 구동해서 배변 패드에 빛을 조사해서 조명하도록 제어하,
상기 영상 분석부는 변과 그림자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사부는 변 주변에 그림자의 발생 여부를 검사해서 배변된 변이 소변인지 또는 대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된 경우,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해서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면 배변 패드를 회수해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
Using the companion animal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the defecation pad using an infrared sensor installed on the pad pad;
(b)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infrared sensor at an inspec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c)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 defecation pad in an image processing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entered and advanc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the step (b); And
(d) checking the defecation state us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d processing uni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defecation pa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Lt; / RTI >
Wherein the defecation state includes a defecation state and a position of a side,
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d1)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in the image analysis unit of the control unit;
(d2) an examining unit for examining the position of the side of the bowel movement and the side of the bowel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unit in the examination unit; And
(d3)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ad processing uni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wel pad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unit in the signal generation unit; Lt; / RTI >
In step (d3),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ide and the length of the bodyside pad to be processed using the scale indicated on the pad base,
In the step (c), the controller drives the illumination unit at night to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bowel pad by illuminating the bowel pad,
The image analysis unit generates image information including sides and shadows,
The examining unit checks whether or not shadows ar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sides, judges whether the defecated mutation is a urine or a spon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unts the number of urine judgments when it is determined to be urine, and controls to recover and process the bowel movement pad when the counting number reaches a preset number of times.
KR1020180134588A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KR101962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61 Division 201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84A KR20180122584A (en) 2018-11-13
KR101962736B1 true KR101962736B1 (en) 2019-03-29

Family

ID=643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7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29A (en)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반려동물 a pet-training clic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964B1 (en) * 2019-05-21 2022-06-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using sensor
KR102440803B1 (en) * 2020-05-06 2022-09-06 김정엽 Deodorization and Air purifi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
CN113924982A (en) * 2020-06-29 2022-01-14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Pet toilet
KR102352923B1 (en) * 2021-07-27 2022-01-19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Holder for defecation 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75B1 (en) *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Pet's excrement automatic remov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53Y1 (en) * 2011-08-09 2013-05-31 고정희 Portable pet toilet
KR20140074462A (en) * 2012-12-10 2014-06-18 공석태 p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75B1 (en) *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Pet's excrement automatic remova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729A (en)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반려동물 a pet-training cli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84A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7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KR102311177B1 (en) Modular bowel excrement machine for companion animals
JP3011360B2 (en) X-ray non-destructive inspection equipment
EP3000564B1 (en) Investigation system
EP0632960B1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carcasses of cattle, calf, pig or sheep
JP2011244352A (en) Image reading apparatus
DE3545081A1 (en) IMAGE GENERATING DEVICE WITH DOCUMENT SIZE DETECTION
US20080063249A1 (en) Radi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1910519B1 (en)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JP2017184939A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US6339502B1 (en) Cassette for stimulable phosphor sheet, ID recognition structure thereof, and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JP2008161508A (en) Face photographing device
KR20170060295A (en) Defecation training and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A2123370C (en) Apparatus and a process for recording photometric data that is positioned in succession or in adjacent fashion on a page-like or strip-like print
JP2003515763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mage data receiving means in mammography
DE69826219T2 (en) PHOTOGRAPHIC DEVELOPMENT DEVICE
KR20220038867A (en) Abnormality eggs detector
CN215354794U (en) Automatic sex sorting equipment for poultry hatchlings
KR102363717B1 (en) Camera boxd detachable abnormality eggs detector
KR20200005401A (en)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CN116863119B (en)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device and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US7923687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controller, program, and radiation image capturing method
JP6990362B2 (en) Photographing equipment system
DE4201498A1 (en) Photocopier with cooling system for exposure panel - uses electric fan with speed determined by thermal throughput of scanning system
JP2811409B2 (en) Shading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