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409B1 -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409B1
KR101962409B1 KR1020170172598A KR20170172598A KR101962409B1 KR 101962409 B1 KR101962409 B1 KR 101962409B1 KR 1020170172598 A KR1020170172598 A KR 1020170172598A KR 20170172598 A KR20170172598 A KR 20170172598A KR 101962409 B1 KR101962409 B1 KR 10196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essage
communication processing
queue
man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태
김명의
이정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은,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의 배포 상황을 관리하며,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고,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의 등록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및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임시 저장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POWER SYSTEM THAT IMPLEMENT INTERPROCESS COMMUNICATION USING MESSAGE QUE}
본 발명은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의 배포 상황을 관리하며,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고,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의 등록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및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임시 저장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을 포함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시스템에서는 분산발전자원(이를테면, 태양광, 풍력, ESS 등) 또는 전력설비(이를테면, 차단기, 계폐기 등)로부터 발생되는 대용량 계측 데이터(이를테면, 각종 상태/아날로그/제어/설정 데이터 등)를 처리하거나 사용자 제어/설정 메시지를 원격단말장치(RTU)로 전달하고, 전력시스템 내부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계측, 알람, 트랜드, 이력, 시스템감시, RTU연계 등)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각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간의 메시지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간 통신 처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간 통신 처리 방법은, 개별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서는 공유 메모리 등을 통해 사전에 주고받는 메시지 규약 및 메모리공간에 대한 정의, 기타 통신처리 절차 등을 정의하게 됨으로써,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간 통신 처리 방법은, 분산노드 환경에서 시스템이 상이한 프로세스 간의 메시지 전달을 위해서는 TCP/IP 소켓을 이용하여 별도의 프로세스 간 통신 처리가 필요함으로써, 연계가 매우 어렵고, 소스파일의 변경에 따른 프로그램 재배포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84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의 배포 상황을 관리하며,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고,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의 등록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및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임시 저장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을 포함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은,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의 배포 상황을 관리하며,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고,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의 등록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및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임시 저장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상이하더라도 프로세스 간의 통신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신규 프로세스를 쉽게 추가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노드 별 프로세스 처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신규 프로세스 등록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실행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비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노드 별 프로세스 처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1000)은,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 데이터베이스(150) 및 메시지 큐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은 전력시스템 내부에서 노드별 각종 프로세스 들를 공통으로 처리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시스템 설정부(110), 전력시스템 감시용 HMI부(120), 노드 관리부(130), 통신 처리부(140), 데이터처리 프로세스(10)와 관제프로세스(20)를 내부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데이터 베이스(150)를 외부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우선 시스템 설정부(110)는 노드 및 프로세스 정보를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에 대한 배포(등록/실행)를 관리하도록, 노드 설정부(110a) 및 배포 관리부(110b)를 포함한다.
노드 설정부(110a)는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프로세스별로 비동기/동기 데이터 처리 여부와 스레드(thread) 수 등의 메시지 큐(message queue) 정보를 관리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대로, 이를테면, 노드1은 실시간 처리를 위해 계측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알람 처리 프로세스, 연산 처리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노드 2는 FEP 연계를 위해 FEP 연계 프로세스, 시스템 감시 데이터처리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하며, 노드3은 이력 처리를 위해 이력데이터 생성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하는 등 노드별로 프로세스 정보를 구성 및 등록 관리할 수 있다.
배포 관리부(110b)는 각각의 노드(node)로 신규 또는 변경되는 프로세스 정보의 배포 및 관리한다. (도 3a 참조)
전력시스템 감시용 HMI부(120)는 전력시스템의 감시와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Human Machine Interface, HMI)로서, 도 2에 도시된 바대로, 통신처리부(140) 연계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별 동기 서비스 또는 공통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각종 처리 결과를 전력시스템 감시용 화면에 표시해 준다.
노드 관리부(130)는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 및 프로세스의 유형에 따라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기의 실행을 관리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노드 관리부(130)는 각각의 노드에 등록된 프로세스의 실행관리와 각각의 프로세스별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용 스레드의 실행을 관리한다.
이를테면, 노드 관리부(130)는 통신 처리부(140)로부터 프로세스 등록 요청에 따라 노드 관리부(130)에서 관리되는 프로세스 목록에 요청된 프로세스를 등록 처리하고(도 3a 참조), 통신 처리부(140)로부터 프로세스 제어요청에 따라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을 제어한다. (도 3b 참조)
또한 노드 관리부(130)는 노드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자신의 동기 메시지(도 3c 참조) 및 비동기 메시지(도 3d 참조)를 수신 처리되도록 각각의 프로세스별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용 스레드의 실행을 관리한다.
한편 노드 관리부(130)는 통신 처리부(140)와의 프로세스 통신 처리를 위해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처리 프로세스(10) 및 관제 프로세스(20)를 이용한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데이터처리 프로세스(10)는 이를테면, FEP 연계, 계측/네트워크/연산/트렌드(trend)/이력(history) 등 전력시스템에서 필요한 복수개의 프로세스들(P-1 ~ P-N)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이다.
관제 프로세스(20)는 이를테면, 프로세스 상태, 자원사용 등 노드별 감시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프로세스로서, SM(System-monitor Manager) 및 SA(System-monitor Agent)를 활용한다.
통신 처리부(140)는 동기/비동기 메시지 큐, 시스템 감시 큐, 공통 서비스 큐, 브로드 캐스트용 토픽을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 등록/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프로세스별 동기/비동기 메시지 서비스, 실시간/운영DB 데이터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통신 처리부(140)의 보다 구체적인 기능을 부연 설명한다.
통신 처리부(140)는 시스템 설정부(110)로부터 프로세스 등록 메시지 실행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동기/비동기 메시지 큐를 메시지 큐 시스템(200)에 등록하도록 명령하고, 해당 노드 관리부(130)로 수신된 프로세스 정보 등록의 실행을 요청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에서 후술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140)는 시스템 설정부(110)로부터 프로세스 제어(기동/정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노드 관리부(130)로 해당 프로세스 제어의 실행을 요청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b에서 후술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140)는 노드 관리부(130)의 프로세스 또는 전력시스템 감시용 HMI부(120)로부터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프로세스의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동기 큐/비 동기 큐로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c 및 도 3d에서 각각 후술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140)는 운영DB 데이터 서비스 및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운영DB 서비스 큐 및 실시간 서비스 큐에 각각 등록하도록 명령한다.
운영DB 데이터 서비스 프로세스 및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 프로세스는 각각의 운영DB 서비스 큐 및 실시간 서비스 큐로 수신되는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요청된 프로세스로 응답 처리하는데, 이 경우 동시 요청에 따른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해 다중 스레드 형태로 메시지를 분산하여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 처리부(140)는 이벤트 및 실시간 계측 데이터 중계를 위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용 토픽을 메시지 큐 시스템의 이벤트 토픽 및 실시간 계측 토픽에 등록하도록 명령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150)는 노드 관리 DB(150a) 및 RTDB(150b)를 포함하며, 메모리의 저장용량 및 처리속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형태로 실시하고 있지만, 기타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노드 관리 DB(150a)는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에서 처리된 노드정보와 노드별 구동되는 프로세스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한다.
RTDB(150b)는 전력시스템에서 실시간(Real Time)으로 수집되는 계측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한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큐 시스템(200)은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의 통신 처리부(140)에서 요청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함으로써, 시스템이 상이하더라도 프로세스간의 통신처리가 용이하고, 또한 쉽게 신규 프로세스를 추가하여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신규 프로세스 등록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을 이용한 신규 프로세스 등록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노드 설정부(110a)는 등록 처리할 신규 프로세스B의 정보를 노드 관리DB(150a)에 저장하는 제1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배포 관리부(110b)는 신규 프로세스B 등록 및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통신 처리부(140)로 전송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처리부(140)는 수신된 신규 프로세스B 등록 요청에 따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해당 비동기 큐/동기 큐로 등록을 명령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통신 처리부(140)는 프로세스B 관리대상 등록 및 실행 요청을 노드 관리부(130)로 전송하는 제4 과정을 수행하면, 노드 관리부(130)는 자신이 관리하는 노드1의 프로세스 관리기를 통해 해당 프로세스B의 등록/실행을 수행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실행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을 이용한 프로세스 실행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통신 처리부(140)는 노드 관리부(130)로 프로세스A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노드 관리부(130)는 내부 프로세스 관리기를 통해 프로세스 A를 생성하고,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기를 생성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메시지 큐 시스템(200)은 동기/비동기 큐에 각각 저장된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상기 제2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기로 전송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기는 상기 메시지 큐 시스템(200)로부터 전송된 동기/비동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4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전력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각각의 프로세스별 메시지 상태는 하기 표1의 메시지 처리상태 관리테이블로 정리할 수 있다.
프로세스 명 타입 스레드 번호 처리건수 상태
프로세스 A 동기 1 102 처리 중
프로세스 A 비 동기 1 2333 대기 중
프로세스 A 비 동기 2 2337 사용자 정지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시스템 감시용 HMI부(120)를 통해 각 프로세스별 데이터 처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각 노드별로 최적화된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노드1의 노드 관리부(130a)는 통신 처리부(140)로 노드2의 노드 관리부(130b)의 내부 프로세스 B로 동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처리부(140)는 동기 메시지 제어서비스를 통해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프로세스 B 전용 동기 큐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동기 큐는 전달 받은 동기 메시지를 노드 2를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130b)의 프로세스 B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노드 2를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130b)는 프로세스 B의 처리결과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임시 응답 큐로 전송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임시 응답 큐는 프로세스 B의 처리결과를 다시 통신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통신 처리부(140)는 전달받은 프로세스 B의 처리결과를 처음에 요청한 노드 1을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130a)로 전송하는 제4 과정을 수행한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과 메시지 큐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비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100)과 메시지 큐 시스템(200)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 비 동기 메시지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노드1의 노드 관리부(130a)는 통신 처리부(140)로 노드2의 노드 관리부(130b)의 내부 프로세스 B로 비동기 메시지 전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처리부(140)는 비동기 메시지 제어서비스를 통해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프로세스 B 전용 비동기 큐로 상기 비동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큐 시스템(200)의 비 동기 큐는 전달 받은 비 동기 메시지를 노드 2를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130b)의 프로세스 B로 전송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 A에서의 비동기 메시지 처리과정은, 비동기의 특성 상 프로세스 B로 보내는 메시지에 대한 결과가 필요 없으므로, 도 3c의 동기 메시지 처리 시 프로세스 간(A와 B)의 요청(Request)/응답(Response)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결과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응답 큐 및 이를 이용한 후속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110 : 시스템 설정부
110a : 노드 설정부 110b : 배포 관리부
120 : 전력시스템 감시용 HMI부
130 : 노드 관리부
10 : 데이터처리 프로세스 20 : 관제 프로세스
140 : 통신 처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150a : 노드 관리 DB 150b : RTDB
200 : 메시지 큐 시스템

Claims (7)

  1.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로 프로세스의 배포 상황을 관리하며,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고,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의 등록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 및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임시 저장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메시지 큐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통신처리 플랫폼은, 전력시스템의 노드 구성 및 노드별로 구성할 프로세스 정보의 등록 관리 및 프로세스별로 비동기/동기 데이터 처리 여부와 스레드 수의 메시지 큐(message queue) 정보를 관리하는 노드 설정부; 각각의 노드(node)로 신규 또는 변경되는 프로세스 정보의 배포 및 관리하는 배포 관리부; 노드별 프로세스의 실행 및 프로세스의 유형에 따라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기의 실행을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 및 상기 노드 설정부, 상기 배포 관리부 또는 상기 노드 관리부로부터 요청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동기/비동기 메시지 큐, 시스템 감시 큐, 공통 서비스 큐, 브로드 캐스트용 토픽을 등록 관리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프로세스 등록/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프로세스별 동기/비동기 메시지 서비스, 실시간/운영DB 데이터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노드 설정부는 실시간 처리를 위해 계측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알람 처리 프로세스, 연산 처리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한 노드, FEP 연계를 위해 FEP 연계 프로세스, 시스템 감시 데이터처리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한 노드 및 이력 처리를 위해 이력데이터 생성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감시 에이전트 프로세스를 구비한 노드별로 프로세스 정보를 구성 및 등록 관리할 수 있고; 노드 관리부는 통신 처리부로부터 프로세스 등록 요청에 따라 노드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프로세스 목록에 요청된 프로세스를 등록 처리하고, 통신 처리부로부터 프로세스 제어요청에 따라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을 제어하고, 노드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자신의 동기 메시지 및 비동기 메시지를 수신 처리되도록 각각의 프로세스별 동기/비동기 메시지 처리용 스레드의 실행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관리부는, 상기 통신 처리부와의 프로세스 통신 처리를 구현하도록,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처리 프로세스 및 관제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 프로세스는,
    상기 전력시스템의 FEP 연계, 계측, 네트워크, 연산, 트렌드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스들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프로세스는,
    SM(System-monitor Manager) 및 SA(System-monitor Agent)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상태 및 자원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별 감시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의 등록 서비스는, 동기/비동기 메시지 큐, 시스템 감시 큐, 공통 서비스 큐 및 브로드 캐스트용 토픽을 등록 처리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7. 삭제
KR1020170172598A 2017-12-14 2017-12-14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KR10196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8A KR101962409B1 (ko) 2017-12-14 2017-12-14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8A KR101962409B1 (ko) 2017-12-14 2017-12-14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409B1 true KR101962409B1 (ko) 2019-03-26

Family

ID=6594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98A KR101962409B1 (ko) 2017-12-14 2017-12-14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654A (ko) * 2020-10-21 2022-04-28 한국전력공사 메시지 전송 버스를 이용한 고가용성 배전 지능화 시스템 및 지능화 클러스터 시스템
CN114884973A (zh) * 2022-03-25 2022-08-09 徐工汉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定位数据的批量注册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107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철 분산 미들웨어를 이용한 지능망 프로세스 관리 방법
KR20110055041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러스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28414B1 (ko) 2012-09-28 2013-11-14 한국전력공사 이기종 풍력발전기의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KR101602099B1 (ko) * 2015-01-30 2016-03-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에서 레스트 기반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107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철 분산 미들웨어를 이용한 지능망 프로세스 관리 방법
KR20110055041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러스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28414B1 (ko) 2012-09-28 2013-11-14 한국전력공사 이기종 풍력발전기의 통합 게이트웨이 장치
KR101602099B1 (ko) * 2015-01-30 2016-03-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에서 레스트 기반의 서비스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654A (ko) * 2020-10-21 2022-04-28 한국전력공사 메시지 전송 버스를 이용한 고가용성 배전 지능화 시스템 및 지능화 클러스터 시스템
KR102508817B1 (ko) 2020-10-21 2023-03-13 한국전력공사 메시지 전송 버스를 이용한 고가용성 배전 지능화 시스템
CN114884973A (zh) * 2022-03-25 2022-08-09 徐工汉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定位数据的批量注册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884973B (zh) * 2022-03-25 2023-11-17 徐工汉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定位数据的批量注册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7086C (zh) 模块化事件驱动处理
US9047155B2 (en) Message-based installation management using message bus
JP2017530470A (ja) 動作環境の配置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CN106817408B (zh) 一种分布式服务器集群调度方法及装置
JP5976210B2 (ja) 監視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763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graphics processing unit service
US9641604B1 (en) Ranking candidate servers in order to select one server for a scheduled data transfer
US8606908B2 (en) Wake-up server
CN113742031A (zh) 节点状态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4598300A (zh) 分布式业务流程定制方法及系统
KR20150082932A (ko) 가상 머신의 구성 관리 지원 장치 및 방법과, 그 구성 관리 지원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 장치 및 방법
CN103986748A (zh) 实现服务化的方法和装置
KR101962409B1 (ko)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을 구현하는 전력시스템
WO2022252717A1 (zh) 一种实现电力数据处理的同异构混合多核芯片架构
US20130290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ed transactional interoperability of multiple messaging providers using a single connector mechanism
US8019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terfacing between an application and a library of a master for network managing
CN112751847A (zh) 接口调用请求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2131171A (zh) 程式設計平台的使用者代碼運行方法、電子設備和電腦可讀儲存介質
CN101014019A (zh) 一种系统间消息转发的通讯方法
WO2006029771A1 (en) Comput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for clients over a network
CN104750544B (zh) 应用于分布式系统中的进程管理系统及进程管理方法
CN107807848B (zh) 一种云桌面系统
CN111339194A (zh) 数据库接入层中间件的自动调度方法和装置
CN110532060A (zh) 一种混合网络环境数据采集方法及系统
CN112448987A (zh) 一种熔断降级的触发方法、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