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241B1 -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241B1
KR101962241B1 KR1020160177530A KR20160177530A KR101962241B1 KR 101962241 B1 KR101962241 B1 KR 101962241B1 KR 1020160177530 A KR1020160177530 A KR 1020160177530A KR 20160177530 A KR20160177530 A KR 20160177530A KR 101962241 B1 KR101962241 B1 KR 10196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urface
tooth
membrane
photographin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956A (ko
Inventor
조민정
김만경
이현섭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민정
김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민정, 김만경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2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은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상기 촬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치면세균막을 검출하는 치면세균막검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을 표시하여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치면세균막표시부를 구비한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를 구비한 치아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Prevention System For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본 발명은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에게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에 따른 구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건강은 질병에 이환되지 않고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신작용과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치아와 악안면을 포함한 구강조직기관의 상태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는 구강건강이 건강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설정한 바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에는 구강검진이 포함되어 있는데 2013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칫솔질 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15.6%로 조사되었으며, 19세 이상 치주질환 유병률은 27.7%로 21012년 22.7%보다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특히 성인의 구강건강 관리에 미흡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으로 대표되는 구강 질환은 예방이 가능하고, 예방법으로 칫솔질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관리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협회나 의료 기관 그리고 교육 기관에서는 권장 칫솔질 방법을 꾸준히 제안하고 있으나, 치면세균막이 육안으로 확인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효과적인 칫솔질 습관을 형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되고 있어, 치면 세균막과 치은염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강 관리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3-0057688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구강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면세균막 검출 시 치면세균막의 정도와 분포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은 환자의 치아를 촬영하는 촬영장치; 상기 촬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환자의 치아의 상태를 검출하는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치아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컴퓨팅 장치는, 입력된 고객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객관리부; 상기 고객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단말기 접속 번호를 통해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담수단을 제공하는 상담관리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진료나 치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주기적인 검진이나 치료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단말기로 진료나 치료 시점을 안내하는 치료주기설정부;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은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상기 촬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치면세균막을 검출하는 치면세균막검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을 표시하여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치면세균막표시부를 구비한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를 구비한 치아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치아관리프로그램은 기 저장된 치면의 영상으로부터 전체 치면수를 획득하고,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착색된 치면수를 획득하여 올리어리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올리어리지수로부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산출하는 올리어리지수산출부를 더 구비한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구강 내의 세균 정보를 촬영하는 위상차현미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위상차현미경으로부터 생성된 세균 정보를 표시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치아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 일자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는 치아상태정보관리부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하는 제품추천부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팅 장치로 입력된 치음염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치은염 지수를 산출하는 치은염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치은염지수산출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치은염 지수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은 치면착색제가 도포되기 전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여 제1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여 제2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치면세균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치면세균막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이 표시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치면세균막의 검출 결과와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이 표시된 영상을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은 상기 제1 촬영 영상으로부터 전체 치면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촬영 영상으로부터 착색된 치면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시 전체 치면수와 상기 착색된 치면수에 기초하여 올리어리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올리어리지수로부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담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로 답변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로 진료나 치료 시점을 주기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기 환자의 구강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환자의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진달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치면세균막에 대한 구강 상태 정보 및 치은염에 대한 구강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함과 아울러 구강 관리 방법을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이 보다 효율적인 구강 관리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단말기에 상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는 진료나 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를 통해 치면세균막의 검출을 함으로써 치면세균막의 정도와 분포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의 블록도.
도 4는 치아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
도 5는 치아예방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컴퓨팅장치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예방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컴퓨팅장치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한 스케일러의 사시도로써, 촬영장치가 스케일러의 몸체부에 삽입된 상태도.
도 10은 촬영장치가 스케일러의 스케일러팁에 장착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후술할 치아세균막이란 치아와 주변조직에 부착되어 있는 끈적끈적한 연성부착물로써 주로 세균의 군집과 세균에 의해서 만들어진 젤과 같은 세균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면세균막은 타액과 잇몸열구액, 백혈구, 상피세모 및 음식잔사 등을 포함하고 있고 새로운 세균과 기존 세균의 증식 및 세균과 숙주의 대사물질의 축적으로 인하여 덩어리가 커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치면착색제란 치면세균막인 치태, 플라그 만을 선택적으로 염색시켜 치아면에 있는 음식물의 잔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약품이다.
또한 치면 세균막을 착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먼저 치면착색제가 환자의 입술에 묻지 않도록 면봉이나 면구에 적당량의 바셀린을 묻혀 구각부위를 포함한 위, 아래 입술에 가볍게 도포한다. 그리고 면구와 핀셋으로 수량의 치면착색제를 묻혀 검사할 부위의 치면에 도포한다. 그 후 물로 입안을 헹굼으로써 치면 세균막을 착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컴퓨팅장치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치아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치아예방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컴퓨팅장치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10)은 컴퓨팅장치(100)와 컴퓨팅장치(1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 및 환자관리프로그램(700)과 촬영장치(300) 그리고 단말기(400)와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치아관리프로그램(500) 그리고 위상차현미경(60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장치(100)는 휴대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버스(101)와 버스(10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치(1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3), 복수의 프레젠테이션 장치(104), 입/출력 포트(105), 입/출력 장치(106)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07)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20)는 하드디스크, 휘발성메모리,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3)는 컴퓨팅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 장치(104)는 그래픽카드, 모니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포트(105)는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마이크, 스피커, 외부 저장장치 등과 같은 주변장치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장치(106)는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스피커, 외부 저장장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07)는 컴퓨팅 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가 구현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는 블록들이 선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이는 각 구성의 명확함을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구성 요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표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일 예로 컴퓨팅 장치(100)가 테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성을 지닌 컴퓨팅 장치인 경우, 주변 장치로써 예로든 디지털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과 환자관리프로그램(700)은 컴퓨팅장치(10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고,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은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팅장치(100), 촬영장치(300), 단말기(400) 및 위상차현미경(600)들 상호간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통신장치는 유선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장치(100)와 단말기(400)이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형태가 될 수 있고, 단말기(4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컴퓨팅장치(100)가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00)는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의 실행에 따라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이 제공하는 컨텐츠와 연동하여 구동하는 치면세균막검출부(210)와 치면세균막표시부(220), 영상표시부(230) 및 올리어리(O' Leary index)지수산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면세균막검출부(210)는 전술한 치아세균막을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환자의 치면 화상과 촬영장치(300)로부터 촬영된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한 화상을 비교하여 환자의 치아 상의 치면 세균막을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면세균막검출부(210)는 촬영장치(300)로부터 촬영되고 컴퓨팅장치(100)에 저장된 치면착색제 도포 전의 환자의 치면 영상과 촬영장치(300)로부터 촬영되고 이를 컴퓨팅장치(100)가 수신한 치면착색제 도포 후의 환자의 치면 영상의 화소별 비교에 기초하여 치면 상의 치면세균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치면세균막표시부(220)는 치면세균막검출부(21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컴퓨팅장치(100)에 기 저장된 치면착색제가 도포되기 전의 환자의 치면 영상에 치면세균막을 표시할 수 있고 영상표시부(230)는 치면세균막표시부(220)로부터 생성된 치면세균막표시 영상을 컴퓨팅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장치(100)에 치면세균막표시 영상이 표시되면, 컴퓨팅장치(100)가 제공하는 입력장치를 통해 정보를 기입할 수 있고, 치면세균막표시 영상은 정보가 기입된 이미지 형태로 컴퓨팅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가 기입된 이미지 형태의 치면세균막표시 영상은 환자의 단말기(400)로 제공되어 환자는 언제든지 자신의 치면세균막표시 영상과 함께 전문적인 정보를 함께 열람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올리어리지수산출부(240)는 컴퓨팅장치(100)에 기 저장된 치면착색제가 도포되기 전의 환자의 치면 영상에서의 전체 치아의 개수로부터 치면수와 치아의 위치를 검출하고, 치면세균막표시부(220)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치아의 위치별 착색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치아 중에서 착색된 치면수를 검출하여 수학식 1에 따른 올리어리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2에 따라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 관리가 잘 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수학식 1
올리어리지수=(착색된 치면수/ 전체 치면수) * 100
수학식 2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 100 - 올리어리지수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환자관리프로그램(700)의 실행에 따라 환자관리프로그램(700)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고객관리부(710), 상담관리부(720) 및 치료주기설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관리프로그램(700)이 실행되면 고객 정보 등록 컨텐츠가 컴퓨팅 장치(100)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고, 컴퓨팅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입력장치를 통해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면 고객관리부(710)는 입력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관리부(710)는 치면세균막표시부(220)와 연동하여 등록된 환자의 치면 세균막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진료나 치료 정보를 연동시킬 수 있어, 환자의 등록 정보를 확인하면 해당 환자의 치면 세균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나 치료 정보가 함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담관리부(720)는 고객관리부(710)에 등록된 환자의 단말기(400)에 대한 접속 번호를 통해 단말기(400)와 통신하고 환자의 진료 정보, 치료 정보, 예방 정보를 환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400)에 설치된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의 실행에 따라 상담관리부(72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가 단말기(40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담관리부(720)는 각종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환자의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는 진료 정보, 치료 정보, 예방 정보에 관한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이 제공하는 상담수단을 통해서 단말기(400)의 입력장치에 문의 사항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는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되고, 이에 응답하여 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의사 등은 컴퓨팅 장치(100)에 답변을 입력하고, 답변은 다시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의사가 온라인 상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는 단말기(400)로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대해 답신하는 형태로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담관리부(720)는 고객관리부(710)에 저장된 고객의 정보를 확인하고 고객의 정보가 해당 고객의 보호자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진료 및 치료 정보를 해당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보호자의 문의 사항에 응답하는 형태로 보호자와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자의 단말기에는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담관리부(720)는 고객이 고령이거나 유아인 경우 보호자와의 상담을 통해 효율적인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치료주기설정부(730)는 고객관리부(710)에 저장된 환자의 진료나 치료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주기적인 검진이나 치료 등이 필요한 경우, 해당 환자에 대한 치료 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상담관리부(720)는 치료주기설정부(730)에서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나 치료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면 단말기(400)로 진료나 치료가 필요함을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의 정보에 해당 고객의 보호자 정보가 함께 포함된 경우 진료나 치료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면 보호자의 단말기로 진료나 치료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안내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치면세균막표시부(220)로부터 생성된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정보와 올리어리지수산출부(240)로부터 산출된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단말기(400)나 고객의 보호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위상차현미경(600)으로부터 생성된 환자의 구강 내의 세균 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세균 촬영 정보를 단말기(400) 나 고객의 보호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위상차현미경은 구강 내 미생물을 염색이나 배양 과정 없이 살아 있는 상태 그래도 각 형태별 세균들의 양과 활동성을 조사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현미경이 될 수 있다.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은 단말기(400)에 설치될 수 있고, 단말기(400)는 환자가 소지하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단말기(400)는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의 실행 시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이 제공하는 컨텐츠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치면상태표시부(510)와 치아상태정보관리부(520), 제품추천부(530) 그리고 구강관리법제공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면상태표시부(510)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정보와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를 단말기(4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치면상태표시부(510)는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를 표 1과 같은 형태의 치면 지수로 치환하여 단말기(400)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치태
지수
회차 매우좋음 좋음 보통 노력 나쁨
81~100 61~80 41~60 21~40 0~20
치면상태정보관리부(520)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정보와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를 수신한 일자 별로 분류하여 단말기(400) 상에 저장할 수 있고, 일자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품추천부(530)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환자에게 추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의 구강위생용품은 치약, 치간치솔, 치실 그리고 혀클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강관리법제공부(540)는 수신된 컴퓨팅 장치(100)의 치면세균막표시부(220)로부터 치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치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400)에 저장된 치면 위치별로 적절한 칫솔질 방법, 치간치솔, 치실 그리고 혀클리너 사용 방법과 관련한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읽어드려 표시할 수 있고,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에 기초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강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 이미지,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표시 정보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10)의 컴퓨팅 장치(100)에 설치된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은 치은염지수(Gingival Index: GI, Loe와 Sillness)산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은염지수산출부(250)는 컴퓨팅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치은염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의사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통해 임상적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입력 장치를 통해 평가 정보를 숫자 형태로 입력할 수 있고, 치은염지수산출부(250)는 입력받은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치은염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증이 없는 경우 환자는 0을 입력하고, 약간의 색깔 변화와 부종, 탐침시 출력이 없는 가벼운 염증인 경우 1을 입력하고, 발적, 부종, 탐침시 출혈을 동반하는 중등도 염증인 경우 2를 입력하며, 발적과 증식, 자연적인 치은 출혈을 나타내는 심한 염증인 경우 3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치은염지수산출부(25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0.1 내지 1.0의 경도의 치은염, 1.1 내지 2.0의 중등도 치은염 및 2.1 내지 3.0의 심한 치은염 중 어느 하나의 지표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지표는 컴퓨팅 장치(100)나 단말기(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400) 상에는 표 2와 같은 형태로 치은염 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치은염
지수
회차 경도의 치은염 중등도의 치은염 심한 치음염
0.1~1.0 1.1~20 2.1~3.0
또한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의 제품추천부(530)는 단말기(400)에 수신된 치은염지수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하여 단말기(4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예방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컴퓨팅장치에서 구동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400)는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의 실행 시 치아관리프로그램(500)이 제공하는 컨텐츠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강촬영영상관리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는 단말기(400)에 구비된 촬영장치를 통해 자신의 치아의 교합면, 협측, 설측 방향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은 구강촬영영상관리부(55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환자는 자신의 치아를 촬영할 때, 단말기(400)에 구비된 광원장치를 구동하거나 별도의 광원장치를 구동하여 구강 내에 광을 조사한 상태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강촬영영상관리부(550)는 단말기(400)가 구비한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환자의 구강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는 구강촬영영상관리부(550) 상의 구강 촬영 영상을 컴퓨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상담관리부(720)를 통해 자신의 구강 상태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의사 등은 상기 구강 촬영 영상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상담관리부(720)를 통해 상기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진료나 치료를 위해 마련된 장소에 별도의 방문 없이도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강 상태나 치료 경과 상태 등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한 스케일러의 사시도로써, 촬영장치가 스케일러의 몸체부에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10은 촬영장치가 스케일러의 스케일러팁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10)은 스케일러(800)는 전술한 촬영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스케일러(8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컴퓨팅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스케일러(800)는 외부의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유체공급장치로부터 세척액 또는 액체 상태의 치면착색제를 제공받아 분사할 수 있다.
스케일러(800)는 몸체부(830)와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스케일러(800)로 공급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관부(820) 그리고 유체관부(820)에 연결되어 유체관부(820)로부터 제공된 유체를 끝단으로 분사하는 스케일러팁(81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830)는 치과의사 또는 치위생사가 근관세척이나 치석제거를 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치과의사 또는 치위생사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측면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830)는 내부에 스케일러팁(810)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관부(820)는 공급받은 유체를 스케일러팁(810)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케일러팁(810)은 내부 미세관을 통해 출사된 유체를 환자의 치아에 분사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가져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촬영장치(30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촬영장치(300)의 일단은 몸체부(830)에 연결되고 촬영장치(300)의 일단을 중심으로 대략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촬영장치(300)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면 몸체부(830)에 마련된 제1 홈(831)에 삽입될 수 있고, 윗 방향으로 회전하면 촬영장치(300)의 배면에 마련된 제2 홈에 스케일러팁(810)에 삽입되어 촬영장치(300)가 스케일러팁(8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300)의 전면의 끝단(스케일러팁의 끝단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영역에 마련된 카메라(310)는 전방을 화면을 촬영하고, 촬영 결과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촬영장치(300)를 몸체부(8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케일러(800)는 몸체부(830)에 마련된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스케일러팁(810)을 통해 세척액를 분사하면서 초음파 진동을 통해 환자의 치아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치아를 스케일한 후 몸체부(830)에 마련된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스케일러팁(810)을 통해 액체 상태의 치면착색제를 분사할 수 있다.
그 후 환자의 치아를 스케일한 후 촬영장치(300)를 스케일러팁(8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부(830)에 마련된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카메라(310)를 구동시켜 환자의 치아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은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되어 환자의 치아의 치면 세균막 등에 대한 치아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하게 환자의 치아의 스케일링과 함께 치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치아의 스케일링과 함께 적절한 스케일의 수행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10)
컴퓨팅장치(100)
버스(101)
메모리 장치(102)
프로세서(103)
프레젠테이션 장치(104)
입/출력 포트(105)
입/출력 장치(106)
전원공급장치(107)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200)
치면세균막검출부(210)
치면세균막표시부(220)
영상표시부(230)
올리어리지수산출부(240)
치은염지수산출부(250)
촬영장치(300)
카메라(310)
단말기(400)
치아관리프로그램(500)
치면상태표시부(510)
치아상태정보관리부(520)
제품추천부(530)
구강관리법제공부(540)
위상차현미경(600)
환자관리프로그램(700)
고객관리부(710)
상담관리부(720)
치료주기설정부(730)
스케일러(800)
스케일러팁(810)
유체관부(820)
몸체부(830)
제1 홈(831)

Claims (13)

  1.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환자의 치아의 스케일링을 위한 스케일러;
    상기 촬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치면세균막을 검출하는 치면세균막검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을 표시하여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치면세균막표시부 그리고 기 저장된 치면의 영상으로부터 전체 치면수를 획득하고,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착색된 치면수를 획득하여 올리어리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올리어리지수로부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산출하는 올리어리지수산출부를 구비한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를 구비한 치아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스케일러와 연결되어 세척액 및 상기 치면착색제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케일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관부 및 상기 유체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스케일러팁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일단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의 일단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1 홈에 삽입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촬영장치의 배면에 마련된 제2 홈에 상기 스케일러팁이 삽입되어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스케일러팁에 고정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끝 단에 설치된 카메라는 전방의 촬영 화면을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입력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일링을 위한 상기 스케일러의 진동 구동,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치면착색제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구동 및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이 수행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세척액 또는 상기 치면착색제이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입력된 고객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객관리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단말기 접속 번호를 통해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접속하여 상담수단을 제공하는 상담관리부;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고객 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자의 진료나 치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주기적인 검진이나 치료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단말기로 진료나 치료 시점을 안내하는 치료주기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3. 치면착색제가 도포된 환자의 치면을 촬영하는 촬영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환자의 치아의 스케일링을 위한 스케일러;
    상기 촬영장치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치면세균막을 검출하는 치면세균막검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치면 상에 치면세균막을 표시하여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치면세균막표시부 그리고 기 저장된 치면의 영상으로부터 전체 치면수를 획득하고, 상기 치면세균막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착색된 치면수를 획득하여 올리어리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올리어리지수로부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산출하는 올리어리지수산출부를 구비한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을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를 구비한 치아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스케일러와 연결되어 세척액 및 상기 치면착색제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스케일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관부 및 상기 유체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스케일러팁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일단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장치의 일단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제1 홈에 삽입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촬영장치의 배면에 마련된 제2 홈에 상기 스케일러팁이 삽입되어 상기 촬영장치가 상기 스케일러팁에 고정되고,
    상기 촬영장치의 끝 단에 설치된 카메라는 전방의 촬영 화면을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몸체부에 마련된 입력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일링을 위한 상기 스케일러의 진동 구동,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치면착색제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구동 및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이 수행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세척액 또는 상기 치면착색제인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 내의 세균 정보를 촬영하는 위상차현미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위상차현미경으로부터 생성된 세균 정보를 표시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치면상태표시부와 상기 치면세균막 표시 영상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를 수신 일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는 치아상태정보관리부 및 상기 치면세균막 관리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하는 제품추천부를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상태검출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팅 장치로 입력된 치음염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치은염 지수를 산출하는 치은염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치은염지수산출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치은염 지수에 기초하여 구강위생용품을 추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77530A 2016-12-23 2016-12-23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KR10196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30A KR101962241B1 (ko) 2016-12-23 2016-12-23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30A KR101962241B1 (ko) 2016-12-23 2016-12-23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56A KR20180073956A (ko) 2018-07-03
KR101962241B1 true KR101962241B1 (ko) 2019-07-18

Family

ID=6291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30A KR101962241B1 (ko) 2016-12-23 2016-12-23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513A (ja) * 2006-02-08 2007-09-20 Microdent:Kk 歯科疾患確定装置
JP2012143528A (ja) * 2011-01-12 2012-08-02 Advance Co Ltd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688A (ko) 2011-11-24 2013-06-03 (주)케이엔씨웰빙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513A (ja) * 2006-02-08 2007-09-20 Microdent:Kk 歯科疾患確定装置
JP2012143528A (ja) * 2011-01-12 2012-08-02 Advance Co Ltd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56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uncil Scope of practice
Holmstrom et al. 2013 AAHA dental care guidelines for dogs and cats
US2016029616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EP3646815A1 (en)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method
Eggmann et al. Sonic irrigant activation for root canal disinfection: power modes matter!
Kuo et al. Effect of family caregiver oral care training on stroke survivor oral and respiratory health in Taiwa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Muniz et al. Efficacy of dental floss impregnated with chlorhexidine on reduction of supragingival biofil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urner Interdental brushes and ISO standards
KR101962241B1 (ko)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 예방 시스템
Turani et al. Techniqu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eriodontitis
Holmstrom Geriatric veterinary dentistry: medical and client relations and challenges.
Lallam et al. Minimal intervention dentistry II: part 2. Management of caries and periodontal risks in general dental practice
JP2006113945A (ja) 歯科情報提供システム
Eisner et al. Standard of care in North American small animal dental service
KR101825411B1 (ko) 이동형 치아관리 시스템
Poothulil et al. A Study on the Usage of Mobile Application for Oral Health-a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s towards Digital Media.
Holloway et al. A pilot study to evaluate the impact of digital imaging on the delivery of oral hygiene instruction
Gawor Establishing a dental presence within a general veterinary practice
Holmes NEW TECHNOLOGIES FOR DENTAL CARE.
KR102627425B1 (ko)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Romito et al. Decision-making on peri-implant mucositis management and treatment approaches
Turner You also might like
Lennemann The role of the dental hygienist in the new millennium
Paulson et al. Efficacy of a Revised Prototype Solution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Dental Calculus: A follow-up proof-of-concept study.
TWM490856U (zh) 口腔清潔輔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