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53B1 -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53B1
KR101961853B1 KR1020170162552A KR20170162552A KR101961853B1 KR 101961853 B1 KR101961853 B1 KR 101961853B1 KR 1020170162552 A KR1020170162552 A KR 1020170162552A KR 20170162552 A KR20170162552 A KR 20170162552A KR 101961853 B1 KR101961853 B1 KR 10196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bands
signals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셀
Priority to KR102017016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를 이용해서 신규 추가 대역의 상하향신호를 변환하여 기존의 상하향신호와 함께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는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하거나, 상기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하는 마스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MULTI-BANDWIDTH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를 이용해서 신규 추가 대역의 상하향신호를 변환하여 기존의 상하향신호와 함께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는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대역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는 여러 대역의 신호들을 급전선들을 통해 건물 내 서비스한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2G부터 3G를 거쳐, 최근 4G 신호를 서비스 할 때도 유용한 망 설계 방식으로서 대부분의 건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서비스의 증가로 인해 서비스 대역이 늘어나고 있다.
서비스 대역이 많아지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넓어 질수록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서 서비스 신호간 주파수 혼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다중대역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해서 발생되는 주파수 혼용을 막기 위해서 급전선을 각각으로 분리하였다.
이렇게 급전선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건물 내에 급전선 설비를 추가하여야 가능하고, 이로 인해 망 구성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도면부호 110을 참고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중계 장치는 신규 추가되는 대역을 서비스하기 위해, 별도의 급전선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 및 하향신호를 송출한다. 이를 위해, 기존 대역을 서비스하는 멀티플렉서와는 별도로 듀플렉서를 추가 설치하고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중계 장치는 도면부호 120의 구조로 건물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여러 곳으로 하향신호를 분배하거나 건물의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상향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별도의 급전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에서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하여 신호 품질이 저하되었다.
도 2는 종래 다중대역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 및 하향신호는 대역 D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면부호 201로 식별되는 신호에 의해서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면부호 201로 식별되는 신호는 불요파(spurious)에 의해서 대역 D가 받는 영향으로서 대역 A와 대역 B의 차이에 의해서 생성된다.
근래, 5G 신호의 경우에는 주파수 대역을 100MHz를 이용 함으로써, 넓은 PIMD 발생에 의한 주파수 혼용에 취약하다.
따라서, 주파수 혼용에 의해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1394호 "PIMD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8149호 "PIMD 간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서 서비스 신호간 주파수 혼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하여 건물 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건물 내 지원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급전선 설비와 망 구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고효율 저출력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하거나, 상기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하는 마스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하향신호 증폭부, 상기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 상기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하는 상향신호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수집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에 대해 중간주파수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주파수 변환된 상향신호와 상기 중계장치로 향하는 상기 복수의 대역의 상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제1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수집하는 제1 마스터 유닛, 제2 대역의 제2 하향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기 제2 대역의 제2 하향신호에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제1 하향신호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는 제2 마스터 유닛, 및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1 하향신호와 상기 제2 하향신호를 분리하여 건물 내의 사용자단말기들로 분배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제1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제2 대역의 제2 상향신호를 수집하여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며, 상기 제1 마스터 유닛은 상기 제1 상향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제2 상향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제2 상향신호에 상기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상기 제1 상향신호와 합성하여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상향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 유닛에서,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하거나, 상기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하는 단계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하향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신호 분리 및 합성부에서,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향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멀티플렉서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서 서비스 신호간 주파수 혼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하여 건물 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건물 내 지원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급전선 설비와 망 구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고효율 저출력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중대역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다중대역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의 대역폭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주파수 분할 방식의 마스터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시간 분할 방식의 마스터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주파수 분할 방식의 슬레이브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시간 분할 방식의 슬레이브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하향신호를 중심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상향신호를 중심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3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300)을 이용하면,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서 서비스 신호간 주파수 혼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전체 시스템(300)의 일부 구성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기존 중계기는 멀티플렉서를 이용해서, 다중대역의 신호를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하여 건물 내의 신호 분배기로 전송하거나, 신호 분배기들로부터의 상향신호들을 수신함으로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신규 추가 대역은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통해 건물 내에 서비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이미 이용하는 급전선과는 별개의 급전선을 추가해서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예방하려는 시도를 했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기존 중계기가 이용하는 급전선과 동일한 급전선을 공유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이로써, 건물 내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건물 내 지원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급전선 설비와 망 구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이용하면, 동일한 급전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추가되는 서비스 대역에 대해서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한 영향이 적고 사용하지 않는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급전선에 기존 대역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기존 대역과의 공유를 위해 멀티플렉서를 이용할 수 있다.
급전선으로 공유된 신호들을 건물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안테나 단까지 전송되며 이후 안테나 단과 합쳐진 서비스 유닛(Service Unit)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다. 이때, 기존 서비스 대역의 신호는 서비스 유닛에서 멀티플렉서를 통해 직접 송출되고, 중간주파수 대역에 의해 가공된 신규 추가 대역의 신호는 원래의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 후 증폭되어 안테나를 통해서 송출될 수 있다.
결국,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이용하면,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예방하면서도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하여 건물 내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4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400)은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의 경우에 기존의 중계장치(410)와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슬레이브 유닛의 경우 마스터 유닛과 연동하여 건물 내 하향신호를 분배하거나, 건물 내로부터 전달되는 상향신호를 마스터 유닛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유닛은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유닛은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410)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중계장치(4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마스터 유닛은 하향신호 증폭부(420), 하향신호 주파수 변환부(430), 신호 분리 및 합성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향신호 증폭부(420)는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1 하향신호라 함은 신규 추가되는 대역으로 서비스되는 신호로서 이동통신사로부터 수신하여 건물 내에 제공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하향신호 주파수 변환부(430)는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중간주파수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에 의한 영향이 적고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경험치, 실험치, 자동설정 또는 관리자의 수동 세팅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 및 합성부(450)는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410)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하향신호라 함은 신규 추가되는 대역과는 달리 이미 서비스되고 있는 대역의 신호로서 제1 하향신호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사로부터 수신하여 건물 내에 제공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하향신호를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할 때에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 및 합성부(450)가 신호 합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은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복수의 대역 또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슬레이브 유닛은 멀티플렉서(460), 주파수 변환부(470), 및 신호 증폭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460)는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와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의 제2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부(470)는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변환부(470)는 중계장치(410)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증폭부(480)는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여 건물 내 신호 분배기들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은 건물 내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장치(410)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주파수 변환부(470)는 수집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에 대해 중간주파수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멀티플렉서(460)는 주파수 변환된 상향신호와 중계장치로 향하는 복수의 대역의 상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여 마스터 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마스터 유닛은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터 유닛은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중계장치(41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유닛의 신호 분리 및 합성부(450)은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향신호 주파수 변환부(440)는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향신호 증폭부(420)는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존 대역을 사용하는 엔티티를 제1 마스터 유닛으로, 신규 추가 대역을 사용하는 엔티티를 제2 마스터 유닛으로 본 발명을 설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은 제1 마스터 유닛, 제2 마스터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마스터 유닛은 제1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 유닛은 제2 대역의 제2 하향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2 하향신호에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제1 하향신호와 주파수 변환된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단일 급전선을 통해 슬레이브 유닛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후, 슬레이브 유닛은 제2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제1 하향신호와 제2 하향신호를 분리하여 건물 내의 사용자단말기들로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유닛은 건물 내 단말들로부터 수집되는 상향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슬레이브 유닛은 제1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제2 대역의 제2 상향신호를 수집하여 멀티플렉서로 합성하여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에 제2 마스터 유닛은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스터 유닛은 분리된 신호들 중에서 제1 상향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마스터 유닛은 제2 상향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레이브 유닛은, 제2 상향신호에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상기 제1 상향신호와 합성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 유닛은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제2 상향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의 대역폭들(5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현재 중계기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대역폭들(500)은 대역 A, 대역 B, 대역 C, 대역 D(510)로서, 총 4개의 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대역 A 내지 C의 대역이 이미 사용 중인 대역에 해당하고, 대역 D(510)가 신규 추가 대역에 해당한다.
각각의 대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되어 서비스될 수 있는데, 대역들이 여러 개 이용되다 보니 예상치 않은 대역들의 차이값(A-B 대역 또는 B-A 대역)에 의한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규 추가 대역인 대역 D(510)의 경우에는,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이 발생의 원인이 되는 예상치 않은 대역들의 차이값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대역으로 중간주파수를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유닛 또는 슬레이브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7은 주파수 분할 방식의 마스터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에서도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하향신호와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마스터 유닛을 나타낸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마스터 유닛(600)은 하향신호 증폭부(610)를 통해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하고, 하향신호 주파수 변환부(620)를 통해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분리 및 합성부(630)는 도면부호 631에서는 제1 듀플렉서를 통해 주파수 분할을 통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도면부호 632에서는 제2 듀플렉서를 통해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제1 하향신호를 기존의 대역을 사용하는 제2 하향신호와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합성된 제1 하향신호와 제2 하향신호는 하위의 서비스 유닛, 예를 들면 슬레이브 유닛으로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서비스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향신호는 도면부호 6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 후 기존의 대역을 사용하는 제2 상향신호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신규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제1 상향신호는 도면부호 631에서 상향신호 송출을 위한 주파수 변환부(6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신호 주파수 변환부(640)에서는 단일의 급전선으로 송출하기 위해 합성되었던 제1 상향신호에 대해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상향신호 증폭부(650)에서는 주파수 대역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송출을 위해 증폭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한 구조이나, 하향신호의 입력 단 또는 상향신호의 출력 단에 듀플렉서(71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듀플렉서(710)는 하향신호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입력을 주파수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향신호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주파수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시간 분할 방식의 마스터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에서도 시간 분할 방식으로 하향신호와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마스터 유닛을 나타낸다.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도 8은 도 6과 유사한 구조이나, 하향신호의 출력 단 또는 상향신호의 입력 단에 스위치 모듈(810)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시간 분할 방식으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810)은 하향신호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시간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향신호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입력을 시간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구조로서 하향신호의 입력 단 또는 상향신호의 출력 단에 제1 스위치 모듈(910)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시간 분할 방식으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 모듈(910)과 유사하게 하향신호의 출력 단 또는 상향신호의 입력 단에 구비된 제2 스위치 모듈(920)을 통해 시간 분할 방식으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한 구조이나, 제1 스위치 모듈(910) 및 제2 스위치 모듈(920)을 대신하여 제1 서큘레이터(1010)와 제1 서큘레이터(1010)가 사용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를 이용할 것인지, 스위치 모듈을 이용할 것인지는 코스트(cost)나 전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주파수 분할 방식의 슬레이브 유닛(1100)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슬레이브 유닛(1100)은 두 개의 듀플렉서(1111, 1112)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1110), 하향신호 주파수 변환부(1120), 하향신호 신호 증폭부(1130), 상향신호 주파수 변환부(1150), 및 상향신호 신호 증폭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듀플렉서(1111)는 하향신호 중에서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와 기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의 제2 하향신호를 주파수 분할하여 분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듀플렉서(1112)는 하향신호 또는 상향신호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신호 주파수 변환부(1120)는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에 대해,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향신호 신호 증폭부(1130)는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임계값 이상의 신호 크기로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1140)의 분할에 따라 신규 주파수 대역으로 건물 내 단말들로 송출될 수 있다.
상향신호 주파수 변환부(1150)는 수집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에 대해 중간주파수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상향신호 신호 증폭부(1160)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신호 크기로 증폭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1110)는 제1 듀플렉서(1111)와 제2 듀플렉서(1112)를 제어하여 주파수 변환된 상향신호와 중계장치로 향하는 상기 복수의 대역의 상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시간 분할 방식의 슬레이브 유닛을 사용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구조로서 하향신호와 상향신호의 구분을 제1 스위치 모듈(1210)과 제2 스위치 모듈(1220)을 이용해서 시간 분할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도 11 및 도 12와 유사한 구조로서 하향신호와 상향신호의 구분을 제1 서큘레이터(1310)와 제2 서큘레이터(1320)를 이용해서 시간 분할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4는 하향신호를 중심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단계 141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단계 142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 및 송출할 수 있다(단계 143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대역 또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단계 144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단계 145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다(단계 1460).
도 15는 상향신호를 중심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건물 내의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단계 151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단계 1520).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 및 출력할 수 있다(단계 1530).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서 서비스 신호간 주파수 혼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하나의 급전선을 공유하여 건물 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고, 건물 내 다중대역의 서비스를 건물 내 지원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급전선 설비와 망 구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고효율 저출력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00: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410: 기존의 중계장치
420: 상하향신호 증폭부 430: 하향신호 주파수
440: 상향신호 주파수 변환부 450: 신호 분리 및 합성부

Claims (12)

  1.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하거나, 상기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하는 마스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 및 상기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와 상기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1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고,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2 안테나를 통해서 송출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하향신호 증폭부;
    상기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
    를 포함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닛은,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
    상기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하는 상향신호 증폭부
    를 포함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수집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에 대해 중간주파수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주파수 변환된 상향신호와 상기 중계장치로 향하는 상기 복수의 대역의 상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6. 제1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수집하는 제1 마스터 유닛;
    제2 대역의 제2 하향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기 제2 대역의 제2 하향신호에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제1 하향신호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단일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는 제2 마스터 유닛; 및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1 하향신호와 상기 제2 하향신호를 분리하여 건물 내의 사용자단말기들로 분배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터 유닛은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 및 상기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와 상기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1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제1 대역 또는 상기 제2 대역의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 상기 제1 대역은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에 포함됨 -;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상기 제1 마스터 유닛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고,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2 안테나를 통해서 송출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제1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제2 대역의 제2 상향신호를 수집하여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단일의 급전선을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며,
    상기 제1 마스터 유닛은 상기 제1 상향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제2 상향신호를 송출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제2 상향신호에 상기 중간주파수를 반영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상기 제1 상향신호와 합성하여 송출하고,
    상기 제2 마스터 유닛은 상기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상향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9. 마스터 유닛에서,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과는 구분되는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단일 급전선을 통해 건물 내 배치된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분배되도록 신호처리 하거나, 상기 신호 분배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상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상향신호를 대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마스터 유닛 또는 기 사용중인 중계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신호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급전선을 공유하거나,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중계장치로의 상향신호 중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 및 상기 복수의 하향신호 증폭부와 상기 복수의 상향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1 멀티플렉서를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제2 멀티플렉서에서, 상기 복수의 대역 또는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 중에서 하나의 하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선택적으로 출력된 하향신호 중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하향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의 하향신호와 합성되기 이전에 반영된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사용중인 복수의 대역의 신호는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고,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신호는 상기 신호 증폭부에 연결된 제2 안테나를 통해서 송출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하향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하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증폭된 제1 하향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신호 분리 및 합성부에서, 상기 주파수 변환된 제1 하향신호와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부터의 제2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닛에서 신호처리 하는 상기 단계는,
    신호 분리 및 합성부에서, 상기 신규 추가 대역의 제1 상향신호 및 상기 복수의 대역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로의 제2 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주파수 변환부에서, 상기 분리된 제1 상향신호에 기 적용된 중간주파수를 고려하여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향신호 증폭부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제1 상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삭제
KR1020170162552A 2017-11-30 2017-11-30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96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52A KR101961853B1 (ko) 2017-11-30 2017-11-30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52A KR101961853B1 (ko) 2017-11-30 2017-11-30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853B1 true KR101961853B1 (ko) 2019-03-25

Family

ID=6590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52A KR101961853B1 (ko) 2017-11-30 2017-11-30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14B1 (ko) * 2023-07-11 2023-11-16 (주)두타기술 휴대용 다중대역 전파 방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394A (ko) 1998-06-04 2001-07-28 실리콘 이미지, 인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구동시스템
KR100442537B1 (ko) * 2001-11-16 2004-08-04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imd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KR100728638B1 (ko) * 2006-03-23 2007-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장치 간의 급전선 공유 장치
KR101108464B1 (ko) * 2006-05-19 2012-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는 무선 중계기
KR20160088149A (ko) 2015-01-15 2016-07-25 이용걸 다중 머리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394A (ko) 1998-06-04 2001-07-28 실리콘 이미지, 인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구동시스템
KR100442537B1 (ko) * 2001-11-16 2004-08-04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imd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KR100728638B1 (ko) * 2006-03-23 2007-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장치 간의 급전선 공유 장치
KR101108464B1 (ko) * 2006-05-19 2012-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을 갖는 무선 중계기
KR20160088149A (ko) 2015-01-15 2016-07-25 이용걸 다중 머리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14B1 (ko) * 2023-07-11 2023-11-16 (주)두타기술 휴대용 다중대역 전파 방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039B2 (en) Universal remote radio head
US9356697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US8059963B2 (en) Time division duplexing remote station having low-noise amplifier shared for uplink and downlink operations and wired relay method using the same
US8428033B2 (en) Radio frequency network
US10454567B2 (en) Multi-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10924176B2 (en) Next generation in-building relay system and method
KR101031619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인빌딩 중계장치
CN103828259A (zh) 分布式天线系统架构
EP3731434B1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KR102130914B1 (ko) 5g nsa 네트워크에서 이중 접속 이중화 무선 중계 장치
KR101791636B1 (ko) 기지국 신호 정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 유닛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
KR101961853B1 (ko) 다중대역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180060859A (ko) 대용량의 데이터 트래픽을 지원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리모트 라디오 헤드 장치 및 호스트 장치
KR20160126610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리모트 장치
EP3242450B1 (en) Method of summing forward digital signal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60211891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crest factor reduction module disposed at optimum position
KR101730614B1 (ko) 광대역 결합기를 이용한 인빌딩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인빌딩 시스템 및 광대역 결합기
US883763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 filtering
KR101771598B1 (ko) 광대역 통신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중계 시스템 및 중계 장치
KR101877266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리모트 장치
JP2006211171A (ja) 中継増幅器
KR101855166B1 (ko)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WO2024055327A1 (zh) 子带全双工通信系统、方法及基站
KR20170097582A (ko) 교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KR20170051262A (ko) RoF 광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