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593B1 -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 Google Patents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593B1
KR101961593B1 KR1020180063960A KR20180063960A KR101961593B1 KR 101961593 B1 KR101961593 B1 KR 101961593B1 KR 1020180063960 A KR1020180063960 A KR 1020180063960A KR 20180063960 A KR20180063960 A KR 20180063960A KR 101961593 B1 KR101961593 B1 KR 10196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rod
receptacle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분
Original Assignee
김동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분 filed Critical 김동분
Priority to KR102018006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02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steep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 A45D4/06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steep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heated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16Independent devices characterised by heating the hair-curling or hair-waving mean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20Devic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air curl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5B37/028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원통형의 프레임,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전원부,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 및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롯드; 및 롯드의 발광부 및 발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발광부의 발광 상태 통해 디지털 펌 시술 중 롯드가 디지털 펌기의 설정에 따라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제1전자석에 의해 모발이 감겨진 롯드에 케이블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롯드의 배터리를 이용해 롯드가 가열될 수 있고, 다수의 롯드를 디지털 펌기의 삽입부에 보관하면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제2전자석에 의해 롯드가 삽입부로부터 분리되어 디지털 펌 시술 중 시술자가 손쉽게 디지털 펌기에 보관된 롯드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DIGITAL PERMANENT APPARATUS USING POLARITY CONVERSION OF ELECTROMAGNET}
개시된 내용은 디지털 펌기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 또는 퍼머는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의 줄임말로서, 모발에 웨이브를 준 헤어스타일 또는 웨이브를 만드는 방법을 의미한다. 헤어 아이론 또는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한 일시적인 웨이브와는 달리, 퍼머넌트 웨이브는 화학 작용을 이용하므로 머리를 감더라도 모발의 웨이브가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에 화학 약품을 사용한 후 롯드(Lod)에 모발을 감게 된다. 이때, 펌기를 이용한 모발의 가열 여부에 따라 퍼머넌트 웨이브는 열펌(히트펌)과 콜드펌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열펌은 다시 롯드의 가열 방식에 따라 셋팅 펌과 디지털 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셋팅펌은 롯드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퍼머넌트 웨이브의 시술시간이 짧고, 강한 컬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열로 인해 모발의 손상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디지털 펌은 다양한 타입의 롯드를 사용하여 모발의 길이와 무관하게 시술이 가능하고, 셋팅 펌보다 낮은 열을 사용하므로 모발의 손상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시술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펌의 경우, 다수의 롯드가 사용되므로 디지털 펌 시술 중 롯드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첫 번째로, 시술자가 디지털 펌 시술 중 롯드가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디지털 펌 시술에서는 롯드가 가열되지 않는 경우, 모발에 웨이브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시술자가 의도한 형태대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없다. 따라서 시술자는 롯드가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하나하나 확인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시술자가 다수의 롯드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다. 롯드를 가열시키기 위해서 시술자는 화학 약품 처리된 모발이 감겨져 있는 롯드에 하나하나 케이블을 연결해야만 했다. 이때, 모발이 풀리지 않도록 롯드에 케이블을 하나하나 조심스럽게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롯드가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롯드에 케이블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펌기가 미용 업계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1530호 ‘열퍼머기의 제어장치’
디지털 펌 시술 중 롯드가 디지털 펌기의 설정에 따라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모발이 감겨진 롯드에 케이블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롯드가 가열될 수 있고, 다수의 롯드를 디지털 펌기에 보관하면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펌 시술 중 시술자가 손쉽게 디지털 펌기에 보관된 롯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원통형의 프레임,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전원부,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 및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롯드; 및
롯드의 발광부 및 발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발광부의 발광 상태 통해 디지털 펌 시술 중 롯드가 디지털 펌기의 설정에 따라 제대로 가열되고 있는지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제1전자석에 의해 모발이 감겨진 롯드에 케이블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롯드의 배터리를 이용해 롯드가 가열될 수 있고, 다수의 롯드를 디지털 펌기의 삽입부에 보관하면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제2전자석에 의해 롯드가 삽입부로부터 분리되어 디지털 펌 시술 중 시술자가 손쉽게 디지털 펌기에 보관된 롯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롯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제1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제1플러그가 리셉터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롯드가 삽입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에서 롯드가 삽입부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등이 조합된 구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이들을 조합한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는, 디지털 펌을 시술하는 디지털 펌기에 있어서, 롯드(100) 및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롯드(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롯드(100)는 프레임(110), 전원부(120), 및 발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롯드(100)의 외주면에 헤어가 감길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외주면에 헤어가 감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10)의 재질은 전술한 재질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원부(120)는 롯드(100)의 프레임(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발광부(130) 및 발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부(130)는 프레임(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원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광부(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다. 발광부(130)는 프레임(110)의 외면에 설치되므로, 외부에서도 발광부(130)가 발광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발광부(130)의 발광 상태를 보는 것만으로도 롯드(100)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발광부(130)는 프레임(1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롯드(100)에 헤어가 감긴 상태에서도 동시에 모든 발광부(130)가 헤어에 가려지지 않을 수 있으며, 시술자가 발광부(130)의 발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발열부(140)는 프레임(110) 내에 설치되어 전원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발열부(140)는 프레임(110)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140)가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경우, 발열부(140)와 프레임(110) 사이의 거리가 모든 외주면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발열부(140)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110)의 외주면으로 균등하게 전달되므로, 롯드(100)에 감긴 헤어에 골고루 열을 전달 수 있다.
한편, 롯드(100)는 방열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150)은 프레임(110)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발광부(130)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150)은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150)은 발열부(140)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발광부(1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150)은 발광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면서도, 발광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프레임(110)의 외주면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150)은 발광부(130)의 열을 이용하여 발열부(140)와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롯드(10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제어부(2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디(200)는 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롯드(100)의 발광부(130) 및 발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후술하는 제1전자석(223) 및 제2전자석(243)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1전자석(223) 및 제2전자석(243) 각각에 대해 자력 및 극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발광부(130)의 발광 색 및 발광 주기를 포함하는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30)는 제어부(210)에 의해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주기가 변할 수 있다.
디지털 펌 시술 시 시술자가 의도한 형태대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롯드(100)가 설정된 온도와 시간 동안 정확하게 가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롯드(100)는 가열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없어 시술자가 롯드(100)를 하나하나 만져보면서 가열 상태를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롯드(100)의 가열 상태를 시술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확인하는 것은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며, 설정대로 가열되지 않은 롯드(100)로 인해 시술자가 의도한 형태대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발광부(130)는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발열부(140)의 온도가 상승 중인 경우,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승하지 않는 경우, 및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온도 및 미리 정해진 시간은 시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30)는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발열부(140)의 온도가 상승 중인 경우, 빨간색(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그러면 시술자는 롯드(100)가 현재 가열 중인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초록색(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그러면 시술자는 롯드(100)가 현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된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승하지 않는 경우, 파란색(청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그러면 시술자는 롯드(100)가 가열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발열부(14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까지 상승하는 경우, 주황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그러면 시술자는 롯드(100)가 가열 중인 상태이지만, 설정대로 가열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광부(130)의 발광 색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시술자는 발열부(140)의 색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롯드(100)가 정상적으로 가열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롯드(100)를 하나하나 만져보면서 가열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롯드(100)가 정상적으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 디지털 펌 시술 중 신속하게 롯드(1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30)는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발열부(140)의 작동 시간에 따라 발광 주기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140)의 작동 시간이 1시간인 경우, 발광부(130)는 50분까지 지속적으로 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50분이 경과한 후부터는 발광 주기가 점점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발광부(130)가 깜빡거리는 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롯드(100)의 가열 상태가 어느 정도로 지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롯드(100)의 가열 시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디지털 펌을 시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제1플러그(220)가 리셉터클(160)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제1플러그(220)가 리셉터클(160)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는 리셉터클(160) 및 제1플러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160)은 롯드(100)에 제1플러그(22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160)은 롯드(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롯드(100)의 전원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161)가 형성되고, 개구부(163)와 마주하는 외측면에 자석(16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석(165)은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Neodymium Magnet)일 수 있다.
제1플러그(220)는 바디(200)로부터 전원과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케이블(C)의 일단에 구비되어 리셉터클(160)의 개구부(163)에 삽입 시 리셉터클(160)의 제1단자(161)와 접촉하는 제2단자(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러그(220)는 리셉터클(160)과 마주하는 면에 제1전자석(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전자석(223)은 자력면에 N극 및 S극이 함께 발생하는 전자석이 아닌, 하나의 면에서 하나의 극성이 발생하는 단극 전자석일 수 있다.
제1플러그(220)는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는 제1전자석(223)의 극성에 따라 리셉터클(160)의 자석(165)과 인력이 작용하여 리셉터클(160)에 삽입되거나, 척력이 작용하여 리셉터클(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리셉터클(160)의 자석(165)은 개구부(163)를 향하는 면의 극성이 S극이라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 의해 제1전자석(223)이 리셉터클(160)에 삽입되는 면의 극성이 N극이라면,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당겨질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전자석(223)은 하나의 면에서 하나의 극성이 발생하는 단극 전자석이므로, 더욱 강하게 자석(165)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이 서로 당겨지면서 제1전자석(223)이 배치된 제1플러그(220)와 자석(165)이 배치된 리셉터클(160)이 서로 밀착되고, 제1플러그(220)가 리셉터클(16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 간의 자력으로 인해 플러그의 삽입이 유도되므로, 시술자는 롯드(100)에 편리하게 제1플러그(22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시술자가 롯드(100)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아 플러그를 꼽을 필요 없이, 제1플러그(220)를 리셉터클(160)의 근처에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 의해 제1전자석(223)이 리셉터클(160)에 삽입되는 면의 극성이 S극이라면,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서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전자석(223)은 하나의 면에서 하나의 극성이 발생하는 단극 전자석이므로, 더욱 강하게 자석(165)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이 서로 밀어내면서 제1전자석(223)이 배치된 제1플러그(220)와 자석(165)이 배치된 리셉터클(160)이 서로 멀어지고, 제1플러그(220)가 리셉터클(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자석(223)과 자석(165) 간의 자력으로 인해 제1플러그(220)의 분리가 유도되므로, 시술자가 롯드(100)로부터 제1플러그(220)를 하나하나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자동적으로 제1플러그(220)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펌 시술 도중 케이블(C)이 걸리는 경우에도 제1플러그(220)가 리셉터클(1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롯드(100)가 삽입부(230)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에서 롯드(100)가 삽입부(230)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디(200)는 삽입부(230) 및 제2플러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30)는 바디(200)의 일측에 롯드(10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롯드(100)는 삽입부(23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플러그(240)는 삽입부(230)에 리셉터클(160) 삽입 시 리셉터클(160)의 제1단자(161)와 접촉하는 제3단자(241)가 형성되고, 리셉터클(160)과 마주하는 면에 제2전자석(2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삽입부(230)에는 제1플러그(220)와 동일한 구조의 제2플러그(240)가 형성될 수 있다.
롯드(100)는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는 제2전자석(243)의 극성에 따라 리셉터클(160)의 자석(165)과 인력이 작용하여 삽입부(230)에 삽입되거나, 척력이 작용하여 삽입부(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160)이 제1플러그(22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는 구조는 바디(200)의 삽입부(230)에 형성된 제2플러그(2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60)의 자석(165)은 개구부(163)를 향하는 면의 극성이 S극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 의해 제2전자석(243)이 리셉터클(160)에 삽입되는 면의 극성이 N극이라면, 제2전자석(243)과 자석(165)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롯드(100)가 삽입부(230)에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 의해 제2전자석(243)이 리셉터클(160)에 삽입되는 면의 극성이 S극이라면, 제2전자석(243)과 자석(165) 간에 척력이 작용하여 롯드(100)가 삽입부(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플러그(220) 및 제2플러그(240)가 롯드(100)의 리셉터클(160)과 결합되고 분리되는 정도는 제1전자석(223) 및 제2전자석(243)의 자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제1전자석(223) 및 제2전자석(243)의 자력을 제어하여 제1플러그(220) 및 제2플러그(240)가 리셉터클(160)과 결합되고 분리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롯드(100)는 전원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롯드(100)가 바디(200)의 삽입부(230)에 삽입되면, 제2플러그(240)를 통해 바디(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는 롯드(100)를 바디(200)의 삽입부(230)에 수납하면서,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제2전자석(243)과 자석(165)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2전자석(243)의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롯드(100)가 자동적으로 삽입부(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롯드(100)는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이며, 시술자는 분리된 상태의 롯드(100)를 손쉽게 삽입부(230)로부터 꺼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롯드(100)의 발광부(130) 및 발열부(140)는 제어부(210)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롯드(100)에 배터리가 포함된 경우, 디지털 펌 시술 시 케이블(C)을 롯드(100)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광부(130) 및 발열부(140)의 제어를 무선 신호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바디(200)에서 롯드(100)의 발열 온도와 시간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제어부(210)에 의해 발열부(140)가 설정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140)가 설정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부(210)에 의해 발광부(130)의 발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롯드(100)에 케이블(C)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10)의 기술적 특징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C: 케이블
10: 디지털 펌기
100: 롯드
110: 프레임
120: 전원부
130: 발광부
140: 발열부
150: 방열판
160: 리셉터클
161: 제1단자
163: 개구부
165: 자석
200: 바디
210: 제어부
220: 제1플러그
221: 제2단자
223: 제1전자석
230: 삽입부
240: 제2플러그
241: 제3단자
243: 제2전자석

Claims (9)

  1. 디지털 펌을 시술하는 디지털 펌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전원부,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프레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방열판, 및 상기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롯드;
    상기 롯드의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롯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롯드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자가 형성되고, 개구부와 마주하는 외측면에 자석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바디로부터 전원과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 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1단자와 접촉하는 제2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과 마주하는 면에 제1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플러그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일측에 상기 롯드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리셉터클을 상기 삽입부에 삽입 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1단자와 접촉하는 제3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과 마주하는 면에 제2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롯드의 상기 발광부는,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상기 발열부의 온도가 상승 중인 경우, 상기 발열부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발열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승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발열부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발열부의 작동 시간에 따라 발광 주기가 변하며,
    상기 제1플러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1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거나,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롯드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2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거나,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삽입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롯드가 상기 바디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플러그를 통해 상기 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자석 및 상기 제2전자석의 자력을 제어하여 상기 제1플러그 및 제2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되고 분리되는 정도를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2전자석과 상기 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KR1020180063960A 2018-06-04 2018-06-04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KR10196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960A KR101961593B1 (ko) 2018-06-04 2018-06-04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960A KR101961593B1 (ko) 2018-06-04 2018-06-04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593B1 true KR101961593B1 (ko) 2019-03-22

Family

ID=6594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960A KR101961593B1 (ko) 2018-06-04 2018-06-04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5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23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8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1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5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75A (ja) * 2003-08-22 2005-03-17 Ohiro Seisakusho:Kk 電熱ロッドの電源供給機構及びパーマ装置
KR101231530B1 (ko) 2010-11-22 2013-02-07 노태범 열퍼머기의 제어장치
KR200466947Y1 (ko) * 2011-09-09 2013-05-15 김창균 온도 표시부재를 갖춘 퍼머넌트 웨이브 로드
KR20170064970A (ko) * 2015-12-02 2017-06-12 박경섭 [휴대용 로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75A (ja) * 2003-08-22 2005-03-17 Ohiro Seisakusho:Kk 電熱ロッドの電源供給機構及びパーマ装置
KR101231530B1 (ko) 2010-11-22 2013-02-07 노태범 열퍼머기의 제어장치
KR200466947Y1 (ko) * 2011-09-09 2013-05-15 김창균 온도 표시부재를 갖춘 퍼머넌트 웨이브 로드
KR20170064970A (ko) * 2015-12-02 2017-06-12 박경섭 [휴대용 로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23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8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1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KR102297525B1 (ko) * 2021-01-22 2021-09-03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WO2022158806A1 (ko) * 2021-01-22 2022-07-28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WO2022158808A1 (ko) * 2021-01-22 2022-07-28 주식회사 씨에이치코스메틱 고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593B1 (ko) 전자석의 극성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펌기
US4374517A (en) Endoscope type high frequency surgical apparatus
KR100922764B1 (ko) 롤형 속눈썹 성형구
WO2018040435A1 (zh) 一种公插座、母插头、电子设备及接插件
US4157855A (en) Electric socket and plug
JP2008510444A (ja) 携帯式エネルギー消費装置
EP4245162A3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and device therefor
WO2015093009A1 (ja) 自己発電型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送受信方法
CN103209761A (zh) 操控双稳态介质中的胶态颗粒的设备
KR100563587B1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리모콘형 전기 자극기
CN106955425B (zh) 一种光刺激装置
CN105976590A (zh) 控制设备装置的方法
KR20170079763A (ko) 발열기능을 갖는 헤어롤
US11899083B2 (en) RF transmit system with switchable power supply device
GB1076353A (en) Hand-held battery-operated device
ES2169791T3 (es) Metodo y aparato para suministrar energia electromagnetica a una solucion.
CN213095635U (zh) 一种用于电子鱼漂的充电器
JP2016063659A (ja) 充電用コネクタ
CN208850682U (zh) 一种电子烟
CN208904331U (zh) 一种充电插头
WO2017206245A1 (zh) 数据线插拔方法、数据线插拔装置及移动终端
KR102090691B1 (ko) 자기 가변 조리개
WO2016204523A1 (ko) 펌 로드
CN109820245A (zh) 一种加热不燃烟具
GB2518128A (en) Charging rechargeab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