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159B1 - 발광형 시트포스트 - Google Patents

발광형 시트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159B1
KR101961159B1 KR1020160055682A KR20160055682A KR101961159B1 KR 101961159 B1 KR101961159 B1 KR 101961159B1 KR 1020160055682 A KR1020160055682 A KR 1020160055682A KR 20160055682 A KR20160055682 A KR 20160055682A KR 101961159 B1 KR101961159 B1 KR 10196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hollow rod
emitting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623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6005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1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Abstract

발광형 시트포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봉;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광투과성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 및 중공봉 내부에서 돌출부로 빛을 비추는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모듈; 및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중공봉 내부에서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시트포스트에 엘이디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부품을 숙련된 작업자가 조립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발광모듈과 지지부재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조립방법이 매우 쉽고, 부품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형 시트포스트{SEAT POST WITH BUILT-IN LIGHT}
본 발명은 발광형 시트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고, 중공봉의 홀 가공이 최소화되며, 중공봉을 시트 튜브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후미등은 야간 라이딩시 안전을 위한 필수품으로, 자전거 외부에 부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외부 부착형 후미등은 도난 및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자전거 디자인과 어울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를 출원하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발광장치로서, 내부가 빈 중공의 안장봉; 안장봉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재; 및 안장봉의 내부에서 발광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에서는 측광부재를 추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측광부재를 따로 제작하는 데에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측광부재에 의해 디자인 완성도가 떨어지며,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시트 포스트를 LED 홀보다 더 삽입해야 하는 경우 측광부재를 분리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ISO 6742: 4.3 Rear Lamp: 4.3.1 photometric requirements를 보면 자전거 후미등은 110도 측면에서도 0.033cd 이상의 광량이 나와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그러나 종래 라이트 내장형 안장봉은 도 15와 같이 측면광이 좌우로 180도 미만으로 발산되어 상기 규정을 통과하지 못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는 LED 모듈을 내부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방법과, LED PCB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기재하고 있지 않아, 실제 제품으로 제작하기 위해 LED 모듈을 안장봉 내부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별도로 고민해야 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의 안전발광장치를 자전거의 안장봉으로 내설시키기 위해서는 안장봉의 가공이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광투과공과 조작버튼의 설치공을 대향되도록 가공한 후 안전발광장치를 인입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안전발광장치는 정확한 위치로 내설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의 번거로움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안장봉의 구조적 안정성을 침해할 우려가 있고, 안장봉 내의 방수문제 또한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태였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에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는데, 다수의 광투과공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의 안장봉으로 내설되며, 스위칭 신호에 따라 다수 개의 발광체를 점소등 제어하는 발광체 제어패널; 안장봉으로 내설되고 발광체 제어패널을 수용하되, 발광체의 조사 광원을 광투과공을 통해 방사함과 동시에, 점소등 제어를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조작패널; 및 조작패널을 외부에서 가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조작패널은 발광체 제어패널을 수용하고, 안장봉에 내설되는 렌즈 하우징과, 발광체와 대응하도록 렌즈 하우징의 외주면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조사렌즈로 구성되며; 조사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치와 대응하고, 탄성구조를 갖는 렌즈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에는 LED 모듈을 자전거 안장봉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고정수단은 안장봉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나사산을 갖는 설치공을 통해 회로기판을 후면에서 가압하는 고정볼트인 것, 고정수단은 회로기판을 후면에서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고정볼트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발광체 제어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안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 고정수단은 회로기판을 후면에서 가압하는 고정볼트; 발광체 제어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안착 지지대; 및 안착 지지대 내부로 안착되고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LED 모듈을 상술한 고정수단을 통해 자전거 안장봉 내부에 고정하려면, LED 고정을 위해 전면부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안장봉의 내구성이 낮아지고 방수를 위한 추가 작업을 해야 하며, 내부에 삽인 된 LED 모듈에서 나사 머리를 찾기 위해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수불량이나 조립 중에 치수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조립성이 매우 떨어지고, 고정나사를 조이면 전방의 탄성 버튼에 눌림이 발생하여 버튼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완성품 조립을 전문성을 갖춘 특정 업체가 필요고, 여러 단계로 나뉜 부품들은 관리가 힘들어 제품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 (등록일: 2010.04.08)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 (등록일: 2010.10.19)
본 발명의 목적은,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빛을 발산하는 구성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홀 가공이 요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중공봉을 시트 튜브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립이 간단하고 부품 가지 수가 적은 새로운 엘이디 모듈을 개발하여 조립의 위한 전문업체가 아니어도 해당 부품이 필요한 누구라도 완제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생산과 공급의 유연성을 높이고, 고장 발생 시 엘이디 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봉;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광투과성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중공봉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로 빛을 비추는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모듈; 및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공봉 내부에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밀착부재의 하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공봉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서 돌출된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발광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봉이 시트 튜브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로 인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시트 튜브로 삽입되는 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발광모듈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발광모듈의 뒷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부재를 향해 휨 변형되고,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발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와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높이를 낮추는 높이조절부재가 개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광모듈 및 제2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1 발광모듈을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2 발광모듈을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광투과성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가 커버와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빛을 발산하는 구성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홀 가공이 요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돌출부를 누르면 탄성부재가 수축되면서 돌출된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중공봉을 시트 튜브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돌출부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커버와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스위치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접촉부재가 생략된 도면.
도 13은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접촉부재 및 후방커버가 생략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돌출부를 통해 발산되는 빛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라이트 내장형 안장봉에서 발산되는 빛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는,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는, 빛을 발산하는 구성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홀 가공이 요구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는, 중공봉을 시트 튜브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돌출부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커버와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개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의 스위치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접촉부재가 생략된 도면, 도 13은 도 1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접촉부재 및 후방커버가 생략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에서 돌출부를 통해 발산되는 빛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라이트 내장형 안장봉에서 발산되는 빛을 도시한 평면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10)는, 중공봉(100)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고, 중공봉(100)의 홀 가공이 최소화되며, 중공봉(100)을 시트 튜브(1)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중공봉(100), 발광모듈(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공봉(100)은 안장(미도시)과 안장튜브(미도시)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관통홀(101,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관통홀(101)은 돌출부(A)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아래에서는 5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공봉(100)은 종래의 안장봉에 해당하며, 종래 안장봉에 관통홀(101)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관통홀(101)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발광모듈(200) 및 지지부재(300)는 중공봉(1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중공봉(100)의 내부(이하 '중공부'로 지칭)로 삽입된다. 안장결합부(110)는 안장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발광모듈(200) 및 지지부재(300)가 중공부에 삽입될 때 중공봉(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안장결합부(110)는 하나의 예로서 도시된 것으로, 시중에 출시된 다양한 형태의 안장결합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200)은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서, 커버(210) 및 발광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210)는 내부에 발광부재(22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전방커버(211) 및 후방커버(212)로 구성된다. 발광부재(220)는 전방커버(211)와 후방커버(212) 사이에 결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선 후방 커버(212)가 생략되고, 지지부재(300)가 발광부재(220)의 뒷면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전방은 돌출부(A)가 돌출된 방향(도면상에서 오른쪽)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쪽(도면상에서 왼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방커버(211)에는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광투과성 돌출부(A)가 형성된다. 돌출부(A)는 발광부재(220)의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돌출부(A)는 광투과성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커버(211)는 용이한 제작을 위해 일체의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A)는 전방커버(211)와 같이 쉘(shell)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A)의 내부에는 돌출부(A)가 돌출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후술할 엘이디(221)의 빛은 돌출부(A)의 홈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면서 돌출부(A)를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커버(211)의 전면(돌출부(A)가 형성된 면)은 관통홀(101) 주변의 중공봉(100) 내주면에 밀착된다. 돌출부(A)는 관통홀(10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중공봉(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10)는, 돌출부(A)가 중공봉(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됨에 따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8083호와 같이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100)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발광형 시트포스트(10)에서 빛이 발산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엘이디(221)에서 발산된 빛은 돌출부(A)를 통해 220도 이상의 각도로 발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A) 중 아래쪽에 구비된 돌출부(A) 일부는 중공봉(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쪽에 구비된 돌출부(A) 일부가 중공봉(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면, 중공봉(100)이 시트 튜브(1)로 삽입될 때 아래쪽 관통홀(101) 일부까지 시트 튜브(1)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중공봉(100)의 높이 조절간격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A)는 중공봉(100)과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 튜브(1)는 자전거에서 완전히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기울기를 갖는다. 돌출부(A)의 기울기는 시트 튜브(1)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돌출부(A)의 빛은 보다 수평방향으로 발산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211)와 중공봉(100)의 내주면 사이에는 돌출부(A)가 돌출된 높이를 낮추는 높이조절부재(P)가 개재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P)는 전방커버(211)의 전면에 붙이는 접착시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방커버(212; 생략가능)는 전방커버(211)의 후방 개구부에 결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커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220)는 돌출부(A)로 빛을 비추는 구성으로서, 회로기판(222) 및 엘이디(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기판(222)은 후방커버(212)의 전면에 결합되고, 엘이디(221)는 회로기판(222)에 결합된다. 엘이디(221)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돌출부(A)의 홈에 삽입된다. 회로기판(222)은 전선(W)을 통해 배터리(미도시) 또는 다른 전원 공급원과 연결된다. 배터리는 중공봉(100)의 하단부에 장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광모듈(200)에는 엘이디(221)를 점멸하는 스위치(S)가 결합된다. 도 1에는 스위치(S)가 회로기판(222)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커버(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위치(S)는 회로기판(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공봉(100)에는 스위치(S)의 버튼이 외부로 돌출되는 홀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스위치(S)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엘이디(221)를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중공부에서 발광모듈(2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커버(210)와 중공봉(10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부(A)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지지부재(300)는 접촉부재(310) 및 밀착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부재(310)는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과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후방에 곡면을 갖는 플레이트 또는 블록 형태로 구비된다. 밀착부재(320)는 접촉부재(3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커버(212)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접촉부재(310)로부터 하나 이상 돌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3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접촉부재(310)가 생략되는 경우 밀착부재(320)가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과 접촉한다. 또한, 지지부재(300)는 발광모듈(20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개별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와 발광모듈(200)이 일체로 구성되면 접촉부재(310)는 생략되고, 밀착부재(320)만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10)에서 발광모듈(200)을 중공봉(100)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공봉(100)에서 안장결합부(110)를 분리하고, 중공봉(1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발광모듈(200)을 삽입한다. 작업자는 손가락(또는 공구)으로 발광모듈(200)을 잡고 돌출부(A)를 관통홀(101)에 삽입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중공봉(1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지지부재(300)를 삽입한다. 작업자는 손가락(또는 공구)으로 접촉부재(310)를 잡고 밀착부재(320)의 하단부가 걸림턱(213)에 걸릴 때까지 삽입시킨다.
지지부재(300)는, 접촉부재(310)가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에 밀착되고 동시에 밀착부재(320)는 후방커버(212)에 밀착된 상태에서, 커버(210)와 중공봉(10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부(A)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는 LED 모듈을 상술한 고정수단을 통해 자전거 안장봉 내부에 고정하려면, LED 고정을 위해 전면부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안장봉의 내구성이 낮아지고 방수를 위한 추가 작업을 해야 하며, 내부에 삽인 된 LED 모듈에서 나사 머리를 찾기 위해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는 치수불량이나 조립 중에 치수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조립성이 매우 떨어지고, 고정나사를 조이면 전방의 탄성 버튼에 눌림이 발생하여 버튼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300)를 중공봉(100)의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발광모듈(200)을 고정하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물론,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경우, 발광모듈(200)을 삽입하면, 지지부재(300)의 탄성 혹은 폭 조절에 의해 발광모듈(200)의 돌출부(A)가 관통홀(101)로 돌출되면서 발광모듈(200)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접촉부재(310) 및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와 발광모듈(200)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접촉부재(31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30)는 탄성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접촉부재(310)는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과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후방에 곡면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탄성부재(330)는 접촉부재(310)와 커버(2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접촉부재(310)와 커버(2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물론, 탄성부재(330)는 압축스프링 이외에도 접촉부재(310)와 커버(2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부품의 적용이 가능하다.
지지부재(300)가 접촉부재(310) 및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발광모듈(200)을 중공봉(100)에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는 압축스프링이 2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공봉(100)에서 안장결합부(110)를 분리한 후, 중공봉(1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를 함께 삽입한다. 작업자는 손가락(또는 공구)으로 케이스를 잡고 접촉부재(310)의 하단부를 중공부로 일부 삽입한다.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는 탄성부재(3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삽입된다.
작업자는 커버(210)에 힘을 가하여 탄성부재(33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를 함께 삽입한다. 이때 접촉부재(310)는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과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며 하강하며, 발광모듈(200)은 돌출부(A)가 중공봉(100)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돌출부(A)가 관통홀(101) 후방에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작업자는 탄성부재(330)를 압축시키는 힘을 조금씩 빼면서 돌출부(A)를 관통홀(101)로 삽입시킨다. 관통홀(101)을 통해 중공부를 들여다보면서 작업하면 돌출부(A)를 관통홀(101)로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33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접촉부재(310)의 후면은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에 밀착되고 전방커버(211)의 전면은 관통홀(101) 주변의 중공봉(100) 내주면에 밀착된다. 돌출부(A)는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홀(10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중공봉(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지지부재(300)와 발광모듈(200)을 별개로 제작한 경우에는, 작업자는 발광모듈(200)을 잡고 돌출부(A)를 관통홀(101)에 삽입시킨 후, 지지부재(300)를 삽입하여 발광모듈(20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330) 중 중공부에 먼저 삽입되는 아래쪽 탄성부재(330)는 중공부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위쪽 탄성부재(330)보다 작은 스프링 상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S)가 있는 곳과 대응하는 위치의 탄성부재(330)는 스위치(S)의 누르는 힘보다,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을 크게 하여 스위치(S)를 누를 때 누르는 힘을 탄성부재(330)가 견딜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은 앞의 탄성부재(330)보다 작게 하여 조립을 쉽게 했다.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는 LED 모듈을 상술한 고정수단을 통해 자전거 안장봉 내부에 고정하려면, LED 고정을 위해 전면부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안장봉의 내구성이 낮아지고 방수를 위한 추가 작업을 해야 하며, 내부에 삽인 된 LED 모듈에서 나사 머리를 찾기 위해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989957호는 치수불량이나 조립 중에 치수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조립성이 매우 떨어지고, 고정나사를 조이면 전방의 탄성 버튼에 눌림이 발생하여 버튼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20)는, 접촉부재(310)와 커버(210)를 탄성부재(330)로 연결하여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를 중공봉(100)의 개구를 통해 함께 삽입하는 방법(또는 발광모듈(200)과 지지부재(3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으로 간단하게 발광모듈(200)을 고정하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20)는, 지지부재(300)가 접촉부재(310) 및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돌출부(A)를 누르면 탄성부재(330)의 수축에 의해 돌출부(A)가 관통홀(101)로 쉽게 인입됨으로써, 중공봉(100)을 시트 튜브(1)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A)에는, 중공봉(100)이 시트 튜브(1)로 삽입될 때 돌출부(A)가 관통홀(101)로 쉽게 인입되도록, 시트 튜브(1)로 삽입되는 쪽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A)에는, 중공봉(100)으로부터 발광모듈(200) 및 지지부재(3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중공봉(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쪽(시트포스트의 위쪽에 있는 돌출부(A), **시트포스트는 종류에 따라 중공봉(100)이 분리되지 않거나 중공봉(100) 만으로 구성된 것도 있음)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221)를 점멸하는 스위치(S)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자전거와 같이 별도로 온/오프를 조작하거나, 전원이 외부에서 연결되는 경우 스위치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는 발광모듈(200)에 결합된다. 스위치(S)는 회로기판(222)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커버(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위치(S)는 회로기판(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공봉(100)에는 스위치(S)의 버튼이 외부로 돌출되는 홀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스위치(S)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엘이디(221)를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스위치(S)의 버튼을 누르는 힘은 스위치(S) 뒤쪽의 탄성부재(330)가 압축되는 힘보다 충분히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220)를 점멸시키는 스위치(S)는 (버튼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중공부에서 돌출부(A)의 인입시 중공봉(100)의 내주면에 눌려져 작동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는 발광모듈(200)에 결합되고, 그 버튼은 중공봉(100)의 내주면 전방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돌출부(A)를 누르면, 탄성부재(330)의 압축에 의해 스위치(S)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버튼과 중공봉(100)의 내주면 간 상대거리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S)가 작동되어 엘이디(221)를 점멸시키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는 후방커버(212)에 결합되고, 그 버튼은 중공봉(100)의 내주면 후방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돌출부(A)를 누르면, 탄성부재(330)의 압축에 의해 스위치(S)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버튼과 중공봉(100)의 내주면 간 상대거리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S)가 작동되어 엘이디(221)를 점멸시키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A)를 누르면 커버(210)는 발광부재(220)를 향해 휨 변형되고, 발광부재(220)를 점멸시키는 스위치(S)는 발광부재(220)에 구비되어 돌출부(A)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돌출부(A)를 누를 때 절개된 부분이 외팔보와 같이 휨 변형하게 되며, 절개된 부분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스위치(S)가 작동되어 엘이디(221)를 점멸시키게 된다.
도 10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발광형 시트포스트(10)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들의 조합형태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시트포스트(30)에서, 발광모듈(200)은 제1 발광모듈(201) 및 제2 발광모듈(2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발광모듈(200)이 제1 발광모듈(201), 제2 발광모듈(202), 제3 발광모듈(203),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발광모듈(201)과 제2 발광모듈(202)은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발광모듈(201)과 제2 발광모듈(202)의 서로 인접한 면에는 각각,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홈과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발광모듈(201)과 제2 발광모듈(202)은 돌기가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발광모듈(202)과 제3 발광모듈(203)은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 발광모듈(203)과 제4 발광모듈(204)은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발광모듈(204)과 제5 발광모듈(205)은 돌출부(A)가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중공봉(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310)와, 접촉부재(310)와 제1 발광모듈(201)을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331)와, 접촉부재(310)와 제2 발광모듈(202)을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332)와, 접촉부재(310)와 제3 발광모듈(203)을 연결하는 제3 탄성부재(333)와, 접촉부재(310)와 제4 발광모듈(204)을 연결하는 제4 탄성부재(334)와, 접촉부재(310)와 제5 발광모듈(205)을 연결하는 제5 탄성부재(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제1 발광모듈(201)의 돌출부(A)를 누르면, 제1 탄성부재(331)의 압축에 의해 제1 발광모듈(201)만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1 발광모듈(201)의 돌출부(A)만 관통공으로 인입된다. 도 11에서는 중공봉(100)이 시트 튜브(1)로 삽입되면서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의 돌출부(A)가 관통공으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발광모듈(201), 제2 발광모듈(202), 제3 발광모듈(203),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은 서로 전선(T)으로 연결(전선(T)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전기적 연결방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되며, 따라서 배터리의 전원은 전선(W,T)을 통해 각각의 발광모듈(200)로 공급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220)를 점멸시키는 스위치(S)는 제1 발광모듈(201), 제2 발광모듈(202), 제3 발광모듈(203),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마다 구비되어 돌출부(A)의 인입시 개별적으로 눌려지며, 이에 따라 제1 발광모듈(201), 제2 발광모듈(202), 제3 발광모듈(203),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의 엘이디(221)는 개별적으로 점멸될 수 있다.
물론, 제1 발광모듈(201), 제2 발광모듈(202), 제3 발광모듈(203), 제4 발광모듈(204) 및 제5 발광모듈(205)을 동시에 점멸시키는 메인스위치(SW)는 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광투과성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측광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측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가 커버와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빛을 발산하는 구성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홀 가공이 요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모듈과 지지부재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지지부재가 수축하여 발광모듈의 삽입이 용이하고, 지지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발광모듈의 돌출부가 관통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해서 조립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쉽다.
아울러, 돌출부를 누르면 탄성부재가 수축되면서 돌출된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중공봉을 시트 튜브로 걸림 없이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발광형 시트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발광모듈과 지지부재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조립을 할 수 있어 유연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30 : 시트포스트
100 : 중공봉 300 : 지지부재
101 : 관통홀 310 : 접촉부재
110 : 안장결합부 320 : 밀착부재
200 : 발광모듈 330 : 탄성부재
210 : 커버 331 : 제1 탄성부재
211 : 전방커버 332 : 제2 탄성부재
A : 돌출부 333 : 제3 탄성부재
P : 높이조절부재 334 : 제4 탄성부재
212 : 후방커버 335 : 제5 탄성부재
213 : 걸림턱 W,T : 전선
220 : 발광부재 SW : 메인스위치
221 : 엘이디 1 : 시트튜브
222 : 회로기판
S : 스위치
201 : 제1 발광모듈
202 : 제2 발광모듈
203 : 제3 발광모듈
204 : 제4 발광모듈
205 : 제5 발광모듈

Claims (11)

  1.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봉;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광투과성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중공봉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로 빛을 비추는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봉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모듈; 및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중공봉 내부에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높이를 낮추는 높이조절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밀착부재의 하단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공봉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서 돌출된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발광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봉이 시트 튜브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로 인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시트 튜브로 삽입되는 쪽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발광모듈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발광모듈의 뒷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누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부재를 향해 휨 변형되고,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발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광모듈 및 제2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공봉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1 발광모듈을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제2 발광모듈을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는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인입시 눌려져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시트포스트.
KR1020160055682A 2016-05-04 2016-05-04 발광형 시트포스트 KR10196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82A KR101961159B1 (ko) 2016-05-04 2016-05-04 발광형 시트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82A KR101961159B1 (ko) 2016-05-04 2016-05-04 발광형 시트포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23A KR20170125623A (ko) 2017-11-15
KR101961159B1 true KR101961159B1 (ko) 2019-03-22

Family

ID=6038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682A KR101961159B1 (ko) 2016-05-04 2016-05-04 발광형 시트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34051U (zh) * 2022-06-22 2022-11-11 久鼎金屬實業股份有限公司 可與自行車配件安裝之自行車座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497A1 (en) * 2007-02-09 2008-08-14 Kung-Fu Chao Warning light device of a bicy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083B1 (ko) 2002-02-23 2004-07-03 이상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펌프
KR20050054204A (ko)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러 어셈블리
KR100989957B1 (ko) 2009-11-04 2010-10-26 이재용 자전거 안전등
KR101323275B1 (ko) * 2012-03-08 2013-10-29 우종하 자전거용 자동 킥스탠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497A1 (en) * 2007-02-09 2008-08-14 Kung-Fu Chao Warning light device of a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23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051A (en) Automobile signal lamp
EP1936263B1 (en) Fixing structure assembly for light emitting diode
US10836320B2 (en) Light module, light assembly and rear view device for a vehicle
US7441933B2 (en) Vehicular lamp
US7070311B2 (en) Vehicle light for producing light whose form depends on orientations of plural refraction elements
KR101722049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43558A1 (en) LED assembly with reverse circuit board
US20160131324A1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US9551478B2 (en) Lighting device
US20100072921A1 (en) Lighting System Utilising RJ45 Patch Lead
CN105371206A (zh) 具有中心透镜支架的用于机动车前照灯的投射光模块
CN103322488A (zh) 车辆用灯具
KR101961159B1 (ko) 발광형 시트포스트
KR20140029580A (ko) 직관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75888B1 (ko) Led 조명 장치
US9908459B2 (en) LED fog lamp
KR101838117B1 (ko) 천장형 조명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고정방법
KR20220067035A (ko) 자동차용 룸램프 장착용 플레이트
KR101748681B1 (ko)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EP3650745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having light guides
KR100989957B1 (ko) 자전거 안전등
US10663135B2 (en) Light module for a vehicle headlight
WO2013108666A1 (ja) 車両用灯具
KR20150017947A (ko)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JP6713793B2 (ja) 灯具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