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380B1 - 프로펠러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380B1
KR101960380B1 KR1020180113677A KR20180113677A KR101960380B1 KR 101960380 B1 KR101960380 B1 KR 101960380B1 KR 1020180113677 A KR1020180113677 A KR 1020180113677A KR 20180113677 A KR20180113677 A KR 20180113677A KR 101960380 B1 KR101960380 B1 KR 10196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rotrusions
rotation
l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수
Original Assignee
장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수 filed Critical 장인수
Priority to KR102018011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2Devices for converting reciprocal or vibratory motion into rotary motion, e.g. for propeller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펠러 록킹 장치에 한 것으로, 스크류형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돌기들을 형성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프로펠러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핀 및 상기 삽입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는 본체 연결부 및 상기 관통홈의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막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펠러 록킹 장치{APPARATUS FOR LOCKING PROPELLER}
본 발명은 프로펠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형항공기(Aircraft Model)의 사전적 의미는 실제 비행기를 축소하여 제조되는 소형 항공기이나, 넓은 의미로는,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고 취미로 제조되는 소형 항공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무줄의 탄성을 동력으로 하는 고무동력기, 무동력으로 공중을 활강하는 글라이더, 조종기와 항공기 간의 케이블에 의해서 조종 가능한 유선조종 항공기(U/C, U-Controlled) 및 조종기와 항공기 간의 전파에 의해서 조종 가능한 무선조종 항공기(R/C, Radio Controlled)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고무동력기(Rubber Powered Glider)는 사용자가 프로펠러에 연결되어 있는 고무줄을 감았다가 풀어줌으로써 프로펠러를 돌려서 날릴 수 있는 모형항공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장형의 사각 빔 중단에 앞날개를 부착하고, 말단에 수직 및 수평 꼬리날개를 부착하며, 전방에 프로펠러를 부착하고, 빔의 말단에 고정된 고무줄을 프로펠러에 연결하여 프로펠러를 수차례 감았다가 풀어줌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모형항공기를 제작할 수 있다.
즉, 고무동력기는 빔의 말단에 고정된 고무줄을 전방으로 연장하여 빔의 전방에 배치된 프로펠러에 연결한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프로펠러 날개가 일방향으로 권취되면 연결된 고무줄에 권취횟수 만큼 탄성에너지가 획득되어 저장되고, 프로펠러 날개의 권취가 중지되면 고무줄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프로펠러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원거리로 날아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무동력기는 사용자가 프로펠러의 감던 중 실수로 잡고있던 프로펠러를 놓치거나, 탄성에너지를 저장한 고무줄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265(2016.12.29)호는 고무동력기 고무줄 길이를 조절하는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 레일이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내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 양 끝단 어느 일측으로 결합된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 외측으로 결합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외측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개구부가 내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레일과 결합하며 상부에 형성되는 제1이동부, 상기 제2몸체부의 레일과 결합하며 상부에 형성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 중앙 외측 끝단으로 결합되는 제1고무줄걸이대, 상기 제2이동부 중앙 외측 끝단으로 결합되는 제2고무줄걸이대, 상기 제1고무줄걸이대 하부로 제1이동부와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핀, 상기 제2고무줄걸이대 하부로 제2이동부와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핀, 상기 제1이동부 중앙에 돌출되어 제1몸체부가 결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제1길이조절용핀, 상기 제2이동부 중앙에 돌출되어 제2몸체부가 결합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제2길이조절용핀을 포함하는 고무동력기 고무줄길이를 조절하는 게이지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7164(2017.12.04)호는 고무 동력 헬리콥터에 관한 것으로, 골격부, 상기 골격부의 양측 각각에 결합되어 헬리콥터 모형을 형상화하는 동체, 상기 동체에 구비되는 동력발생고무줄(R1)의 복원력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체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로터; 및 상기 골격부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테일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동력전달부재(R2)의 양 끝단 각각이 상기 메인로터와 테일로터에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로터 와 회전력을 공유하는 테일로터는 상기 메인로터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단에 상기 메인로터와 결합되는 고리형태의 상단후크가 형성되고, 하단에 동력발생고무줄(R1)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는 고리형태의 하단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발생고무줄(R1)의 복원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동력축 및 상기 동력축에 고정 결합되며, 동력전달부재(R2)의 일측이 맞물리도록 제1거치홈이 형성된 메인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축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후크는 상기 동체의 상단 일부분을 하측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기 동력축에 끼워지며, 상기 동체와 메인동력전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축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무 동력 헬리콥터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50265(2016.12.2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7164(2017.12.0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 및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수단을 통해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돌기들의 스크류형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주면 상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포함하는 힌지홀을 통해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수단의 각도를 조절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힌지홀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록킹 수단을 복수의 돌기들 사이로 복귀 시키는 스프링 힌지 및 록킹 수단의 복귀를 방지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프로펠러 록킹 장치는 스크류형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돌기들을 형성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프로펠러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핀 및 상기 삽입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는 본체 연결부 및 상기 관통홈의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막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상기 스크류형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상기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면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연결부는 상기 관통홈의 양측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힌지홀들 및 상기 복수의 힌지홀들의 내주면 상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힌지홀들에 수용되는 상기 록킹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단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연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프링 힌지에 의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 및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수단을 통해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는 복수의 돌기들의 스크류형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는 내주면 상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포함하는 힌지홀을 통해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 수단의 각도를 조절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는 힌지홀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록킹 수단을 복수의 돌기들 사이로 복귀 시키는 스프링 힌지 및 록킹 수단의 복귀를 방지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프로펠러부(110), 본체 연결부(120) 및 록킹부(130)을 포함한다.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동력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펠러부(100)의 회전축(113) 상에 형성된 돌기들(119) 사이에 록킹부(130)를 배치시킴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에 해당한다. 프로펠러(Propeller)는 비행기 또는 선박 등에서 엔진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바꾸는 장치의 통칭으로, 여기에서, 프로펠러는 다양한 모형항공기들 가운데 고무동력기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펠러부(110)는 스크류형 회전날개(111), 회전날개(111)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돌기들(119)을 형성하는 회전축(113) 및 회전축(113)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5)을 포함하여 고무줄에 의한 탄성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전환하는 추진 수단으로,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의해 추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1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 연결부(120)는 관통공(115)에 삽입되는 삽입핀(121) 및 삽입핀(121)과 연결되어 복수의 돌기들(119)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홈(123)을 포함하여 회전날개(11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는 프로펠러부(110)와 록킹부(130)의 연결 수단으로, 또한, 고무동력기의 본체와 프로펠러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 연결부(120)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록킹부(130)는 관통홈(123)의 사이를 관통하여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회전축(113)의 회전을 막는 록킹 수단으로,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30)는 상단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본체 연결부(12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정축을 중심을 시소운동하여 프로펠러부(100)의 회전축(113) 상에 형성된 돌기들(119) 사이에 일측을 배치시킬 수 있다. 록킹부(13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펠러부(110)는 회전날개(111), 회전축(113) 및 관통공(115)을 포함한다.
프로펠러부(110)는 스크류형 회전날개(111), 회전날개(111)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돌기들(119)을 형성하는 회전축(113) 및 회전축(113)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5)을 포함하여 고무줄에 의한 탄성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전환하는 추진 수단으로,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의해 추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회전날개(111)는 양력을 생성하는 날개의 일종으로, 앞날개(미도시)가 맞바람(Head Wind)을 이용하여 양력을 생성하는 것과는 달리,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형성된 블레이드(Blade)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생성할 수 있다. 회전날개(111)의 블레이드는 대체로 안쪽으로 갈수록 크게 휘어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적게 휘어진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날개(111)는 블레이드를 안쪽으로 갈수록 크게 휘어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적게 휘어지게 형성하되, 휘어지는 정도가 점점 작아지도록 비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 각(Blade Angle)은 날개골 형태의 단면 시위선과 프로펠러의 회전면이 이루는 각으로, 아래식에 의해 정의되는 양력의 값을 최대로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8094584159-pat00001
여기에서, L은 양력, ρ는 공기밀도, v는 공기속도, A는 날개면적, CL은 양력계수에 해당한다. 회전날개(111)는 안쪽과 바깥쪽의 공기속도 차이에 따라 날개면적을 최적의 각도로 형성하기 위해 블레이드 각을 안쪽은 크게, 바깥쪽은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113)은 회전날개(111)의 회전 시 중심이 되는 중심선 상에서 고무동력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로펠러부(110)의 일부로, 회전날개(111)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3)은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들(119)은 회전날개(111)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기들(119)은 회전날개(111)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하여, 회전날개(111)가 고무줄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걸림으로써 회전날개(111)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돌기들(119)은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회전날개(111)를 통해 연결된 고무줄을 권취하는 경우, 회전 반대방향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들(119)은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기들(119)은 회전날개(111)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의 최외곽 모서리에 제1 면과 수직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회전날개(111)가 고무줄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걸림으로써 회전날개(111)를 고정할 수 있다.
관통공(115)은 회전축(113)의 회전 시 중심이 되는 중심선에 형성되어 본체 연결부(120)와 결합하는 프로펠러부(110)의 일부로, 내부에 본체 연결부(120)의 삽입핀(121)을 수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끝단에 삽입핀(121)을 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15)는 고무줄의 탄성에너지를 회전날개(111)로 전달하는 샤프트(Shaft) 역할을 하는 고리 형태의 고무줄 후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연결부(120)는 삽입핀(121) 및 관통홈(123)을 포함한다.
본체 연결부(120)는 관통공(115)에 삽입되는 삽입핀(121) 및 삽입핀(121)과 연결되어 복수의 돌기들(119)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홈(123)을 포함하여 회전날개(11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는 프로펠러부(110)와 록킹부(130)의 연결 수단으로, 또한, 고무동력기의 본체와 프로펠러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삽입핀(121)은 관통공에 삽입되거나 또는 관통공의 끝단에 부착되는 본체 연결부(110)의 일부로, 내부에 회전날개(111)에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Shaft) 역할을 하는 고리 형태의 고무줄 후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핀(121)은 내부에 베어링(Bearing)을 포함하여 고무줄 후크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핀(121)은 회전축(113) 및 관통공(115)과 회전날개(111)의 회전 시 중심이 되는 중심선을 공유하여 내부에 고무줄 후크를 수용할 수 있다.
관통홈(123)은 양측에서 록킹부(130)를 수용하여 마운팅하는 본체 연결부(120)의 일부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연결부(120)의 상단에서 프로펠러부(110)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 각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홈(123)은 양측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힌지홀들(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힌지홀들(125)은 내주면 상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복수의 힌지홀들(125)의 내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반구형 또는 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하는 록킹부(130)의 각도 조절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조절된 각도에서 록킹부(130)에 탄성을 제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천연고무인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을 비롯하여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에 해당하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기부재들은 스티렌(Styrene), 올레핀(Olefin), 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우레탄(Urethane) 및 아미드(Amide) 계열 등에 해당하는 열가소성 탄성체로 형성되어 록킹부(130)에 적절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온도 이상에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확대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록킹부(130)는 관통홈(123)의 사이를 관통하여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회전축(113)의 회전을 막는 록킹 수단으로,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30)는 상단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본체 연결부(12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정축을 중심을 시소운동하여 프로펠러부(100)의 회전축(113) 상에 형성된 돌기들(119) 사이에 일측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30)는 복수의 힌지홀들(125)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록킹부(130)의 일측을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힌지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선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복수의 돌기들 사이로 록킹부(130)의 일측을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30)는 스프링 힌지에 의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킹부(130)는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후크를 통해 본체 연결부(1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스프링 힌지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복귀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록킹부(130)는 스프링 힌지에 의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식 복귀 방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식 복귀 방지 수단은 캠바디(Cam Body), 플런저(Plunger), 스톱핑 부재들(Stopping Members) 및 복수개의 스프링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따라 토글식으로 록킹부(130)를 고정 또는 해제함으로써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로 복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록킹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고무줄에 의한 탄성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전환하는 회전날개(111) 및 복수의 돌기들(119)을 형성하는 회전축(113)을 포함하는 프로펠러부(110), 회전날개(11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고, 일정 각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된 관통홈(123)을 포함하는 본체 연결부(120) 및 관통홈(123)의 사이를 관통하여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회전축(113)의 회전을 막는 록킹부(130)을 포함하여 고무줄의 탄성에너지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여 프로펠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복수의 돌기들(119)의 스크류형 회전날개(111)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회전축(113)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회전날개(111)가 고무줄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에 배치된 록킹부(130)에 걸림으로써 회전날개(111)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회전 반대방향에 배치된 록킹부(130)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회전날개(111)를 통해 연결된 고무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내주면 상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힌지홀들(125)을 통해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에 배치되는 록킹부(130)의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날개(111)를 고정시킴으로써 록킹부(130)의 각도 조절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조절된 각도에서 록킹부(130)에 탄성을 제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펠러 록킹 장치(100)는 복수의 힌지홀들(125)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록킹부(130)를 복수의 돌기들(119) 사이로 복귀 시키는 스프링 힌지 및 록킹부(130)의 복귀를 방지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회전날개(111)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날개(111)를 감던 중 실수로 잡고있던 회전날개(111)를 놓치는 경우에도, 고무줄의 탄성에너지에 의한 회전날개(111)의 회전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탄성에너지를 저장한 고무줄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로펠러 록킹 장치
110: 프로펠러부
111: 회전날개 113: 회전축
115: 관통공 119: 복수의 돌기들
120: 본체연결부
121: 삽입핀 123: 관통홈
125: 복수의 힌지홀들
130: 록킹부

Claims (8)

  1. 스크류형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의 중앙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돌기들을 형성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을 상기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하고, 회전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 면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프로펠러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핀 및 상기 삽입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측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힌지홀들과 상기 복수의 힌지홀들의 내주면 상에 돌출되고 탄성체로 된 복수의 돌기부재들을 형성하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되는 본체 연결부; 및
    상단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연결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관통홈의 사이를 관통해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복수의 힌지홀들에 삽입되고 탄성을 통해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힌지 및 상기 스프링 힌지에 의한 복귀를 방지할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록킹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13677A 2018-09-21 2018-09-21 프로펠러 록킹 장치 KR10196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77A KR101960380B1 (ko) 2018-09-21 2018-09-21 프로펠러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77A KR101960380B1 (ko) 2018-09-21 2018-09-21 프로펠러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380B1 true KR101960380B1 (ko) 2019-03-20

Family

ID=6603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77A KR101960380B1 (ko) 2018-09-21 2018-09-21 프로펠러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3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920Y2 (ko) * 1975-09-17 1980-04-12
JPH0898961A (ja) * 1994-09-29 1996-04-16 Hajime Nakamura ゴム駆動エンジン
KR0134460Y1 (ko) * 1995-10-31 1999-01-15 김조권 쌍발형 글라이더의 추진장치
US6461212B1 (en) * 1999-10-18 2002-10-08 Yu-Chi Tsai Automatic start control and clutch of toy engine powered by high pressure gas
KR20160150265A (ko) 2015-06-21 2016-12-29 민병윤 고무동력기 고무줄 길이를 조절하는 게이지
KR101703823B1 (ko) * 2015-02-16 2017-02-08 김유남 조립식 연발 고무줄 총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807164B1 (ko) 2016-08-03 2017-12-11 강우람 고무 동력 헬리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920Y2 (ko) * 1975-09-17 1980-04-12
JPH0898961A (ja) * 1994-09-29 1996-04-16 Hajime Nakamura ゴム駆動エンジン
KR0134460Y1 (ko) * 1995-10-31 1999-01-15 김조권 쌍발형 글라이더의 추진장치
US6461212B1 (en) * 1999-10-18 2002-10-08 Yu-Chi Tsai Automatic start control and clutch of toy engine powered by high pressure gas
KR101703823B1 (ko) * 2015-02-16 2017-02-08 김유남 조립식 연발 고무줄 총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60150265A (ko) 2015-06-21 2016-12-29 민병윤 고무동력기 고무줄 길이를 조절하는 게이지
KR101807164B1 (ko) 2016-08-03 2017-12-11 강우람 고무 동력 헬리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866B2 (en) Control system for a flying vehicle
US10993432B2 (en) Wing strut for supporting the wings of a waterfowl decoy
KR102295789B1 (ko) 추진 방향 변경이 가능한 드론
JP3733366B2 (ja) プロペラ、プロペラ・スタビライザ、およびプロペラ関連ビークル
KR101960380B1 (ko) 프로펠러 록킹 장치
US3997136A (en) Toy-kite airplane
US6811460B1 (en) Flying toy vehicle
US8864545B2 (en) Radio frequency controlled aircraft
US20130130586A1 (en) Tether assembly for a radio frequency controlled aircraft
KR20110084718A (ko)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KR20060110241A (ko) 두 쌍의 날개를 갖는 잠자리 유형 날갯짓 비행체
US2845746A (en) Toy flying machine
US4121794A (en) Flying toy
CA2977782C (en) Waterfowl decoy having oscillating wings
KR101826230B1 (ko) 날개짓 비행체
US20040075028A1 (en) Kit of parts and a method for converting between a glider and a kite
CN210618461U (zh) 可驻扎于峭壁的无人机
KR100615556B1 (ko) 소형 비행체
CN211844881U (zh) 组合式无人机的翼尖连接结构
KR101807164B1 (ko) 고무 동력 헬리콥터
EP2131936B1 (en) Toy aircraft with modular power systems and wheels
US20240082746A1 (en) Active aerial descent devices and systems
KR102277020B1 (ko) 무인 비행체용 틸팅 장치
KR200281724Y1 (ko) 모형비행기와 발사기
CN110090457A (zh) 一种三翼面可调手抛飞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