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139B1 -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139B1
KR101960139B1 KR1020160153962A KR20160153962A KR101960139B1 KR 101960139 B1 KR101960139 B1 KR 101960139B1 KR 1020160153962 A KR1020160153962 A KR 1020160153962A KR 20160153962 A KR20160153962 A KR 20160153962A KR 101960139 B1 KR101960139 B1 KR 10196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pin
push button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6122A (en
Inventor
조승열
Original Assignee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Sy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15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139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 전환되는 로킹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로킹장치는,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10)과; 푸쉬버튼(30)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Sa)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33);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23)을 가지는 로킹홈(22)이 타측의 연결부(29)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23)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24)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26)을 구비하는 로킹레버(20)로 구성된다.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된다. 그리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10)과 로킹레버(20)는 해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ocking device that is switched to a locked and unlocked state by a push operation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cking pin (10) fixed to a second structure; A lever that is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30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tructure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linear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a spring Sa, A mounting portion 33; A locking groove 22 having an opening 2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formed on the lever mount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ing pin 3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9 on the other side, (23)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in, and a sloped surface (24)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opening is formed,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recess And a locking lever 20 having an unlocking tongue 26 which is obliquely protruded. As the locking lever is lowered while the inclined surface 24 of the locking lever contacts the locking pin 10, the locking leve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cking pin is moved to the locking groove Respectively. Then, by pushing the push button for unlocking, the locking pin 10 and the locking lever 20 are released.

Description

푸쉬버튼형 로킹장치{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of a push button type,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하여 덮개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releasing a cover to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be locked or unlocked by a one-way pushing operation.

로킹(Locking)장치라고 함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인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로킹상태에서 해제됨으로써 언로킹(unlocking) 상태로 상태 변환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로킹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일측면(상면)이 개방된 특정 용기와, 이러한 용기에 대하여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커버)에 적용될 수 있다. The term " locking device " means a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locked state in a locked state, and capable of changing state into an unlocking state by being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Such a locking device can be used not only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but also, for example, in a specific container opened on one side (upper surface) and on a cover (cove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pened for this container.

그리고 이러한 용기와 덮개는 일반적인 산업 분야에서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로킹장치가 불필요한 경우도 많으나, 반도체 부품 등과 같이 까다로운 생산 환경을 가지는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자(로봇 포함)의 필요에 따라서만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킹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로킹상태(체결상태)에서는 덮개를 열 수 없도록 유지하고, 언로킹상태(해제상태)에서만 덮개를 열어서 내부에 있는 내용물(반도체 생산을 위한 부품 또는 소모품)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a container and a cover are often required to be opened and clos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a user (including a robot) in a technical field having a demanding production environment such as a semiconductor part, desirable. In this case, by providing a locking device, the lid can not be opened in the locked state (fastened state), and the contents (semiconductor parts or consumables for semiconductor production) are taken out by opening the lid only in the unlocking state It is a common practice to configure them.

반도체 제조 분야에 사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기는 대부분 로킹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로킹장치의 조작이 다소 불편한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를 로킹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몇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로킹장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Although various containers including a carrier used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have mostly locking devices, it is pointed out that the operation of such locking devices is somewhat inconvenient. For exampl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use both hands or at least several fingers to operate the locking device in order to put the cover in the locked state.

그러나 정확한 로킹상태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 조작은 간단하면 간단할수록 용기 및 덮개의 사용성이 높아서 편리해짐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킹상태 및 언로킹상태의 상태 변환 조작은 예를 들면 한번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면 가장 바람직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However, if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ccurate locking state and an unlocking state, it is natural that the simpler the operation is, the more convenient the container and the cover are. The state changing operation of the locking state and the unlocking state can be said to be the most preferable structure if it can be achieved by, for example, one push operation.

이와 같은 로킹 및 언로킹 상태에 대하여, 일반인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볼 포인트 펜이다. 즉 볼 포인트 펜의 헤드부분을 한 번 누르게 되면 볼 포인트 펜의 펜부분이 케이싱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고, 다시 한번 볼 포인트 펜이 헤드부분을 누르게 되면 펜부분이 다시 케이싱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은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다.With respect to such locking and unlocking states, the ballpoint pen is the most commonly seen by the general public. That is, once the head portion of the ball point pen is pressed, the pen portion of the ball point pen is kep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asing, and once the ball point pen presses the head portion, Everyone knows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o.

그러나 이와 같은 볼 포인트 펜의 동작은, 내부에 있는 축의 회전 운동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다고 말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용기 및 덮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However, the operation of such a ball point pen is based on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nternal shaft.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nstruction is substantially simple, and it is somewhat difficult to apply it to ordinary containers and covers.

본 발명의 목적은, 푸쉬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 변환되는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which is converted in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by a pushing operation of a push butt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가장 간단한 푸쉬 조작에 의하여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로 전환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로킹/언로킹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ense means to provide a device that is switched to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by virtually the simplest push operation, which means that ultimately the operation is simple and can provide accurate locking / unlocking .

본 발며은 푸쉬버튼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제1구조물을 제2구조물에 로킹시키거나 언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이고;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과; 상기 푸쉬버튼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을 가지는 로킹홈이 타측의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을 구비하는 로킹레버로 구성된다. The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first structure to the second structure by the pushing action of the pushbutton; A locking pin fixed to the second structure; A lever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and supported by the first structure and installed to be able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a spring; And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lever mounting portion and rotatable about a support pin, the locking groove having an op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ever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groove and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locking lever having an unlocking tongue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in one direction and which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opening portion and which is protruded and formed forwardly as it goes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locking groove.

여기서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이 로킹핀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된다. 그리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은 해제용 텅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킹레버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상태를 해제한다. As the locking lever is lowered whil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contacts the locking pin, the locking leve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cking pin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through the opening by the depression of the push button for locking. By pushing the push button for unlocking, the locking pin is moved upward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locking lev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ing tongu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그리고 로킹레버는, 탄성 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레버설치부의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lever is preferably held in contact with a side wall (34A) of a lever mounting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in a direction to be elastically supported.

그리고 레버설치부는,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및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사이에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ver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supported between the guide walls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guide wall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tructure so as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sec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로킹 및 언로킹이 일방향의 푸쉬동작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자동화 라인에서 로봇에 의한 로킹 및 언로킹 시에도 아주 쉬운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asically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by one-way pushing operation. Therefore,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user is simple, but also the locking and unlocking by the robot in the automated line is very easy to apply.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로킹레버와 로킹핀 사이의 구조적 관계가 간단하면서도 동작의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일방향 푸쉬 동작에 의하여, 두 개의 구조물(예를 들면 용기와 덮개) 사이의 로킹 및 언로킹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lever and the locking pin is simp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is sufficiently secured. Therefore, by the one-way push opera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structures (for example, the container and the cover)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 로킹장치의 로킹상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킹장치의 언로킹상태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로킹장치의 언로킹 동작의 일순간을 보인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로킹장치의 로킹 동작의 일순간을 보인 예시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cking stat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n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n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nt of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로킹(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로킹핀(10)이 로킹레버(20)의 로킹홈(22)에 걸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4)는 용기(2)에서 분리될 수 없는 상태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1 shows the locking stat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pin 1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ocking lever 20. In this state, the lid 4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

그리고 도 2는 언로킹(Un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이 서로 이격되어 어떠한 물리적 연결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용기(2)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된 로킹핀(10)이, 덮개(4)에 설치되는 푸쉬버튼(30)의 로킹레버(20)에서 해제되면 실질적으로 언로킹상태이기 때문에, 덮개(4)를 열어서 용기(2)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푸쉬버튼(30)이 눌러져서, 덮개(4)에 설치된 푸쉬레버(30)의 로킹레버(20)의 로킹홈(22)에 로킹핀(10)이 걸리게 되면, 덮개(4)를 열 수 없는 로킹상태로 된다.FIG. 2 shows an unlocking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lever 20 and the locking pin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re is no physical connection therebetween. That is, when the locking pin 10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lever 20 of the push button 30 provided on the lid 4, the lid 4 is substantially unlocked, 4 can be opened to open the container 2. When the push button 30 is pushed again and the locking pin 1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locking lever 20 of the push lever 30 provided on the lid 4, It becomes a locked state which can not be performed.

이와 같은 로킹상태에서 언로킹상태로의 전환 또는 언로킹상태에서 로킹상태로의 전환은, 푸쉬버튼(30)을 누르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이 아주 쉽고 간단하게 수행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용기(2)와 덮개(4) 사이에서 다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로킹장치는 단순한 푸쉬 동작으로 상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자의 조작이 편의성은 물론이고, 특히 자동화 라인에서 로봇에 의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witching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ing state or the switching from the unlocking state to the locking state is performed by one operation of pushing the push button 30. Thus, it can be seen that switch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s is very easy and simple.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between the container 2 and the lid 4. [ Since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state by a simple push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s useful not only for convenience but also when the container is opened and closed by a robot in an automation line.

다음에는 이와 같은 로킹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푸쉬버튼(30)은 제1구조물(4)(예를 들면 덮개)에 지지됨과 동시에, 제1구조물(4)에서 일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의 하단부에는 푸쉬하우징(31)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푸쉬하우징(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구조물(2)의 상부 일부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30) 및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는 제1구조물(4)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2에서 별도의 커버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구조물(4)에 지지될 수 있다. Hereinafter, such a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ush butt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structure 4 (for example, a lid) and is movably installed in the first structure 4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up and down directions). A push housing 31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push button 30. The push housing 31 is movably installed up to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ructure 2 as described later. The push button 30 and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of the push housing 31 are supported by the first structure 4. For example, by mounting a separate cover in FIG. 1 or 2, Can be supported on the first structure (4).

그리고 푸쉬버튼(3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푸쉬하우징(31)은, 로킹레버(20)가 설치되는 평면 형상의 레버설치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레버설치부(33)는 실질적으로 푸쉬버튼(30)의 하부 일측을 의미하고, 로킹레버(20)의 원활한 설치 및 동작을 위하여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push housing 31 formed integrally with or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30 is provided with a planar lever mounting portion 33 on which the locking lever 20 is mounted.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a lower side of the push button 30 and has a planar shape for smooth mounting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lever 20. [

푸쉬버튼(30)의 하단부, 즉 푸쉬하우징(31)은 제1구조물(4) 및 제2구조물(예를 들면 용기)의 적어도 일부에서 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푸쉬하우징(31)의 일방향 이동은, 상술한 레버설치부(33)의 양측면(또는 양측벽)(34A,34B)이, 제1구조물(4)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2)의 양측 가이드벽(2A,2B)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구조물(4)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2)의 양측 가이드벽(2A,2B)은, 푸쉬하우징(31)의 상하 이동 범위 또는 푸쉬하우징(31)의 상하부분의 폭에 따라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도 있고, 상이한 간격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 도 있다.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30, i.e., the push housing 31, must be supported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4 and the second structure (e.g., a container). The one-way movement of the push housing 31 is achieved by the fact that both side surfaces (or both side walls) 34A and 34B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on both side guide walls 4A and 4B of the first structure 4, 2 structure 2 by means of guide walls 2A, 2B. Both side guide walls 4A and 4B of the first structure 4 and both side guide walls 2A and 2B of the second structure 2 are disposed in the up and down movement range of the push housing 31, They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interval according to the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r they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intervals.

상기 푸쉬버튼(30)은 조작자(로봇 포함)가 누를 수 있는 부분이고, 푸쉬버튼(30)과 일체로 성형되는 그 하부의 레버설치부(33)는 푸쉬버튼(30)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제1구조물(4) 및 제2구조물(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sh button 30 is a portion that can be pressed by the operator (including the robot) and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at the lower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30 is pressed by the push button 30 1 structure 4 and the second structure 2 while being guided in one direction.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30)은 항상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링(Sa)에 의하여 항상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다. 상기 스프링(Sa)은 푸쉬하우징(31)의 일측 연장부(31A)와 제1구조물(4)에 성형되는 지지부(4C)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서, 고정된 제1구조물(4)에 대하여 푸쉬버튼(30) 또는 그와 일체로 된 푸쉬하우징(31)을 상방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The push button 30 is always resiliently supported upward, and is alway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upward by a spring Sa, for example. Said spring Sa is interposed between the extended portion 31A of the push housing 31 and the support portion 4C formed in the first structure 4 so that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Sa against the fixed first structure 4, And pushes the push housing 30 or the push housing 31 integrally therewith upward.

여기서 로킹레버(20)는,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에 고정된 지지핀(32)에 의하여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로킹레버(20)는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탄성부재'의 한 종류하고 할 수 있는 토션스프링(도시 생략)이 지지핀(32)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로킹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다. 이 때 토션스프링은 로킹레버(20)의 일측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부(28)에 그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토션스프링 이외에도 로킹레버(20)를 시계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탄성부재라면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lever 2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pin 32 fixed to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of the push housing 31. [ The locking lever 20 is configur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not shown), which can be a kind of 'elastic member' An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lever 20 in a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portion 28 form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lever 20.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elastic member capable of imparting an elastic force in a clockwise direction to the locking lever 20 in addition to the torsion spring can be sufficiently used.

상기 로킹레버(20)는 일측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의 로킹홈(22)을 구비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방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고 함은 탄성력을 인가받는 시계방향에 대한 일측 상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는 로킹홈(22)의 좌측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로킹홈(22)의 우측은 로킹레버(2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즉 로킹홈(22)의 좌측 상방은 개방부(23)로 성형되고, 우측은 연결부(29)에 의하여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locking lever 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2 whose upper side is open. Here,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lever 20 is open, meaning that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lever 20 is open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lockwise direction to which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1 and 2, the left upper side of the locking groove 22 is open, and the right side of the locking groove 2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lever 20. [ That is,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22 is formed into the opening portion 23, and the right side has a shape block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9.

그리고 로킹홈(22)의 개방된 상부의 근처에는 로킹레버(22)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된 보조돌기(25)가 구비되어 있다. 로킹레버(20)의 하단부는, 경사면(24)으로 성형되는데, 이러한 경사면(24)은 로킹핀(10)과 접촉하여 로킹레버(20)를 탄성 방향과 반대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다. And an auxiliary protrusion 2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22 is provided near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22.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20 is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24. The inclined surface 24 contacts the locking pin 10 so that the locking lever 20 is inclined in a direction that can rotate the locking leve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astic direction Have.

또한 로킹레버(20)에는, 로킹홈(22)의 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tongue)(26)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해제용 텅(26)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앞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해제용 텅(26)은, 하단부는 로킹레버(20)와 동일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상단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나오도록 경사지게 성형되어 있고, 전방으로 돌출한 정도는 고정된 로킹핀(10)의 전방 단부보다 근소하게 더 돌출되는 정도이다. 상기 보조돌기(25)와 해재용 텅(26) 사이에는 로킹핀(10)이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lever 20 is formed with a releasing tongue 26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cking groove 22. 3, the releasing tongue 26 has an inclination in a direction of projecting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releasing tongue 26 has the same surface as the locking lever 20, but is inclined so as to be forward as it goes to the upper end, and the degree of forward protrusion is fixed to the locking pin 10, Which is slightly more protruded than the front en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terval between the auxiliary protrusions 25 and the tongue for dismounting 26 is secured.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킹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상태는 언로킹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고, 여기서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연결 관계가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구조물(4)은 제2구조물(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레버(20)는 레버설치부(33)의 일측(탄성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Nex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he state shown in FIG. 2 is the unlocking state as described above. Here, the locking lever 20 and the locking pin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locking lever 10 and the locking pin 10 are not physically connected. In this state, the first structure 4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tructure 2. In this state, the locking lever 20 is held in contact with one side wall 34A protruding from one side (direction of elastic support)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

또는 상기 일측벽(34A)가 없다면, 상기 로킹레버(20)는 그 좌측단부가 좌측 가이드벽(2A)에 접촉하고 있어서 더 이상 시계 방향을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임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의 하단 경사면(24)에 대응하는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Or if the one side wall 34A is not provided, the left end of the locking lever 20 is in contact with the left guide wall 2A and can not be rotated clockwise any more. Also, the locking lever 20 is elastically urg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torsion spring about the support pin 32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locking pin 10 fixed to the first structure maintain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slope 24 of the locking lever 20. [

이러한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이 눌러지면, 레버설치부(33)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의 하강에 따라 로킹레버(20)도 같이 하강하게 되어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게 된다.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하강하게 되면, 고정된 로킹핀(10)에 대하여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push button 30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is also lowered. The locking lever 20 is also lowered along with the lowering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3 of the push housing 31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2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10. [ The locking lever 20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support pin 32 with respect to the fixed locking pin 10 when the slant surface 24 is further lower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10 do.

그리고 푸쉬버튼(30)이 하사점에 이르게 되면, 로킹핀(10)은 로킹홈(22)의 개방된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로킹레버의 개방단부(21)를 타고 넘게 된다. 로킹핀(10)이 개방단부(21)를 완전히 넘으면,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푸쉬버튼(30)을 하방으로 누르고 있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스프링(Sa)에 의하여 푸쉬버튼(3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도 4에는 로킹핀(10)이 로킹레버(20)의 개방단부(21)를 타고 넘는 순간이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push button 3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locking pin 10 rides over the open end 21 of the locking lever to form the open top of the locking groove 22. When the locking pin 10 completely passes the open end 21, the locking lever 20 moves elastic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in 32. At the same time, the force pushing the push button 30 downward is removed, so that the push button 30 will be moved upward by the spring Sa. 4 shows the moment when the locking pin 10 rides over the open end 21 of the locking lever 20.

여기서 로킹핀(10)이 개방단부(21)를 타고 넘는 순간 로킹레버(20)는 순간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로킹핀(20)은 보조돌기(25)의 좌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Sa)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로킹레버(20)의 상승에 의하여, 로킹핀(10)은 로킹홈(22)에 안착될 것다. When the locking pin 10 rides over the open end 21, the locking lever 20 is instantaneously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in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projection 25 . And the locking pin 10 is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22 by the rise of the locking lever 20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a.

그리고 로킹핀(10)은 개방단부(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부(23)을 통하여 로킹홈(22)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에서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 사이에서 로킹(Locking)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제1구조물(4)이 제2구조물(2)에 로킹된 상태이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은 스프링(Sa)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여 상사점에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푸쉬버튼(30)의 상사점 위치는 제1구조물(4)과 푸쉬버튼(30) 또는 푸쉬하우징(31)과의 간섭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And the locking pin 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2 through the opening 23 formed by the open end 21 a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locking pin 10 protrudes from the locking lever 20, locking between the locking lever 20 and the locking pin 10 is established. And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ructure 4 is locked to the second structure 2.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of the push button 3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4 and the push button 30 or the push housing 30 31). ≪ / RTI >

이와 같은 로킹상태에서 언로킹 상태로의 변환은, 다시 한 번 푸쉬버튼(30)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이 눌러지면, 로킹레버(20)도 하강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로킹레버(2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로킹레버(20)가 어느 정도 하강하면, 로킹핀(10)의 단부가 해제용 텅(26)의 이면으로 들어간다. 즉,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로킹레버(20)의 전방 단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해제용 텅(26)이 하강함에 따라 해제용 텅(26)의 일정 위치에 이르면 로킹레버(20)가 약간 회전하여 로킹핀(10)이 해제용 텅(26)의 이면으로 들어가게 된다. The switching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ing state is performed by pushing the push button 30 once again. That is, when the push button 30 is pressed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locking lever 20 starts to descend,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lever 2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locking lever 20 is lowered to some extent, the end of the locking pin 10 enters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ing tongue 26. That is, when the forward end of the locking lever 20, which is being urg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aches a certain position of the releasing tongue 26 as the forwardly inclined release tongue 26 descends, the locking lever 20 So that the locking pin 10 enters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ing tongue 26.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의 우측에 있는 연결부(29)에 걸리기 때문에, 로킹레버(20)의 더 이상의 회전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을 위하여 푸쉬버튼(30)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로킹레버(20)의 하사점은 상기 로킹핀(10)이 해제용 텅(26)의 상단부 이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로킹핀(10)의 전방 단부가 해제용 텅(26)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을 하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Sa)에 의하여 푸쉬버튼(30) 및 로킹레버(20)는 상승하게 된다. However, in this state, since the locking pin 10 is caught by the connecting portion 29 on the right side of the locking lever 20, further rotation of the locking lever 20 is prevented. When the push button 30 is depressed for switching to the unlocking state, the bottom dead point of the locking lever 20 must be within the range of the upper end of the releasing tongue 26 do. When the force to lower the push button 30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in 1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tongue 26, And the locking lever 20 are raised.

로킹레버(20)가 상승하게 되면, 이면에서 로킹핀(10)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해제용 텅(26)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로킹레버(20) 전체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로킹레버(20)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로킹레버(20)는 금속과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승하면서 로킹핀(10)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이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로킹레버(20)의 하단부는 로킹핀(10) 보다 근소하게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로킹레버(20)는 후방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로킹레버(20) 및 로킹핀(10)은 다시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는 제1구조물(4)이 제2구조물(2)에 대하여 언로킹된 상태이다. When the locking lever 20 is lifted up, the locking pin 1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20. As a result, the entire locking lever 20 is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releasing tongue 26, (20) is raised. Here, since the locking lever 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such as metal, it is elastically deformed forward by the locking pin 10 while rising. When the push button 30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lever 20 is positioned slightly above the locking pin 10, and the locking lever 20 is elastically deformed backward. Then, the locking lever 20 and the locking pin 10 are again brought into the state shown in FIG. 2, and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ructure 4 is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ructure 2.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1구조물(4)은 커버 또는 덮개이고, 제2구조물은 특정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2,4)에 본 발명의 로킹장치가 적용되면, 하방으로 누르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구조물들이 로킹 상태로 되거나 언로킹 상태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킹장치의 상태변화는 지극히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자동화된 라인에서 로봇에 의하여 용기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ructure 4 may be a cover or a cover, and the second structure may be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specific contents. When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tructures 2 and 4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s are locked or unlocked by simple downward depres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an extremely simple operation. This is useful not only for convenience of direct operation of the user but also for configuring the container to be opened and closed by an automated line It can be appli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적혀진 사항에 의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also reasonable to assume that

2 ..... 제2구조물(용기)
2A, 2B .....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4 ..... 제1구조물(덮개)
4A, 4B .....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10 .... 로킹핀
20 ..... 로킹레버
21 ..... 개방단부
22 ..... 로킹홈
23 ..... 개방부
24 ..... 경사면
25 ..... 보조돌기
26 ..... 해제용 텅
29 ..... 연결부
30 ..... 푸쉬버튼
31 ..... 푸쉬하우징
32 ..... 지지핀
33 ..... 레버설치부
2 ..... second structure (container)
2A, 2B ..... Both side guide walls of the second structure
4 ..... First structure (cover)
4A, 4B ..... Both side guide walls of the first structure
10 .... locking pin
20 ..... locking lever
21 ..... open end
22 ..... locking home
23 ..... opening
24 ..... slope
25 ..... auxiliary projection
26 ..... Release Tongue
29 ..... connection
30 ..... push button
31 ..... Push housing
32 ..... support pin
33 ..... Lever mounting part

Claims (3)

푸쉬버튼(30)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제1구조물을 제2구조물에 로킹시키거나 언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이고;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10)과;
상기 푸쉬버튼(30)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Sa)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33);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23)을 가지는 로킹홈(22)이 타측의 연결부(29)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23)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24)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26)을 구비하는 로킹레버(20)로 구성되고;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되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10)은 해제용 텅(26)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킹레버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first structure to the second structure by a push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30);
A locking pin (10) fixed to the second structure;
And is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30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tructure and is reciprocally linearly movabl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the spring Sa A lever mounting portion 33; And
A locking groove 22 having an opening 23 which is rotatable about the support pin 32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lever is provided between the lev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29 on the other side, The opening 23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support pin and the inclined surface 24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opening is molded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groove is inclined forward And a locking lever (20) having a protruding release tongue (26);
As the locking lever is lowered while the inclined surface 24 of the locking lever contacts the locking pin 10, the locking leve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cking pin is moved to the locking groove Lt; / RTI >
The locking pin 10 moves upward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locking lev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ing tongue 26 by depressing the push button for unlocking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탄성 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레버설치부의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The push-button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lever is held in contact with a side wall (34A) of a lever mounting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lever is elastically suppo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설치부는,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2A,2B) 사이에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2. The push-button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mounting portion is movably supported between both guide walls (4A, 4B) of the first structure and between the guide walls (2A, 2B)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tructure.






KR1020160153962A 2016-11-18 2016-11-18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KR101960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en) 2016-11-18 2016-11-18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en) 2016-11-18 2016-11-18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22A KR20180056122A (en) 2018-05-28
KR101960139B1 true KR101960139B1 (en) 2019-03-19

Family

ID=624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en) 2016-11-18 2016-11-18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1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337B1 (en) * 2020-01-21 2021-11-19 (주)옵토레인 Push type cartridge for pc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597B1 (en) * 2004-04-29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uel tank cap open and close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22A (en)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US5345051A (en) Push-button switch
US4553009A (en) Keyboard switch with pivotal actuator lever
CN108063065B (en) Lock catch structure of switch device
JP2017224581A (en) Key switch
KR101960139B1 (en) 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US6087604A (en) Thin keyboard
JP2014183012A (en) Switch device
WO2017032219A1 (en) Keyboard switch of x-frame structure
JP2003242862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U2018204743B2 (en) Push button switch
JP2012138273A (en) Switch
JP2571107Y2 (en) Slider for switch
JP2858871B2 (en) Piano handle switch
JPH0310581Y2 (en)
JP2567068Y2 (en) Wiring device switch mounting structure to mounting frame
KR200236456Y1 (en) Control device for a push-button type switch
JPS6342423Y2 (en)
JPH0414717A (en) Attachment structure of switch of wiring apparatus to attaching frame
JP2583618Y2 (en) Piano handle switch device
JP2001093385A (en) Sliding switch
JPH0737254Y2 (en) Slide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al equipment
JP5722738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components
JPH0688031U (en) Compound operation type switch
JP2530295Y2 (en) Piano handl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