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046B1 -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046B1
KR101960046B1 KR1020180108750A KR20180108750A KR101960046B1 KR 101960046 B1 KR101960046 B1 KR 101960046B1 KR 1020180108750 A KR1020180108750 A KR 1020180108750A KR 20180108750 A KR20180108750 A KR 20180108750A KR 101960046 B1 KR101960046 B1 KR 10196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photographed
image
memor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포유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포유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포유플랫폼
Priority to KR102018010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나 공간 상의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VR 촬영 앱의 구현 만으로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와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으로,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촬영 대상물(피사체)에 대한 촬영할 이미지의 컷수가 입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컷수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개수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컷수에 맞게 상기 촬영 대상물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활성화시키면서 촬영을 안내하는 촬영 안내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촬영될 경우 상기 촬영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Method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image, portable device in which VR photograph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is installed, and server supplying the VR photographing program to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이미지 획득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R(virtual reality)은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의 사이버 공간 상에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한 3차원 효과를 통해 사용자가 마치 그 장소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3차원 가상 현실감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특히, 사용자가 마우스를 드래그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통해, 3차원 이미지가 드래그 또는 터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실제로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소장하는 제품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사이트에 공유하기 위한 개인,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공고 회사, 현실감 및 생동감 있는 교육 내용을 전달을 위한 학교, 유물 또는 예술품 등을 전지하는 박물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 VR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VR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338226호에 개시된 기존의 VR 이미지 획득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10)를 상하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이송시키는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그리고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피사체(20)를 좌우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지지부(210)와, 그리고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사체(20)가 올려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턴테이블(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촬영기(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되며, 촬영기(10)가 설정 거리 이송되면 촬영기 이송 유닛(100)은 정지되고, 피사체 회전 유닛(200)에 의해 피사체(20)가 360도 회전된다. 피사체(20)가 회전되는 동안, 촬영기(10)는 피사체(20)의 해당 높이의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피사체(20)의 해당 둘레 이미지 획득이 완료되면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촬영기(10)가 다시 설정 거리 이송된다. 같은 방식으로 피사체 회전 유닛(200)에 의해 피사체(20)가 360도 회전되는 동안 촬영기(10)는 피사체(20)의 해당 높이의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피사체(20)의 전체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되고, 피사체(20)의 상부 및 평면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VR 이미지 획득 기술은,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 등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되므로, 장비에 따른 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고, 장비를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는 등 공간 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장비나 공간 상의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VR 촬영 앱의 구현 만으로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와,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와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으로,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촬영 대상물(피사체)에 대한 촬영할 이미지의 컷수가 입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컷수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개수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컷수에 맞게 상기 촬영 대상물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활성화시키면서 촬영을 안내하는 촬영 안내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촬영될 경우 상기 촬영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이 표시되고, 상기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은, 상기 입력된 컷수에 맞게 360도를 동일한 각도로 그 입력된 컷수만큼 분할하여 그 각도에 맞는 입체적 형상으로 변경되어 제공된다.
상기 컷수 입력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촬영컷 설정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촬영컷 설정창을 클릭하면 제1 설정 컷수(예를 들어, 8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45도 각도 씩 촬영), 제2 설정 컷수(예를 들어, 12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30도 각도 씩 촬영), 그리고 제3 설정 컷수(24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15도 각도 씩 촬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컷수 선택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상기 컷수 입력 단계와 상기 촬영 안내 단계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세로 모드일 경우 가로 모드로 전환되도록 가로 모드 안내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touch)되는 촬영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촬영 안내 단계는, 상기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최초의 촬영 안내창에서 상기 촬영 버튼의 터치로 촬영되는 순간 상기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경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나머지 촬영 안내창에서도 상기 경사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설정 경사도 내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고정된 크기의 그리드(grid)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오토 포커스 버튼(auto focus button)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줌인(zoom in)과 줌아웃(zoom out)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상기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불러와 편집하는 편집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단계는, 상기 동영상 플레이 단계 후에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편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에 메모, 동영상 링크, 웹 링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편집 활성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상기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속 동작으로 구현시키는 동영상 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와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으로, VR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촬영 대상물에 대한 촬영할 이미지의 컷수가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에 컷수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컷수 입력 과정과, 입력된 컷수에 맞게 촬영 대상물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활성화시키면서 촬영을 안내하는 촬영 안내 과정과, 그리고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촬영될 경우 촬영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장비나 공간 상의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VR 촬영 프로그램(앱)의 구현 만으로 각각 촬영된 촬영 대상 이미지로부터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는 기존의 기술에 비해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장비 설치를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없어 어디서든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이 표시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참조하면서 눈대중 만으로 쉽고 빠르게 촬영 대상물을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은 입력된 컷수에 맞게 360도를 동일한 각도로 그 입력된 컷수만큼 분할하여 그 각도에 맞는 입체적 형상으로 변경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분할된 각도에 따라 변경되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참조하면서 촬영 대상물의 각각의 촬영될 부분을 눈대중 만으로 쉽고 빠르게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최초의 촬영 안내창에서 촬영 버튼의 터치로 촬영되는 순간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를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로 측정하여 이 경사도를 기준으로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나머지 촬영 안내창에서도 이 경사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휴대 말기의 기울기를 안내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연속 동작으로 구현(즉, VR 이미지가 구현)될 경우 들쭉날쭉하는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어, 촬영 대상물이 실제 회전되는 느낌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VR 이미지 획득을 위해 사용된 VR 이미지 획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컷수 입력 과정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가로 모드 안내창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각각의 촬영 안내창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와 더불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 표시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통해 촬영 대상물의 각 촬영될 부분이 순차적으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촬영 안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가 설정 경사도 내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촬영 안내 과정이 완료되어 "영상 업로드 후 편집하기(편집 모드)"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편집 모드 버튼이 선택된 후 편집 가이드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편집 화면창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태로 보면서 원하는 촬영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원하는 촬영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여 메모, 동영상 링크, 웹 링크 등의 편집 과정이 수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로 VR 촬영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컷수 입력 과정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가로 모드 안내창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각각의 촬영 안내창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와 더불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 표시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통해 촬영 대상물의 각 촬영될 부분이 순차적으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촬영 안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가 설정 경사도 내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촬영 안내 과정이 완료되어 "영상 업로드 후 편집하기(편집 모드)"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편집 모드 버튼이 선택된 후 편집 화면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편집 화면창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태로 보면서 원하는 촬영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1은 원하는 촬영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여 메모, 동영상 링크, 웹 링크 등의 편집 과정이 수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110)와 디스플레이(120)와 메모리(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VR 촬영 프로그램은 메모리(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에 포함된 각 과정(도 3의 S110 내지 S160 참조)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VR 촬영 프로그램(일명, VR 촬영 앱)을 실행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물(피사체)에 대한 촬영할 이미지의 컷수가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120)에 컷수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컷수 입력 과정(S110)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컷수 입력 과정(S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에 촬영컷 설정창(도 4에서 좌측에 있는 하얀 바탕의 사각박스)이 활성화되는 과정과, 촬영컷 설정창을 클릭하면 제1 설정 컷수(예를 들어, 8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45도 각도 씩 촬영), 제2 설정 컷수(예를 들어, 12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30도 각도 씩 촬영), 그리고 제3 설정 컷수(24컷, 촬영 대상물을 그 둘레를 따라 15도 각도 씩 촬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디스플레이(120)에 컷수 선택창(도 4에서 우측에 있는 하얀 바탕의 사각박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수 입력 과정(S110)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20)가 세로 모드일 경우 가로 모드로 전환되도록 가로 모드 안내창(도 5에서 가운데 위치한 검정바탕의 사각박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S120)이 수행된다.
이 후, 가로 모드 상태에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컷수에 맞게 촬영 대상물(도 6의 각 사진에서 가운데 위치한 검정 물체 참조)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120)에 활성화시키면서 촬영을 안내하는 촬영 안내 과정(S130)이 수행된다.
나아가,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촬영이 각각 진행될 때 마다 촬영 대상물의 각각의 촬영 부분을 알 수 있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도 6의 각 사진에서 가운데 위치한 회색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은, 도 6의 8개의 사진에 각각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된 컷수(예를 들어, 8개)에 맞게 360도를 동일한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그 입력된 컷수만큼 분할하여 그 각도에 맞는 입체적 형상의 윤곽(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기준으로 그 둘레를 돌아가며 직육면체 형상을 볼 경우 각도 마다 달라지는 윤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은, 각도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형태로 메모리(130)에 기 저장되거나 각도에 따라 보이는 형태로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상태에 있다가 컷수 입력 과정에서 컷수가 입력되면 해당 컷수에 맞는 참조 이미지 윤곽을 각각의 활성 안내창에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첫번째 촬영 안내창에서는 촬영 대상물의 정면과 제공되는 참조 이미지 윤곽의 회색면이 대략적으로 맞춰지도록 하여 촬영하면 되고, 나머지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도 촬영 대상물의 각각의 촬영 부분과 제공되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이 대략적으로 맞춰지도록 하여 촬영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참조하면서 눈대중 만으로 쉽고 빠르게 촬영 대상물을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분할된 각도에 따라 변경되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을 참조하면서 촬영 대상물의 각각의 촬영될 부분을 눈대중 만으로 쉽고 빠르게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 안내 과정(S13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고정된 크기의 그리드(grid; 격자 눈금)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리드 중 가운데 도드라진 십자 선을 기준으로 촬영 대상물이 정 위치에 놓일 수 있고, 나머지 주변 그리드를 통해 촬영 대상물의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안내 과정(S13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touch)되는 촬영 버튼(도 6에서 하얀 원형 바탕에 카메라가 표시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촬영 안내창이 활성화될 때 마다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상술한 참조 이미지 윤곽과 그리드의 안내를 받으면서 카메라(110)를 통한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참고로, 촬영 버튼은 휴대 단말기(100)에 이미 존재하는 촬영 모드에 연동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안내 과정(S13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오토 포커스 버튼(auto focus button; 도 6의 AF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오토 포커스 버튼을 눌러 촬영 대상물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오토 포커스 버튼은 휴대 단말기(100)에 이미 존재하는 오토 포커스 모드에 연동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안내 과정(S13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줌인(zoom in; 도 6의 하얀 원형 바탕에 플러스 기호가 표시된 아이콘)과 줌아웃(zoom out; 도 6의 하얀 원형 바탕에 마이너스 기호가 표시된 아이콘)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이미지 윤곽과 그리드를 고려하면서 각 촬영 안내창에 표시되는 촬영 대상물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 안내 과정(S130)은,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최초의 촬영 안내창에서 촬영 버튼의 터치로 촬영되는 순간 휴대 단말기(100)의 경사도를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150)(즉,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경사도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과정과, 그리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경사도를 기준으로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나머지 촬영 안내창에서도 경사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설정 경사도 내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하는 과정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150)(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의 각 측정값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기울기를 측정함)의 감지 값과 연동되면서 "각도가 맞지 않습니다. 핸드폰을 앞으로 기울여 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를 팝업(popup)시키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가 맞지 않습니다. 핸드폰을 뒤로 기울여 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를 팝업시키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연속 동작으로 구현(즉, VR 이미지가 구현)될 경우 들쭉날쭉하는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어, 촬영 대상물이 실제 회전되는 느낌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 안내 과정(S130)이 진행되는 동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촬영될 경우 촬영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과정(S140)이 수행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VR 이미지 획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적인 과정들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장비나 공간 상의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VR 촬영 프로그램(앱)의 구현 만으로 각각 촬영된 촬영 대상 이미지로부터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는 기존의 기술에 비해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장비 설치를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없어 어디서든 V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에 연속 동작으로 구현시키는 동영상 플레이 과정(S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안내 과정(S130)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영상 플레이 과정(S150)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은,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불러와 편집하는 편집 과정(S160))과, 그리고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과정(S160)은, 동영상 플레이 과정(S150) 후에 편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20)에 편집 모드 버튼(즉, 도 8의 "영상 업로드 후 편집하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도 8 참조)과, 편심 모드 버튼이 선택되면 저장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에 메모, 동영상 링크, 웹 링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도록 디스플레이(120)에 편집 화면창을 활성화시키는 과정(도 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편집 화면창이 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되는 편집 가이드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화면창의 하단에 있는 슬라이드 터치 및 스와이프로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촬영 대상 이미지 중 원화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원하는 편집 아이콘(메모, 동영상 링크, 웹 링크 아이콘 중 하나)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메모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할 수 있는 창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가 메모를 할 수 있고, 동영상 링크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을 링크할 수 있는 URL 입력창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가 URL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웹 링크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RL 입력창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가 URL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0)와, 디스플레이(120)와, 메모리(130)와, 그리고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메모리(130)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VR 촬영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VR 촬영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로 VR 촬영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을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상술한 VR 촬영 프로그램을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카메라
120: 디스플레이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기울기 센서
200: 서버

Claims (5)

  1.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와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으로,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촬영 대상물에 대한 촬영할 이미지의 컷수가 입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컷수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컷수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컷수에 맞게 상기 촬영 대상물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도록 각각의 촬영 안내창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활성화시키면서 촬영을 안내하는 촬영 안내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가 촬영될 경우 상기 촬영된 각각의 촬영 대상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이 표시되고,
    상기 각각의 참조 이미지 윤곽은,
    상기 입력된 컷수에 맞게 360도를 동일한 각도로 그 입력된 컷수만큼 분할하여 그 각도에 맞는 입체적 형상으로 변경되어 제공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촬영 안내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촬영 안내창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촬영 버튼이 표시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촬영 안내 단계는,
    상기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최초의 촬영 안내창에서 상기 촬영 버튼의 터치로 촬영되는 순간 상기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경사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경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촬영 안내창 중 나머지 촬영 안내창에서도 상기 경사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설정 경사도 내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R 이미지 획득 방법.
  4.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와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VR 이미지 획득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VR 촬영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
KR1020180108750A 2018-09-12 2018-09-12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KR10196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50A KR101960046B1 (ko) 2018-09-12 2018-09-12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50A KR101960046B1 (ko) 2018-09-12 2018-09-12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046B1 true KR101960046B1 (ko) 2019-03-19

Family

ID=6590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750A KR101960046B1 (ko) 2018-09-12 2018-09-12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87B1 (ko) * 2022-09-27 2024-01-09 주식회사 브로즈 Vr 이미지 등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237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시스템 및 이를 위한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방법
KR20180057203A (ko) * 2016-11-22 2018-05-30 오주영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 촬영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8059A (ko) *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97913A (ko) * 2017-02-24 2018-09-03 트라이큐빅스 인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촬영 동작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237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시스템 및 이를 위한 버추얼 리얼리티 영상 제공방법
KR20180057203A (ko) * 2016-11-22 2018-05-30 오주영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 촬영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8059A (ko) *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80097913A (ko) * 2017-02-24 2018-09-03 트라이큐빅스 인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촬영 동작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87B1 (ko) * 2022-09-27 2024-01-09 주식회사 브로즈 Vr 이미지 등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078B1 (ko) 파노라마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장치 및 휴대용 장치
US8717412B2 (en) Panoramic image production
CN107911621B (zh) 一种全景图像的拍摄方法、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EP2018049B1 (en) Method of assembling a panoramic image and camera therefor
JP2019511024A (ja) パノラマフレームを生成するプロセスにおけるフレームの適応ステッチング
JP20240507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49227B2 (ja) 立体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3857988B2 (ja) 立体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14286142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vr场景截屏方法
JP2010154052A (ja) 複数カメラ制御システム
JP71829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869888A (zh) 创建虚拟导览的基于云端的系统和方法
JP7371264B2 (ja) 画像処理方法、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9688321B (zh) 电子设备及其图像显示方法、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12435558A (zh) 一种全息3d智能交互数字虚拟沙盘及其交互方法
US112444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a panoramic image
CN105812653A (zh) 摄像装置和摄像方法
TWI484285B (zh) 全景影像的拍攝方法
KR101960046B1 (ko) Vr 이미지 획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vr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 그리고 이 vr 촬영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US20160344946A1 (en) Screen System
JP4118146B2 (ja) 立体画像処理装置
JP5279078B2 (ja) 画像撮影・表示方法、画像撮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RU2750650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ультимедийная студия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ото/видеоматериалов
US2021008217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5686295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