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79B1 -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79B1
KR101959979B1 KR1020180150758A KR20180150758A KR101959979B1 KR 101959979 B1 KR101959979 B1 KR 101959979B1 KR 1020180150758 A KR1020180150758 A KR 1020180150758A KR 20180150758 A KR20180150758 A KR 20180150758A KR 101959979 B1 KR101959979 B1 KR 10195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hole
engaging
coupling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영만
Original Assignee
강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만 filed Critical 강영만
Priority to KR102018015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omprising: a rotator which is able to rotate around a Z-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upporter provided to a distal end of the rotator; first and second couplers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in a radial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claws rotatably engag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by a hydraulic cylinder. The second coupler includes a first engaging frame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and provided with a hinge shaft penetrating an upper end and first and second engaging holes formed in the front of the hinge shaf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angle, an angle change frame hinged to the hinge shaft an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rota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holes, and a second engaging frame hinged to the hinge shaft and provided with a fixing hole which is aligned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holes, with a rotation position being fixed by inserting an engaging pin into the fixing hole and the engaging hole. Two opposite claws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ight and angle, thereby stably holding and moving various cylindrical materials.

Description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본 발명은 크레인 그래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가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원통형상의 다양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grab,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individu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rippers so that the height of the gripper and the angle of the gripp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통상, 집게(grab)를 이용하는 크레인 그래브는 쓰레기, 고철, 폐지, 통나무 또는 H빔을 잡아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ypically, a crane grab using a grab serves to catch and move waste, scrap, waste paper, log or H beam to another location.

예컨대, 크래인 그래브는 회전구동하는 로테이터와, 로테이터의 하부에 형성된 그래플(grapple)과, 그래플과 링크된 집게발로 구성된다.For example, a crane grab is composed of a rotatable rotator, a grapp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tator, and a claw linked to the grapple.

한편, 집게발은 4개 내지 6개로 배치되지만, H빔, 통나무 또는 다른 원통형상의 자재를 잡아 올리기에는 다소 불안정하다. 즉, 동일한 집게각도를 이루는 집게발로 통나무를 잡는 경우에, 모든 집게발이 통나무와 접촉하지 못하여 이동시 집게발로부터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aws are arranged in four to six, but are somewhat unstable to pick up the H beam, log or other cylindrical material. In other words, when a log is gripped by a claw having the same pinched angle, all the claws do not contact the log,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falling from the pincer when moving.

이에, 전술한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집게발이 링크된 그래플 전체를 작업의 성격에 따라 교체하기도 하는데, 하중으로 인한 그래플 교체와 운반과 보관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carry ou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entire grapple linked with the nippers may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work.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pple replacem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due to the load are cumbersom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81393호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2017.09.1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781393 (Multifunctional Crane Grab 2017.09.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96484호 (유압 라인 내장형 그래플. 2011.12.1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96484 (grapple built in hydraulic line, December 14, 201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의 성격에 따라, 그래플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individu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ngue, which eliminates the trouble of replacing grappl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work.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한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종단에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체와 유압실린더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집게발;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 힌지축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 전방에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이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 결합프레임과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홀이 형성된 각도변경프레임과,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 중 하나와 정렬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에 대한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제2 결합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tor comprising: a rotator for moving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A support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or; A first combination and a second combina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support; And first and second claws rotatably coupled by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and the hydraulic cylinder, respectively, wherein the second assembly extends from the support and has a hinge shaft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first coupling fram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in front of the hinge axis; and a second coupling frame fixed to the first coupling fram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A hinge shaft hinge-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being aligned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holes, and a rotation hole inserted into the fixation hole to fix the rota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ement frame And a second coupling frame including a coupling pin.

여기서,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1 회전홀과 상기 고정홀이 정렬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제2 집게발은 상기 제1 집게발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보다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Here, the first engaging hole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engaging hole, the first engaging hole, the first rotating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aligned and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and fixed, The angle of the grip of the second nippers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angle of the nippers of the first nippers.

또한, 상기 제1 집게발은 대향하는 4개의 집게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집게발은 대향하는 2개의 집게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laws may be composed of four opposing claws, and the second claws may be composed of two opposed claws.

또한, 상기 제2 집게발의 2개의 집게발은 동일유압제어에 의해 동일한 집게각도로 구동되거나, 개별유압제어에 의해 상이한 집게각도로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can be driven at the same clamping angle by the same hydraulic control or at different clamping angles by separate hydraulic control.

또한, 상기 제2 결합홀과 상기 제2 회전홀과 상기 고정홀이 정렬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제2 집게발은 상기 제1 집게발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와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동일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ngagement hole, the second rotation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aligned and the engagement pin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second claw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claw, So that the angle of the gripper and the grip angle of the second gripper are the same.

또한, 상기 제2 집게발의 높이가 다단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결합홀과 상기 회전홀은 상응하여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s and the rotation holes may be formed correspondingly to three or more so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claws is changed to multi-stages.

또한, 상기 각도변경프레임은 상기 대향하는 제1 결합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은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ngle changing frames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pposed first coupling frames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s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upling fram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내측에는 쐐기형상의 지지판이 고정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와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동일하게 구동되면,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wedge-shaped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engagement frame, and when the angle of the grip of the first gripper is equal to the angle of the grip of the second gripper, And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부는, 상기 제1 집게발의 4개의 집게발 및 상기 제2 집게발의 2개의 집게발을 구동하는 실린더로드와 유압실린더와 유압라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터에는 상기 유압라인의 유압작동유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portion includes a cylinder rod for driving the four claws of the first claw and the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a hydraulic cylinder and an oil hydraulic line, respectively, and the rotator is provided with hydraulic oil of the hydraulic line An intermittent check valve may be respectively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하는 2개의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가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원통형상의 다양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동시켜서, 고하중의 자재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and move various cylindrical materials by forming the opposing two claws so as to have different heights and clamping angles,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of a heavy load material .

또한,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가 동일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일반적인 집게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여 자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of the nippers is equal to the angle of the nippers, so that the general nippers can be performed, and the height of the nippers and the angle of the nippers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

더 나아가, 그래플의 교체와 운반과 보관없이, 작업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처하도록 하여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daptively coping with the work environment without replacem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grappl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집게발의 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집게발의 오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결합체의 각도변경동작을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결합체를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결합체의 제2동작에 의한 집게발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에 의한 집게동작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의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다.
Fig. 1 illustrates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individu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rip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unfolded state of the second claw of the crane grab of Fig. 1;
Figure 3 shows an open state of the second claw of the crane grab of Figure 1;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angle changing operation of the second coupling of the crane grab of Fig. 1 in a separated manner.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assembly of Fig.
Fig. 6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nippers by the second operation of the second assembly of Fig. 4;
Figs. 7 and 8 illustrate the clamping operation by the crane grab of Fig. 1, respectively.
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of the multifunctional crane grab that can individ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grips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집게발의 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집게발의 오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의 제2 결합체의 각도변경동작을 분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제2 결합체를 분해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4의 제2 결합체의 제2동작에 의한 집게발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크레인 그래브에 의한 집게동작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individually adjusting the angle of a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unfolded state of a second gripper of the crane grip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upling of the crane grab of FIG. 1,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upling of FIG. Fig. 6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nippers by the second operation of the second assembly of Fig. 4, and Figs. 7 and 8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tines by the crane grab of Fig. 1,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는, 전체적으로, 로테이터(110)와, 지지체(120)와, 제1 및 제2 결합체(130,140)에 의해 집게각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집게발(150,160)로 구성되어, 원통형상의 다양한 자재를 안정적으로 집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8, a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independent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ras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composed of a rotator 110, a support 120, and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30 and 140 And first and second claws 150 and 160 formed so that the clamping ang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by stably holding various cylindrical materials.

우선, 로테이터(110)는 지면에 수직한 Z축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로테이터(110)는, 제1링크(111)와, 차량 또는 지면에 고정된 제2링크(112)와 링크되며, 수직 유압실린더부(113)의 승강구동에 의해 Z축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First, the rotator 110 is formed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For example, the rotator 110 is linked with the first link 111, the second link 112 fixed to the vehicle or the ground, and is transported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elevation drive of the vertical hydraulic cylinder part 113 Can,

다음, 지지체(grapple)(120)는 로테이터(110)의 종단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결합체(130,140)를 지지한다.Next, a grapple 1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or 110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30, 140.

다음, 제1 결합체(130)는 지지체(12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집게발(150)과 링크되고, 제2 결합체(140)는 지지체(12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집게발(160)과 링크된다.The first coupling 130 extends radially from the support 120 and is linked to the first coupling 150 and the second coupling 140 extends radially from the support 120 to form a second coupling 160 < / RTI >

예컨대, 제1 결합체(130)는 대향하는 4개의 결합체로 분리 구성되며, 제1 집게발(150)은 해당 결합체와 링크된 대향하는 4개의 집게발로 구성되고, 제2 결합체(140)는 대향하는 2개의 결합체로 분리 구성되며, 제2 집게발(160)은 해당 결합체와 링크된 대향하는 2개의 집게발로 구성된다.For example, the first coupler 130 is divided into four opposed couplers, the first claw 150 is composed of four opposed claws linked with the coupler, and the second coupler 140 is connected to the opposed two couplers And the second claw 160 is composed of two opposed claws linked with the corresponding claw.

다음, 제1 집게발(150)은 제1 결합체(130)와 링크되어 유압실린더부(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집게동작을 수행하고, 제2 집게발(160)은 제2 결합체(140)와 링크되어 유압실린더부(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집게동작을 수행한다.The first claw 150 is coupled to the first claw 13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law 160 by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And is rotatably coupled by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to perform a clamping operation.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체(140)는 제1 결합프레임(141)과 각도변경프레임(142)과 제2 결합프레임(143)으로 구성되고, 제1 결합프레임(141)과 각도변경프레임(142)과 제2 결합프레임(143)은 상호 링크되어 집게각도의 개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4 and 5, the second coupling unit 140 includes the first coupling frame 141, the angle changing frame 142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The angle changing frame 141 and the angle changing frame 142 and the second engaging frame 143 are mutually linked to allow individual adjustment of the gripping angle.

예컨대, 제1 결합프레임(141)은 지지체(120)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 힌지축(141a)이 관통 형성되고, 힌지축(141a) 전방에 제1 결합홀(141b)과 제2 결합홀(141c)이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frame 141 extends from the support 120 and has a hinge shaft 141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he first coupling hole 141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1c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각도변경프레임(142)은 제1 결합프레임(141)과 고정되어, 제1 및 제2 결합홀(141b,141c)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홀(142a,142b)이 관통 형성된다.The angle changing frame 142 is fixed to the first coupling frame 14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holes 142a and 142b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41b and 141c are formed do.

또한, 제2 결합프레임(143)은 힌지축(141a)과 힌지결합하고, 제1 및 제2 결합홀(141b,141c) 중 하나와 정렬되는 고정홀(143a)과, 고정홀(143a)로 삽입되어 제1 결합프레임(141)에 대한 제2 결합프레임(143)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결합핀(143b)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includes a fixing hole 143a hinged to the hinge shaft 141a and aligned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41b and 141c, And an engaging pin 143b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engaging frame 143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ing frame 141. [

여기서, 각도변경프레임(142)은 대향하는 제1 결합프레임(141)의 외측에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 형성되어 내구성을 높이고, 제2 결합프레임(143)은 제2 결합프레임(143)의 내측에 힌지축(141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The angle changing frame 142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opposing first coupling frame 141 by bolting or welding to enhance durability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is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shaft 141a.

즉, 제1 결합홀(141b)은 제2 결합홀(141c)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1 결합홀(141b)과 제1 회전홀(142a)과 고정홀(143a)이 정렬되고 결합핀(143b)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집게발(160)은 제1 집게발(150)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제1 집게발(150)의 집게각도보다 제2 집게발(160)의 집게각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That is, the first engagement hole 141b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engagement hole 141c, and the first engagement hole 141b, the first rotation hole 142a, and the fixed hole 143a are aligned and the engagement pin 143b The second claw 16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irst claw 150 so that the angle of the second claw 160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law 150. As a result, The angle of the pawl can be relatively large.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다양한 자재, 예컨대 통나무, 파이프, 석재, 철근 또는 H빔을 집을 경우에, 제1 집게발(150)은 자재의 측면을 잡고, 제2 집게발(160)의 2개의 집게발은 자재의 양 상단을 각각 잡아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자재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when picking up various cylindrical materials, such as logs, pipes, stones, reinforcing bars or H beams, the first nipple 150 grasps the sides of the material and the second nipple 160 ) Can hol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terial, respectively, so that the material can be stably fixed and moved, so tha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falling of the material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는, 제2 집게발(160)의 2개의 집게발은 동일유압제어에 의해 동일한 집게각도로 구동되거나(도 7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유압제어에 의해 상이한 집게각도로 구동되어서, 제1 집게발(150)은 자재의 측면을 잡고, 제2 집게발(160) 중 하나의 집게발(160A)은 자재의 상단을 잡고 다른 집게발(160B)은 자재의 전면 또는 후면을 잡아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자재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160 may be driven at the same clamping angle by the same hydraulic control (see Fig. 7), or may be driven at different clamping angles by separate hydraulic control, The first nipple 150 grasps the sides of the material and one of the nipples 160A of the second nipple 160 holds the upper end of the material and the other nipple 160B catches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materia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fall of the material.

또한, 제1 집게발(150)과 제2 집게발(160)은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해 집게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The first nipple 150 and the second nipple 160 may be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to implement a tongue operation by a hydraulic cylinder.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집게발(160)의 높이가 다단으로 변경되도록, 제1 결합프레임(141)의 결합홀과 각도변경프레임(142)의 회전홀은 상응하여 3개 이상 형성되어서, 작업대상인 자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2 집게발(16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ree or more correspond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first coupling frame 141 and the rotation hole of the angle changing frame 142 so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claw 160 is changed to a multi- The height of the second nipple 160 may be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material to be worked.

한편, 도 4의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홀(141c)과 제2 회전홀(142b)과 고정홀(143a)이 정렬되고 결합핀(143b)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제2 집게발(160)은 제1 집게발(15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서, 제1 집게발(150)의 집게각도와 제2 집게발(160)의 집게각도가 동일하도록 구동하여서, 일반적인 집게발로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B and FIG. 6, the second engaging hole 141c, the second rotating hole 142b, and the fixing hole 143a are aligned and the engaging pin 143b is inserted and fixed The second claw 160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irst claw 150 so that the angle of the first claw 150 and that of the second claw 160 are the same, It can also be used.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프레임(141)의 내측에는 쐐기형상의 지지판(144)이 고정형성되는데, 지지판(144)은, 제1 집게발(150)의 집게각도와 제2 집게발(160)의 집게각도가 동일하게 구동되면, 제2 결합프레임(143)이 지지판(144)에 의해 지지되어서, 제2 결합프레임(143)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제2 집게발(160)이 안정적으로 집게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a wedge-shaped support plate 144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frame 141, and the support plate 14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44, The second engaging frame 143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 144 to prevent the second engaging frame 143 from further rotating so that the second engaging frame 143 160 can be stably operated.

참고로, 제2 집게발(160)은 제2 결합프레임(143)에 형성된 집게발 연결축(145)에 연결되고, 유압실린더는 제2 결합프레임(143)에 형성된 실린더 연결축(146)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law 160 is connected to a claw coupling shaft 145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and the hydraulic cylinder is connected to a cylinder coupling shaft 146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frame 143 Lt; / RTI >

한편, 도 9는 도 1의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의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hydraulic cylinder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crane grab that can individ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grippers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유압실린더부(170)는, 제1 집게발(150)의 4개의 집게발 및 제2 집게발(160)의 2개의 집게발을 구동하는 실린더로드(171)와 유압실린더(172)와 유압라인을 각각 구비하고, 로테이터에는 유압라인의 유압작동유를 단속하는 체크밸브(173)가 각각 형성되어서, 자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해당 체크밸브(173)의 유압작동유의 단속여부에 따라 제1 집게발(150) 또는 제2 집게발(16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9, the hydraulic cylinder 170 includes a cylinder rod 171 for driving the four claws of the first claw 150 and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160, a hydraulic cylinder 172, And a check valve 173 for interrupting the hydraulic oil of the hydraulic line is formed in the rotato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heck valves 173 and 173 ar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heck valve 173, And can selectively control to drive the claw 150 or the second claw 160.

또는, 개별 집게발 단위로 체크밸브(173)를 단속하여 제1 집게발(150) 및 제2 집게발(160)을 개별제어할 수도 있고, 제2 집게발(160)의 상승 고정시, 해당 체크밸브(173)에 의해 단속하여 유압라인의 유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claws 150 and 160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interrupting the check valve 173 in units of individual claws. When the second claw 160 is lifted and fixed, the corresponding check valve 173 ) To minimize the hydraulic pressure loss in the hydraulic lin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의 구성에 의해서, 대향하는 2개의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가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원통형상의 다양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동시켜서, 고하중의 자재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가 동일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일반적인 집게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집게발의 높이와 집게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여 자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래플의 교체와 운반과 보관없이, 작업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처하도록 하여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crane grab that can individ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clamping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two opposing claws and the angle of the clamping fo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s to stably fix and move various materials in a cylindrical for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falling of the material of the claws and to change the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of the claws is equal to the angle of the claws so as to perform a general clamping operation. It can be applied adaptively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cope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without the replacem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grapples,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110 : 로테이터 111 : 제1링크
112 : 제2링크 113 : 수직 유압실린더부
120 : 지지체 130 : 제1 결합체
140 : 제2 결합체 141 : 제1 결합프레임
141a : 힌지축 141b : 제1 결합홀
141c : 제2 결합홀 142 : 각도변경프레임
142a,b : 제1 및 제2 회전홀 143 : 제2 결합프레임
143a : 고정홀 143b : 결합핀
144 : 지지판 145 : 집게발 연결축
146 : 실린더 연결출 150 : 제1 집게발
160 : 제2 집게발 170 : 유압실린더부
171 : 실린더로드 172 : 유압실린더
173 : 체크밸브
110: rotator 111: first link
112: second link 113: vertical hydraulic cylinder part
120: support body 130: first coupling body
140: second coupling member 141: first coupling frame
141a: Hinge shaft 141b: First engaging hole
141c: second coupling hole 142: angle changing frame
142a, b: first and second rotating holes 143: second engaging frame
143a: Fixing hole 143b: Coupling pin
144: Support plate 145: Nipple connection axis
146: Connecting the cylinder 150: 1st nipple
160: second nipple 170: hydraulic cylinder part
171: Cylinder rod 172: Hydraulic cylinder
173: Check valve

Claims (9)

지면에 수직한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종단에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체와 유압실린더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집게발;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 힌지축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 전방에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이 일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 결합프레임과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회전홀이 형성된 각도변경프레임과,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 중 하나와 정렬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프레임에 대한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제2 결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은 상기 제2 결합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1 회전홀과 상기 고정홀이 정렬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제2 집게발은 상기 제1 집게발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보다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A rotator for moving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upport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or;
A first combination and a second combina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support; And
And first and second claws rotatably coupled by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and the hydraulic cylinder,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frame extending from the support and having a hinge shaft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front of the hinge shaft, An angle changing frame fixed to the frame and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rota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holes, a fixing member hinged to the hinge shaft and aligned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holes, And a second coupling frame including a hole and an engaging pi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fixing a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ing frame,
Wherein the first engaging hole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engaging hole, the first engaging hole, the first rotating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aligned and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and fixed, Wherein the grip angle of the second grippe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grip angle of the first gripper so that the grip angle of the second grippe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gripp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게발은 대향하는 4개의 집게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집게발은 대향하는 2개의 집게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law is comprised of four opposed claws and the second claw is comprised of two opposed claw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발의 2개의 집게발은 동일유압제어에 의해 동일한 집게각도로 구동되거나, 개별유압제어에 의해 상이한 집게각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are driven at the same clamping angle by the same hydraulic control or are driven at different clamping angles by separate hydraulic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홀과 상기 제2 회전홀과 상기 고정홀이 정렬되고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제2 집게발은 상기 제1 집게발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와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동일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hole, the second rotation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aligned and the engagement pin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second claw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claw, And the second nippers are driven to have the same angle of the nipp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게발의 높이가 다단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결합홀과 상기 회전홀은 상응하여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ultifunctional crane gra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three of the coupling holes and the rotation holes are correspondingly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claws is varied in multiple stag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경프레임은 상기 대향하는 제1 결합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은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changing fram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pposing first coupling frame and the second coupling fram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respectively.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프레임의 내측에는 쐐기형상의 지지판이 고정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집게발의 집게각도와 상기 제2 집게발의 집게각도가 동일하게 구동되면, 상기 제2 결합프레임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8. The method of claim 7,
A wedge-shaped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frame. When the angle of the first nipple and the angle of the nip of the second nipple are driven to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rane grabbing uni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부는, 상기 제1 집게발의 4개의 집게발 및 상기 제2 집게발의 2개의 집게발을 구동하는 실린더로드와 유압실린더와 유압라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터에는 상기 유압라인의 유압작동유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각도 개별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크레인 그래브.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portion includes a cylinder rod for driving the four claws of the first claw and the two claws of the second claw and a hydraulic cylinder and an hydraulic lin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a check valve is formed, respectively.
KR1020180150758A 2018-11-29 2018-11-29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KR101959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58A KR101959979B1 (en) 2018-11-29 2018-11-29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58A KR101959979B1 (en) 2018-11-29 2018-11-29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79B1 true KR101959979B1 (en) 2019-03-19

Family

ID=6590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58A KR101959979B1 (en) 2018-11-29 2018-11-29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81A (en) * 1994-07-29 1996-02-13 Maruma Jusharyo Kk Clamp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magnet
KR101096484B1 (en) 2009-08-19 2011-12-20 주식회사 광림 Grapple with a built-in hydraulic line
KR101781393B1 (en) 2017-04-13 2017-09-25 강영만 Multi-function crane gra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81A (en) * 1994-07-29 1996-02-13 Maruma Jusharyo Kk Clamp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magnet
KR101096484B1 (en) 2009-08-19 2011-12-20 주식회사 광림 Grapple with a built-in hydraulic line
KR101781393B1 (en) 2017-04-13 2017-09-25 강영만 Multi-function crane gra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761B1 (en) Detachable rotatable grapple
US6331025B1 (en) Barrier lifter
JPH0617438A (en) Semiautomatic coupling device
EP0428453B1 (en) Robotic manipulator of large dimensions and capacity to be used in an open environment
EP1585866B1 (en) Quick-coupling device for tools on diggers or similar machines
CA1102749A (en) Load carrying apparatus
KR101959979B1 (en) Multi-Functional Crane Grab capable of Activating Individually Garb Angle
US11059708B2 (en) Grapple
KR101068130B1 (en) Multi-grapple for excavator
CN208531649U (en) Tunnel steel arch frame installation manipulator and robot work platform
JP2016222397A (en) Tower crane
KR101170424B1 (en) Stone gripper for the excavator
EP3102525B1 (en) Gripping device for machine
KR20090061357A (en) Excavator with double blade
US10414633B1 (en)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CN1576469A (en) High rotation linkage assembly
KR20220003413A (en) A Turning Device for Heavy Equipments having Grab
KR101708626B1 (en) Rotatable tongs device
RU65832U1 (en)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KR101832209B1 (en) Grasp apparatus for crane of aquafarm working boat
JP2019202850A (en) Oscillation connection structure and crane
KR200398647Y1 (en) tongs device for excavator
KR20050080182A (en) Tongs device for excavator
JP6830513B2 (en) Auxiliary lifting device and hydraulic cylinder
KR200227816Y1 (en) Holder spreading device for grap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