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53B1 -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53B1
KR101959553B1 KR1020170053856A KR20170053856A KR101959553B1 KR 101959553 B1 KR101959553 B1 KR 101959553B1 KR 1020170053856 A KR1020170053856 A KR 1020170053856A KR 20170053856 A KR20170053856 A KR 20170053856A KR 101959553 B1 KR101959553 B1 KR 10195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pt
image
questionnaire
participan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995A (ko
Inventor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주)퍼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셉션 filed Critical (주)퍼셉션
Priority to KR102017005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에 있어서, 특정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컨셉 개발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응하는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제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여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POSING CONCEPT OF NEW BRAND OR GOODS THROUGH SURVEY BASED ON IMAGE}
본 발명은 온라인 설문조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에 있어서, 특정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컨셉 개발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응하는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제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여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판매하는 제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과 고객의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이에 기초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마케팅 활동에는 데이터 수집과 처리에 많은 비용과 인력, 그리고 시일이 소요되며, 대부분 마케팅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마케팅 지원 솔루션은 설문작성, 간단한 통계분석 등의 단순한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마케팅에 있어서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product concept)은 어떠한 제품을 제조하느냐를 결정하는 문제부터 최종 패키징 및 브랜드에 관련되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컨셉은 제품이 제공하는 기능(function), 그 제품에 얼마나 많은 수의 모델이나 사이즈, 색상 등의 변종(variant)을 부여할 것인가, 제품에 제공하는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의 정도, 패키징 수량, 보증수리 및 고객지원 등의 다양한 양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랜드 또는 제품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과 비교하여 차별화될 수 있도록 정확히 제안할 수 있는 툴이 있다면 기업은 신규 브랜드 또는 신제품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개발에 있어서, 컨셉 개발을 의뢰받은 컨셉 개발자가 수작업을 통한 문답식의 설문 조사나 시장 조사 등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범위에서 컨셉 개발이 이루어지는 등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정확하고 체계적인 컨셉 제안 툴이 존재하지 않아,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확한 컨셉 제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106454호(등록일자 2012년 01월 09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에 있어서, 특정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컨셉 개발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응하는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제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여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로서, 컨셉 개발 요청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카테고리별 복수의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프레임웍 생성부와,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설문 참여자가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할당된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 실행부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포지셔닝맵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컨셉 제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문 실행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이 1회 완료되는 경우,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1회의 설문 순서와 동일한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가장 많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문 실행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가 가장 마음에 드는 기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재차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재차 선택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유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재차 선택된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가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선택 이유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 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맵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 중 복수개의 포지셔닝맵을 조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셉 제안부는, 상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상기 설문 참여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상기 포지셔닝맵상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셉 제안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 중 시장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방법으로서, 컨셉 개발 요청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문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카테고리별 복수의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선정된 설문 참여자에게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참여자가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할당된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이 1회 완료되는 경우,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1회의 설문 순서와 동일한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가 가장 마음에 드는 기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재차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재차 선택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유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재차 선택된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가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선택 이유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셉을 제안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상기 설문 참여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상기 포지셔닝맵상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영역 중 시장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에 있어서, 특정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컨셉 개발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응하는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제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여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카테고리별 프레임웍을 선택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선택 이유 입력 화면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익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제안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제안 장치에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참여자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 등의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되어 컨셉 제안 장치(150)에서 수행되는 브랜드(brand) 또는 제품의 컨셉(concept) 개발을 위한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설문 프로젝트의 수행에 따라 실행되는 이미지 설문에 대해 응답을 입력하는 단말장치를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장치는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설문 참여자의 단말장치이며, 예를 들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 테블릿(tablet) PC, 노트북(notebook), 데스크톱 PC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러한 설문 참여자는 개발 대상이 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의뢰한 회사내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의 개발자 등과 같은 직원이 될 수 있으며, 컨셉 제안을 의뢰한 회사에 의해 선택된 특정 소비자 그룹에 속한 복수의 소비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단말(130)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컨셉 제안 장치에 접속하여 새로운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위한 설문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하여 설문 참여자를 선정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리자의 단말장치를 말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선정한 설문 참여자의 정보를 컨셉 제안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130)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하는 전문가 집단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을 운용하는 관리자는 컨셉 제안 전문가 집단내 임의의 전문가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셉 제안 장치(150)는 컵셉 개발을 요청받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하는 작업에 필요한 컨셉 카테고리별 복수의 프레임웍(framework)을 구비하며, 설문 참여자에게 설문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고, 컨셉 제안을 위한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설문 참여자에게 프레임웍별 구비된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수행하도록 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설문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100)상에는 프레임웍별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설문 참여자가 프레임웍별로 선택하여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에 대한 응답 수신 시,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keyword)를 기반으로, 해당 키워드가 나타내는 의미를 도식화하여 표시하는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positioning map)을 생성하며,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하는 장치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복수의 프레임웍에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152)상 프레임웍 DB(154)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컨셉 제안 장치는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톱 PC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컨셉 제안 장치(150)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컨셉 제안 장치(150)는 컨셉 제안을 위한 컨셉 카테고리별 프레임웍을 생성한다. 이때, 프레임웍은 컨셉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개로 생성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웍에서 사용되는 특정 키워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웍이라 함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컨셉 카테고리별 설문 참여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한 이미지 기반 설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웍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문자 또는 언어를 사용한 질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이때,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대상이 되는 타겟 브랜드(target brand)(예: 몽블랑 등) 또는 제품(예: 선물용 고급 만년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쟁 브랜드(예: 크로스 등) 또는 제품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설문 프로젝트의 생성 시, 설문에 응답할 복수의 설문 참여자, 설문 제목, 설문 프로젝트 유형(브랜드 진단, 경쟁자 비교분석, 브랜드 개발)를 입력받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문 프로젝트 유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 제안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브랜드 또는 제품 진단, 경쟁자 비교분석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로 설문 참여를 요청하고, 설문 참여를 요청받은 설문 참여자는 참여자 단말(100)을 통해 컨셉 제안 장치(150)에 접속하여 컨셉 제안을 위한 프레임웍별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설문 참여자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컨셉 제안 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웍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설문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 혹은 제품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설문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에 해당되는 이미지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위와 같은 복수의 이미지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은 프레임웍은 컨셉 카테고리(concept categroy)별로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8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8개의 프레임웍은 1)제품 세부 카테고리, 2)상징가치, 3)기능적 혜택, 4)정서적 혜택, 5)구매목적, 6)타겟 소비자 성향, 7)디자인 전략 방향, 8)브랜드 개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문 참여자가 먼저 상징가치를 선택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시작하는 경우, 컨셉 제안 장치(150)는 상징가치의 프레임웍에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켜 설문 참여자가 현재 컨셉 개발 대상이 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이 상징하는 의미에 매칭(matching)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각 프레임웍의 이미지 선택 과정이 종료되는 경우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선택한 이미지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기설정된 개수 만큼 최종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간략하게 기재하도록 요청한 후, 최종 선택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수집한다. 이때, 기설정된 개수는 예를 들어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때 위와 같이 선택 이유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설문 참여자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를 통해 설문 참여자 생각한 키워드가 서로 같은 범주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의 선택이유가 해당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의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는 설문 참여자가 이미지를 잘못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선택 이유에 맞는 키워드를 가지는 이미지로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을 변경하여 줌으로써 설문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키워드 범주안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판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가 신뢰성의 키워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문 참여자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를 "믿음"으로 입력한 경우 신뢰성과 믿음은 같은 의미의 범주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설문 참여자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를 "즐거움"으로 입력한 경우 신뢰성과 즐거움은 같은 의미의 범주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위와 같은 의미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에 대해 같은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유사한 키워드 조합을 등록하여 유사 키워드 조합에 포함된 단어가 설문 참여자로부터 이미지 선택 이유로 입력되는 경우 같은 의미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에게 프레임웍별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웍별 이미지에 대한 선택을 한번만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에 걸쳐 프레임웍별 이미지 선택을 수행하도록 설문을 실행하도록 한 후, 선택된 회수가 많은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로 구성된 설문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보고 특정 컨셉 카테고리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에 걸쳐 프레임웍별 이미지 선택을 수행하도록 설문을 실행하도록 하는 경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선택에 있어서는 정해진 답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문을 실행하는 시점에 설문 참여자의 주변 환경이나, 참여자 자신의 기분에 따라서 이미지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프레임웍에 대해 복수회만큼 설문을 실행시킨 후, 선택 회수가 높은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가 최종 선택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이미지 선택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가 모든 프레임웍에 대한 이미지 선택을 완료하여,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완료한 경우,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각 프레임웍별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프레임웍별 대응되는 특정 그래프의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포지셔닝맵을 생성한다.
이러한 포지셔닝맵은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이 되는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해 컨셉 카테고리별로 느끼는 감정을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감정의 키워드로 변환하여 프레임웍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배치된 컨셉 영역에 위치시킨 맵으로써, 프레임웍별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컨셉 영역상 미리 배치된 키워드 중 해당 감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위치한 지점에 매칭하여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개발하는 관리자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위치에 대한 진단, 경쟁사 브랜드와의 비교/분석을 시행함과 동시에 포지셔닝맵상 경쟁사 브랜드 또는 제품에 의해 선점되지 않은 영역을 찾아 해당 영역에 매칭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등의 브랜드 또는 제품 컨셉 제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익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각각의 포지셔닝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징가치에 대한 포지셔닝맵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통해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상징가치를 나타낸 맵으로, 예를 들어 상징 가치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가 도 5의 포지셔닝맵상 자율을 의미하는 영역상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는 "자율"이라는 컨셉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상징가치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는 도 5의 포지셔닝맵상 하나의 영역이 아니라 복수의 영역상 좌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가 복수의 영역상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위치한 영역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매칭되는 컨셉을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의 상징가치에 대한 컨셉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상징가치를 나타내는 포지셔닝맵의 구성에 있어서, 슈와츠의 가치 이론을 기반으로 포지셔닝맵을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적 혜택에 대한 포지셔닝맵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통해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기능적 혜택을 나타낸 맵으로, 예를 들어 기능적 혜택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이 도 6의 포지셔닝맵상 "기능성"을 의미하는 영역상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은 "기능성"이라는 컨셉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기능적 혜택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은 도 6의 포지셔닝맵상 하나의 좌표가 아니라 6개의 좌표상 복수의 좌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이 복수의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위치한 영역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매칭되는 컨셉을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의 기능적 혜택에 대한 컨셉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기능적 혜택을 나타내는 포지셔닝맵의 구성에 있어서, ISO/IEC 9126-1 기준을 기반으로 6가지 품질 측정 기준을 기반으로 포지셔닝맵을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1은 컨셉 개발 대상이 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 개성에 대한 포지셔닝맵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통해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낸 맵으로, 예를 들어 브랜드 개성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이 도 11의 포지셔닝맵상 "세련됨"을 의미하는 영역상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은 "세련됨"이라는 컨셉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브랜드 개성의 프레임웍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은 도 11의 포지셔닝맵상 하나의 영역이 아니라 복수의 영역상 좌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문 조사 결과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이 복수의 영역상 좌표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위치한 영역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브랜드 개성의 컨셉을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개성에 대한 컨셉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브랜드 개성을 나타내는 포지셔닝맵의 구성에 있어서, 데이비드 아커의 특정 브랜드에 연합되어 있는 인간적 특성들의 집합 이론을 기반으로 포지셔닝맵을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제품 세부 카테고리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정서적 혜택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구매목적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타겟 소비자 성향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디자인 전략 방향에 대한 포지셔닝맵을 도시한 것이다.
위 도 4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포지셔닝맵은 도 5 내지 도 6, 도 11에서와 같이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이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통해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제품 세부 카테고리, 정서적 혜택,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 디자인 전략 방향을 나타내는 맵일 수 있으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각 프레임웍의 포지셔닝맵상 위치한 좌표를 표시하고, 좌표가 위치한 영역에 매칭되는 컨셉을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으로 도출하게 된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위와 같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이 생성되는 경우, 복수의 포지셔닝맵을 통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으로 산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포지셔닝맵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 도 12에서는 개별 포지셔닝맵 중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의 포지셔닝맵을 통합하여 16ㅧ16 포지셔닝맵을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즉, 도 12를 참조하는 경우, 컨셉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은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의 포지셔닝맵을 통합한 통합 포지셔닝맵상 참조번호 1200으로 표기된 좌표에 위치하게 되며, 해당 위치에 대한 컨셉을 분석하면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은 설문 조사결과, 고관여 제품, 현대적 디자인, 기능적 욕구로 구매, 동기요인으로 구매하는 제품, 고급스런 디자인, 가격 지향적 고객이 타겟 등으로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것으로 나타나므로, 위와 같이 통합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통합 포지셔닝맵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 등의 4개의 개별 포지셔닝맵을 통합하여 생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4개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복수의 개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 위와 같이 컨셉 제안 장치(150)로부터 프레임웍별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이 산출된 경우,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에 대응되는 컨셉 제안을 수행하는 내부 전문가 또는 외부 전문가에게 제공되어, 내부 또는 외부 전문가가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컨셉을 제안함에 있어서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선점하고 있는 컨셉과 차별화될 수 있는 컨셉을 제안할 수도 있다.
또한, 한편, 위와 같이 설명한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셉 제안 장치(150)가 이미지 기반의 설문을 통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 또는 통합 포지셔닝맵만을 산출하고, 이러한 포지셔닝맵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 또는 외부 전문가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컨셉 제안 장치(150)가 포지셔닝맵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컨셉을 제안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컨셉 제안 장치(150)는 위와 같이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좌표의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고, 경쟁자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 중 시장가치가 가장 높은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제품 또는 브랜드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이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과 겹치지 않은 영역이 복수개가 검출되는 경우, 이러한 복수개의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모두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과 겹치지 않은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경우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과 비교하여 차별화는 가능하나, 이러한 영역들 일부 영역은 컨셉이 대중화되지 않아 해당 컨셉의 브랜드 또는 제품을 소비하는 시장자체의 규모가 매우 작아 시장 가치가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포지셔닝맵상 각 영역을 대표하는 컨셉에 대한 소비 시장의 규모를 사전에 조사하여 소비 시장 규모에 대응하는 영역별 시장 가치에 대한 정보를 시장가치 DB로 구축한 후, 시장가치 DB를 참조하여 경쟁자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 중 시장가치가 가장 높은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제품 또는 브랜드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좀더 정확한 컨셉의 제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제안 장치(15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통신부(300), 프레임웍 생성부(302), 설문 실행부(304), 포지셔닝맵 생성부(306), 컨셉 제안부(308), 제어부(310), 메모리부(3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컨셉 제안 장치(15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부(300)는 통신망을 통해 참여자 단말(100) 또는 관리자 단말(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설문 프로젝트 수행에 따라 참여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과 컨셉 제안 장치(150)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interface) 한다.
즉, 예를 들어 통신부(300)는 설문 프로젝트 수행에 따라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으로 선정된 해당 설문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100)로 프로젝트 참여 요청을 전송하고,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설문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설문 응답은 프레임웍별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이미지 선택 정보일 수 있다.
프레임웍 생성부(302)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위한 설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웍을 생성한다.
이때, 프레임웍이라 함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컨셉 카테고리별 설문 참여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한 컨셉 카테고리별 설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웍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문자를 사용한 질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웍은 컨셉 카테고리별로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8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8개의 프레임웍은 1)제품 세부 카테고리, 2)상징가치, 3)기능적 혜택, 4)정서적 혜택, 5)구매목적, 6)타겟 소비자 성향, 7)디자인 전략 방향, 8)브랜드 개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문 실행부(304)는 컨셉 개발 요청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문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이미지 기반의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선정된 설문 참여자에게 설문 참여를 요청하며, 설문 참여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각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웍별 제공되는 이미지 중 설문 참여자가 생각하기에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설문을 실행시킨 후, 프레임웍별 제공된 이미지 중에서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설문 실행부(304)는 각 프레임웍의 이미지 선택 과정이 종료되는 경우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선택한 이미지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기설정된 개수만큼 최종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간략하게 기재하도록 요청한 후, 최종 선택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수집한다. 이때, 기설정된 개수는 예를 들어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설문 실행부(304)는 각각의 프레임웍별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중 설문 참여자가 가장 마음에 드는 기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재차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재차 선택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유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재차 선택된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가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하고,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선택 이유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 정보로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이 선택 이유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설문 참여자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를 통해 설문 참여자 생각한 키워드가 서로 같은 범주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의 선택이유가 해당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의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는 설문 참여자가 이미지를 잘못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선택 이유에 맞는 키워드를 가지는 이미지로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을 변경하여 줌으로써 설문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키워드 범주안에 포함되는지의 여부 판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가 신뢰성의 키워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문 참여자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를 "믿음"으로 입력한 경우 신뢰성과 믿음은 같은 의미의 범주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설문 참여자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를 "즐거움"으로 입력한 경우 신뢰성과 즐거움은 같은 의미의 범주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위와 같은 의미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에 대해 같은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유사한 키워드 조합을 등록하여 유사 키워드 조합에 포함된 단어가 설문 참여자로부터 이미지 선택 이유로 입력되는 경우 같은 의미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설문 실행부(304)는 설문 참여자에게 프레임웍별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웍별 이미지에 대한 선택을 한번만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에 걸쳐 프레임웍별 이미지 선택을 수행하도록 설문을 실행하도록 한 후, 선택된 회수가 많은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설문 실행부(304)는 각각의 프레임웍별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이 1회 완료되는 경우,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1회의 설문 순서와 동일한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가장 많이 선택된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로 구성된 설문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보고 특정 컨셉 카테고리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에 걸쳐 프레임웍별 이미지 선택을 수행하도록 설문을 실행하도록 하는 경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선택에 있어서는 정해진 답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문을 실행하는 시점에 설문 참여자의 주변 환경이나, 참여자 자신의 기분에 따라서 이미지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프레임웍에 대해 복수회만큼 설문을 실행시킨 후, 선택 회수가 높은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가 최종 선택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이미지 선택 정보가 될 수 있다.
포지셔닝맵 생성부(306)는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각 프레임웍별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프레임웍별 대응되는 특정 그래프의 좌표상 도식화하여 구현한 포지셔닝맵을 생성한다.
이때, 포지셔닝맵은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좌표상에 도식화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포지셔닝맵은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이 되는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해 컨셉 카테고리별로 느끼는 감정을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감정의 키워드로 변환하여 프레임웍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배치된 컨셉 영역에 위치시킨 맵으로써, 프레임웍별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컨셉 영역상 미리 배치된 키워드 중 해당 감정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위치한 지점에 매칭하여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경우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컨셉 카테고리별로 느끼는 감정이 어떠한 것인지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포지셔닝맵은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1)제품 세부 카테고리, 2)상징가치, 3)기능적 혜택, 4)정서적 혜택, 5)구매목적, 6)타겟 소비자 성향, 7)디자인 전략 방향, 8)브랜드 개성 등 프레임웍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맵 생성부(306)는 위와 같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이 생성되는 경우, 복수의 포지셔닝맵을 조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은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의 포지셔닝맵을 조합한 통합 포지셔닝맵 상 참조번호 1200으로 표기된 좌표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통합 포지셔닝맵을 이용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은 고관여 제품, 현대적 디자인, 기능적 욕구로 구매, 동기요인으로 구매하는 제품, 고급스런 디자인, 가격 지향적 고객이 타겟 등으로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것으로 나타나므로, 컨셉 제안부는 위와 같이 통합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통합 포지셔닝맵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 등의 4개의 개별 포지셔닝맵을 통합하여 생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4개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복수의 개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컨셉 제안부(308)는 포지셔닝맵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브랜드 컨셉을 제안한다.
이때, 컨셉 제안부(308)는 예를 들어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설문 참여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좌표의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부(308)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부(308)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산출한 경우, 산출된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고, 경쟁자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 중 시장가치가 가장 높은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제품 또는 브랜드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셉 제안부(308)는 컨셉 개발 대상이 되는 제품 또는 브랜드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위치에 대한 진단, 경쟁사 브랜드와의 비교/분석을 시행함과 동시에 포지셔닝맵상 경쟁사 브랜드 또는 제품에 의해 선점되지 않은 영역을 찾아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등의 브랜드 또는 제품 컨셉 개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10)는 메모리부(312)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컨셉 제안 장치(150)내 각 구성요소인 통신부(300), 프레임웍 생성부(302), 설문 실행부(304), 포지셔닝맵 생성부(306), 컨셉 제안부(308)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셉 제안 장치에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셉 제안 장치(150)는 컨셉 개발을 의뢰받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 프로젝트를 생성한다(S1400). 이때,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대상이 되는 타겟 브랜드(예: 몽블랑 등) 또는 제품(예: 선물용 고급 만년필 등)을 설정하며, 필요에 따라 경쟁 브랜드(예: 크로스 등) 또는 제품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설문 프로젝트의 생성 시, 설문에 응답할 복수의 설문 참여자, 설문 제목, 설문 프로젝트 유형(브랜드 진단, 경쟁자 비교분석, 브랜드 개발)를 입력받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문 프로젝트 유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브랜드 진단, 경쟁자 비교분석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설문 참여자의 선정에 있어서는 관리자 단말(130)로부터 설문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설문 참여자를 선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설문 참여자는 예를 들어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의뢰한 회사내 해당 브랜드 또는 제품의 개발자 등과 같은 복수의 관련 임직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컨셉 제안을 의뢰한 회사에 의해 선택된 특정 소비자 그룹에 속한 복수의 소비자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을 위한 프레임웍을 생성한다(S1402). 이때, 프레임웍은 컨셉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개로 생성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웍에서 사용되는 특정 키워드를 상징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웍이라 함은 컨셉 개발 대상이 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컨셉 카테고리별 설문 참여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한 컨셉 카테고리별 설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웍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문자 또는 언어를 사용한 질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로 설문 참여를 요청하고(S1404), 이에 따라 설문 참여를 요청받은 설문 참여자는 참여자 단말을 통해 브랜드 컨셉 제안 장치에 접속하여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면,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면서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과 맞는 것으로 판단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문을 실행하게 된다(S1406).
이에 따라, 설문 참여자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컨셉 제안 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프레임웍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레임웍별로 개발 대상 브랜드 혹은 제품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설문의 대상이 되는 브랜드 혹은 제품에 해당되는 이미지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위와 같은 복수의 이미지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은 프레임웍은 컨셉 카테고리별로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8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8개의 프레임웍은 1)제품 세부 카테고리, 2)상징가치, 3)기능적 혜택, 4)정서적 혜택, 5)구매목적, 6)타겟 소비자 성향, 7)디자인 전략 방향, 8)브랜드 개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가 먼저 상징가치를 선택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시작하는 경우, 상징가치의 프레임웍에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켜 설문 참여자가 현재 개발 대상이 되는 제품 또는 브랜드가 상징하는 의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등으로 각각의 프레임웍에 대해 이미지 기반 설문을 실행시키고,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1408).
이때, 위와 같은 이미지 정보 수집과정에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각 프레임웍의 이미지 선택 과정 시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선택한 이미지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기설정된 개수 만큼 최종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간략하게 기재하도록 요청한 후, 최종 선택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기설정된 개수는 예를 들어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를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위와 같이 선택 이유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설문 참여자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선택한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를 통해 설문 참여자 생각한 키워드가 서로 같은 범주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의 선택이유가 해당 이미지에 할당된 키워드의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는 설문 참여자가 이미지를 잘못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선택 이유에 맞는 키워드를 가지는 이미지로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을 변경하여 줌으로써 설문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위와 같은 이미지 정보 수집과정에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각 프레임웍의 이미지 선택 과정 시 설문 참여자로부터 프레임웍별 이미지에 대한 선택을 한번만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웍별 설문 순서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회에 걸쳐 프레임웍별 이미지 선택을 수행하도록 설문을 실행하도록 한 후, 선택된 회수가 많은 이미지를 설문 참여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어, 컨셉 제안 장치(150)는 설문 참여자가 모든 프레임웍에 대한 이미지 선택을 완료하여,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완료한 경우,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각 프레임웍별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프레임웍별 대응되는 특정 그래프의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포지셔닝맵을 생성한다(S1410).
이러한 포지셔닝맵은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설문 참여자가 컨셉 개발 대상이 되는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해 설문 항목별로 느끼는 감정을 프레임웍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배치된 컨셉 영역에 위치시킨 맵으로써, 프레임웍별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 컨셉 영역에 해당 컨셉에 맞는 키워드를 배치시키고, 프레임웍별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산출하여 각 프레임웍에서 해당 키워드가 위치한 영역에 매칭하여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경우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설문 항목별로 느끼는 감정이 어떠한 것인지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컨셉 제안 장치(150)는 위와 같이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이 생성되는 경우, 복수의 포지셔닝맵을 통합하여 도 12에서와 같은 통합 포지셔닝맵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는 경우, 컨셉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은 제품 세부 카테고리, 디자인 전략방향, 구매목적, 타겟 소비자 성향의 포지셔닝맵을 통합한 통합 포지셔닝맵상 참조번호 1200으로 표기된 좌표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통합 포지셔닝맵을 이용하는 경우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은 고관여 제품, 현대적 디자인, 기능적 욕구로 구매, 동기요인으로 구매하는 제품, 고급스런 디자인, 가격 지향적 고객이 타겟 등으로 설문 참여자에게 투영된 것으로 나타나므로, 위와 같이 통합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위와 같이 프레임웍별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이 산출된 경우, 컨셉 제안 장치(150)는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할 수 있다(S1412). 이때, 컨셉을 제안함에 있어서는,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컨셉을 제안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선점하고 있는 컨셉과 차별화될 수 있는 컨셉을 제안할 수도 있다.
즉, 컨셉을 제안함에 있어서, 컨셉 제안 장치(150)는 예를 들어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 등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좌표의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 등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컨셉 제안 장치(150)는 개별 포지셔닝맵과 통합 포지셔닝맵 등을 기반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고, 경쟁자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 중 시장가지가 가장 높은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제품 또는 브랜드의 컨셉으로 제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제안에 있어서, 특정 키워드와 연결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컨셉 개발을 위한 이미지 기반의 설문에 응하는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제품 또는 브랜드와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복수의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여 설문 참여자가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상 나타난 특성을 참조하여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에 맞는 컨셉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참여자 단말 130 : 관리자 단말
150 : 컨셉 제안 장치 300 : 통신부
302 : 프레임웍 생성부 304 : 설문 실행부
306 : 포지셔닝맵 생성부 308 : 컨셉 제안부
310 : 제어부 312 : 메모리부

Claims (14)

  1. 컨셉 개발 요청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카테고리별 복수의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프레임웍 생성부와,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설문 참여자가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할당된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 실행부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포지셔닝맵 생성부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컨셉 제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문 실행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가 기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재차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재차 선택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유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재차 선택된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가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선택 이유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컨셉 제안부는,
    상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상기 설문 참여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상기 포지셔닝맵상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 중 시장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실행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이 1회 완료되는 경우,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1회의 설문 순서와 동일한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가장 많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맵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 중 복수개의 포지셔닝맵을 조합하여 통합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6. 삭제
  7. 삭제
  8. 프레임웍 생성부와 설문 실행부와 포지셔닝맵 생성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웍 생성부에서 컨셉 개발 요청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문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카테고리별 복수의 프레임웍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실행부에서 상기 설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선정된 설문 참여자에게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참여자가 상기 설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상기 설문 실행부에서 상기 설문 참여자에게 각각의 프레임웍에 할당된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실행부에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포지셔닝맵 생성부에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각각의 프레임웍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좌표상에 도식화하여 구현한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셉 제안 장치의 컨셉 제안부에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이용하여 상기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실행부에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중 상기 설문 참여자가 기설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재차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재차 선택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유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재차 선택된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와 해당 이미지의 선택 이유가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같은 의미 범주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상기 선택 이유에 부합하는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셉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웍별 포지셔닝맵을 기반으로 상기 설문 참여자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미지의 키워드가 상기 포지셔닝맵상 위치한 복수의 영역 중 경쟁 브랜드 또는 경쟁 제품의 컨셉이 위치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영역 중 시장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영역에 대표되는 컨셉을 개발 대상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으로 제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웍별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설문 참여자의 이미지 선택이 1회 완료되는 경우,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를 무작위로 변경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1회의 설문 순서와 동일한 프레임웍의 설문 순서로 복수회에 걸쳐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해 상기 설문 참여자가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재차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설문 참여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8 항 또는 제 10 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53856A 2017-04-26 2017-04-26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KR10195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56A KR101959553B1 (ko) 2017-04-26 2017-04-26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56A KR101959553B1 (ko) 2017-04-26 2017-04-26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95A KR20180119995A (ko) 2018-11-05
KR101959553B1 true KR101959553B1 (ko) 2019-03-18

Family

ID=6432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56A KR101959553B1 (ko) 2017-04-26 2017-04-26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80B1 (ko) * 2023-03-14 2024-03-06 천민주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050A (ja) * 2010-05-19 2011-12-01 Nec Corp ポジショニング・マップ生成システムおよびポジショニング・マップ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4B1 (ko) * 2008-10-27 2010-12-29 김득수 인터넷을 통한 브랜드, 브랜드 컨셉, 디자인 및 네이밍의 진단 평가와 사물 및 사람에 대한 이미지 진단 평가를 위한감성공학 측정 시스템 및 그 설문조사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106454B1 (ko) 2009-08-28 2012-01-18 김득수 인터넷을 통한 상품 패키지 요소에 의한 상품 인지도 및/또는 선택도 조사에 대한 상품 이미지 측정 시스템 및 그 설문조사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60133161A (ko) * 2015-05-12 2016-11-22 (주) 퍼셉션 집단 의사 결정 지원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050A (ja) * 2010-05-19 2011-12-01 Nec Corp ポジショニング・マップ生成システムおよびポジショニング・マップ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95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zzi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new forms of interaction: Who has the control when interacting with a chatbot?
US20220351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US10366396B2 (en) Vector-based characterizations of products and individuals with respect to customer service agent assistance
US11295367B2 (en) System for in-store consumer behaviour event metadata aggregation, data verification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thereof for data interpretation and associated action triggering
WO2018026649A1 (en) Vector-based characterizations of products and individuals with respect to personal partialities
WO2018191591A1 (en) Vector-based characterizations of products and individuals with respect to personal partialities such as a propensity to behave as a first adopter
Duchessi Crafting customer value: The art and science
DiResta et al. The hardware startup: Building your product, business, and brand
US20170178144A1 (en) Synchronized communication platform
CN112384912A (zh) 用户创建内容推荐和搜索
Wiradinata et al. Online Measuring Feature for Batik Size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a Novelty Technology
KR101959553B1 (ko) 이미지 설문 기반의 컨셉 제안 장치 및 방법
Kaden et al. Leading edge marketing research: 21st-century tools and practices
Gruzdo et al. Analysis of Models Usability Methods Used on Design Stage to Increase Site Optimization.
KR20190079582A (ko) 선물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선물 추천 서버
Shil et al. Robust customer satisfaction model using QFD
US20080312985A1 (en) Computerized evaluation of user impressions of product artifacts
US20170039618A1 (en) Automated Personalized Product Specification
Heinemann Intelligent Retail
CN111160817A (zh) 货品验收方法及系统、计算机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40896B1 (ja) 検索表示プログラム、検索表示装置、及び検索表示システム
Mitts et al. On the Use of Handheld Augmented Reality for Inventory Tasks: A Study with Magazine Retailers
Khalil Website redesign: The role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in the improvement of local e-commerce website design.
Castenetto Redefining fashion ecommerce: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technologies on user experience
Bjerkeng Re-modelling the interaction design and structure of an online st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