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35B1 -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35B1
KR101959535B1 KR1020170118632A KR20170118632A KR101959535B1 KR 101959535 B1 KR101959535 B1 KR 101959535B1 KR 1020170118632 A KR1020170118632 A KR 1020170118632A KR 20170118632 A KR20170118632 A KR 20170118632A KR 101959535 B1 KR101959535 B1 KR 10195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ank
cooling fluid
pip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봉원석
경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agnetic measuring device for an electric steel sheet comprising: a frame capable of performing high-magnetic field measurement of a high-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more precisely and accurately wherein a specimen is inserted in the frame to measure a magnetism in order to cool a high temperature generated during measurement more rapidly; and a cooling part installed in the fram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frame.

Description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orce of an electric steel sheet,

전기강판의 자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를 개시한다.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magnetic properties of an electric steel sheet is disclosed.

일반적으로, 전기강판 제품의 물리적 특성 평가를 통한 품질 인증 및 보증의 한 방법으로 자장(자성) 측정 시험이 실시된다. 자장 측정 시험은 전기강판 제품이 가지는 전자기적 특성인 철손, 자속밀도, 투자율, 자화력, 피상전력 등을 측정하게 된다.Generally, magnetic field (magnetic) measurement tests are conducted as a method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assurance through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ical steel products. The magnetic field measurement test measures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teel sheet products such as iron loss, magnetic flux density, permeability, magnetizing force and apparent power.

시험은 측정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측정 장치는 프레임 내부에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구비한다. 측정장치는 프레임의 사면에 각각 형성된 홀을 통해 일정량의 시편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상기한 전자기적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The test is carried out through a measuring device. The measuring device has a coil for magnetizing the specimen inside the frame. The measuring apparatus measures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by sequentially inser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pecimen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slopes of the frame.

시편에 대한 자성 측정은 자화 곡선을 따라 진행되며, 일반적으로 10000A/m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등에 필요한 고출력의 전기강판 소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제품에 대한 품질 인증을 위한 고자장 측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Magnetic measurements on the specimen proceed along the magnetization curve and generally proceed in the 10000 A / m rang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high-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s such as driving motors for electric vehicles has been actively promoted,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a high-field measuring apparatus for quality certification of such products.

종래의 경우 일반적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자장 특성을 시험하고 있으나, 고자장측정이 어렵고 측정 과정에서 편차와 고열 발생 문제로 측정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재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열에 의해 설비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화재 위험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onventional case, although the high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is tested using a general measuring devi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high magnetic field,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s low and the reproducibility is not ensured due to the deviation and high heat generation problem in the measuring process. In addition, due to the high temperature, equipment failure frequently occurs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due to fire risk.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electric steel sheet magnetic measur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high-field measurement of a high-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more precisely and accurately.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 안정성을 높이고,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electric steel sheet magnetic measuring device capable of enhancing measurement stability of high magnetic field of a high 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and increasing reliability of measurement data.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 시 발생되는 고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켜, 고열에 의한 장치 손상과 자성 측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electric steel sheet magnetic measuring device which can cool a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high magnetic field measurement of a high 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more rapidly and prevent device damage due to high temperature and defective magnetic measurement.

본 구현예의 측정 장치는, 시편이 삽입되어 자성이 측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into which a sample is inserted and a magnetic property is measured, and a cool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frame.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 상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n upper cas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specimen on a side thereof, a board disposed below the upper case, and a coil provided inside the upper case to magnetize the test piece.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코일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cool the coil by circulating and supplying the cooling fluid into the frame.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frame and supplying the cooling fluid into the frame, and a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frame to discharge and circulate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frame.

상기 공급부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section may include a first tank in which a cooling fluid is accommodat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ank and the frame and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transferred.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을 통해 프레임 내부로 이송되는 구조일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tank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first tank and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of the frame so that the cooling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tank flows down into the frame through the supply pipe Lt; / RTI >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ly pipe may b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and may have a funne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may be installed in a hole formed in an upper case of the frame.

상기 상부케이스의 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기밀 유지용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And an airtight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ole of the upper case and the supply pipe.

상기 순환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tank connected to the frame to receive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frame,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ank and the frame to transfer the cooling fluid.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탱크와 제2 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제2 탱크 내의 냉각유체를 제1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ank and the second tank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fluid and a transfer pump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fluid in the second tank to the first tank have.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 탱크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ip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ank to discharge the cooling fluid, and an open / close valve installed at the drain pipe.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보드판과 상기 제2 탱크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배출관을 통해 제2 탱크 내부로 이송되는 구조일 수 있다. Wherein the second tank is disposed below the frame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boar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so that the cooling fluid flowing in the frame flows into the second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

상기 배출관은 상기 프레임의 보드판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 of the frame and may have a funnel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and may be installed in a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상기 배출관과 상기 제2 탱크의 홀 사이에 기밀 유지용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And an airtight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hole of the second tank.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용적이 큰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tank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internal volume than the first tank.

상기 공급부의 제1 탱크와 공급관 또는/및 상기 순환부의 제2 탱크와 배출관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ank and the supply pipe of the supply part and / or the second tank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circulation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a metal including copper.

상기 순환관은 공급관과 배출관 내부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ipe may be extended into the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상기 공급관의 출구 단면적은 상기 배출관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i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냉각 유체에 의한 신속하고 균일한 냉각으로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등에 사용되는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에 대한 고자장 측정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고 측정 오류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accurately perform high-field measurement on a high-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used in a driving motor for an electric automobile, etc. by rapid and uniform cooling by a cooling fluid, .

이에, 반복적인 재실험에 의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ime and cost due to repetitive re-experiments

또한, 냉각 효능의 개선을 통해 고열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측정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apparatus due to high temperature, increase the measurement safety, and ensure the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s.

이에,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결함 예방으로 불량율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ect ra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by preventing defect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igh output electric steel sheet material product.

또한, 정밀한 자성 측정과 신뢰성 확보를 통해 고자장 전기강판 소재의 품질 인증 및 평가 실험으로 고출력 소재의 판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sales competitiveness of high output materials by quality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experiment of high magnetic steel sheet material through precise magnetic measurement and reliability assuran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electrical steel sheet magnetic propert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suscep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실시예는 고출력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에 적용되는 적층권선코일의 자장 평가를 위한 고자장 DC 측정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소재의 자장 측정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a high field DC measuring device for evaluating the magnetic field of a multilayer winding coil applied to a drive motor for a high output electric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magnetic field measuring devices of various materials.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구성과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는 상기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FIG. 1 and FIG. 2 show the structure and the assembled state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magnetic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and FIG. 3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magnetic steel shee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0)는 시편이 삽입되어 자성이 측정되는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measu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 in which a sample is inserted and a magnetic property is measured, and heat generated in the frame 10, which is installed in the frame 10, And may include a cooling portion for radiating heat.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냉각부를 구비하여 프레임(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킴으로써, 고자성 측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frame 1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high heat generated in the high magnetic measurement process.

상기 프레임(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18)을 형성한 상부케이스(12), 상기 상부케이스(12)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14), 상부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켜 자장을 형성하는 1차 코일(15), 및 2차 코일(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0 includes an upper case 12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n insertion hole 18 for inserting a specimen therein, a board 14 disposed below the upper case 12, A primary coil 15 provided inside the rotor 12 to magnetize the specimen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a secondary coil 16.

프레임(10)은 사각의 박스 형태를 이룬다. 상부케이스(12)와 바닥판이 프레임(10)의 외형을 이룬다. 상부케이스(12)의 각 모서리 측면 시편이 삽입되는 삽입홀(1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홀(18)과 연결되며 시편이 지나가는 관로가 형성된다. 각 관로는 프레임(10)의 변을 따라 연장되어 동일 축 방향으로 모서리의 삽입홀(18) 사이를 연통한다.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서 관로 외주면에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이 감겨져 설치된다. 1차 코일(15)은 예를 들어 299회 권선되며, 2차 코일(16)은 2520회 권선된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 사이에 절연테이프가 도포되며 권선된 코일은 에나멜로 코팅된다.The frame 10 is in the form of a square box. The upper case (12) and the bottom plate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rame (10). An insertion hole 18 for inserting each corner side specimen of the upper case 12 is formed and a conduit through which the specimen passes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8 inside. Each channel extends along the sides of the frame 10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insertion holes 18 at the corners in the same axial direction. The primary coil 15 and the secondary coil 16 a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0. The primary coil 15 is wound, for example 299 times, and the secondary coil 16 is wound 2520 times. An insulating tape is applied between the primary coil 15 and the secondary coil 16, and the wound coil is coated with enamel.

2차 코일(16)의 권선수가 많고, 1차 코일(15)의 권선수가 적을수록 큰 자장을 얻을 수 있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의 권선 수의 편차가 클수록 고자장을 발생한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의 권선 수는 측정하고자 하는 자장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A larger magnetic field can be obtained as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secondary coil 16 is larger and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primary coil 15 is smaller. The higher the deviation of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primary coil 15 and the secondary coil 16, the higher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primary coil 15 and the secondary coil 16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 to be measured.

프레임(10)은 삽입홀(18)을 통해 시편이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시험이 이루어지는 구성부이다. 프레임(1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frame 10 is a component in which a test piece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8 to perform a test substantially. Since a number of techniques have already been disclosed for the structure of the frame 1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will be omitted.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10)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코일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be a structure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 into the frame 10 to cool the coil.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냉각부는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30), 및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oling s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ly section 30 connected to the frame 10 to supply a cooling fluid into the frame 10, and a supply section 30 connected to the frame 10 to discharge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frame 10 And a circulation unit 50 for circulating the liquid.

냉각유체는 냉각수나 냉각용 오일 등 고열에 대한 냉각 효과를 갖는 다양한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may be various fluids having a cooling effect on high temperature such as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본 실시예에서 공급부(30)와 순환부(50)는 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위에서부터 공급부(30), 프레임(10) 및 순환부(50)가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에,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공급부(30)의 냉각유체가 위치에너지에 의해 밑으로 흘러내려 프레임(10)으로 유입되고, 프레임(10) 냉각 후 순환부(50)로 흘러내려 프레임(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유체가 프레임(10)을 거쳐 이송되면서 프레임(10) 내부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unit 30 and the circulation unit 50 can be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frame 1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supply unit 30, the frame 10, and the circulation unit 50 are stacked and disposed in order from the top. The cooling fluid of the supply unit 30 flows downward by the potential energy and flows into the frame 10 without cooling the frame 10 and flows to the circulation unit 50 after cooling the frame 10, Can be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fluid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frame 10 to cool the inside of the frame 10.

공급부(30)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32), 및 제1 탱크(32)와 프레임(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section 30 may include a first tank 32 in which a cooling fluid is accommodated and a supply pipe 34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ank 32 and the frame 10 to transport the cooling fluid.

제1 탱크(32)는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 구조물이다. 제1 탱크(32)의 형태나 크기는 프레임(1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The first tank 32 is a container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cooling fluid is received. 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tank 32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ame 10 and the like.

제1 탱크(32) 내부의 냉각유체는 별도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공급관(34)을 통해 강제 이송하여 프레임(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 cooling fluid in the first tank 32 can be forcedly fed through the supply pipe 34 by using external power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0. [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체는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이송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fluid may be of a structure that transfers without any external power.

이를 위해, 제1 탱크(32)는 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고, 공급관(34)은 제1 탱크(32) 하단과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 상부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제1 탱크(32)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높이 차에 의해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34)을 통해 프레임(10) 내부로 이송된다.The first tank 32 is disposed above the frame 10 and the supply pipe 34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tank 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2 of the frame 10. [ Thus, the cooling fluid contained in the first tank 32 flows down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is transported into the frame 10 through the supply pipe 34.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 상단에는 공급관(34)과의 연결을 위한 홀(36)이 형성된다. A hole 36 for connection with the supply pipe 3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2 of the frame 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관(34)은 공급부(30)의 무게에 의해 홀(36)과 밀착되어 긴밀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공급관(34)은 제1 탱크(32)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에 형성된 홀(36)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pipe 34 is tightly connected to the hole 36 by the weight of the supply unit 30. The supply pipe 34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ank 32 and has a funne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so that the supply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hole 36 formed in the upper case 12 of the frame 10 It is structured to be installed.

공급관(34)의 하단 직경은 상부케이스(12)에 형성된 홀(36)의 직경보다 작고, 공급관(34)의 상단 직경은 상부케이스(12)의 홀(36)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이에, 공급관(34)이 설치된 제1 탱크(32)를 프레임(10) 상에 올려놓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34)이 상부케이스(12)의 홀(36)에 삽입되면서 공급관(34) 측면이 상부케이스(12)의 홀(36)에 밀착된다. 따라서 공급관(34)은 제1 탱크(32)의 무게에 의해 눌려져 홀(36)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홀(36)과 공급관(34) 사이를 통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시 보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관과 홀 사이에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diameter of the supply pipe 3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36 formed in the upper case 12 and the upper end diameter of the supply pipe 34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36 of the upper case 12. [ 3, the supply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hole 36 of the upper case 12 when the first tank 32 provided with the supply pipe 34 is placed on the frame 10, The side surface of the supply pipe 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e 36 of the upper case 12. Thus, the supply pipe 34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first tank 32 and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hole 36.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fluid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holes 36 and the supply pipe 34. An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hole so as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when necessary.

공급부(30)의 제1 탱크(32) 또는/및 공급관(34)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탱크(32) 또는/및 공급관(34)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ank 32 and / or the supply pipe 34 of the supply unit 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ank 32 and / or the supply pipe 34 may be made of a copper material.

제1 탱크(32)와 공급관(34)은 외기와 접하고 있어, 내부의 냉각유체는 외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된다. 이에, 프레임(10)의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구리 재질의 제1 탱크(32)와 공급관(34)을 통해 냉각유체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tank 32 and the supply pipe 34 ar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the inside cooling fluid indirectly exchanges heat with the outside air.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d cooling fluid with the high temperature of the frame 10, the heat of the cooling fluid is quick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ank 32 and the supply pipe 34 made of copper to cool the cooling fluid .

순환부(50)는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52), 및 제2 탱크(52)와 프레임(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rt 50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to receive a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frame 10 and a second tank 52 connected to the frame 10 to be cooled And may include a discharge tube 54 through which the fluid is delivered.

제2 탱크(52)는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 구조물이다. 제2 탱크(52)의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제2 탱크(52)의 일 측면에는 개폐밸브(58)가 설치된다. 필요시 개폐밸브(58)를 작동하여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The second tank 52 is a container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cooling fluid is received. The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tank 52 can be variously modified. An opening / closing valve 5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ank 52. The cooling fluid in the second tank 52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by operating the on-off valve 58 if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 제2 탱크(52)는 상기 제1 탱크(32)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용적이 큰 구조일 수 있다. 제1 탱크(32)는 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제1 탱크(32)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는 바로 프레임(10)으로 낙하되므로, 제2 탱크(32)보다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탱크 크기를 줄여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ank 52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arger internal volume than the first tank 32. The first tank 32 is disposed above the frame 10 so that the cooling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tank 32 falls directly into the frame 10 so that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tank 32.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tank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제2 탱크(52)는 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되고, 배출관(54)은 프레임(10)의 보드판(14)과 제2 탱크(52) 상부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프레임(10) 내부에서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높이 차에 의해 흘러내려 배출관(54)을 통해 제2 탱크(52) 내부로 이송된다.The second tank 52 is disposed under the frame 10 and the discharge pipe 54 is connected between the board 14 of the frame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52. Thus, the cooling fluid heat-exchanged inside the frame 10 is flowed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is transferred into the second tank 52 through the discharge pipe 54.

배출관(54)은 프레임(10)의 보드판(14) 하부에 설치된다. 제2 탱크(52)의 상부에는 배출관(54)과의 연결을 위한 홀(56)이 형성된다. The discharge pipe 54 is installed under the board 14 of the frame 10. A hole 56 for connection with the discharge pipe 5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52.

본 실시예에서, 배출관(54)은 그 위쪽 무게에 의해 홀(56)과 밀착되어 긴밀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배출관(54)은 보드판(14)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52) 상부에 형성된 홀(56)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ipe 54 is tightly connected to the hole 56 by its upper weight. For this purpose, the discharge pipe 54 is installed in the board 14 and has a funne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and is fitted in the hole 56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52 .

배출관(54)의 하단 직경은 제2 탱크(52)에 형성된 홀(56)의 직경보다 작고, 배출관(54)의 상단 직경은 제2 탱크(52)의 홀(56)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이에, 배추관이 설치된 프레임(10)이 제2 탱크(52) 상에 올려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4)이 제2 탱크(52)의 홀(56)에 삽입되면서 배출관(54) 측면이 제2 탱크(52)의 홀(56)에 밀착된다. 따라서, 배출관(54)은 그 위쪽 프레임(10)과 공급부(30)의 무게에 의해 눌려져 홀(56)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홀(56)과 배출관(54) 사이를 통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시, 보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출관과 홀 사이에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5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56 formed in the second tank 52 and the upper end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54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56 of the second tank 52. 3, the discharge pipe 54 is inserted into the hole 56 of the second tank 52, and the discharge pipe 54 is inserted into the hole 56 of the second tank 52. As a result,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5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le 56 of the second tank 52. Therefore, the discharge pipe 54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supply part 30 to closely contact with the hole 56. [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fluid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holes 56 and the discharge pipe 54. If necessary, an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hole to maintain more airtightness.

순환부(50)의 제2 탱크(52) 또는/및 배출관(54)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탱크(52) 또는/및 배출관(54)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tank 52 and / or the discharge pipe 54 of the circulation unit 5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ank 52 and / or the discharge pipe 54 may be made of a copper material.

제2 탱크(52)와 배출관(54)은 외기와 접하고 있어, 내부의 냉각유체는 외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된다. 이에, 프레임(10)의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구리 재질의 제2 탱크(52)와 배출관(54)을 통해 냉각유체의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tank 52 and the discharge pipe 54 ar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the inside cooling fluid indirectly exchanges heat with the outside air. Thus, the heat of the cooling fluid is dissip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tank 52 made of copper and the discharge pipe 54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d cooling fluid with the high temperature of the frame 10, .

냉각유체의 순환을 위해, 본 실시예의 순환부(50)는 제1 탱크(32)와 제2 탱크(52)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60), 및 순환관(60)에 연결되어 제2 탱크(52) 내의 냉각유체를 제1 탱크(32)로 이송하는 이송펌프(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ortion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60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transferred between the first tank 32 and the second tank 52 and the circulation pipe 60, And a transfer pump 62 connected to the second tank 52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fluid in the second tank 52 to the first tank 32.

이에, 제1 탱크(32)에서 프레임(10)을 거쳐 제2 탱크(52)로 흘러내린 냉각유체는 이송펌프(62)에 의해 순환관(60)을 통해 다시 제1 탱크(32)로 되돌려져 연속적으로 순환된다.The cooling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tank 32 to the second tank 52 through the frame 10 is returned to the first tank 3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60 by the transfer pump 62 And is continuously circulated.

이송펌프(62)는 제1 탱크(32)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관(60)은 하단이 제1 탱크(32) 내부 바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제1 탱크(32) 상부로 연장되어 이송펌프(62)에 연결된다. The transfer pump 62 may be installed above the first tank 32. The lower end of the circulation pipe 60 extends to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tank 32 and the upper e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ank 32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ump 62.

이에, 이송펌프(62)가 구동되면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가 위로 끌어올려져 다시 제1 탱크(32)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다시 프레임(10)으로 흘러내려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Thus, when the transfer pump 62 is driven, the cooling fluid in the second tank 52 is drawn up and sent to the first tank 32 again. Thus, the cooling fluid flows back to the frame 10 and continuously circulates.

본 실시예에서, 순환관(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34)과 배출관(54) 내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탱크(32)와 프레임(10) 및 제2 탱크(52)가 위에서부터 순차 배치되고,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위치가 동일한 상태에서, 순환관(60)이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이에, 순환관(60)의 길이를 가장 짧게하여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 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순환관(60) 설치를 위해 제1 탱크(32)와 제2 탱크(52) 사이에 별도 연결구를 마련하지 않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홀(36,56)을 이용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irculation pipe 6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34 and the discharge pipe 54,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tank 32, the frame 10, and the second tank 52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top, and the circulation pipe 6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4 at the same position of the discharge pipe 54, (34) and the discharge pipe (54).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circulation pipe (60) can be shortened to increase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efficiency in the second tank (52). In addition, by using the holes 36 and 56 that are already formed without providing separate connecting ports between the first tank 32 and the second tank 52 for installing the circulation pipe 60, the apparatus configuration can be further simplified .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은 배출관(54)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출구 단면적이라 함은 냉각유체가 나가는 영역으로,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출측 선단과 순환관(60) 사이의 틈새가 이루는 단면적을 의미한다.The out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34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ipe 54.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it means the cross-sectional area formed by the gap between the circulation pipe 60 and the exit end of the supply pipe 34 and the discharge pipe 54, and the area where the cooling fluid exits.

이와 같이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과 배출관(54)의 출구 단면적을 달리함으로써, 프레임(10) 내부에서의 냉각유체 체류량과 체류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34 to be different from 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ipe 5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oling fluid holding amount and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frame 10.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이 배출관(54) 출구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10)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양보다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의 양이 적게 된다. 즉, 프레임(10)으로 공급되는 냉각유체 양이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 양보다 많게 된다. 이에, 프레임(10) 내부에는 모자람없이 항상 일정량의 유체가 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프레임(10) 내에 계속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프레임(10)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프레임(10) 내부 전체에서 고르고 균일하며 효과적인 냉각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amount of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frame 10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the cooling fluid supplied into the frame 10 as 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34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let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ipe 54. That is, the amount of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frame 10 becomes larger than the amount of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frame 10. [ Therefore, a certain amount of fluid can always be accumulated in the frame 10 without being exhausted. Thus, the cooling fluid is kept filled in the frame 10, and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frame 10 is extended, so that even, uniform, and effective cooling can be performed throughout the frame 10.

프레임(10) 내부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는 프레임(10)에서 배출관(54)을 통해 제2 탱크(52)로 배출된다. 그리고 순환관(60)을 통해 제1 탱크(32)로 순환된다. 이 과정에서 냉각유체는 제2 탱크(52)와 제1 탱크(32) 및 배출관(54)과 공급관(34)을 통해 외기와 열교환되어 방열됨으로써 재 냉각된다.The cooling fluid, which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inside of the frame 10, is discharged from the frame 10 to the second tank 52 through the discharge pipe 54. And circulated to the first tank 32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60. In this process, the cooling fluid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second tank 52, the first tank 32, the discharge pipe 54, and the supply pipe 3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프레임 12 : 상부케이스
14 : 보드판 30 : 공급부
32 : 제1 탱크 34 : 공급관
36,56 : 홀 50 : 순환부
52 : 제2 탱크 54 : 배출관
58 : 개폐밸브 60 : 순환관
62 : 이송펌프
10: frame 12: upper case
14: board board 30:
32: first tank 34: supply pipe
36, 56: hole 50: circulation part
52: second tank 54: discharge pipe
58: opening / closing valve 60: circulation pipe
62: Feed pump

Claims (13)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시편의 자성을 측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상기 코일을 냉각하며,
상기 냉각유체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An upper cas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specimen, a board disposed below the upper case, and a coil provided inside the upper case to magnetize the specimen, Frame to measure; And
A cool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and radiating heat generated inside the frame,
/ RTI >
The cooling unit circulates and supplies a cooling fluid into the frame to cool the coil,
And the cooling fluid is kept filled in the fr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unit includes a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frame and supplying the cooling fluid 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a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frame and discharging and circulating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ly section includes a first tank in which a cooling fluid is accommodat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ank and the frame and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transferr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을 통해 프레임 내부로 이송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ank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first tank and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of the frame so that the cooling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tank flows down into the frame through the supply pipe An electric steel sheet magnetic measur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 탱크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ly pipe is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nk and has a funne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and is fitted in a hole formed in an upper case of the frame.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circulation unit includes a second tank connected to the frame to receive the cool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frame,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ank and the frame and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transferr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탱크 내의 냉각유체를 상기 제1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irculation unit includes a circulation pip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ank and the second tank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fluid and a transfer pump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for transferring the cooling fluid in the second tank to the first tank Wherein the electric steel sheet magnetic measuring device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보드판과 상기 제2 탱크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제2 탱크 내부로 이송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tank is disposed below the frame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boar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ank so that cooling fluid flowing in the frame flows down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Steel plate magnetic measuring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프레임의 보드판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a board of the frame and has a funne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and is fitted in a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tan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제1 탱크와 공급관 및 상기 순환부의 제2 탱크와 배출관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tank and the supply pipe of the supply unit and the second tank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circulation unit ar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metals including copp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은 공급관과 배출관 내부를 따라 연장 설치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irculation pipe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출구 단면적은 상기 배출관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ly pipe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ipe.
KR1020170118632A 2017-09-15 2017-09-15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KR101959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en) 2017-09-15 2017-09-15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en) 2017-09-15 2017-09-15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35B1 true KR101959535B1 (en) 2019-03-18

Family

ID=6594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en) 2017-09-15 2017-09-15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7976A (en) * 2010-06-09 2011-12-22 Kawamura Electric Inc Cooling system for server rack
JP2016095264A (en) * 2014-11-17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High magnetic field pulse excitation type magnetic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KR101746800B1 (en)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agnetic measurement of electrical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7976A (en) * 2010-06-09 2011-12-22 Kawamura Electric Inc Cooling system for server rack
JP2016095264A (en) * 2014-11-17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High magnetic field pulse excitation type magnetic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KR101746800B1 (en)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agnetic measurement of electrical steel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hjaee et al. Effect of magnetic field on the forced convecti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a magnetic nanofluid in a miniature heat sink
TWI459493B (en) Vacuum processing device
TW201339596A (en) Probe assembly for inspecting power semiconductor devices and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60066309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RI gradient coil
US9625539B2 (en) Magnet evaluating device and method
US20100315086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chiller
EP2541563A1 (en) Rea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actor
US9511377B2 (en) High gradient, oil-cooled iron removal device with inner circulation
CN109494041B (en) Superconducting magne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using same
EP3758029A1 (en) Coil device
CN114312379A (en) Ground assembly of induction charging device
US20120299677A1 (en) Electrical transformer with diaphragm and method of cooling same
RU2314894C2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magnetic agitation apparatuses
KR101959535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KR101315772B1 (e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heat conduction of a sample
JP2022164731A (e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US20140083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a composite material
CN103703350B (en) The expression of the winding temperature of electric power transformer and display
US7049817B2 (en) Thermostat-controlled containment cell for samples intended for NMR measurement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t
US10126381B2 (en) Shielding with integrated cooling
CN210400884U (en) Temperature field simulation device of strong oil air-cooled transformer
US20230011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high power electrical systems
JP2017532999A (en) Combined shim and bore cooling assembly
Nonnema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novel direct rotor cooling method for a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KR102032117B1 (en) Reliability assessment device of thermoelectri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