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54B1 -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54B1
KR101959454B1 KR1020170169167A KR20170169167A KR101959454B1 KR 101959454 B1 KR101959454 B1 KR 101959454B1 KR 1020170169167 A KR1020170169167 A KR 1020170169167A KR 20170169167 A KR20170169167 A KR 20170169167A KR 101959454 B1 KR101959454 B1 KR 10195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current
leakage current
switch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성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to KR102017016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88Measuring quality factor or dielectric loss, e.g. loss angle,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45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line insulators or spacers, e.g. ceramic overhead line cap insulators; of insulators in HV bush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형 부싱의 정전용량과 누설저항의 비율인 유전역률을 계측시 누설전류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산함으로써 부싱의 절연열화 정도를 판정할 수 있도론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분기선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개폐 작동에 따라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계기용변류기와, 상기 계기용변류기의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을 계산하는 진단부로 구성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와 그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insulation degradation and dielective power factor using leakage current}
본 발명은 콘덴서형의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변압기 사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부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콘덴서형 부싱의 정전용량과 누설저항의 비율인 유전역률을 계측시 공급전압을 측정하지 않고 누설전류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산함으로써 부싱의 절연열화 정도를 판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변압기를 통해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의 일반 수용가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압으로 변환되어 공급된다.
이러한 변압기의 구조는 용량 및 전압에 따라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변압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권선과 철심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이들 권선과 철심은 절연유로 충진된 탱크(tank) 안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 및 인출하기 위해 고압 및 저압용 부싱이 구비된다.
이때, 부싱은 변압기사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변압기 부싱사고를 예방 진단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581018호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변압기 콘덴서 부싱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 가압시 콘덴서 부싱에서 발생되는 총전류값, 저항성 전류값 및 부분 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진단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상태 진단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변압기의 콘덴서 부싱에 대한 등급을 산출하는 등급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진단 대상 변압기마다 상이하게 설정되고, 총전류값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2개 이상의 총전류 기준값, 저항성 전류값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2개 이상의 저항성 전류 기준값 및 부분 방전량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2개 이상의 부분 방전량 기준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변압기 가압시 상기 콘덴서 부싱에서 발생되는 총 전류값과 저항성 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 모듈은 상기 콘덴서 부싱에 포함된 시험 탭을 통해 콘덴서 C1 그룹 및 콘덴서 C2 그룹의 충전 전류를 취득하고, 상기 시험 탭에서 취득된 충전 전류를 근거로 저항성 전류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등록특허를 포함하는 종래의 변압기 부싱사고 예방 진단 방식들은 통전 도체와 외함 접지와의 중간을 콘덴서 전극으로 하여 절연체의 전위 경도를 균일하게 하고 이 전극 간에 발생하는 충전전류 Ic와 누설전류Ir의 합성누설전류를 측정하여 공급전압에 대한 역률각의 변화로 절연 열화의 정도를 판정하여 왔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제어실과 변압기의 설치 위치가 멀어서 전원전압을 가져오기 곤란하여 누설전류만으로 유전역률을 판단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3상전류를 참고하여 합성누설전류의 유전역률을 판단하는 기술이 있으나 3상 대칭이 아닐 경우에는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특허 제10-15810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콘덴서형 부싱의 정전용량과 누설저항의 비율인 유전역률을 계측시 종래의 공급 전압과 누설 전류를 모두 측정하여 유전역률을 계산하는 방식 대신 누설전류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산하는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싱의 절연열화 진단시 R과 C가 동시에 나빠지는 경우에는 유전역률의 변화없이 누설전류의 크기만 증가하게 되므로, 이 경우 공급 전압 없이 누설전류만 안다면 저항과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누설전류가 증가한 것인지 공급 전압이 커져서 누설전류가 증가한 것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R과 C의 합성 임피던스에 합성누설전류를 곱하여 전원전압을 계산함으로서, 별도로 전원전압을 계측하지 않더라도 전원전압을 확인할 수 있어, 누설전류의 크기 변화가 절연열화로 인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분기선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개폐 작동에 따라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계기용변류기와, 상기 계기용변류기의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을 계산하는 진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스위치의 개폐 제어를 통해 계기용변류기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을 계산하여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경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분기선에 설치되는 계기용변류기를 이용한 콘덴서형 부싱의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여 상기 계기용 변류기에서 스위치 개폐시의 전류를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계기용변류기에서 측정되는 스위치 개폐시의 측정 전류로 메인 캐패시터 C1의 누설저항과 정전용량을 계산하여 유전정접을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유전역률이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경고부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방법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에서 유전역률이 설정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단계에서 측정한 전류를 사용하여 계산한 합성누설전류와 전원전압을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된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과 전원전압의 초기값과 비교하여, 합성누설전류의 변화율과 전원전압의 변화율의 차이가 설정된 수치보다 클 경우 경고부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과 전원전압의 초기값은 설비를 처음 설치한 시점의 정상상태일 때, 측정한 전류값을 사용하여 계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형 부싱의 누설전류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덴서형 부싱에 기준저항을 추가하여 단상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측함으로써 공급전압을 측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부싱의 유전역률 값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전원전압을 계측하지 않더라도 전원전압을 확인할 수 있어, 누설전류의 크기 변화가 절연열화로 인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을 위한 부싱의 연결 등가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는 부싱(1)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BL)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R2)과, 상기 기준저항(R2)과 병렬연결되는 스위치(SW)와, 상기 분기선(BL)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SW)의 개폐작동에 따라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계기용변류기(CT)와, 상기 계기용변류기(CT)의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 tanδ을 계산하여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별하는 진단부(10)로 구성된다.
즉,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 사이에 분기선(BL)을 연결하고 그 분기선(BL)에 기준저항(R2)과 스위치(SW)의 일단을 연결하고, 기준저항(R2)과 스위치(SW)의 타단은 접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진단부(10)는 상기 스위치(SW)의 개폐 제어를 통해 계기용변류기(CT)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 tanδ를 계산하며,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부저, 경광등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고부(20)로 출력함으로서 관리자가 열화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진단부(10)는 마이컴 등의 다양한 연산처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LCD와 같은 모니터장치(표시부)를 포함하여 모니터장치에 관리자에게 유전역률 tanδ과 절연열화 상태 및 경고 상태를 그래프 또는 수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위치(SW)를 개방(Open) 했을 때 계기용 변류기(CT)에 흐르는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1
, 스위치(SW)를 폐쇄(Close) 했을 때 흐르는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2
, 이라 지정하고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3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4
을 측정한다. 측정한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5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6
으로 메인 캐패시터 C1의 누설저항 R1과 정전용량 C1을 계산하여 유전정접 tanδ을 활선상태에서 계측 및 감시한다. 활선상태에서 감시하는 유전역률 tanδ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형 부싱의 누설전류만을 이용한 유전역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전역률 tanδ의 측정 및 연산 원리는 상시(常時)에는 스위치(SW)를 개방(OPEN)하고 주기적으로 스위치(SW)를 폐쇄(CLOSE) 및 개방(OPEN)하여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7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8
를 측정하여 연산 알고리즘으로 누설저항 R1, 메인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C1, 유전역률 tanδ,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09
를 온라인으로 측정하여 변화 상태를 관리하며 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 또는 트립 신호를 발생한다.
이하 설명하는 수식에서 C1 은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의 정전용량(관리대상)이고, C2는 부싱의 보조 캐패시터의 정전용량(기준용량)이고, R1은 부싱의 누설저항(관리대상)이고, R2는 기준저항(표준저항)이고, R3은 도체저항으로 "도체저항≒0"이고,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0
은 스위치(SW) 폐쇄(Close)시 합성누설전류이고,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1
은 스위치(SW) 개방(OPEN)시 합성누설전류이고,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2
은 스위치(SW) 폐쇄(Close)시 접지 도체 전류이고,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3
는 스위치(SW) 개방(OPEN)시 접지 도체 전류이며,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4
은 전원전압으로 정의된다.
우선 메인 캐패시터 C1의 캐패시턴스 X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캐패시턴스 Xc2는 다음의 식(1)과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5
,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6
----------(1)
그리고, 메인 캐패시터 C1과 관련한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7
은 다음의 식(2)와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8
----------(2)
또한, 보조 캐패시터 C2 및 기준저항(R2)과 관련한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19
은 스위치(SW)의 개방(OPEN) 및 폐쇄(CLOSE) 상태에 따라 다음의 식(3)과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0
(SW Open 시)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1
≒0 (SW Close 시) ----------(3)
그리고,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2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3
의 합성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4
은 스위치(SW)의 개방(OPEN) 및 폐쇄(CLOSE) 상태에 따라 다음의 식(4)와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5
(SW Open 시)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6
(SW Close 시) ----------(4)
이에 계기용 변류기(CT)를 통해 측정된 스위치(SW) 폐쇄(Close)시 접지 도체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7
와 스위치(SW) 개방(OPEN)시 접지 도체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8
로부터 스위치(SW) 폐쇄(Close)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29
와 스위치(SW) 개방(OPEN)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0
를 구하고,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1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2
로부터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3
을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해진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4
으로부터 부싱의 정전용량 C1과 누설저항 R1을 구하여 유전역률 tanδ,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5
을 계산한다.
이하, 상기 유전역률 tanδ,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6
의 계산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SW) 개방(OPEN)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7
는 기준저항(R2)과 보조 캐패시터 C2를 흐르는 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8
Figure 112017123001054-pat00039
의 합으로 아래의 식①과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0
----------①
그리고, 스위치(SW) 폐쇄(CLOSE)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1
는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2
가 '0'임에 따라 아래의 식②와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3
----------②
그리고, 상기 식①의 스위치(SW) 개방(OPEN)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4
는 아래의 식 ③과 같고, 상기 식②의 스위치(SW) 폐쇄(CLOSE)시 메인 캐패시터 C1과 관련한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5
는 아래의 식 ④와 같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6
----------③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7
----------④
다음으로 상기 식④를 식③에 대입하면 아래의 식⑤에서와 같은 스위치(SW) 개방(OPEN)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8
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49
----------⑤
그리고, 상기 식⑤를 전개하면 다음의 식⑥에서와 같이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0
에 관한 식을 유도할 수 있다.
⑤식 →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1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2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3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4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5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6
----------⑥
이와 같은 식⑥의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7
를 식④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식⑦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8
----------⑦
그리고, 상기 식⑦은 다음의 ⑧로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59
----------⑧
이에 따라 누설저항(R1)과 메인 캐패시터 C1의 캐패시턴스 Xc1 그리고 상기 유전역률 tanδ,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0
를 이래의 식⑨에서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1
AND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2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3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4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5
----------⑨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덴서형 부싱(10)에 기준저항(R2)을 추가하여 단상만으로 유전역률을 계측이 가능해 공급전압을 측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부싱(1)의 유전역률 값을 정확하게 계측이 가능하다. 아울러 계측된 유전역률 값의 변화로 절연 열화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부싱의 절연열화 진단시 R과 C가 동시에 나빠지는 경우에는 유전역률tanδ의 변화없이 누설전류의 크기만 증가하게 되므로, 이 경우 공급 전압 없이 누설전류만 안다면 저항과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누설전류가 증가한 것인지 공급 전압이 커져서 누설전류가 증가한 것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식⑩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R1과 C1의 합성 임피던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6
에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7
를 곱하여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8
을 계산함으로서, 별도로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69
을 계측하지 않더라도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0
을 확인할 수 있어, 누설전류의 크기 변화가 절연열화로 인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1
----------⑩
여기서,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2
의 변화량과 합성 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3
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전술한 수식을 통하여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4
과 전원전압의 초기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5
을 계산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하고, 그 후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과정에서 변화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6
와 변화된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7
을 계산한다.
이때, 초기값이란 설비를 처음 설치할 때, 정상적인 상태의 값을 측정하여 계산한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하기의 수식 ⑪에서와 같이, 전원전압의 변화율의 역수를 변화된 합성누설전류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8
에 곱하여 합성누설전류의 기대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79
을 계산하고, 하기의 수식 ⑫에서와 같이,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0
과 기대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1
을 비교하여 판별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2
을 도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별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3
이 0에 가까울수록 합성누설전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4
류의 변화율과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5
의 변화율이 일치한다는 의미이므로 절연열화의 정도가 적다고 판단하게 되고, 0에서 멀어질수록 합성누설전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6
류의 변화율과 전원전압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7
의 변화율이 차이가 난다는 의미이므로 절연열화의 정도가 크다고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별값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8
이 설정된 수치보다 클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부저, 경광등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고부(20)로 출력함으로서 관리자가 열화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바람직하다.
Figure 112017123001054-pat00089
------- ⑪
Figure 112017123001054-pat00090
------- ⑫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부싱 10: 진단부
20: 경고부 BL: 분기선
C1: 메인 캐패시터 C2: 보조 캐패시터
CT: 계기용변류기 R2: 기준저항
SW: 스위치

Claims (4)

  1.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분기선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개폐 작동에 따라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계기용변류기와, 상기 계기용변류기의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유전역률의 변화를 통하여 절연열화의 정도를 판단하는 진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스위치의 개폐 제어를 통해 계기용변류기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를 이용해 유전역률을 계산하여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경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3. 부싱의 메인 캐패시터 C1과 보조 캐패시터 C2의 연결점에 연결되는 분기선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기준저항과, 상기 기준저항과 병렬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분기선에 설치되는 계기용변류기를 이용한 콘덴서형 부싱의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개폐하여 상기 계기용 변류기에서 스위치 개폐시의 전류를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계기용변류기에서 측정되는 스위치 개폐시의 측정 전류로 메인 캐패시터 C1의 누설저항과 정전용량을 계산하여 유전정접을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유전역률이 설정기준치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경고부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유전역률이 설정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단계에서 측정한 전류를 사용하여 계산한 합성누설전류와 전원전압을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된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과 전원전압의 초기값과 비교하여, 합성누설전류의 변화율과 전원전압의 변화율의 차이가 설정된 수치보다 클 경우 경고부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합성누설전류의 초기값과 전원전압의 초기값은 설비를 처음 설치한 시점의 정상상태일 때, 측정한 전류값을 사용하여 계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방법.
KR1020170169167A 2017-12-11 2017-12-11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95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67A KR101959454B1 (ko) 2017-12-11 2017-12-11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67A KR101959454B1 (ko) 2017-12-11 2017-12-11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454B1 true KR101959454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67A KR101959454B1 (ko) 2017-12-11 2017-12-11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8607A (zh) * 2019-07-05 2019-09-06 杭州西湖电子研究所 一种相对电容比的检测方法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368A (ja) * 2005-08-24 2007-03-08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電力用コンデンサの寿命診断機能付き充電装置
JP2013140074A (ja) * 2012-01-04 2013-07-18 Denso Corp 漏電検出装置
KR101367891B1 (ko) * 2012-12-06 2014-02-27 주식회사 이디엠텍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1018B1 (ko) 2014-08-29 2015-12-3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콘덴서 부싱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70113541A (ko) * 2014-12-01 2017-10-12 조 데이비드 왓슨 고전압 부싱에 대한 능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에 관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368A (ja) * 2005-08-24 2007-03-08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電力用コンデンサの寿命診断機能付き充電装置
JP2013140074A (ja) * 2012-01-04 2013-07-18 Denso Corp 漏電検出装置
KR101367891B1 (ko) * 2012-12-06 2014-02-27 주식회사 이디엠텍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1018B1 (ko) 2014-08-29 2015-12-30 한국전력공사 변압기의 콘덴서 부싱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70113541A (ko) * 2014-12-01 2017-10-12 조 데이비드 왓슨 고전압 부싱에 대한 능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에 관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8607A (zh) * 2019-07-05 2019-09-06 杭州西湖电子研究所 一种相对电容比的检测方法
CN110208607B (zh) * 2019-07-05 2021-07-13 杭州西湖电子研究所 一种相对电容比的检测方法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63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er diagnosis
US20160103157A1 (en) Ratio metric current measurement
JP5349036B2 (ja) 絶縁診断システム
US87170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hase-to-earth fault
FI106985B (fi) Menetelmä sähkönjakeluverkon maasulkuvian etäisyyden määrittämiseksi laskennallisesti rengaskytkennässä
KR101367891B1 (ko)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 장치 및 그 방법
RU2631025C2 (ru) Обнаружение направления слабоустойчивого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с помощью линейной корреляции
US20100102826A1 (en) Power supply monitoring system
CN110726877A (zh) 用于确定未接地的电源系统中的总绝缘电阻的划分和总系统泄漏电容的划分的方法和设备
KR101959454B1 (ko) 콘덴서형 부싱 누설전류를 이용한 유전역률 및 절연열화의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179062B1 (ko) 활선 케이블 절연감시장치
US68731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apacitor bushing
Swamy et al. Sweep frequency response based statistical approach for locating faults in transformer windings using sliding window technique
EP2681572B1 (en) Method for adaptation of ground fault detection
KR20180042924A (ko) 변압기 부싱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08987A (ko) 가스절연개폐기 시스템내 고장 판별 장치 및 가스절연개폐기 시스템내 고장 판별 방법
KR101457644B1 (ko) Iec기반 저압 전기설비 설계방법 및 그 장치
KR100937363B1 (ko) 전력설비의 고장점 위치 파악 및 실시간 절연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JP6128921B2 (ja) 非停電絶縁診断装置及び非停電絶縁診断方法
US20240159815A1 (en) Insulation resistance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in consider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of device under measurement
RU266022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тестир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установках для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984432B1 (ko)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Abu-Siada et al. Image processing-based on-line technique to detect power transformer winding faults
WO2017147448A1 (en) Tes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in low voltage systems
KR101413788B1 (ko) 변압기 이상 진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